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266B1 -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기능성 벌통 - Google Patents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기능성 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266B1
KR102013266B1 KR1020190040480A KR20190040480A KR102013266B1 KR 102013266 B1 KR102013266 B1 KR 102013266B1 KR 1020190040480 A KR1020190040480 A KR 1020190040480A KR 20190040480 A KR20190040480 A KR 20190040480A KR 102013266 B1 KR102013266 B1 KR 102013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otrusion
cover
longitudinal direction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설아
Original Assignee
김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설아 filed Critical 김설아
Priority to KR1020190040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266B1/ko
Priority to CN201922464975.0U priority patent/CN212035459U/zh
Priority to AU2020200306A priority patent/AU202020030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통의 바닥판에 기울기를 주어서 사용 과정에서 소비광의 부산물 즉, 각종 세균군, 진드기등의 자연 낙하된 이물을 쉽게 제거 가능하고, 하절기에 내부 통기성 개선으로 벌의 생육환경 제고와 더불어 질병의 예방을 도모하며, 이물이 배출구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됨에 따라 진드기 등의 재번식을 감소시키고, 단열과 더불어 항상성(恒常性)이 유지되도록 구성된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기능성 벌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벌통은, 바닥판(112)과, 경사틀(114)과, 벌출입부(116)를 포함하고 지면상에 놓이는 베이스부(110); 앞판(122)과, 뒤판(124)과, 좌판(126)과, 우판(128)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110)의 바닥판(112) 상면 둘레를 따라 입설되어 봉군(蜂群)의 서식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120); 상기 몸체부(12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씌워져서 꿀벌이 이탈하는 것을 차단하는 덮개부(130); 및 상기 좌판(126) 및 우판(128)의 제 1돌기(126a,128a)를 감싸서 마감하는 형태로서 밀착되며, 상기 몸체부(120)와 덮개부(130) 사이에 구비되어 덮개부가 몸체부(120)상에 안착되도록 하는 덮개안착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기능성 벌통{Functional beehive with eco-friendly}
본 발명은 기능성 벌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벌통의 바닥판에 기울기를 주어서 사용 과정에서 소비광의 부산물 즉, 각종 세균군, 진드기등의 자연 낙하된 이물을 쉽게 제거 가능하고, 하절기에 내부 통기성 개선으로 벌의 생육환경 제고와 더불어 질병의 예방을 도모하며, 이물이 배출구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됨에 따라 진드기 등의 재번식을 감소시키고, 단열과 더불어 항상성(恒常性)이 유지되도록 구성된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기능성 벌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통(beehive)은 소상(巢箱)이라고도 불리우며, 여러 종류의 벌이 살고 새끼를 기르는 둘러 싸인 구조체로서, 꿀벌들이 사는 집인 동시에 벌꿀의 생산공장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천연 벌통은 일부 꿀벌 종에서 벌집을 둘러싸는 구조체이고, 가축으로 길들여진 꿀벌은 양봉장과 같은 곳에 있는 인공 벌통 속에서 키워지며 그 속에 벌집을 짓고 산다.
벌집은 야생의 벌 무리가 협동하여 그들 스스로 자연의 구멍이나 인공 구조물의 빈 공간에 매달리거나 드러나 있는 형태로 지은 구조물을 말하고, 벌통은 자연이나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벌집이 들어 있는 구조물을 말한다.
꿀벌속에 속하는 여러 종이 군집 생활을 하지만, 양봉꿀벌과 재래꿀벌만이 인간에 의해 벌통에서 키워지고 있다. 벌통은 여러 용도가 있는데, 벌꿀 생산, 벌통 인근의 농작물의 수분을 돕거나, 봉침 치료용 벌을 사육하는 용도 등이 있으며, 벌들의 군집 붕괴 현상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벌통은 통상 상,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제작되는 박스타입의 몸체와, 이 몸체의 하부를 폐쇄시키는 바닥판 그리고 몸체의 상부에 덮혀지는 뚜껑으로 구성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벌통의 내부에는 꿀벌들의 생육 및 번식과 꿀 저장 및 채밀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다수개의 소광들이 걸려지게 된다.
한편, 기존의 벌통은 대개 목재 재질로서 습기에 취약하고, 유지 관리가 곤란하다. 즉, 날씨와 결로(내,외부의 온도차로 맺히는 습기)등으로 목재가 물기를 머금게 되면 이로 인한 곰팡이가 발생하며, 이러한 곰팡이로 인한 병해를 잡기 위해 항생제를 쓰게 됨으로써, 자연 친화적 유기 양봉이 힘들다.
