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009Y1 -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 - Google Patents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009Y1
KR200474009Y1 KR2020140000407U KR20140000407U KR200474009Y1 KR 200474009 Y1 KR200474009 Y1 KR 200474009Y1 KR 2020140000407 U KR2020140000407 U KR 2020140000407U KR 20140000407 U KR20140000407 U KR 20140000407U KR 200474009 Y1 KR200474009 Y1 KR 2004740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opening
flang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진
Original Assignee
김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진 filed Critical 김광진
Priority to KR2020140000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0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0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0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4Artificial honeycom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100)은, 소비(T)가 수용되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상부를 개폐하는 사각통 형상의 덮개(140)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110)는 지면에서 이탈되도록 하방에 형성된 레그(116)와, 상기 바디(110)의 외측면 하부에 안팎으로 관통된 사각홀 형상의 관통구(111)를 포함하는 벌통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111)에 삽입되며 전후방으로 벌이 통과하는 출입구가 형성된 사각관(171)과 상기 사각관(171)의 전방 종단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110)의 전면에 밀착되는 전방 플랜지(173)가 구성된 개폐 프레임(170)과, 상기 전방 플랜지(173)의 전면(L)에서 상기 출입구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된 밴드 형상의 가이드판(177)과, 상기 가이드판(177)과 상기 전면(L)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출입구를 커버하는 개폐판(180)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판(180)은 상기 출입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출입구의 상부까지 덮도록 높이가 조정된 것으로서 상기 출입구의 상부에 대응하는 부분(M)에 관통된 통공(18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판(180)으로 출입구의 개폐량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환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Beehive where adjustment of opening and shutting of the doorway is possible}
본 고안은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벌이 드나드는 출입구의 개폐량을 조정하므로 내부로 유입되는 통풍량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기술이다.
도 1과 함께 배경기술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양봉이란 단순히 인위적으로 벌을 키우면서 벌이 만들어내는 꿀을 채취하는 기존의 협소한 의미와는 달리, 현재는 벌꿀, 화분, 봉교(프로폴리스) 등 벌이 자연에서 수집하는 생산물을 얻는 것과 봉독, 왕대, 왕유(로얄젤리) 등 벌 자체에서 얻을 수 있는 생산물을 얻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벌을 이용하여 딸기, 참외, 수박, 토마토, 가지 등 타 농업의 수확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화분 매개용 개념까지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양봉이 가능하도록 벌들을 수납하여 상기 생산물을 수용하기 위해 벌통(1)이 사용된다.
상기 벌통(1)은 선행기술문헌에 제시한 것처럼, 꿀이 저장되는 판상의 소비(T)와 상기 소비(T)가 수용되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통 형상의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30)가 구성된다.
상기 소비(T)는 바디(10) 내부에 걸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 바(B, bar)와, 상기 바(B)의 하방에 부착되어 꿀이 저장되는 하니콤 판(S)이 구성된다. 