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202Y1 - 양토봉 꿀 벌통 - Google Patents

양토봉 꿀 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202Y1
KR200381202Y1 KR20-2005-0001762U KR20050001762U KR200381202Y1 KR 200381202 Y1 KR200381202 Y1 KR 200381202Y1 KR 20050001762 U KR20050001762 U KR 20050001762U KR 200381202 Y1 KR200381202 Y1 KR 2003812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ey
beehive
bees
bee
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7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재훈
Original Assignee
반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재훈 filed Critical 반재훈
Priority to KR20-2005-00017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2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2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2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4Artificial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1/00Appliances for treating beehives or parts thereof, e.g.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Abstract

본 고안은 꿀 벌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꿀벌통과 달리 일반적인 꿀 벌통을 반(½)으로 줄여 사각형 형태로 하여 설치 및 운반의 편리성과 동절기의 보온하는데 에도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으며; 꿀 벌통의 수직4면중 1면에 투명창을 설치하여 벌들의 활동사항을 뚜껑을 열지 않고 활동상항을 관찰하여 사항변화 따라 편리하게 대처하여 벌의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벌통의 내부 벽면에 황토70-80중량%와 숯20-30중량% 제올라이트5중량%를 혼합 가공된 황토몰탈을 도포 하여 원적외선 방출효과와 항균 방습 효과를 얻어 벌의 부저병. 석고병. 노제마병을 예방하여 벌의 활동을 원활히 하여 꿀을 얻는데 도움을 얻게 하며; 현재의 형태를 변형하는데 에는 소초(벌집판기초)를 반(½)으로 잘라 정사각형으로 하여 소비(벌집판)가 약5장정도가 들어가도록 하여 꿀 벌통을 반(½)으로줄이며 꿀을 채취하는 동안은 계상(벌통2층)을 하여 벌들의 습성은 위로 올라가는 습성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위 공간을 확보하여 꿀을 많이 얻는데 에도 도움이 되며; 토종벌통으로도 사용 가능하여 벌의 종류에 구애 없이 사용하므로 경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기능성이 있는 꿀 벌통이라고 하겠다.