벌통은 4계절 내내 외부환경에 노출되기 때문에 수축과 팽창이 반복되고 쉽게 갈라지며, 겨울철에는 단열재를 구입해서 벌통의 내, 외부를 모두 감싸야 한다. 국산 단열 벌통의 경우 일반 스티로폼(EPS) 벌통은 물리적 강도와 내구성이 약하고, 두께가 20㎜에 불과해, 단열이 부족하다.
또한, 내화학성 부족으로 각종 약제에 부식될 수 있고, 습기가 빠지지 않으며, 곰팡이와 병해에 약하다. 한국은 연교차(여름과 겨울의 온도차)가 매우 큰 지역으로, 월동조치가 미비하면, 벌의 동사위험과 호흡곤란으로 인한 폐사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외국산 벌통은 호환성이 부족하고, 스티로폼(EPS) 재질로서 햇빛이나 물리적 마찰에 대한 내구성이 취약하고, 고가(계상 1셋트 기준 약 15만원)이며, 국산 벌통과 사이즈가 달라서 호환성이 부족하다.
또한, 바닥이 분리되는 구조인데 결합시킬 수 없기 때문에 이동이 불편하다. 또한, 벌 생육활동에서 파생된 이물(異物)(가령, 소비광의 부산물, 각종 세균군, 진드기등)을 배출시키기 위해 거의 모든 양봉인들은 벌통을 앞쪽으로 기울여 놓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98575호(2008년 01월 28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2-0129044호(2012년 11월 28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벌통 바닥의 이물질을 쉽게 청소 가능한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기능성 벌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벌들이 직접 사봉(죽은벌)과 이물을 벌통 외부로 빼내는 것이 용이한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기능성 벌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절기에 벌통의 내부 통기성 개선으로 벌의 생육환경 제고와 더불어 질병 예방을 기대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기능성 벌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연적인 환기가 가능한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기능성 벌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용 클립의 사용으로 벌통을 일체형으로 쉽게 만들고, 분리도 편한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기능성 벌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벌통의 재질 차별화로 내구성과 단열성을 확보하고, 강하면서도 가벼워 고령의 양봉인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기능성 벌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름과 겨울에도 벌통 내부의 온도와 습도가 항상성(恒常性)을 유지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기능성 벌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좌우에 'ㄷ'자형 단면 형태를 갖는 가공부(112a)가 구비되고, 전면 좌우 양측에 빗물퇴수구(112c)가 구비된 두께 35~45㎜의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재질의 바닥판(112)과, 이 바닥판의 상면에서 벌 생육활동에서 파생된 이물(異物)을 배출시키기 위한 환기망(114b)을 구비하고 부착된 하향(下向) 경사진 형태의 경사틀(114)과, 상기 바닥판(112)의 전면에 구비되어 벌이 출입하기 위한 벌출입부(116)를 포함하고, 지면상에 놓이는 베이스부(110);
상단 길이 방향을 따라 제 1돌기(122a)가 일체로서 구비되고, 하단 길이 방향을 따라 제 2돌기(122b)가 일체로서 구비되며,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제 3돌기(122c)가 일체로서 구비된 두께 35~45㎜의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재질의 앞판(122)과, 상단 길이 방향을 따라 제 1돌기(124a)가 일체로서 구비되고, 하단 길이 방향을 따라 제 2돌기(124b)가 일체로서 구비되며,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제 3돌기(124c)가 일체로서 구비된 두께 35~45㎜의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재질의 뒤판(124)과, 상단 길이 방향을 따라 제 1돌기(126a)가 일체로서 구비되고, 하단 길이 방향을 따라 제 2돌기(126b)가 일체로서 구비되며,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갖는 사각홀(126c)이 각각 구비되는 한편, 이 사각홀(126c) 사이에 손잡이(126d)가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된 두께 35~45㎜의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재질의 좌판(126)과, 상단 길이 방향을 따라 제 1돌기(128a)가 일체로서 구비되고, 하단 길이 방향을 따라 제 2돌기(128b)가 일체로서 구비되며,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갖는 사각홀(128c)이 각각 구비되는 한편, 이 사각홀(126c) 사이에 손잡이(128d)가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된 두께 35~45㎜의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재질의 우판(128)과, 상기 앞판(122), 뒤판(124), 좌판(126), 우판(128)의 하부를 각각 받치는 가이드부재(112b)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112)의 상면 둘레를 따라 입설되어 봉군(蜂群)의 서식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120);