상기 하니콤 판(S)은 양측면에 꿀이 수용되는 다수 개의 육각형 홈이 배열되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바디(10)는 지면에서 이탈되도록 하방에 레그(11)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10)의 외측면 하부에는 안팎으로 관통된 출입구(13)가 구성되며, 상기 외측면에서 출입구(13)의 상부에는 회동하도록 장착된 도어(15)가 구성되어 상기 출입구(13)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디(10)는 단열을 위해서 스티로폼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10)의 외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플랜지(17)가 돌출되어 들어올리기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바디(10)의 상단에는 바디(10)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덮개(30)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틀(19)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17)의 내측면 중 출입구(13) 쪽과 대향하는 쪽에는 상기 소비(T)의 바(B)가 걸쳐지는 단턱(R)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틀(19)에서 대향하는 단턱(R) 쪽에 각각 씌워지는 커버(20)가 구성된다. 상기 커버(20)는 ㄷ 형상으로서 상기 틀(19)의 외측면과 단턱(R)까지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틀(19)의 양쪽 일부 즉 단턱(R) 쪽만 마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덮개(30)는 하방으로 개방된 용기(容器) 형상으로서 측면에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구멍(35)이 형성되며 상기 틀(19)이 내측으로 밀착되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덮개(30)도 단열을 위해서 스티로폼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봄에 상기 바디(10)의 내부에 소비(T)를 다수 개 걸쳐지도록 한 후, 상기 도어(15)를 개방해 두면 벌들이 바디(10) 내부를 출입하면서 상기 하니콤 판(S)에 꿀을 저장하게 되므로 꿀의 채취가 가능하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출입구(13)를 개방하는 도어(15)의 개폐량을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바람이 많이 불거나 강우량이 많아서 바디(10) 내부의 기온이 떨어질 때에는 출입구(13)를 1/2 내지는 1/3 정도 닫아 둘 필요가 있고, 기온이 상승할 때에는 벌통 (1) 내부의 온도를 내려주기 위해서 출입구(13)를 완전히 개방해야 할 필요성이 있지만, 배경기술에서는 도어(15)의 개폐량을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공기구멍(35)이 덮개(30)에만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구멍(35)으로 유입된 공기가 소비(T) 때문에 출입구(13)로 제대로 빠져나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역으로 출입구(13)로 유입된 공기가 소비(T) 때문에 공기구멍(35)으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벌들에게 산소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상기 바디(10)의 상부에는 보온이 가능하도록 시트지인 개포(도면에 표시하지 않음)를 덮고나서 덮개(30)로 바디(10)를 마감하는 경우, 덮개(30)에 형성된 공기구멍(35)으로 유입된 공기는 개포(도면에 표시하지 않음)로 인해서 바디(10)의 출입구(13)로 배출되지 못하게 되고, 마찬가지로 출입구(13)로 유입된 공기도 개포(도면에 표시하지 않음) 때문에 공기구멍(35)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공기구멍(35)은 무용지물일 수밖에 없었고, 원활한 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상기 공기구멍(35)을 개폐하는 수단이 결여되어, 기온에 따라서 열고 닫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벌의 서식에 적당한 온도보다 높을 때에는 개방하여 벌통(1) 내부의 온도를 낮추어야 하고, 상기 온도보다 낮을 때에는 폐색하여 벌통(1) 내부의 온도를 올려야 하지만 이러한 기능이 불가능하였다.
다섯째, 상기 단턱(R) 즉 커버(20)로 마감된 부분에 벌이 수집해온 밀납과 봉교가 묻어 있게 되는데, 소비(T)의 바(B)를 단턱(R)에 걸쳐 두었을 때, 상기 밀납과 봉교가 응고되면서 상기 바(B)가 이탈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여섯째, 상기 틀(19)은 일부만 커버(20)에 의해서 마감되므로 쉽게 손상되어 덮개(3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섯째, 상기 플랜지(17)도 스티로폼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햇빛과 바람에 노출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손상되기 쉽고, 상기 플랜지(17)를 손으로 잡고 바디(10)를 들어올렸을 때, 바디(10) 내부에 있는 소비(T), 벌, 양식(꿀 또는 설탕)의 중량을 견디지 못해서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곱째, 상기 공기구멍(35)은 개방된 상태이므로 말벌 또는 몸집이 작은 생쥐의 침입으로 벌이 죽어서 벌의 개체수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한국 특허등록 10-0417890 (2004. 01. 28.)
본 고안에 의한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첫째, 출입구에 장착된 도어의 개폐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공기구멍이 덮개뿐만 아니라 바디에도 형성되도록 하여 원활한 산소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셋째, 공기구멍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넷째, 바디의 상부를 개포로 덮고 덮개로 마감하더라도 바디 내부에 원활한 환기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다섯째, 단턱으로부터 소비의 바(bar)가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구성한다.
