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683Y1 - 피복천공용 농기구 - Google Patents

피복천공용 농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683Y1
KR200265683Y1 KR2020010034923U KR20010034923U KR200265683Y1 KR 200265683 Y1 KR200265683 Y1 KR 200265683Y1 KR 2020010034923 U KR2020010034923 U KR 2020010034923U KR 20010034923 U KR20010034923 U KR 20010034923U KR 200265683 Y1 KR200265683 Y1 KR 2002656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or
cover
perforated
perforator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아이디어플라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디어플라자(주) filed Critical 아이디어플라자(주)
Priority to KR2020010034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6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683Y1/ko

Links

Landscapes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작물 재배용 피복을 천공하기 위한 농기구에 관한 것으로, 피복(C)들이 피복천공기(110 ; 210 ; 310 ; 410)에 의해서 동일한 크기로 손쉽게 절개되고, 절개되어진 피복(C)들은 천공피복수집기(120 ; 220 ; 320 ; 420)에 의해서 자동으로 수거되므로, 피복천공작업 및 천공피복 수거작업이 상당히 편리하고 단순하게 되어, 작업자의 노동부하가 크게 절감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천공피복 미수거로 인한 토양오염 및 주변 환경의 오염이 방지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피복천공용 농기구{Agricultural implement to perforate a cover}
본 고안은 농작물 재배용 피복을 천공하기 위한 농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공작업이 간편하고, 천공된 피복이 자동으로 회수되도록 된 피복천공용 농기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 등의 묘상에 파종하여 육묘한 모종을 재배용 본 토양에 이식하여 재배함에 있어서, 농작물등의 냉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본 토양을 멀칭(피복씌우기)해야 한다. 멀칭에 이용되는 피복은 이식되는 농작물의 종류와 토양 조건에 따라서 다양한 재질의 것이 활용되고 있지만, 비닐 수지나 비닐 섬유로 제조되어진 것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농작물의 이식작업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해 보면, 우선 비닐하우스 등의 묘상에 농작물의 씨앗을 파종하여, 농작물이 적절한 크기로 성장할 때까지 육묘한 후, 농작물 재배를 위한 본 토양에 피복을 씌운다(멀칭). 이후, 피복을 등간격으로 천공하고, 천공되어 외부로 노출된 토양에 모종을 이식한다. 천공면적과 천공위치간의 간격은 해당 농작물의 성장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한다.
상기 피복을 천공하는 작업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해 보면, 우선 소정 길이의 로프를 매듭지어서, 로프 길이를 따라서 매듭들이 등간격으로 배치되도록한 후, 멀칭할 토양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로프를 팽팽하게 잡아 당겨서 고정시킨 후, 매듭들에 상응하는 위치의 피복을 천공하여 피복 천공작업을 완료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는 피복 천공을 위한 별도의 수단이 강구되지 못하여 삽이나 호미 등의 농기구로 피복을 천공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천공된 피복들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수거하여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작업자가 천공된 피복을 제대로 회수하지 않아서, 천공된 피복들이 사방으로 흩날리거나 토양과 뒤섞이게 되어, 지력이 낮아지고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천공면적이 서로 다르게 되어 농작물의 성장조건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한편,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서 작업자가 일일이 로프의 매듭을 풀거나 엮어서 매듭간의 간격을 조절해야 되므로, 농작물 이식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천공작업이 간편하고, 천공된 피복이 자동으로 회수되도록 된 피복천공용 농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X부 확대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4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100,200,300,400 ; 피복천공용 농기구,