좌우 양측에 보호용 커버(132c)가 부착되기 위한 'ㄷ'자형 단면 형태를 갖는 요입부(132a)가 각각 형성되고, 하단 둘레를 따라 돌기부(132b)가 일체로서 구비된 덮개(132)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2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씌워져서 꿀벌이 이탈하는 것을 차단하는 두께 55~65㎜의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재질의 덮개부(130); 및
상기 몸체부(120)의 앞판(122) 및 후판(124)의 제 1돌기(122a,124a)와, 상기 좌판(126) 및 우판(128)의 제 1돌기(126a,128a)를 감싸서 마감하는 형태로서 밀착되며 소비를 거는 소비 거치대(142)와, 이 소비 거치대의 내측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구비된 철사고정용 홈(144)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20)와 덮개부(130) 사이에 구비되어 덮개부(130)가 몸체부(120)상에 안착되도록 하는 덮개안착부(140)를 포함하는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기능성 벌통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경사틀(114)은, 평면에서 보아 'ㅁ'자형 단면 형태로서, 상기 바닥판(112)의 상면에 대해 10~30°하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벌출입부(116)는,
상기 바닥판(112)의 전면에 구비된 빗물퇴수구(112c)와 전후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부재(116a)가 입설되어지되, 이 수직부재의 외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돌기(116b)가 일체로서 형성되고, 이 가이드돌기에 대응되는 부위에 가이드홈(118a)이 형성된 1쌍의 좌우이동부재(118)가 상기 가이드돌기(116b)를 타고 가이드돌기(116b)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슬라이딩 이동되며, 좌우이동부재(118)의 외측면에는 손으로 잡고 취부하기 위한 손잡이(118b)가 일체로서 부설되고, 상기 수직부재(116a)의 직하방에는 벌출입구(116c)가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기능성 벌통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벌통의 사용 과정에서 소비광의 부산물, 각종 세균군, 진드기등의 이물은 바닥판(112)에 구비된 경사틀(114)의 알루미늄제 환기망(114b)를 통해 지면에 자연 낙하되어 제거됨에 따라 벌통 바닥의 이물질을 쉽게 청소할 수 있다.
둘째, 경사틀(114)이 소정의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가지므로 벌들이 직접 사봉(죽은벌)과 이물을 벌통 외부로 빼내는 것이 용이하다.
셋째, 환기망(114b)을 통해 특히 하절기에 벌통의 내부 통기성 개선으로 벌의 생육환경 제고와 더불어 질병 예방을 기대할 수 있다.
넷째, 환기망(114b)이 벌통의 하부에 있으므로 자연적인 환기가 가능하다.
다섯째, 연결용 클립(126e)(128e)의 사용으로 벌통을 일체형으로 쉽게 만들고, 분리도 편하다.
여섯째, 벌통의 재질 차별화로 내구성과 단열성을 확보하고, 강하면서도 가벼워 고령의 양봉인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일곱째, 벌통 전체가 단열재인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소재이므로 여름과 겨울에도 벌통 내부의 온도와 습도가 항상성(恒常性)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벌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기능성 벌통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벌통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벌통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벌통에 있어서의 전면개폐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벌통의 조립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벌통의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기능성 벌통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벌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기능성 벌통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벌통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벌통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벌통에 있어서의 전면개폐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벌통의 조립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벌통의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벌통(100)은 크게 베이스부(110), 몸체부(120), 덮개부(130), 그리고 덮개안착부(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편의상 앞뒤, 즉 전후(前後)의 구분은 도 2 내지 도 4에서 앞쪽 부분을 전(前)으로, 뒷쪽 부분을 후(後)로 지칭하며, 좌우(左右)의 구분은 도 2 내지 도 4에서 왼쪽 부분을 좌(左)로, 오른쪽 부분을 우(右)로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10)는 지면상에 놓이는 것으로서, 가로,세로 소정의 길이와 더불어 적정 높이로서 전면이 단차진 형태를 갖는 두께 35~45㎜, 바람직하게는 40㎜ 두께의 발포폴리프로필렌(EPP;Expanded Polypropylene) 재질을 갖는 바닥판(112)의 좌우에 후술하는 연결용 클립(126e)이연결되기 위한 'ㄷ'자형 단면 형태를 갖는 가공부(112a)가 각각 형성되고, 바닥판(112)의 상면에는 벌 생육활동에서 파생된 이물(異物)을 배출시키기 위해 하향(下向) 경사진 경사틀(114)이 고정 부착된다.