여섯째, 틀의 전체 표면이 커버에 의해서 마감되도록 구성하여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일곱째, 플랜지가 마감되어 강성을 구비하도록 하고 상기 플랜지에 손잡이가 더 구성되어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여덟째, 상기 공기구멍으로 해충이 침입하지 않도록 마감하면서 공기는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의한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은,
소비가 수용되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부를 개폐하는 사각통 형상의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지면에서 이탈되도록 하방에 형성된 레그와, 상기 바디의 외측면 하부에 안팎으로 관통된 사각홀 형상의 관통구를 포함하는 벌통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며 전후방으로 벌이 통과하는 출입구가 형성된 사각관과 상기 사각관의 전방 종단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전면에 밀착되는 전방 플랜지가 구성된 개폐 프레임과, 상기 전방 플랜지의 전면에서 상기 출입구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된 밴드 형상의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과 상기 전면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출입구를 커버하는 개폐판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판은 상기 출입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출입구의 상부까지 덮도록 높이가 조정된 것으로서 상기 출입구의 상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관통된 통공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 플랜지의 하부 종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판상의 전방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 및 바디에 관통된 공기구멍과, 상기 공기구멍 내부에 형성된 스크린과, 상기 공기구멍을 외측방에서 막는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대응하는 일측과 상대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의 상단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덮개의 내측면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사각 형상의 틀과, 상기 틀의 내측면 중 관통구 쪽과 대향하는 쪽에 소비가 걸쳐지도록 양쪽에 형성된 단턱을 포함하고, 상기 틀이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틀 및 플랜지와 손잡이까지 덮도록 형성되고, 양분되어 구성되고, 양분된 각각이 ㄱ 형으로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단턱을 마감하도록 내측면에서 연장되어 소비가 걸쳐지는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디의 내측면을 커버하는 연장판과, 상기 걸림판의 상면과 상기 내측면 및 상기 연장판의 외측면에 형성된 요철과, 상기 요철에 걸쳐지는 바(BA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와 덮개 사이에 개재되고 소비가 수용되고 상하방으로 개방된 사각통 형상이고 하방으로 상기 커버가 씌워진 틀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적층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바디에 관통된 공기구멍과, 상기 공기구멍 내부에 형성된 스크린과, 상기 공기구멍을 외측방에서 막는 마개와, 상기 적층 바디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대응하는 일측과 상대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바디의 상단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덮개의 내측면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사각 형상의 틀과, 상기 틀의 내측면 중 관통구 쪽과 대향하는 쪽에 소비가 걸쳐지도록 양쪽에 형성된 단턱을 포함하고, 상기 틀이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틀 및 플랜지와 손잡이까지 덮도록 형성되고, 양분되어 구성되고, 양분된 각각이 ㄱ 형으로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단턱을 마감하도록 내측면에서 연장되어 소비가 걸쳐지는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적층바디의 내측면을 커버하는 연장판과, 상기 걸림판의 상면과 상기 내측면 및 상기 연장판에 형성된 요철과, 상기 요철에 걸쳐지는 바(BA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출입구를 개방하는 도어의 개폐량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벌통을 구성하는 바디 내부의 온도가 떨어질 때에는 개폐판으로 출입구의 일부만 닫아서 벌들이 출입하도록 하면서 외기가 다량 유입되어 바디 내부의 온도가 저하되는 시간을 늦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공기구멍이 덮개뿐만 아니라 바디에도 형성되도록 하므로 바디 내부에 공기의 공급이 원활하도록 하여 산소 부족으로 벌들이 죽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디와 덮개 사이에 개포를 개재시키더라도 바디에 공기구멍이 구성되므로 원활한 환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셋째, 공기구멍을 마개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상기 마개의 