KR200266450Y1 - 장독뚜껑 - Google Patents

장독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450Y1
KR200266450Y1 KR2020010036529U KR20010036529U KR200266450Y1 KR 200266450 Y1 KR200266450 Y1 KR 200266450Y1 KR 2020010036529 U KR2020010036529 U KR 2020010036529U KR 20010036529 U KR20010036529 U KR 20010036529U KR 200266450 Y1 KR200266450 Y1 KR 200266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r
main body
air
lid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만길
Original Assignee
현만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만길 filed Critical 현만길
Priority to KR2020010036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4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450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독뚜껑에 관한 것으로, 장독 항아리(10)의 외주면(11) 상부로 설치되어 내측에 수납된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는 본체부(20)와;
상기 본체부(20) 중앙에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몸체 중앙에 항아리(10) 내부와 연통되는 개방홀(31)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숯(1)과 쑥(2)등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32)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면과 외측면에는 다수의 공기통로(33)가 뚫려있는 삽입부(30)와;
상기 삽입부(30) 상부로 단속수단(60)에 의해 설치되며, 몸체 상부에서 하부 내측으로는 다수개의 통기홀(41)이 형성되는 보호캡(40)과;
상기 본체부(20)의 상부로 다수개의 연통홀(52)이 형성되는 마감캡(51)이 단속수단(60)에 의해 설치되어 항아리(1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통기부(50)로 구성되어, 항아리(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내부의 공기가 숯(1)과 쑥(2)에 의해 정화되고, 습도조절이 가능하여, 항아리(10) 내부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체부(20)에 형성되는 통기부(50)와 삽입부(30)의 개방홀(31)에 의해 항아리(10) 내부와 외부의 통기환경을 향상시켜 항아리(10) 내부로 수납된 내용물의 보관상태 및 숙성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항아리(10) 내부의 환경을 전체적으로 쾌적하게 유지하여 이물질에 의해내용물이 오염되거나, 곰팡이가 발생하여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과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장독뚜껑{Jar Cover}
본 고안은 장독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공기가 원활하게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동시에, 내부로 유입되고, 배출되는 공기를 참숯과 쑥으로 탈취와 정화할 수 있도록 하여 장독 내부의 내용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관 및 숙성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독뚜껑은 항아리의 상부에 위치되어, 외부의 이물질과 빗물이 항아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일종의 보호구이다.
그리고, 통상적인 장독뚜껑의 형상은 원형형상의 항아리의 입구를 덮는 형식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몸체 상부에는 원형의 쟁반형상을 갖는 판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판체부의 측면부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테두리부가 형성된 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단순히 항아리의 입구를 덮어 보호하는 형식이외에, 내, 외부의 통기성을 향상시키고, 외부에서도 내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제품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장독뚜껑은 단순히 항아리의 입구 상부에 덮여지도록 설치되어, 외부의 먼지등같은 이물질과 빗물등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므로, 사용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항아리 내부에 내용물이 장기간 보관되는 과정에서 상기 내용물이 곰팡이등에 의해 쉽게 변질되는 폐단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내용물이 곰팡이등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고, 효과적으로 보관, 숙성시키기 위하여 항아리 외부와 내부의 공기순환을 위해서 장독뚜껑을 개방시켜 놓아야하므로, 장독뚜껑의 개방시 항아리 내부로 이물질등이 쉽게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독뚜껑에 통기시설을 형성한 제품이 제안된 바 있으나, 통기시설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한정되어 있고, 공기내에 포함된 세균이나 이물질등을 제거하지 못하여 항아리 내부로 유입시키고, 이로 인해 곰팡이등이 발생되어 내용물이 변질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항아리 내, 외부로 공기가 원활히 유입되어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참숯과 쑥의 공기정화기능을 이용하여 항아리내부의 내용물이 곰팡이등에 의해 변질되지 않도록 하여 내용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관 및 숙성시킬 수있는 장독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장독뚜껑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장독뚜껑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일부절결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장독뚜껑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쑥 2 - 숯