Description

양토봉 꿀 벌통{BEEHIVE}
종래에는 직사각형의 소비(벌집판)가 약10장정도 들어가도록 하여 외형을 사각형 형태로 하여 상당한 크기의 벌통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당한 무게와 부피로 인하여 운반하는데 어려움이 많은며 동절기의 보온에도 상당한 어려움이 많았으며;
양봉의 벌통에는 토봉의 사육이 불가능하였으며 한 벌통의 일벌들의 숫자에 따라 소비(벌집판)를 줄여 벌통의 많은 공간을 두어 효율성이 상당히 떨어졌다 고하겠다.
본 고안은 꿀 벌통의 수직4면중 1면에 투명창을 설치하여 벌들의 활동사항을 뚜껑을 열지 않고 활동상항을 관찰하여 사항변화 따라 편리하게 대처하여 벌의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벌통의 내부 벽면에 황토70-80중량%와 숯20-30중량% 제올라이트5중량%로 혼합 가공된 황토몰탈을 도포 하여 원적외선 방출효과와 항균 방습 효과를 얻어 벌의 부저병. 석고병. 노제마병을 예방하여 벌의 활동을 원활히 하여 꿀을 많이 얻는데 도움을 얻게 하는 한편 벌통이 반으로 줄어들고 황토몰탈이 도포 되어 동절기의 보온효과도 상당히 얻을 수 있으며 벌통의 휴유 공간을 최소로 하여 효율성이 상당히 있는 꿀벌통 이라 하겠다.
또한. 꿀 벌통을 반(½)으로줄이며 꿀을 채취하는 동안은 계상(벌통2층)을 하여 벌들의 습성은 위로 올라가는 습성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위 공간을 확보하여 꿀을 많이 얻는데 에도 도움이 되며; 토종벌통으로도 사용 가능하여 벌의 종류에 구애 없이 사용하므로 경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기능성이 있는 꿀 벌통이라고 하겠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위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직사각형의 소비(벌집판)가 약10장정도 들어가도록 하여 외형을 사각형 형태로 하여 상당한 크기의 벌통으로 이루어져 있어나;
현재의 형태를 변형하는데 에는 소초(벌집판기초)를 반(½)으로 잘라 정사각형으로 하여 소비(벌집판)가 약5장정도가 들어가도록 하여 꿀 벌통을 반(½)으로줄이며 꿀을 채취하는 동안은 계상(벌통2층)을 하여 벌들의 습성은 위로 올라가는 습성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위 공간을 확보하여 꿀을 많이 얻는데 에도 도움이 되며;
벌의 종류에 구애 없이 양봉이나 토봉이나 별도의 형태의 변함 없이 사육이 용이하므로 상당한 편리성이 인정되며 사육과정의 경제적 면에서도 많은 도움이 되는 꿀 벌통이라 하겠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이 있는 꿀 벌통(11)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꿀 벌통(11)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꿀 벌통(11)의 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수평의 직사각형의 소초(벌집판기초)(15)를 중앙에 수직으로 사각형으로 잘라 반(½)으로 줄이며 수직의 높이는 현재의 높이를 유지하며 중앙에 수직으로 반(½)으로 잘라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꿀 벌통(11)을 현재의 꿀 벌통(11)을 반(½)으로줄이는 것으로서 소초(벌집판기초)(15)를 수평의 직사각형을 중앙수직형태로 반(½)으로 잘라 사각형으로 하여 소초(벌집판기초)(15)가 꿀 벌통(11)에 줄어든 소초(15)가 약5장정도가 들어가도록 하여 꿀 벌통(11)의 휴유면적을 최소로 하였다.
또한. 꿀 벌통(11)을 평면은 사각형으로 소초(벌집판기초)(15)를 중앙 수직형태로 반(½)으로 줄이며 높이는 현재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직사각형의 소초(벌집판기초)(15)를 수직형태로 반(½)으로 잘라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여 소초(벌집판기초)(15)가 약5장정도가 꿀 벌통(11)에 들어가도록 하여 꿀 벌통(11)이 평면을 사각형 형태로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꿀 벌통(11)의 수직4면중 1면에 투명창(10)을 설치하여 벌들의 활동사항을 뚜껑(12)을 열지 않고 활동상항을 관찰하여 사항변화 따라 편리하게 대처하여 벌의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하였으며;