110,210,310,410 ; 피복천공기,
120,220,320,420 ; 피복수집기,
130,230,330,430 ; 수집기 고정기구,
140,240,340,440 ; 천공거리조절기구,
250,350,450 ; 수집기 가이드기구,
360 ; 수집기 탄발지지기구,
C ; 피복, E ; 토양.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단에 커터부가 형성되어진 통형태의 피복천공기와 ; 피복천공기에 고정되어서 이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천공되어진 피복을 자동으로 수거하는 천공피복수집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과 실시예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피복천공용 농기구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피복천공용 농기구(100 ; 200 ; 300)는, 하단에 커터부(111 ; 211 ; 311)가 형성되어진 통형태의 피복천공기(110 ; 210 ; 310)와 ; 피복천공기(110 ; 210 ; 310)에 고정되어서 이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천공되어진 피복(C)을 자동으로 수거하는 천공피복수집기(120 ; 220 ; 320)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경우에는, 상기 천공피복수집기(120 ; 220 ; 320)가 수집기 고정기구(130 ; 230 ; 330)를 매개로 피복천공기(110 ; 210 ; 310)에 고정되어진 구조를 이루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피복천공기(110 ; 210 ; 310)와 천공피복수집기(120 ; 220 ; 320)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피복천공기(110 ; 210 ; 310)와 피복수집기(120 ; 220 ; 320)를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금형제작이 상당히 어렵게 되고, 또한 부품수리나 교체작업이 어렵게 되므로, 본 실시예들과 같이, 피복천공기(110 ; 210 ; 310)와 천공피복수집기(120 ;220 ; 310)를 별물로 제작한 후, 수집기 고정기구(130 ; 230 ; 330)를 매개로 천공피복수집기(120 ; 220 ; 320)를 피복천공기(110 ; 210 ; 3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피복천공기(110)로는, 하단에 커터부(111)가 형성되고, 상단부 외주면에 손잡이부(112)가 형성되어진 것이 이용되었고, 상기 천공피복수집기(120)로는, 직선 바아형태를 이루는 수집기본체(121)의 하단에 드릴부(122)와 걸림부(123)가 구비되어진 것이 이용되었다. 또한, 상기 수집기 고정기구(130)로는 피복천공기(110)의 내주면에 용접고정되는 브래킷(131)이 이용되었으며, 이 브래킷(131)에 수집기본체(121)가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이의 사용상태를 설명해 보면, 우선 드릴부(122)와 걸림부(123)가 피복천공기(110)의 하단 중심부분에 위치되도록 수집기본체(121)를 브래킷(131)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피복천공기(110)의 손잡이부(112)를 한손으로 잡고 이를 하방향으로 찍어내리면, 피복(C)이 피복천공기(110)의 커터부(111)에 의해서 절개되면서, 천공피복수집기(120)의 드릴부(122)가 피복천공기(110)의 내주면에 위치된 절개되어진 피복(C)을 관통하게 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되어진 피복(C)이 걸림부(123)에 끼워지게 된다. 이후, 피복천공용 농기구를 들어올리면, 절개되어진 피복(C)이 걸림부(123)에 끼워진 상태로 들어올려지게 되므로, 대략 피복천공기(110)의 직경만큼의 토양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상기 피복천공용 농기구(100)를 매개로 피복천공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천공되어진 피복(C)들이 수집기본체(121)의 하방향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차곡차곡 쌓여진 상태로 걸림부(123)에 걸려서 고정된다.
한편, 피복천공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바아 형태의 별도의 기구를 관통되어진 피복천공기의 상부 구멍으로 집어넣어서, 수집기본체(121)에 끼워져서 걸림부(123)에 걸려있는 절개되어진 피복(C)들을 하방향으로 밀어내어, 절개되어진 피복(C)들을 비복천공용 농기구(100)로부터 제거한다.