상기한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은 자동차 범퍼, 구조물 등에 많이 사용되며, 플라스틱 물질 중에서 소각시에 공해를 유발하는 환경오염 물질 배출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물질로 인식되어 있다. 또한, 가볍고 보온성이 뛰어나며 위생 용기에도 사용되는 친환경 소재로 충격에 강하며 화학처리와 부식에 영향이 없다.
경사틀(114)의 중앙부에는 사각 형상의 개구부(114a)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상에 벌 생육활동의 파생하는 각종 이물(異物)(가령, 소비광의 부산물, 각종 세균군, 진드기등)을 기능성 벌통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시키기 위해 알루미늄제 환기망(도 9의 114b)이 부착된다.
이때, 경사틀(114)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ㅁ'자형 단면 형태로서, 경사 각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닥판(112)의 상면에 대해 10~30°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기능성 벌통(100)의 내부로 갈수록 경사가 높아지며, 이때, 경사틀(114)은 후술하는 벌출입부(116)와 전후 약 100㎜ 거리로서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급수기(給水機)와 같은 몇몇 양봉용품을 불편없이 사용하기 위함이다.
경사틀(114)의 경사 각도가 가령 10도 미만인 경우, 이물 배출 효과가 미미하고, 30도 이상 경사지는 경우 이물이 자중에 의해 경사틀(114)에 적치되지 않고 경사틀(114) 선단으로 계속 낙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바닥판(112)의 상면 각 모서리에는 후술하는 앞,뒤판(122)(124) 및 좌,우판(126)(128)이 각각 입설되기 위한 대략 'ㄱ'자 단면 형태의 가이드부재(112b)가 안착되고, 전면에는 벌이 출입하기 위한 벌출입부(116)가 구비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벌출입부(116)는 바닥판(112)의 전면 좌우 양측에 구비된 빗물퇴수구(112c)와 전후 일정 간격을 두고 사각 형태를 갖는 수직부재(116a)가 입설되어지되, 이 수직부재(116a)의 외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ㄴ'자형 단면 형태를 갖는 가이드돌기(116b)가 일체로서 형성되고, 이 가이드돌기에 대응되는 부위에 가이드홈(118a)이 형성된 1쌍의 좌우이동부재(118)가 가이드돌기(116b)를 타고 가이드돌기(116b)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각각 좌우 슬라이딩 이동되며, 좌우이동부재(118)의 외측면에는 손으로 잡고 취부하기 위한 손잡이(118b)가 일체로서 부설되어 있다.
또한, 수직부재(116a)의 직하방에는 벌들이 출입하기 위한 사각 형태의 벌출입구(116c)가 형성되고, 상기 빗물퇴수구(112c)는 벌출입부(116) 부위에 물이 고이는 경우 이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몸체부(120)는 바닥판(112)의 상면 둘레를 따라 입설되어 기능성 벌통(100)의 골격을 이루어서 봉군(蜂群)의 서식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앞판(122), 뒤판(124), 좌판(126), 우판(128)을 포함한다.
앞(前)판(122)은 소정 두께의 사각 형태로서 상단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ㄴ'자 단면 형태를 갖는 제 1돌기(122a)가 일체로서 형성되고, 하단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ㄱ'자 단면 형태를 갖는 제 2돌기(122b)가 일체로서 형성되며,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후술하는 사각홀(126c)(128c)에 삽입되기 위한 대략 사각 단면 형태를 갖는 제 3돌기(122c)가 일체로서 형성되고, 이러한 앞판(122)은 제 2돌기(122b)를 통해 전술한 가이드부재(112b)상에 끼워져서 바닥판(112)과 수직한 상태로 입설된다.
뒤판(124) 즉, 후(後)판은 앞판(122)과 유사한 형태로서 상단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ㄱ'자 단면 형태를 갖는 제 1돌기(124a)가 일체로서 형성되고, 하단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ㄴ'자 단면 형태를 갖는 제 2돌기(124b)가 일체로서 형성되며,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후술하는 사각홀(126c)(128c)에 삽입되기 위한 대략 사각 단면 형태를 갖는 제 3돌기(124c)가 일체로서 형성되고, 이러한 후판(124)은 제 2돌기(124b)를 통해 전술한 가이드부재(112b)상에 끼워져서 앞판(122)과 전후 일정 간격을 두고 바닥판(112)과 수직한 상태로 입설된다.