10 - 항아리 11 - 외주면
20 - 본체부 30 - 삽입부
31 - 개방홀 32 - 삽입홈
33 - 공기통로 40 - 보호캡
41 - 통기홀 50 - 통기부
51 - 마감캡 52 - 연통홀
60 - 단속수단 61 - 고정면
62 - 걸림홈 63 - 걸림돌기
70 - 걸림구 71 - 끼움홀
72 - 단속돌기 80 - 비닐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장독 항아리(10)의 외주면(11) 상부로 설치되어 내측에 수납된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는 본체부(20)와;
상기 본체부(20) 중앙에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몸체 중앙에 항아리(10) 내부와 연통되는 개방홀(31)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숯(1)과 쑥(2)등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32)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면과 외측면에는 다수의 공기통로(33)가 뚫려있는 삽입부(30)와;
상기 삽입부(30) 상부로 단속수단(60)에 의해 설치되며, 몸체 상부에서 하부 내측으로는 다수개의 통기홀(41)이 형성되는 보호캡(40)과;
상기 본체부(20)의 상부로 다수개의 연통홀(52)이 형성되는 마감캡(51)이 단속수단(60)에 의해 설치되어 항아리(1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통기부(5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즉, 공기정화기능과 습도조절기능등을 가지는 숯(1), 쑥(2)을 삽입하는 삽입부(30)를 설치하여 항아리(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고, 항아리(10) 내부의 습도를 흡수하여 조절하므로서, 항아리(10)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항아리(10) 내측에 저장되는 내용물에 곰팡이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장독뚜껑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삽입부 상부에 단속수단에 의해 보호캡이 분해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인 장독뚜껑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일부절결 단면도로서, 삽입부는 본체부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중앙에는 항아리 내부와 연통되는 개방홀이 구비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인 장독뚜껑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본체부의 상부를 비닐로 덮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 ∼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장독뚜껑의 본체부(20)는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가지며, 투명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20)가 투명재로 형성되는 것은 외부에서도 항아리(10) 내부를 쉽게 관찰하여, 내부의 내용물이 곰팡이 등에 의해 변질되는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투명재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0)의 중앙에는 내부에 숯(1)과 쑥(2)을 내장할 수 있는 삽입홈(32)이 형성된 삽입부(30)가 이 본체부(20)의 하부로 소정길이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30)의 중앙에는 항아리(10) 내부와 연통되는 개방홀(31)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홈(32)의 내측면과 외측면에는 다수의 공기통로(33)가 뚫려있다.
즉, 외부공기가 상기 개방홀(31)을 통하여 항아리(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통기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외부공기가 개방홀(31)을 통하여 항아리(10) 내부로 유입될 경우 삽입홈(32)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뚫려진 공기통로(33)를 통하여 삽입홈(32) 내부에내장된 숯(1), 쑥(2)을 거쳐 공기가 정화되고, 숯(1)과 쑥(2)이 항아리(10) 내부의 습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항아리(10) 내부에 공기도 상기 공기통로(33)를 통하여 삽입부(30)로 유입되어 숯(1), 쑥(2)에 의하여 정화되고, 습도가 조정되는 것이다.
특히, 숯(1)은 항아리(10)내부의 습도가 높을 경우 습기를 흡습하여 습도를 낮추고, 항아리(10)내부가 건조할 경우 습기를 방출하므로 항아리(10) 내부의 습도를 조절 가능하여 항아리(10) 내측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숯(1), 쑥(2)은 탈취기능을 가지고 있어, 항아리(10) 내부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제거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항아리(10) 내부에 저장되는 내용물이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거나, 곰팡이등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보관, 숙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삽입부(30)는 장독뚜껑의 본체부(20) 상부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돌출되게 형성되어 후술될 보호캡(40)이 상부로 덮어져, 외부의 이물질등이 항아리(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30)의 상부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방충부재를 고무줄에 의해 고정설치하여 이물질이나 벌레등이 항아리(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부(30)의 상부에는 개방홀(31)과 삽입홈(32)의 개폐를 단속하는 보호캡(40)이 설치된다.