도 2에 도시된 피복천공용 농기구(200)는, 하단에 커터부(211)가 형성되어진 통형태의 피복천공기(210)와 ; 직선 바아형태를 이루는 수집기본체(221)의 하단에 드릴부(222)와 걸림부(223)가 구비되어진 천공피복수집기(220) ; 캡형태를 이루는 본체(231)의 둘레면과 저면에 손잡이부(232)와 체결부(233)가 각각 구비되어진 수집기 고정기구(230) 및; 중심부분에 관통된 구멍이 형성되어, 피복천공기(210)의 내주면에 용접 고정되는 수집기 가이드기구(250)로 구성된다. 상기 수집기 고정기구(230)는 피복천공기(210)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고, 상기 천공피복수집기(220)는 수집기 고정기구(230)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상기 구성요소들(210,220,230,250)이 상호 조립된 상태에서, 수집기본체(221)는 수집기 가이드기구(250)의 중심 구멍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서 수평방향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수집기본체(221)가 수집기 가이드기구(250)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지지되므로, 피복천공용 농기구(200)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수집기본체(221)가 수평방향으로 굴곡 변형되지 않게 된다. 도 2에는 하나의 수집기 가이드기구(250)가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2개 이상의 수집기 가이드기구(250)를 적절한 간격으로 배치시켜서 수집기본체(221)의 굴곡 변형이 방지되도록 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피복천공작업이 완료된 후에, 수집기 고정기구(230)의 손잡이부(232)와 피복천공기(210)의 외주면을 양손으로 각각 잡고 이에 토오크를 가하여 피복천공기(210)와 수집기 고정기구(230)의 맞물림을 해제한 후, 수집기 고정기구(230)와 이에 고정된 천공피복수집기(220)를 피복천공기(210)로부터 분리시키면, 수집기본체(121)에 끼워져서 걸림부(123)에 걸려있는 절개되어진 피복(C)들이 수집기 가이드기구(250)에 걸리면서 수집기본체(121)로부터 자동으로 이탈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피복천공용 농기구(300)는, 하단에 커터부(311)가 형성되어진 통형태의 피복천공기(310)와 ; 수집기본체(321)의 하단에 드릴부(322)와 걸림부(323)가 구비되고, 상단에 손잡이부(324)가 구비되어진 천공피복수집기(320) ; 중심부분에 수집기본체(321)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피복천공기(310)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캡형태를 이루는 수집기 고정기구(330) ; 중심부분에 수집기본체(321)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피복천공기(310)의 내주면에 용접 고정되는 수집기 가이드기구(350) 및; 피복천공기(310)에 내설되어서 천공피복수집기(320)를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수집기 탄발지지기구(36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수집기 탄발지지기구(360)로는, 수집기본체(32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1부재(361)와, 피복천공기(310)의 내주면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서 제1부재(361)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2부재(362) 및, 제2부재(362)를 상방향으로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363)으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였으며, 피복천공기(310)에 수납홈(312)을 형성하여 스프링(363)이 수납홈(312)에 끼워지도록 하였고, 피복천공기(310) 내부에 스토퍼부(313)를 형성하여 제1부재(361)의 하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였다.
이의 작동상태를 설명해 보면, 작업자가 천공피복수집기(320)의 손잡이부(324)를 한손으로 잡고 천공할 부분에 피복천공용 농기구(300)를 얹어놓은 후 손잡이부(324)를 하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피복천공용 농기구(300)의 자중에 의해 커터부(311)가 피복(C)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도 4a 참조), 스프링(312)이 눌려지면서 천공피복수집기(320)와 제1부재(361) 및 제2부재(362)가 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이후, 피복천공기(310)에 제1부재(361)가 걸리게 되면, 피복천공용 농기구(300)가 전체가 하방향으로 눌려져서, 피복(C)이 피복천공기(310)의 커터부(311)에 의해서 절개되면서, 절개되어진 피복(C)이 걸림부(323)에 끼워져 고정된다(도 4b 참조). 이후, 피복천공용 농기구(300)를 들어올리면, 절개되어진 피복(C)이 걸림부(323)에 끼워진 상태로 들어올려지게 되므로, 대략 피복천공기(310)의 직경만큼의 토양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피복천공기(310)의 커터부(311)가 토양(E)속에 묻혀진 자갈 등의 골재들에 걸려서 토양(E)에 깊게 박히지 않더라도,천공피복수집기(32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절개되어진 피복(C)을 수거하게 되므로, 절개되어진 피복(C)을 보다 확실하게 수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커터부(311)가 피복(C)을 2차에 걸쳐서 타격하게 되므로, 피복(C)의 절개가 보다 확실하게 수행되는 장점이 있다.