좌(左)판(126)은 소정 두께의 사각 형태로서 상단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ㄱ'자 단면 형태를 갖는 제 1돌기(126a)가 일체로서 형성되고, 하단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일자(一字) 단면 형태를 갖는 제 2돌기(126b)가 일체로서 형성되며,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갖는 사각홀(126c)이 각각 형성되고, 이 사각홀(126c) 사이에 타원 형태를 갖는 손잡이(126d)가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한편, 이러한 좌판(126)은 제 2돌기(126b)를 통해 전술한 가이드부재(112b)상에 끼워져서 바닥판(112)과 수직한 상태로 입설된다.
우(右)판(128)은 좌판(126)과 유사한 형태로서 상단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ㄴ'자 단면 형태를 갖는 제 1돌기(128a)가 일체로서 형성되고, 하단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일자(一字) 단면 형태를 갖는 제 2돌기(128b)가 일체로서 형성되며,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갖는 사각홀(128c)이 각각 형성되고, 이 사각홀(126c) 사이에 타원 형태를 갖는 손잡이(128d)이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한편, 이러한 우판(128)은 제 2돌기(128b)를 통해 전술한 가이드부재(112b)상에 끼워져서 바닥판(112)과 수직한 상태로 입설된다.
즉, 가이드부재(112b)는 앞판(122),뒤판(124),좌판(126), 우판(128)의 하부를 각각 받쳐서 몸체부(120)가 하나의 조립체로서 바닥판(112) 상에 안착되도록 하는 홀더(holder)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한 앞판(122), 뒤판(124), 좌판(126), 우판(128)은 모두 두께 35~45㎜, 바람직하게는 40㎜ 두께의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재질로 이루어지며, 통상의 벌통은 몸체의 사이즈가 달라서 1층용, 2층용을 따로 사용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120)는 단일 구조이므로 몇층으로든 추가 적층시켜서 벌통의 크기를 확장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덮개부(130)는 기능성 벌통(100)의 개폐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몸체부(12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씌워져서 꿀벌이 기능성 벌통(10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덮개부(130)는 물리적, 화학적으로 강한 저배율의 두께 55~65㎜, 바람직하게는 60㎜ 두께의 발포폴리프로필렌(EPP;Expanded Polypropylene) 재질로서, 밑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을 갖는 덮개(132)의 좌우 양측에 후술하는 보호용 커버(132c)가 부착되기 위한 평면에서 보아 대략 'ㄷ'자형 단면 형태를 갖는 요입부(132a)가 각각 형성되고, 하단 둘레를 따라 후술하는 덮개안착수단(140)에 밀착되기 위한 대략 'ㄱ자형 단면 형태를 갖는 돌기부(132b)가 일체로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덮개부(130)는 재질 특성상 여름철 직사광선에도 기능성 벌통(100)의 내부 온도가 치솟지 않게 된다. 보통 집을 지을 때에도 벽단열(R-19)보다 지붕(R-32)의 단열 성능이 높다. 이에 착안하여, 본 발명은 몸체부(120)의 두께(30~40㎜)보다 덮개부(130) 두께(55~65㎜, 바람직하게는 60㎜)를 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여름철 직사광선에 의한 열을 차단하고, 겨울철에 기능성 벌통의 온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덮개안착부(140)는 전후 1쌍의 소비(소초광) 거치대(142)가 앞,후판(122)(124)의 제 1돌기(122a,124a), 좌,우판(126)(128)의 제 1돌기(126a,128a)를 모두 감싸서 마감하는 형태로서 밀착되어지되, 이러한 소비 거치대(142)는 소비(소초광)를 거는 것으로서, 이러한 소비에 벌이 꿀도 저장하고, 알을 낳아 육아를 한다.
또한, 소비 거치대(142)의 내측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철사고정용 홈(144)이 형성되며, 이 홈은 소비 거치대(142)에 소비(소초광)를 일정 간격을 두고 거는 과정에서 소비와 소비 사이에 철사를 끼워서 이동할 때, 각 철사 사이의 소비가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 중 미설명 부호 126e는 바닥판(112)과 좌판(126), 그리고 좌판(126)과 덮개(132)를 각각 연결하기 위한 'ㄷ'자형 형태의 연결용 클립으로서 복수의 나사(도면부호 미부여)를 통해 연결 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므로 이동 양봉에도 간편하고, 착육판(발판)과 높이가 같아서 가령, 목재 벌통에 사용시 물통(급수기) 밑에 받쳐서 물통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때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128e는 바닥판(112)과 우판(128), 그리고 우판(128)과 덮개(132)를 각각 연결하기 위한 연결용 클립이고, 132c는 기능성 벌통을 트럭에 싣고 밧줄로 고정할 때 덮개(132) 외면을 보호하는 보호용 커버로서, 이 또한, 복수의 나사(도면부호 미부여)를 통해 덮개(132)와의 연결 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벌꿀 생산등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벌통(100)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우선 적정한 야외 장소에 기능성 벌통(100)을 조립하여 적치한다. 즉,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12)의 가이드부재(112b)에 앞판(122), 뒤판(124), 좌판(126), 우판(128)을 각각 입설한 후, 이와 같은 몸체부(120) 상단에 덮개안착부(140)와 덮개부(130)를 순차적으로 안착시킨다.