개폐 여부에 의해서 벌통을 구성하는 바디 내부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공기구멍에 스크린 관이 삽입되므로 해충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공기만 소통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걸림판에 걸쳐진 소비의 바를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틀 및 플랜지, 손잡이를 모두 커버로 마감할 수 있으므로 강도를 증가시켜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플랜지에 손잡이가 더 구성되어 용이하게 잡고 들어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벌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으로서 바디에 소비를 수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으로서 커버의 단턱에 소비가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에 구성된 개폐 프레임에서 통공이 상방을 향하도록 개폐판을 끼우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에 구성된 개폐프레임에서 통공이 하방을 향하도록 개폐판을 끼우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으로서 바디와 덮개 사이에 적층바디가 더 구성된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으로서 적층바디가 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구성과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으로서 바디에 소비를 수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으로서 커버의 단턱에 소비가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에 구성된 개폐 프레임에서 통공이 상방을 향하도록 개폐판을 끼우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에 구성된 개폐프레임에서 통공이 하방을 향하도록 개폐판을 끼우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으로서 바디와 덮개 사이에 적층바디가 더 구성된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으로서 적층바디가 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소비(T)가 수용되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바디(110)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110)의 상부를 개폐하는 사각통 형상의 덮개(14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10)와 덮개(140)는 일례로서 스티로폼 등의 단열재로 성형된다. 또한, 상기 바디(110)는 지면에서 이탈되도록 하방에 형성된 레그(191)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110)의 외측면 하부에 안팎으로 관통된 사각홀 형상의 관통구(111)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110)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바디(110)의 강도를 보강하는 플랜지(191)가 구성되며, 상기 바디(110)의 상단에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덮개(140)의 내측면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사각 형상의 틀(194)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틀(194)의 내측면 중 관통구(111) 쪽과 대향하는 쪽에 소비(T)가 걸쳐지도록 형성된 단턱(195)이 구성되고, 상기 덮개(140)는 하방으로 개방된 용기(容器) 형상으로서 측면에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구멍(150)을 포함한다.
상기 벌통을 개선한 본 고안의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소비(T)는 꿀이 수용되는 판상의 것으로서 상부에 바(B)가 구성되고 상기 바(B)의 하부에 육각형의 홈이 형성된 하니콤 판(S)이 구성된 것으로서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레그(116) 중, 관통구(111)가 형성된 쪽인 전방에 배치된 레그(116)는 전면과 하면의 연결면(F)이 라운딩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방으로 바디(110)를 용이하게 기울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구(111)에 삽입되며 전후방으로 벌이 통과하는 출입구가 형성된 사각관(171)과, 상기 사각관(171)의 전방 종단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110)의 전면에 밀착되는 전방 플랜지(173)가 구성된 개폐 프레임(170)이 구성된다. 상기 출입구는 스크린(a)과 홀(b)로 구획되어 구성되므로 개폐판(180)에 의해서 출입구(172)의 개폐량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전방 플랜지(173)의 전면(L)에서 상기 출입구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된 밴드 형상의 가이드판(177)이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판(177)과 상기 전면(L)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출입구를 커버하는 개폐판(18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판(180)은 상기 출입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출입구의 상부까지 덮도록 높이가 조정된 것으로서 상기 출입구의 상부에 대응하는 부분(M)에 관통된 통공(183)이 구성된다. 