도 5에 도시된 피복천공용 농기구(400)는, 하단에 커터부(411)가 형성되고, 상단 외주면에 손잡이부(412)가 형성되어진 통형태의 피복천공기(410)와 ; 직선 바아형태를 이루는 수집기본체(421)의 하단에 드릴부(422)와 걸림부(423)가 구비되어진 천공피복수집기(420) ; 천공피복수집기(420)의 상단에 일체 형성되어 피복천공기(410) 상단 내주면에 탈착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수집기 고정기구(430) 및; 중심부분에 관통된 구멍이 형성되어, 피복천공기(210)의 내주면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는 수집기 가이드기구(45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집기 가이드기구(450)의 관통 구멍에 수집기본체(421)가 끼워진 상태에서, 수집기 가이드기구(450)가 피복천공기(410)의 내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므로, 피복천공용 농기구(400)를 이용하여 피복 천공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절개되어진 피복들이 수집기본체(421)에 층을 이루며 끼워져서, 하단에 위치한 피복들이 걸림부(423)에 끼워진 상태에서, 수집기 가이드기구(450)가 자중에 의해 절개되어진 피복들을 하방향으로 누르게 된다. 따라서, 수집기본체(421)에 끼워진 절개되어진 피복들이 빈틈없이 차곡차곡 쌓여지게 된다. 상기 수집기 가이드기구(450)는 수집기본체(421)가 횡방향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1과 도 2, 도 4a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천공기(110 ; 210 ; 310 ; 410)의 외주면에 천공거리조절기구(140 ; 240 ; 340 ; 440)를 설치하면, 피복천공시 다음 천공할 위치가 자동으로 표시되므로, 로프를 수작업으로 매듭지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도 1의 경우에는, 직선 형태의 본체(141)의 양쪽 선단에 드릴부(142)와 체결부(143)가 각각 형성되어서, 스크류나 보울트 등의 체결부재(144)를 매개로 피복천공기(110)의 외주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천공거리조절기구(140)를 이용하였다. 이러한 천공거리조절기구(14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한 길이를 갖추고 있는 천공거리조절기구(140)를 선택하여 피복천공기(110)에 설치하면 된다.
도 2의 경우에는, 신축가능한 천공거리조절기구(240)를 이용하였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피복천공기(210)의 외주면에 용접 고정되는 통형태의 제1부재(241)와 ; 양쪽 선단에 제1부재(241)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부(244)와, 다음 천공위치를 표시하는 드릴부(142)가 각각 구비되어진 제2부재(242)로 이루어진 천공거리조절기구(240)를 이용하였다. 이러한 천공거리조절기구(140)를 이용하게 되면,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서 천공거리조절기구(140)를 교체 설치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잇점이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241)의 내주면에 가이드홈(241a)과, 상호 등간격을 이루는 안착홈(241b)들을형성하고, 또한 제2부재(242)의 고정부(244)에 수납홈(244a)을 형성하여, 수납홈(244a)에 삽입된 고정구(246)가 스프링(245)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탄발지지되도록 하면, 제2부재(242)가 절도있게 신축된다. 상기 수납홈(244a)에 삽입된 스프링(245)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탄발지지되는 고정구(246)는 제1부재(241)의 가이드홈(241a)을 따라 이동되어서 안착홈(241b)들에 단계별로 끼워져 고정된다.