또한. 꿀 벌통(11)의 내부 벽면(21)에 황토70-80중량%와 숯20-30중량% 제올라이트5중량%로 혼합 가공된 황토몰탈을 도포 하여 원적외선 방출효과와 항균 방습 효과를 얻어 벌의 부저병. 석고병. 노제마병을 예방하여 벌의 활동을 원활히 하여 꿀을 많이 얻는데 도움을 얻게 하는 한편 꿀 벌통(11)이 반으로 줄어들고 황토몰탈이 도포되어 동절기의 보온효과도 상당히 얻을 수 있으며 꿀 벌통(11)의 휴유 공간을 최소로 하였다.
이에. 황토70-80중량%와 숯20-30중량%을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가루풀과 혼합하여 경제수로 결이 될 때까지 저어서 도포 할 수도 있다.
또한. 꿀 벌통(11)은 목재의 판으로 수평으로 평면판(하부면)은 사각으로 소초(15)의 세로 방향으로 줄어든 반(½) 넓이와 소초(15)가 소초틀에 안착된 가로방향의 수직으로 약5장정도의 가로 넓이로 하며 사각의 면에 수직으로 사면에 각각 목재 판을 못으로 고정시키고 꿀 벌통(11)의 수직4면중 1면에 투명창(10)을 설치하여 벌들의 활동사항을 뚜껑(12)을 열지 않고 활동상항을 관찰하여 사항변화에 대처하는 투명창(10)이 설치되고 투명창(10) 밖에 힌지(23)로 장착된 투명창 뚜껑(22)을 관찰 시에는 열고 평소에는 닫아 벌들이 빛을 싫어하는 점을 해소하며 소초(벌집판기초)(15)가 삽입하여 벌의 활동에 지장이 없을 정도의 높이로 사면에 못으로 고정시켜 고정판 전면 하부에는 벌들이 출입 할 수 있는 출입구(13)가 형성되며 벌통의 내부 벽면(21)에 황토70-80중량%와 숯20-30중량% 제올라이트5중량%로 혼합 가공된 황토몰탈을 도포 하여 원적외선 방출효과와 항균 방습 효과를 얻어 벌의 부저병. 석고병. 노제마병을 예방하여 벌의 활동을 원활히 하여 꿀을 많이 얻는데 도움을 얻게 하고 위 평면(상부면)에는 뚜껑(12)이 형성되며 뚜껑(12) 좌우 중앙에 다수개의 통풍구(17)를 타공하며 평면판(하부면)외부에 각목을 좌우에 덧대어 받침대(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꿀 벌통(11)에 벌들의 활동이 활발한 때에는 벌의 숫자가 늘어나거나 꿀을 채취하는 계절 동안은 계상(벌통2층)을 하여 꿀 벌통의 넓이를 늘여 벌들의 습성은 위로 올라가는 습성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계상(벌통2층)의 상층 공간을 확보하여 빈 공간에 꿀을 저장하는 벌들의 습성을 이용하여 꿀을 많이 얻는데 에도 도움이 되겠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로서 일반적인 꿀 벌통과 동일한 형태이나 크기면 에서는 반(½)으로 줄어든 상태도로 전면에 투명창이 설치되어 있는 형태 도이며 토봉의 벌통과 흡사하다고 하겠다.
도2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내부의 벽면 및 바닥면에 황토몰탈이 도포 되어 있는 상태 도이며 현재의 꿀 벌통(11)과 넓이가 반(½)으로 줄어들어 토봉의 벌통과 흡사하나 높이면 에서 양봉의 소초(15)높이를 유지하여 소초가 안착된 상태도 이다.
도3은 본 고안의 투명창 뚜껑으로서 벌들이 빛을 싫어하기 때문에 투명창의 빛을 벌통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관찰 시에 결합힌지로 장착되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꿀 벌통을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 청구범위에서 기재된 바의.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된다.
일반적인 꿀 벌통(11)과는 달리 벌의 종류에 구애 없이 양봉이나 토봉이나 별도의 형태의 변함 없이 사용하고 있는 재료로도 불편함이 없이 사용가능 하도록 하여 별도의 재료사용에 비용 부담을 줄여 누구나 취미로 사육이 용이하므로 상당한 편리성이 인정되며 사육과정의 경제적 면에서도 많은 도움이 되는 꿀 벌통(11)이라 하겠다.
꿀 벌통(11)의 수직4면중 1면에 투명창(10)을 설치하여 벌들의 활동사항을 뚜껑(12)을 열지 않고 활동상항을 관찰하여 사항변화 따라 편리하게 대처하여 벌의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하였으며;
또한. 꿀 벌통(11)의 내부 벽면(21)에 황토몰탈을 도포 하여 원적외선 방출효과와 항균 방습 효과를 얻어 벌의 부저병. 석고병. 노제마병을 예방하여 벌의 활동을 원활히 하여 꿀을 많이 얻는데 도움을 얻게 하였다.
도1은 본 고안의 일반적인 벌통과 동일하며 투명창이 설치되어 있는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내부의 벽면 및 바닥면에 황토몰탈이 도포 되어 있고 소초가 안착된 상태도.
도3은 본 고안의 투명창의 뚜껑.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면<>
10; 투명창 11; 꿀벌통
12; 뚜껑 13; 꿀벌통문
15; 소초 16; 벌통받침대
17; 통풍구 21; 황토몰탈 도포층
22; 투명창 뚜껑 23; 투명창 뚜껑 힌지.