일례로서 도 6에서처럼, 우측에서 좌측으로 끼우게 되면 통공(183)이 상방을 향하므로 폐색된 상태가 되고, 도 7에서처럼, 좌측에서 우측으로 끼우게 되면 통공(183)이 하방을 향하면서 출입구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 플랜지(173)의 하부 종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벌들이 용이하게 안착하여 출입구로 진입할 수 있도록 판상의 전방판(17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방판(175)은 전방의 레그(116)가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일 때, 레그(116)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110)에 관통된 공기구멍(120)이 구성되고, 상기 공기구멍(120) 내부에 벌레나 작은 생쥐의 출입을 방지하는 스크린(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이 구성되고, 상기 공기구멍(120)을 외측방에서 막는 마개(130)가 구성된다. 상기 스크린(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은 스크린관을 공기구멍(120)에 삽입하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덮개(140)의 공기구멍(150)에도 벌레나 작은 생쥐의 출입을 방지하는 스크린(153)이 구성되고, 상기 공기구멍(150)을 외측방에서 막는 마개(160)가 구성된다. 상기 스크린(153)은 공기구멍(150)에 삽입하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틀(194)이 끼워지도록 하방으로 개방된 형상으로서 상기 틀(194) 및 플랜지(191)와 손잡이(193)까지 덮도록 형성된 커버(200)가 구성된다. 상기 커버(200)는 양분되어 구성된 것으로서 상부에서 봤을 때 양분된 각각은 ㄱ 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200)는 틀(194)에 조합되므로 사각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강성을 구비한 합성수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200)는 상기 단턱(195)을 마감하도록 내측면(210)에서 연장되어 소비(T)가 걸쳐지는 걸림판(220)이 구성되고, 상기 걸림판(220)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디(110)의 내측면을 커버하는 연장판(23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판(220)의 상면과 상기 내측면(210) 및 상기 연장판(230)의 외측면에 형성된 요철(240)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요철(240)에 걸쳐지는 바(250, BAR)가 구성된다. 즉, 양측 대향하는 내측면(210)의 요철(240)에 지지되는 바(250)와, 상기 양측 대향하는 연장판(230)의 요철(240)에 지지되는 바(25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틀(194)의 측방에는 상기 공기구멍(150)에 대응하는 홈(196)이 형성되는데 외측방으로 개방되고 상방으로 개방된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200)는 상기 홈(196)에 부합되는 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되므로 커버(200)가 틀(194)에 조합된 상태에서 커버홈(26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구멍(150)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커버홈(260)을 통해서 바디(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서처럼, 상기 바디(110)와 덮개(140) 사이에 개재되고 소비(T)가 수용되고 상하방으로 개방된 사각통 형상이고 하방으로 상기 커버(200)가 씌워진 틀(194)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적층바디(30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적층바디(300)는 상부 구성이 상기 바디(110)와 동일한 것으로서, 상기 적층바디(300)는 일례로서 단열재인 스티로폼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적층바디(300)는 공기구멍(301)이 관통되어 구성되고, 상기 공기구멍(301)으로 곤충과 작은 생쥐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공기구멍(301) 내부에 스크린(303)이 구성되고, 상기 공기구멍(301)을 외측방에서 막는 마개(31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적층 바디(300)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보강 기능을 하는 플랜지(도면에 표시하지 않음)가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의 대응하는 일측과 상대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33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적층바디(300)의 상단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덮개(140)의 내부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사각 형상의 틀(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이 구성되고, 상기 틀(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의 내측면 중 관통구 쪽과 대향하는 쪽에 소비(T)가 걸쳐지도록 양쪽에 형성된 단턱(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틀(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에는 외측방과 상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공기구멍(150)에 대응되는 홈(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커버(360)에는 상기 홈(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에 부합되는 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되므로 커버(360)를 틀에 조합한 상태에서 커버홈(366)이 형성된다. 