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328B1 - 농수산물 건조용 상자 - Google Patents

농수산물 건조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328B1
KR101333328B1 KR1020110125257A KR20110125257A KR101333328B1 KR 101333328 B1 KR101333328 B1 KR 101333328B1 KR 1020110125257 A KR1020110125257 A KR 1020110125257A KR 20110125257 A KR20110125257 A KR 20110125257A KR 101333328 B1 KR101333328 B1 KR 101333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rying
vent
box
agricul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9115A (ko
Inventor
박가영
Original Assignee
박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가영 filed Critical 박가영
Priority to KR1020110125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328B1/ko
Publication of KR20130059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2Racks for dr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생적이면서 신속하고 편리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 농수산물 건조용 상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통상의 농수산물 건조용 상자 상부에 덮개를 결합구성하되, 덮개 중앙부가 상향경사돌출되게 구성하고, 상기 경사돌출부 상에 배기공이 뚫린 돌출형 통기구를 구성하고, 상기 통기구 상부에는 커버를 조립하여 통기구를 통하여 빗물이나 이슬이 상자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내부의 습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커버는 투명 혹은 반투명으로 구성되게 함으로서, 햇빛이 투과되게 하여 상자의 내부온도를 상승, 신속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또한 먼지나 파리 등과 같은 유해조건으로부터 차단되게 하여 위생적인 건조가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수산물 건조용 상자{DRY CASE FOR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본 발명은 위생적이면서 신속하고 편리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 농수산물 건조용 상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농수산물을 건조하기 위한 상자는 많은 종류의 제품들이 제공된바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49129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34444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42544호
(특허문헌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981055호
상기에서 제공되고 있는 건조상자들은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거나 알미늄 등과 같은 금속으로 건조용 상자를 구성하되, 바닥과 측면에 통기공을 뚫어 구성한 것으로서, 농수산물을 건조하고자 할 때 건조물을 상자 바닥에 골고루 펼쳐 깔고, 건조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제공되고 있는 건조상자들의 경우 건조물을 상자에 담은 다음, 상자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건조하게 되므로 대기중의 미세먼지나 파리 등과 같은 해충으로부터 오염될 우려가 있어 비위생적일 뿐 아니라, 상자에 담겨진 건조물이 외부온도조건으로 건조되므로 건조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실외건조시 기상조건에 따라 건조상자를 관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다시 설명하면 우천시에는 비를 피할 수 있는 장소로 옮겨야 하고, 또한 밤에는 이슬을 피할 수 있는 장소로 이동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농수산물 건조용 상자를 구성함에 있어서, 건조용 상자에 고추나 대추, 도라지, 무말랭이, 오징어, 멸치 등과 같은 농수산물을 건조하되, 위생적인 건조와 함께 신속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우천시나 이슬이 내리는 밤에도 건조용 상자를 옮길 필요가 없도록 하여 편리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통상의 농수산물 건조용 상자 상부에 덮개를 결합구성하되, 덮개 중앙부가 상향경사돌출되게 구성하고, 상기 경사돌출부 상에 배기공이 뚫린 돌출형 통기구를 구성하고, 상기 통기구 상부에는 커버를 조립하여 통기구를 통하여 빗물이나 이슬이 상자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내부의 습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커버는 투명 혹은 반투명으로 구성되게 함으로서, 햇빛이 투과되게 하여 상자의 내부온도를 상승, 신속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또한 먼지나 파리 등과 같은 유해조건으로부터 차단되게 하여 위생적인 건조가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농수산물 건조용 상자 상부에 공기의 유통은 자유로우면서 외부 먼지나 빗물, 유해충의 유입은 차단하고, 내부온도는 상승시킬 수 있게 한 덮개를 씌워 구성함으로서, 건조용 상자에 채워진 건조물의 신속한 건조는 물론, 위생적인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또한 우천시나 이슬이 내리는 밤에도 건조용 상자를 옮길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서 편리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 : 본 발명의 단면구성도
도 4 : 도 3의 분해상태도
도 5 : 본 발명 덮개에 구성된 통기부의 분해사시도
도 6 : 도 5의 단면상태도