상기 보호캡(40)은 홈체 외측부에 상부에서 하부 내측으로 다수개의 통기홀(41)이상기 삽입부(30)의 외측부로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이 통기홀(41)의 몸체에는 경사면(41a)이 형성된다.
즉, 보호캡(40)의 외주면(11) 내측으로 형성되는 통기홀(41)에 의해 외부 공기는 항아리(10) 내부로 유입되어 항아리(10)의 내측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호캡(40)은 이물질등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빗물등이 통기홀(41)을 통해 유입을 방지하면서, 빗물등이 통기홀(41)을 통해 유입될 경우에는 상기 통기홀(41)이 지지면의 외측부로 위치되는 관계로 빗물등이 삽입부(30)로 유입되어 개방홀(31)이나, 공기통로(33)를 통하여 항아리(10)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통기홀(41)은 몸체에 경사면(41a)이 형성되어 있어 공기는 내부 개방홀(31)로 이동시키면서, 빗물의 유입은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30)의 상부로 설치되는 보호캡(40)은 삽입부(30)의 삽입홈(32)과 개방홀(31)의 개폐를 단속하면서, 동시에 외부의 공기와 내측 공기를 상호 환기시키는 역할과 함께, 빗물과 이물질등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부(20)의 상부로 다수개의 연통홀(52)이 형성되는 마감캡(51)이 단속수단(60)에 의해 설치되어 항아리(1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통기부(50)가 구비되어, 항아리(10) 내, 외부의 공기를 더욱 원활히 환기시킬 수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감캡(51)은 상기 보호캡(4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어, 이물질의 유입은 방지하면서 외부의 공기는 내측을 통기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감캡(51)과 상기 삽입부(30) 상부로 덮여지게 설치되는 보호캡(40)은 단속수단(60)에 의해 설치된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분리가능하다.
즉, 본체부(20) 상부로 소정 높이를 가지고 돌출된 삽입부(30)의 외측부와 통기부(50)의 외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몸체의 걸림홈(62)이 구비된 고정면(61)이 다수개 형성되고, 보호캡(40)과 마감캡(51)의 외측부에도 걸림돌기를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보호캡(40)과 마감캡(51)의 설치시 상기 걸림돌기와 고정면(61)의 걸림홈(62)에 의해 보호캡(40)을 단속위치에서 견고하게 위치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인 장독뚜껑의 본체부(20) 상부에는 몸체 중앙에 비닐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끼움홀(71)이 형성된 걸림구(70)가 다수개 구비되어, 본체부(20)를 비닐(80)로 감쌀 경우 비닐(80)의 끝단을 상기 걸림구의 끼움홀(71)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비나 눈이 올경우 항아리(10) 내부와 삽입부(30)로 빗물이나 물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20)의 상부에 비닐(80)을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비닐(80)의 끝단을 상기 걸림구(70)에고정하여 비닐(80)을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구(70)의 끼움홀(71) 내측면에는 치형상으로 형성된 단속돌기(72)가 형성되어, 비닐(80)이 상기 걸림구(70)에 끼워졌을 경우 비닐(80)이 상기 단속돌기에 걸려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구(70)는 본 고안에서는형상을 기본으로 하나, ㄱ자 형상등 여러형상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역시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된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장독뚜껑의 본체부(20) 중앙에 숯(1)과 쑥(2)을 내장할 수 있는 삽입부(30)가 형성되고, 이 삽입부(30)의 내, 외측면에는 공기통로(33)가 형성되어 항아리(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내부의 공기가 숯(1)과 쑥(2)에 의해 정화되고, 습도조절이 가능하여, 항아리(10) 내부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체부(20)에 형성되는 통기부(50)와 삽입부(30)의 개방홀(31)에 의해 항아리(10) 내부와 외부의 통기환경을 향상시켜 항아리(10) 내부로 수납된 내용물의 보관상태 및 숙성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항아리(10) 내부의 환경을 전체적으로 쾌적하게 유지하여 이물질에 의해 내용물이 오염되거나, 곰팡이가 발생하여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과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장독 항아리(10)의 외주면(11) 상부로 설치되어 내측에 수납된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는 본체부(20)와;