이렇게 조립된 기능성 벌통(100)은 지면 상태에 상관없이 야외 장소에 다수개 적치된 상태에서 꿀벌 즉, 봉군(蜂群)이 벌출입구(116c)를 통해 기능성 벌통 (100) 내부로 상향 이동하며, 몸체부(120)와 덮개부(130) 사이의 공간을 통해 꿀벌에게 쉬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봉군이 벌출입구(116c)를 통해 기능성 벌통(100)의 내,외부로 활발히 활동하면서 만개한 각종 꽃으로부터 꿀을 채집하여 소비 거치대(142)에 거치된 다수의 소비(미도시)에 저장한다.
한편, 기능성 벌통(100)의 사용 과정에서 소비광의 부산물, 각종 세균군, 진드기등의 이물은 바닥판(112)에 구비된 경사틀(114)의 알루미늄제 환기망(도 9의 114b)를 통해 지면에 자연 낙하되어 제거됨에 따라 벌통 바닥의 이물질을 쉽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경사틀(114)이 소정의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가지므로 벌들이 직접 사봉(죽은벌)과 이물을 벌통 외부로 빼내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한 환기망(114b)을 통해 특히 하절기에 벌통의 내부 통기성 개선으로 벌의 생육환경 제고와 더불어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환기망(114b)이 벌통의 하부에 있으므로 자연적인 환기가 가능하다. 즉, 여름철 더운 습기는 위로 올라가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위가 막혀 있어야 육아 습도가 유지되며, 습도유지가 안 되면, 꿀벌 유충이 말라 죽는다.
또한, 연결용 클립(126e)(128e)의 사용으로 벌통을 일체형으로 쉽게 만들고, 분리도 편하다.
또한, 벌통의 재질 차별화로 내구성과 단열성을 확보하고, 강하면서도 가벼워 고령의 양봉인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벌통 전체가 단열재인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소재이므로 여름과 겨울에도 벌통 내부의 온도와 습도가 항상성(恒常性)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기능성 벌통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기능성 벌통 110 : 베이스부
112 : 바닥판 114 : 경사틀
116 : 벌출입부 118 : 좌우이동부재
120 : 몸체부 122 : 앞판
124 : 뒤판 126 : 좌판
128 : 우판 130 : 덮개부
132 : 덮개 140 : 덮개안착부
142 : 소비 거치대 144 : 철사고정용 홈

Claims (3)

  1. 좌우에 'ㄷ'자형 단면 형태를 갖는 가공부(112a)가 구비되고, 전면 좌우 양측에 빗물퇴수구(112c)가 구비된 두께 35~45㎜의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재질의 바닥판(112)과, 평면에서 보아 'ㅁ'자형 단면 형태로서, 중앙부에는 사각 형상의 개구부(114a)가 구비되고, 이 개구부(114a)상에 벌 생육활동에서 파생된 이물(異物)을 배출시키기 위한 환기망(114b)이 구비되며, 상기 바닥판(112)의 상면에 대해 10~30°하향 경사지게 구비된 경사틀(114)과, 상기 바닥판(112)의 전면에 구비되어 벌이 출입하기 위한 벌출입부(116)를 포함하고, 지면상에 놓이는 베이스부(110);
    상단 길이 방향을 따라 제 1돌기(122a)가 일체로서 구비되고, 하단 길이 방향을 따라 제 2돌기(122b)가 일체로서 구비되며,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제 3돌기(122c)가 일체로서 구비된 두께 35~45㎜의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재질의 앞판(122)과, 상단 길이 방향을 따라 제 1돌기(124a)가 일체로서 구비되고, 하단 길이 방향을 따라 제 2돌기(124b)가 일체로서 구비되며,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제 3돌기(124c)가 일체로서 구비된 두께 35~45㎜의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재질의 뒤판(124)과, 상단 길이 방향을 따라 제 1돌기(126a)가 일체로서 구비되고, 하단 길이 방향을 따라 제 2돌기(126b)가 일체로서 구비되며,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갖는 사각홀(126c)이 각각 구비되는 한편, 이 사각홀(126c) 사이에 손잡이(126d)가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된 두께 35~45㎜의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재질의 좌판(126)과, 상단 길이 방향을 따라 제 1돌기(128a)가 일체로서 구비되고, 하단 길이 방향을 따라 제 2돌기(128b)가 일체로서 구비되며,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갖는 사각홀(128c)이 각각 구비되는 한편, 이 사각홀(126c) 사이에 손잡이(128d)가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된 두께 35~45㎜의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재질의 우판(128)과, 상기 앞판(122), 뒤판(124), 좌판(126), 우판(128)의 하부를 각각 받치는 가이드부재(112b)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112)의 상면 둘레를 따라 입설되어 봉군(蜂群)의 서식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120);