Claims (2)

  1. 꿀벌이 출입할 수 있는 꿀 벌통(11)으로서; 꿀 벌통(11)의 수직4면중 1면에 투명창(10)을 설치하는 것과; 투명창(10)으로 빛의 유입을 막기 위해 투명창(10) 외부에 결합 힌지(23)에 의해 장착되는 투명창뚜껑(22)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토봉 꿀 벌통.
  2. 제1항에 있어서; 꿀 벌통(11)의 내부 벽면(21)에 황토몰탈을 도포 하여 원적외선 방출. 항균. 방습. 을 얻을 목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토봉 꿀 벌통.
KR20-2005-0001762U 2005-01-20 2005-01-20 양토봉 꿀 벌통 KR2003812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762U KR200381202Y1 (ko) 2005-01-20 2005-01-20 양토봉 꿀 벌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762U KR200381202Y1 (ko) 2005-01-20 2005-01-20 양토봉 꿀 벌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202Y1 true KR200381202Y1 (ko) 2005-04-08

Family

ID=43682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762U KR200381202Y1 (ko) 2005-01-20 2005-01-20 양토봉 꿀 벌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20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895B1 (ko) 2006-05-30 2007-08-17 유호창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벌통 및 그 제조방법
KR100748894B1 (ko) * 2006-05-01 2007-08-17 유호창 황토를 이용한 벌통 및 그 제조방법
KR200470128Y1 (ko) 2013-06-05 2013-11-29 황택수 항균, 소취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티로폼제 벌통
KR101494976B1 (ko) 2013-11-18 2015-02-24 최호영 황토물에 침전시킨 토종벌통을 이용한 토종벌의 전염병 예방 및 전염병 치료 방법
WO2022158666A1 (ko) * 2021-01-22 2022-07-28 신현주 관찰형 벌통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894B1 (ko) * 2006-05-01 2007-08-17 유호창 황토를 이용한 벌통 및 그 제조방법
KR100748895B1 (ko) 2006-05-30 2007-08-17 유호창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벌통 및 그 제조방법
KR200470128Y1 (ko) 2013-06-05 2013-11-29 황택수 항균, 소취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티로폼제 벌통
KR101494976B1 (ko) 2013-11-18 2015-02-24 최호영 황토물에 침전시킨 토종벌통을 이용한 토종벌의 전염병 예방 및 전염병 치료 방법
WO2022158666A1 (ko) * 2021-01-22 2022-07-28 신현주 관찰형 벌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035459U (zh) 使用环保材料的功能性蜂箱
US20110306272A1 (en) Bottom board for a beehive
CN107094715A (zh) 一种中蜂的养殖方法
KR200381202Y1 (ko) 양토봉 꿀 벌통
CN107047377B (zh) 可改善蜜蜂环境的蜂箱
US2709820A (en) Beehive cover
KR20160061157A (ko) 토·양봉겸용 벌통
WO2012011881A2 (en) A beehive base and roof for standard beehive body
US20070232189A1 (en) Honeybee hive, components, and extraction method
US11744232B2 (en) Beehive
MX2012008469A (es) Cajon de anidamiento para abejorros.
US3927431A (en) Ventilating spacer for beehive
US10349633B2 (en) Birdhouse with enhanced care giver access
RU2640283C2 (ru) Многокорпусный улей
KR102031501B1 (ko) 다기능 양봉용 벌통
US4546509A (en) Multiple queen beehive
KR20110004795U (ko) 신개념 벌통
KR101348172B1 (ko) 벌통
KR20110015488A (ko) 이중바닥 벌통
Kasangaki et al. Beehives in the world
AU2013101747A4 (en) Storage Devices for Bees
CN211746252U (zh) 山地蜜蜂房
KR200282594Y1 (ko) 벌통
RU114586U1 (ru) Улей-колода &#34;комби&#34;
CN2361081Y (zh) 微型授粉蜂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