    상기 본체부(20) 중앙에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몸체 중앙에 항아리(10) 내부와 연통되는 개방홀(31)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숯(1)과 쑥(2)등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32)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면과 외측면에는 다수의 공기통로(33)가 뚫려있는 삽입부(30)와;
    상기 삽입부(30) 상부로 단속수단(60)에 의해 설치되며, 몸체 상부에서 하부 내측으로는 다수개의 통기홀(41)이 형성되는 보호캡(40)과;
    상기 본체부(20)의 상부로 다수개의 연통홀(52)이 형성되는 마감캡(51)이 단속수단(60)에 의해 설치되어 항아리(1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통기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독뚜껑.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는 투명재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독뚜껑.
  3.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의 상부에는 몸체 중앙에 비닐을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끼움홀(71)이 형성된 걸림구(70)가 다수개 구비되어, 본체부(20)를 비닐(80)로 감쌀 경우 비닐(80)의 끝단을 상기 걸림구의 끼움홀(71)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독뚜껑.
  4. 청구항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70)의 끼움홀(71) 내측면에는 치형상으로 형성된 단속돌기(7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독뚜껑.
KR2020010036529U 2001-11-27 2001-11-27 장독뚜껑 KR200266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529U KR200266450Y1 (ko) 2001-11-27 2001-11-27 장독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529U KR200266450Y1 (ko) 2001-11-27 2001-11-27 장독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450Y1 true KR200266450Y1 (ko) 2002-02-28

Family

ID=73071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529U KR200266450Y1 (ko) 2001-11-27 2001-11-27 장독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4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789B1 (ko) * 2022-08-17 2023-11-02 정광석 식품용 발효숙성장치 및 이에 의한 식초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789B1 (ko) * 2022-08-17 2023-11-02 정광석 식품용 발효숙성장치 및 이에 의한 식초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64725C (en) Snow proof roof vent
US57788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odors generated in a pet litter container
US6612260B1 (en) Flex-air ventilated rack system
US8136176B2 (en) Skimmer vent for pool with pool cover or pool liner
CA2273594C (en) Pole cap
CN104079106B (zh) 防水透气膜件
KR200266450Y1 (ko) 장독뚜껑
CZ20023594A3 (cs) Zařízení pro tlumení zvuku odolné proti vnějším vlivům
CA1233063A (en) Weather protective cover ventilator
JPH11239425A (ja) 小動物飼育容器用換気装置
US5372616A (en) Bin for mushroom culture
KR20230002178U (ko) 송풍 기구 및 제습기
KR200418291Y1 (ko) 납골함
KR200222628Y1 (ko) 장독뚜껑
JP2005232836A (ja) マンホール用脱臭装置
KR101333328B1 (ko) 농수산물 건조용 상자
KR200252361Y1 (ko) 장독뚜껑
KR200373507Y1 (ko) 유모차용 보호커버
KR200358405Y1 (ko) 강제식 환기장치의 장착구
CN211701065U (zh) 一种防潮电气箱
KR200301215Y1 (ko) 납골함
KR200199180Y1 (ko) 곰팡이 방지용 장독뚜껑
JPH0263019B2 (ko)
KR200361313Y1 (ko) 납골함
KR200303004Y1 (ko) 활성탄과 석회석을 삽입한 기능성 납골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