따라서, 덮개(140)의 공기구멍(150)으로 유입된 공기가 커버홈(366)을 통해서 적층바디(300)와 바디(110) 내부로 순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틀(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이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틀(도면에 표시하지 않음) 및 플랜지(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와 손잡이(330)까지 덮도록 형성된 커버(360)가 구성된다. 상기 커버(360)는 양분된 것으로서 각각이 ㄱ 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360)는 상기 단턱(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을 마감하도록 내측면(361)에서 연장되어 소비(T)가 걸쳐지는 걸림판(363)이 구성되고, 상기 걸림판(363)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적층바디(300)의 내측면을 커버하는 연장판(365)이 구성되고, 상기 걸림판(363)의 상면과 상기 내측면(361) 및 상기 연장판(365)에 형성된 요철(367)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양쪽 내측면(361)의 요철(367)에 지지되는 바(369)와, 상기 연장판(365)의 요철(367)에 지지되는 바(369)가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마개(130, 160, 310)는 용기(容器)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호 적층이 용이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서처럼 상기 덮개(140)를 이탈시킨 후, 다수 개의 소비(T)의 바(B)를 양측의 상기 걸림판(220)에 걸쳐지도록 한다. 그리고, 도 5에서처럼, 다수 개의 소비(T)를 한쪽으로 밀착시킨 후, 양측 걸림판(220)에 바(250)가 안착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바(250)는 대향하는 내측면(210)의 요철(240)에 지지된다. 그리고, 양측 연장판(230)의 요철(240)에 다른 바(250)가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바디(110) 내부에서 소비(T)가 고정되지 않는다면 이동 시, 소비(T)가 흔들리게 되어 벌이 스트레스를 받아 소란을 일으키므로 불필요하게 체력을 소모하게 되어 꿀의 생산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판(220)에는 벌에 의해서 밀납과 봉교가 묻게 되므로 소비(T)의 바(B)가 걸림판(220)에 부착되지만, 요철(240)에 의해서 바(B)를 쉽게 이탈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이동 시, 소비(T)는 바디(110) 내부에서 흔들리지 않고 바디(11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만약, 왜냐하면, 요철(240)에 의해서 바(B)가 걸림판(220)에 부착되면 면적이 일반 평면보다 감소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6에서처럼, 상기 개폐판(180)을 밀어 넣는 정도에 따라서 출입구의 개폐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이 많이 불거나 기온이 떨어질 때에는 상기 출입구를 일부만 개방되도록 하므로 바디(110) 내부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면서 벌들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처럼, 상기 개폐판(180)의 통공(183)이 하방을 향하도록 하여 출입구를 폐색하게 되면 벌의 출입은 제한되면서 공기만 소통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개폐판(180)에 통공(183)이 없다면, 이동 채밀을 위해서 차량으로 이동할 때 벌의 이탈을 막기 위해서 개폐판(180)으로 출입구를 막으면 산소 부족으로 벌이 죽을 수도 있고, 통풍을 위해서 일부 개방하게 되면 벌이 이탈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덮개(140)의 공기구멍(150) 외에도 바디(110)에도 공기구멍(120)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출입구와 함께 다량의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공기구멍(120, 150)에는 스크린(123, 153)이 구성되기 때문에 해충이나 작은 생쥐의 침입을 방지하면서 공기만 소통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바디(110) 내부의 온도가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마개(130, 160)로 공기구멍(120, 150)을 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을 스티로폼으로 형성한 경우, 상기 커버(200)로 인해서 상기 틀(194)과 플랜지(191) 및 손잡이(193)가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193)로 인해서 손가락이 바깥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고 용이하게 본 고안을 들어올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 습기가 유입되거나 침수 피해로 물이 고인 경우, 상기 바디(110)를 출입구 쪽을 향하여 기울이면 출입구를 향하여 청소물이 쉽게 배출된다. 이때, 상기 레그(116)의 연결면(F)이 라운드 형상이므로 용이하게 바디(110)를 기울 수 있다.