    좌우 양측에 보호용 커버(132c)가 부착되기 위한 'ㄷ'자형 단면 형태를 갖는 요입부(132a)가 각각 형성되고, 하단 둘레를 따라 돌기부(132b)가 일체로서 구비된 덮개(132)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2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씌워져서 꿀벌이 이탈하는 것을 차단하는 두께 55~65㎜의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재질의 덮개부(130); 및
    상기 몸체부(120)의 앞판(122) 및 뒤판(124)의 제 1돌기(122a,124a)와, 상기 좌판(126) 및 우판(128)의 제 1돌기(126a,128a)를 감싸서 마감하는 형태로서 밀착되며 소비를 거는 소비 거치대(142)와, 이 소비 거치대의 내측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구비된 철사고정용 홈(144)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20)와 덮개부(130) 사이에 구비되어 덮개부(130)가 몸체부(120)상에 안착되도록 하는 덮개안착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벌출입부(116)는,
    상기 바닥판(112)의 전면에 구비된 빗물퇴수구(112c)와 전후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부재(116a)가 입설되어지되, 이 수직부재의 외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돌기(116b)가 일체로서 형성되고, 이 가이드돌기에 대응되는 부위에 가이드홈(118a)이 형성된 1쌍의 좌우이동부재(118)가 상기 가이드돌기(116b)를 타고 가이드돌기(116b)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슬라이딩 이동되며, 좌우이동부재(118)의 외측면에는 손으로 잡고 취부하기 위한 손잡이(118b)가 일체로서 부설되고, 상기 수직부재(116a)의 직하방에는 벌출입구(116c)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112)과 좌판(126), 그리고 좌판(126)과 덮개(132)는 'ㄷ'자형 형태를 갖는 연결용 클립(126e)을 통해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여 이동 양봉에 간편하고,
    상기 바닥판(112)과 우판(128), 그리고 우판(128)과 덮개(132)는 연결용 클립(128e)을 통해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덮개(132)는 보호용 커버(132c)를 통해 그 외면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기능성 벌통.
  2. 삭제
  3. 삭제
KR1020190040480A 2019-04-06 2019-04-06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기능성 벌통 KR102013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480A KR102013266B1 (ko) 2019-04-06 2019-04-06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기능성 벌통
CN201922464975.0U CN212035459U (zh) 2019-04-06 2019-12-31 使用环保材料的功能性蜂箱
AU2020200306A AU2020200306A1 (en) 2019-04-06 2020-01-15 Functional beehive using environment-friendly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480A KR102013266B1 (ko) 2019-04-06 2019-04-06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기능성 벌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266B1 true KR102013266B1 (ko) 2019-08-22

Family

ID=67767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480A KR102013266B1 (ko) 2019-04-06 2019-04-06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기능성 벌통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13266B1 (ko)
CN (1) CN212035459U (ko)
AU (1) AU202020030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8238A (ko) 2019-09-30 2021-04-07 류지춘 스티로폼 벌통
KR20210087366A (ko) 2020-01-02 2021-07-12 오승재 발포수지 벌통용 뚜껑의 분리 방지장치
KR20220072324A (ko) 2020-11-25 2022-06-02 동해안 청정꿀벌 영농협동조합 수분침투방지용 개포