도 7 :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8 : 본 발명 덮개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9 : 본 발명 덮개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농수산물 건조용 상자(10)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로서, 본체(20)와 덮개(30)로 구성되며, 이들은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다.
본체(20)는 밑판(21)과 측판(22)으로 구성되며 바닥(21)에는 등간격으로 돌출부(23)가 구성되게 함으로서, 돌출부(23) 사이에 요입부(24)가 구성되게 하여 밑판(21)에 건조물(11)이 안치되더라도 요입부(24)를 통하여 통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며, 밑판(21)에는 통공이 뚫려 있지 않아 바닥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를 차단할 수 있게 한다.
측판(22)은 밑판(21)으로부터 외향경사지게 구성하여 밑판(21)에 안치된 건조물(11)에 가능한 많은 량의 햇빛이 조사될 수 있게 구성함과 동시에, 등간격으로 통기공(25)을 뚫어 건조용 상자(10)의 내외부공기가 원활히 유통될 수 있게 하며, 상단 테두리에는 플랜지부(26)를 구성하여 덮개(30)가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본체(20)의 강성을 보강케 한다.
덮개(30)는 본체(20) 상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본체(20)의 플랜지부(26)와 결합될 수 있게 테두리에 결합부(31)가 구성되며, 덮개(30) 중앙에는 상향경사지게 돌출구성된 상향돌출부(32)를 구성하고, 상향돌출부(32)에는 등간격으로 통기구(33)를 구성한다.
상기 통기구(33) 상단에는 커버(34)를 결합하기 위한 장공(35)이 뚫려 있고, 측면에는 통기를 위한 배기공(38)이 뚫려 있고, 상기 배기공(38)은 개폐판(36)을 통하여 개폐가능케 구성된다.
통기구(33)에 결합되는 커버(34)는 원판형으로 구성하되 저면에 길쭉한 형상의 걸림편(37)을 구성하고, 상기 걸림편(37)이 통기구(33) 상단에 구성된 장공(35)에 끼운 다음 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커버(34)가 통기구(33) 상단에 결합되게 함으로서, 개폐판(36)이 개방되어 있더라도 빗물이나 이슬 등이 상자(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케 한다.
상기 덮개(30)는 통상적으로 투명수지로 사출성형하여 햇빛이 상자(10) 내부로 투시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투명 및 불투명수지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덮개(30)에 구성되는 통기구(33)를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구성되게 할 수도 있다.
즉 덮개(30) 중앙부에 배기공(38)이 형성된 통기구(33)를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성하고, 상기 통기구(33) 상단에 커버(34)를 결합하여 배기공(38)을 통하여 빗물이나 이슬이 상자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케 한다.
상기 커버(34)의 결합은 커버(34) 저면에 돌출구성된 걸림봉(37')이 통기구(33) 상단에 뚫린 "결합공(35')에 끼워져 결합되게 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건조용 상자(10)의 본체(20) 상에 건조하고자 하는 농산물이나 수산물을 투입한 다음 덮개(30)를 덮어 건조하게 되며, 건조시 통기구(33) 측면에 구성된 개폐판(36)은 개방되게 한다.
따라서 건조용 상자(10)를 건조하고자 하는 장소의 바닥에 위치시키게 되면 본체(20)의 밑판(21)이 바닥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를 차단하게 되고, 투명한 덮개(30)를 통하여 햇빛이 건조물(11)을 비추게 되면서, 건조용 상자(1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온도가 상승된 내부공기는 윗쪽으로 이동하면서 통기구(33)의 배기공(38)을 통하여 건조시 발생한 내부습기와 함께 외부로 배기된다.
내부공기가 덮개(30)의 배기공(38)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면, 배기된 공기의 량만큼 본체(20) 측판(22)에 뚫린 통기공(25)을 통하여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본체(20)에 채워진 건조물(11)의 효과적인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덮개(30) 중앙에는 상향돌출부(32)가 경사지게 돌출구성되어 있어, 내부공기가 상승하면서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어 통기구(33)의 배기공(38)을 통하여 용이한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밑판(21)에는 돌출부(23)와 요입부(24)로 구성되어 있어 공기의 원활한 유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며, 효과적인 건조를 위하여 밑판(21) 상에 별도의 부재를 깔고, 그 위에 망사판을 깔고, 그 위에 건조물(11)을 깔아 효과적인 건조가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본체(20) 내에 건조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본체(20) 상면에 덮개(30)가 씌워지게 되므로 외부먼지가 건조물(11) 상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파리와 같은 유해충의 유입을 차단하여 위생적인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통기구(33)에 결합된 커버(34)는 건조작업중 비가 오더라도 배기공(38)을 통하여 빗물이 상자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며, 밤에 건조용 상자(10)를 외부에 방치하더라도 이슬로부터 건조물이 보호된다.
또한 본체(20)를 구성하는 측판(22)은 밑판(21)으로부터 외향경사지게 구성되어 있어 본체(20) 담겨진 건조물(11)에 가능한 많은 량의 햇빛이 조사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덮개(30) 중앙에 구성되는 통기구(33)를 길게 구성하고, 상기 통기구(33) 상부에 커버(34)를 결합하여 통기구(33)에 구성된 배기공(38)을 통하여 내부의 습한 공기는 외부로 배기되고 빗물이나 이슬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10)--건조용 상자 (11)--건조물
(20)--본체 (21)--밑판
(22)--측판 (23)--돌출부
(24)--요입부 (25)--통기공
(26)--플랜지부 (30)--덮개
(31)--결합부 (32)--상향돌출부
(33)--통기구 (34)--커버
(35)--장공 (36)--개폐판
(37)--걸림편 (38)--배기공