또한, 바디(110)와 덮개(140) 사이에 개포를 개재시킬 수 있는데, 이때, 바디(110)에도 공기구멍(120)이 형성되므로 원활한 환기가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도 8 및 도 9에서처럼, 상기 바디(110) 위에 적층 바디(300)를 더 쌓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판(363)에 다수의 소비(T)를 걸친 후, 바(369)를 걸림판(363)에 안착시켜 양측 내측면(361)의 요철(367)에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다른 바(369)를 상기 연장판(365)의 요철(367)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소비(T)는 적층바디(300) 내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110)와 적층바디(300)에 소비(T)가 수용되므로 다층으로 소비(T)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좁은 면적에서 꿀의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적층바디(300)의 상부는 상기 덮개(140)로 마감하게 되며, 적층바디(300)에도 스크린(303)이 형성된 공기구멍(301)이 구성되어 해충이나 작은 생쥐의 침입을 방지하면서 공기만 소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구멍(301)은 마개(310)에 의해서 개폐가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고안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 110: 바디
111: 관통구 116: 레그
120: 공기구멍 130: 마개
140: 덮개 150: 공기구멍
153: 스크린 160: 마개
170: 개폐 프레임 171: 사각관
173: 전방 플랜지 175: 전방판
177: 가이드판 180: 개폐판
183: 통공 191: 플랜지
193: 손잡이 194: 틀
195: 단턱 196: 홈
200: 커버 210: 내측면
220: 걸림판 230: 연장판
240: 요철 250: 바
260: 커버홈 300: 적층바디
301: 공기구멍 303: 스크린
310: 마개 330: 손잡이
360: 커버 361: 내측면
363: 걸림판 365: 연장판
367: 요철 369: 바
366: 커버홈

Claims (6)

  1. 소비(T)가 수용되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상부를 개폐하는 사각통 형상의 덮개(140)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110)는 지면에서 이탈되도록 하방에 형성된 레그(116)와,
    상기 바디(110)의 외측면 하부에 안팎으로 관통된 사각홀 형상의 관통구(111)를 포함하는 벌통에 있어서;
    상기 덮개(140) 및 바디(110)에 관통된 공기구멍(150, 120)과,
    상기 공기구멍(150, 120) 내부에 형성된 스크린(153, 123)과,
    상기 공기구멍(150, 120)을 외측방에서 막는 마개(160, 130)와,
    상기 관통구(111)에 삽입되며 전후방으로 벌이 통과하는 출입구가 형성된 사각관(171)과 상기 사각관(171)의 전방 종단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110)의 전면에 밀착되는 전방 플랜지(173)가 구성된 개폐 프레임(170)과,
    상기 전방 플랜지(173)의 하부 종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판상의 전방판(175)과,
    상기 전방 플랜지(173)의 전면(L)에서 상기 출입구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된 밴드 형상의 가이드판(177)과,
    상기 가이드판(177)과 상기 전면(L)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출입구를 커버하는 개폐판(180)과,
    상기 바디(110)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된 플랜지(191)와,
    상기 플랜지(191)의 대응하는 일측과 상대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193)와,
    상기 개폐판(180)은 상기 출입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출입구의 상부까지 덮도록 높이가 조정된 것으로서 상기 출입구의 상부에 대응하는 부분(M)에 관통된 통공(183)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110)의 상단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덮개(140)의 내측면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사각 형상의 틀(194)과,
    상기 틀(194)의 내측면 중 관통구(111) 쪽과 대향하는 쪽에 소비(T)가 걸쳐지도록 양쪽에 형성된 단턱(195)을 포함하고,
    상기 틀(194)이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틀(194) 및 플랜지(191)와 손잡이(193)까지 덮도록 형성되고, 양분되어 구성되고, 양분된 각각이 ㄱ 형으로 형성된 커버(20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200)는 상기 단턱(195)을 마감하도록 내측면(210)에서 연장되어 소비(T)가 걸쳐지는 걸림판(220)과,
    상기 걸림판(220)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디(110)의 내측면을 커버하는 연장판(230)과,
    상기 걸림판(220)의 상면과 상기 내측면(210) 및 상기 연장판(230)의 외측면에 형성된 요철(240)과,
    상기 요철(240)에 걸쳐지는 바(250, BA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40000407U 2014-01-17 2014-01-17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 KR2004740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407U KR200474009Y1 (ko) 2014-01-17 2014-01-17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407U KR200474009Y1 (ko) 2014-01-17 2014-01-17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009Y1 true KR200474009Y1 (ko) 2014-08-22