WO2022245315A1 (en) * 2021-05-18 2022-11-24 Yildirim Plasti̇k Maki̇ne Ve Kalip İmalat İnşaat Turi̇zm Sanayi̇ Ve Ti̇caret Li̇mi̇ted Şi̇rketi̇ A hive or a hive base for beehiv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001361A1 (de) 2022-04-21 2023-10-26 Thilo Fischer Vorrichtung zur Bienenhaltung an erhöhten Standort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906Y1 (ko) * 2002-11-01 2003-01-29 고상인 끼움홈 및 끼움돌기로 된 결합부와 레일이 형성된 벌통몸체
KR200385239Y1 (ko) * 2005-03-08 2005-05-25 윤지훈 통풍이 강화된 벌통
KR100798575B1 (ko) 2007-01-30 2008-01-28 노태원 벌통 제조방법
KR20090128792A (ko) * 2008-06-11 2009-12-16 (주)비센 분리 성형한 후에 조립되어 일측이 개폐되는 구조개선된벌통
KR100969198B1 (ko) * 2009-12-22 2010-07-09 (주)비센 보강수단이 구비된 발포수지재 벌통
KR20120066092A (ko) * 2010-12-14 2012-06-22 장봉환 벌통
KR20120129044A (ko) 2011-05-18 2012-11-28 육심교 벌 소비 부산물 유출기구가 구비된 벌통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906Y1 (ko) * 2002-11-01 2003-01-29 고상인 끼움홈 및 끼움돌기로 된 결합부와 레일이 형성된 벌통몸체
KR200385239Y1 (ko) * 2005-03-08 2005-05-25 윤지훈 통풍이 강화된 벌통
KR100798575B1 (ko) 2007-01-30 2008-01-28 노태원 벌통 제조방법
KR20090128792A (ko) * 2008-06-11 2009-12-16 (주)비센 분리 성형한 후에 조립되어 일측이 개폐되는 구조개선된벌통
KR100969198B1 (ko) * 2009-12-22 2010-07-09 (주)비센 보강수단이 구비된 발포수지재 벌통
KR20120066092A (ko) * 2010-12-14 2012-06-22 장봉환 벌통
KR20120129044A (ko) 2011-05-18 2012-11-28 육심교 벌 소비 부산물 유출기구가 구비된 벌통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8238A (ko) 2019-09-30 2021-04-07 류지춘 스티로폼 벌통
KR102300093B1 (ko) * 2019-09-30 2021-09-07 류지춘 스티로폼 벌통
KR20210087366A (ko) 2020-01-02 2021-07-12 오승재 발포수지 벌통용 뚜껑의 분리 방지장치
KR20220072324A (ko) 2020-11-25 2022-06-02 동해안 청정꿀벌 영농협동조합 수분침투방지용 개포
WO2022245315A1 (en) * 2021-05-18 2022-11-24 Yildirim Plasti̇k Maki̇ne Ve Kalip İmalat İnşaat Turi̇zm Sanayi̇ Ve Ti̇caret Li̇mi̇ted Şi̇rketi̇ A hive or a hive base for beeh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2035459U (zh) 2020-12-01
AU2020200306A1 (en)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3266B1 (ko)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기능성 벌통
US8801493B2 (en) Beehive
KR100682982B1 (ko) 뒤영벌 사육 및 화분매개용 벌통
US20130005216A1 (en) PVC Beehive
US20110306272A1 (en) Bottom board for a beehive
KR101203167B1 (ko) 응애 방제와 분봉 및 도봉 억제 기능을 갖는 벌통
KR101840471B1 (ko) 호박벌 둥지 상자
US20190075762A1 (en) Breeding comb for solitaire bees
KR200381202Y1 (ko) 양토봉 꿀 벌통
KR102044366B1 (ko) 양봉용 여왕벌의 조립식 격리 산란통
US4546509A (en) Multiple queen beehive
KR100944662B1 (ko) 뒤영벌의 사육 및 방사용 통
KR102031501B1 (ko) 다기능 양봉용 벌통
KR200287083Y1 (ko) 계상형 벌통
AU2013101747A6 (en) Storage Devices for Bees
KR20110004795U (ko) 신개념 벌통
CN212232674U (zh) 一种蜜蜂养殖用循环组合式巢框及蜂箱
KR100830400B1 (ko) 장수풍뎅이 유충의 대량증식을 위한 실내사육장치.
JP3579537B2 (ja) 蜜 蜂 用 巣 箱
RU2146443C1 (ru) Улей
RU2657452C1 (ru) Улей
GB2506641A (en) Beehive with slotted base
KR200282594Y1 (ko) 벌통
KR102451477B1 (ko) 토종벌 개량벌통용 양봉 및 말벌 진입 차단 장치
CN211482472U (zh) 一种蜜蜂养殖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