Claims (3)

  1. 삭제
  2. 본체를 밑판과 통기공이 뚫린 측판으로 구성하고, 상기 본체 상에 배기공이 뚫린 투명덮개를 결합한 농수산물 건조용 상자를 구성하되, 덮개(30) 중앙부에 상향돌출부(32)를 구성하고, 상기 상향돌출부(32) 상에 배기공(38)이 뚫린 통기구(33)를 돌출구성하고, 상기 통기구(33) 상에 커버(34)를 결합하여 빗물이나 이슬이 건조용 상자(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한 농수산물 건조용 상자를 구성함에 있어서, 통기구(33)에 뚫린 배기공(38)은 개폐판(36)에 의해 배기공(38)의 크기가 조정되게 하고, 통기구(33) 상단에 장공(35)을 뚫고, 커버(34) 저면 중앙에는 걸림편(37)을 구성하여, 커버(34)의 걸림편(37)을 장공(35)에 끼운 다음 커버(34)를 회전시켜 커버(34)가 통기구(33) 상단에 결합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용 상자.
  3. 삭제
KR1020110125257A 2011-11-28 2011-11-28 농수산물 건조용 상자 KR101333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257A KR101333328B1 (ko) 2011-11-28 2011-11-28 농수산물 건조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257A KR101333328B1 (ko) 2011-11-28 2011-11-28 농수산물 건조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115A KR20130059115A (ko) 2013-06-05
KR101333328B1 true KR101333328B1 (ko) 2013-11-25

Family

ID=4885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257A KR101333328B1 (ko) 2011-11-28 2011-11-28 농수산물 건조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3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703B1 (ko) * 2015-10-20 2016-07-27 주식회사 클라우드스토리 액체 살포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9777Y1 (ko) * 1993-05-27 1995-11-22 유복완 식품 건조기
KR200354535Y1 (ko) 2004-04-10 2004-06-30 하외구 식품 건조기
KR200423317Y1 (ko) 2006-05-19 2006-08-04 덕수제약주식회사 식품 건조장치
KR200439650Y1 (ko) * 2006-12-01 2008-04-24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건조 겸용 발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9777Y1 (ko) * 1993-05-27 1995-11-22 유복완 식품 건조기
KR200354535Y1 (ko) 2004-04-10 2004-06-30 하외구 식품 건조기
KR200423317Y1 (ko) 2006-05-19 2006-08-04 덕수제약주식회사 식품 건조장치
KR200439650Y1 (ko) * 2006-12-01 2008-04-24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건조 겸용 발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703B1 (ko) * 2015-10-20 2016-07-27 주식회사 클라우드스토리 액체 살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115A (ko)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078428A5 (ko)
KR101593181B1 (ko) 출입구의 개폐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벌통
KR200474009Y1 (ko)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
US5970914A (en) Pet outhouse
US20170146253A1 (en) Off peak top venting roof vent
US20160029566A1 (en) Ventilation System For Storage Covers
KR101333328B1 (ko) 농수산물 건조용 상자
KR101093261B1 (ko) 벌통 출입구 구조
US4048745A (en) Rodent trap
KR101879342B1 (ko) 수목 바닥 보호틀
CN107920474B (zh) 花盆底部构件及使用了该底部构件的花盆
KR200469666Y1 (ko) 곤충 사육용 조립식 케이스
US6675523B1 (en) Fishing hole cover system
US5138976A (en) Tank cover (IV)
KR101290825B1 (ko) 햇볕 조절이 가능한 용기 캡
KR20140043063A (ko) 쥐미끼집
US5616076A (en) Non-clogging guard for household dryer hooded vents
KR200222628Y1 (ko) 장독뚜껑
KR200466470Y1 (ko) 농수산물 건조구
KR200266450Y1 (ko) 장독뚜껑
KR200351851Y1 (ko) 벌집통
CN217759241U (zh) 防臭防虫鼠尾扣地漏垫
US20080141586A1 (en) Universal plant pot base
KR200368727Y1 (ko) 물고기 포획용 어항
TWM559067U (zh) 捕蚊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