Family

ID=5200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407U KR200474009Y1 (ko) 2014-01-17 2014-01-17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009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181B1 (ko) 2015-07-15 2016-02-18 김광진 출입구의 개폐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벌통
CN107079837A (zh) * 2016-02-15 2017-08-22 曹银晧 具有可变出入口的蜂箱
KR101778946B1 (ko) * 2017-02-20 2017-09-18 김광진 출입구와 환기창을 용이하게 전환 가능한 벌통
CN108575821A (zh) * 2018-03-22 2018-09-28 北京市蜂业公司 保温蜂箱
KR20190001409U (ko) * 2017-12-05 2019-06-13 안창일 사양기 및 화분공급기를 내장할 수 있는 양봉통
KR200491503Y1 (ko) * 2018-10-10 2020-04-17 (주)한국이포 출입구의 개폐량 조절이 용이한 양봉용 벌통
US11540494B2 (en) * 2019-09-24 2023-01-03 Highview Holdings LLC. Beehive excluder including stacked rows of openings and cantilevered extension clip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837Y1 (ko) 1999-05-12 2001-06-15 오금석 양봉용 입체소문
KR200261139Y1 (ko) 2001-10-24 2002-01-19 윤지훈 벌통
KR200357776Y1 (ko) 2004-04-29 2004-07-30 윤지훈 벌통용 소문구조
KR200385239Y1 (ko) 2005-03-08 2005-05-25 윤지훈 통풍이 강화된 벌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837Y1 (ko) 1999-05-12 2001-06-15 오금석 양봉용 입체소문
KR200261139Y1 (ko) 2001-10-24 2002-01-19 윤지훈 벌통
KR200357776Y1 (ko) 2004-04-29 2004-07-30 윤지훈 벌통용 소문구조
KR200385239Y1 (ko) 2005-03-08 2005-05-25 윤지훈 통풍이 강화된 벌통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181B1 (ko) 2015-07-15 2016-02-18 김광진 출입구의 개폐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벌통
CN107079837A (zh) * 2016-02-15 2017-08-22 曹银晧 具有可变出入口的蜂箱
KR101778946B1 (ko) * 2017-02-20 2017-09-18 김광진 출입구와 환기창을 용이하게 전환 가능한 벌통
KR20190001409U (ko) * 2017-12-05 2019-06-13 안창일 사양기 및 화분공급기를 내장할 수 있는 양봉통
KR200490320Y1 (ko) * 2017-12-05 2019-10-28 안창일 사양기 및 화분공급기를 내장할 수 있는 양봉통
CN108575821A (zh) * 2018-03-22 2018-09-28 北京市蜂业公司 保温蜂箱
CN108575821B (zh) * 2018-03-22 2024-02-13 北京市蜂业公司 保温蜂箱
KR200491503Y1 (ko) * 2018-10-10 2020-04-17 (주)한국이포 출입구의 개폐량 조절이 용이한 양봉용 벌통
US11540494B2 (en) * 2019-09-24 2023-01-03 Highview Holdings LLC. Beehive excluder including stacked rows of openings and cantilevered extension clip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009Y1 (ko)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
KR101593181B1 (ko) 출입구의 개폐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벌통
KR101986727B1 (ko) 벌통용 단열 패널
US8814630B2 (en) PVC beehive
KR200385239Y1 (ko) 통풍이 강화된 벌통
KR102013266B1 (ko)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기능성 벌통
JP3217822U (ja) 蜜蜂巣箱用換気断熱箱
US11425893B2 (en) Beehive system, kit and method
KR101093261B1 (ko) 벌통 출입구 구조
JP6186556B1 (ja) 養蜂用巣箱
KR20120000770U (ko) 곤충 사육장치
MX2012008469A (es) Cajon de anidamiento para abejorros.
KR100576626B1 (ko) 이중구조를 가지는 개량형 벌통
KR200381202Y1 (ko) 양토봉 꿀 벌통
KR102031501B1 (ko) 다기능 양봉용 벌통
US10856531B2 (en) Bee hive bottom board system with an 8-frame adapter and robbing screen
KR200287083Y1 (ko) 계상형 벌통
KR200475464Y1 (ko) 벌통용 환기장치
KR20190123471A (ko) 발포수지재 벌통
CA2911008C (en) Horizontal top-bar beehive
CN211558460U (zh) 一种具有可闭合巢门的蜂箱
KR20140007165A (ko) 단열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벌통
KR102664575B1 (ko) 벌통용 단열커버
WO2014005179A1 (en) A multi-storey plastic beehive
KR200491503Y1 (ko) 출입구의 개폐량 조절이 용이한 양봉용 벌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