도 4a 및 도 4b의 경우에는, 체결구멍(341a)들이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피복천공기(310)의 외주면에 용접고정되는 본체(341)와 ; 본체(341)의 체결구멍(341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드릴(342)로 이루어진 천공거리조절기구(340)를 이용하였다. 이러한 천공거리조절기구(140)를 이용하게 되면,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서 드릴(342)의 체결위치를 변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은 있지만, 드릴(342)만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5의 천공거리조절기구(440)는 도 1에 도시된 천공거리조절기구(410)와 동일한 것을 이용하였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피복들이 피복천공기에 의해서 동일한 크기로 손쉽게 절개되고, 절개되어진 피복들은 천공피복수집기에 의해서 자동으로 수거되므로, 피복천공작업 및 천공피복 수거작업이 상당히 편리하고 단순하게 되어, 작업자의 노동부하가 크게 절감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천공피복 미수거로 인한 토양오염 및 주변 환경의 오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6)

  1. 하단에 커터부(111 ; 211 ; 311 ; 411)가 형성되어진 통형태의 피복천공기(110 ; 210 ; 310 ; 410)와 ; 피복천공기(110 ; 210 ; 310 ; 410)에 고정되어서 이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천공되어진 피복(C)을 자동으로 수거하는 천공피복수집기(120 ; 220 ; 320 ; 4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천공용 농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피복수집기(120 ; 220 ; 320 ; 420)가 수집기 고정기구(130 ; 230 ; 330 ; 420)를 매개로 피복천공기(110 ; 210 ; 310 ; 4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천공용 농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천공기(210 ; 310)의 내주면에 수집기 가이드기구(250 ; 350)가 고정되고, 수집기 가이드기구(250 ; 350)에 천공피복수집기(220 ; 320)가 이동가능하게 관통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천공용 농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기 가이드기구(450)가 피복천공기(410)의 내주면에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천공용 농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피복수집기(320)가 피복천공기(310)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피복천공기(310)에 수집기 탄발지지기구(360)가 내설되어서, 천공피복수집기(320)가 수집기 탄발지지기구(360)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탄발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천공용 농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천공기(110 ; 210 ; 310 ; 410)의 외주면에 천공거리조절기구(140 ; 240 ; 340 ; 440)가 돌출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천공용 농기구.
KR2020010034923U 2001-11-14 2001-11-14 피복천공용 농기구 KR2002656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923U KR200265683Y1 (ko) 2001-11-14 2001-11-14 피복천공용 농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923U KR200265683Y1 (ko) 2001-11-14 2001-11-14 피복천공용 농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683Y1 true KR200265683Y1 (ko) 2002-02-21

Family

ID=7311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923U KR200265683Y1 (ko) 2001-11-14 2001-11-14 피복천공용 농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6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899B1 (ko) 이랑 멀칭 비닐천공기
RU263617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и регулирования несущих проволок в ряду растений
EP0834249B1 (de) Pflanzsystem
CN203340557U (zh) 烤烟等距移栽打孔器
KR200265683Y1 (ko) 피복천공용 농기구
JPH08130929A (ja) 移植器
KR102134014B1 (ko) 농작물 재배용 멀칭매트 천공장치
JP3279538B2 (ja) 栽培用容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栽培方法
EP0460812B1 (en) Method of cultivating cut flower of rose and system for achieving same
KR200424926Y1 (ko) 멀칭비닐 천공기
KR20160038368A (ko) 작물 줄기 유인 장치
KR200419460Y1 (ko) 멀칭비닐 천공기
CN109168428B (zh) 一种园林花苗种植挖坑设备
KR20180003388U (ko) 다용도 유인구
JPH0797935B2 (ja) 長根作物栽培方法及び長根作物の収穫装置
JP2012024024A (ja) 交雑防止または交差防止用の部材および植物栽培装置ならびに植物栽培方法。
JP2005341903A (ja) 農業用マルチフィルム敷設方法及び敷設具
JP6986319B2 (ja) 成長コントロール植物栽培容器、および植物成長コントロール方法
KR200335441Y1 (ko) 딸기모종 홈파기장치
JP4384534B2 (ja) 育苗具並びに育苗方法
CN210745954U (zh) 一种马铃薯原原种覆膜种植除膜打孔器
JP2001037337A (ja) 栽培容器ユニット及びこれを利用した高設栽培装置
KR100653870B1 (ko) 덩굴식물의 덩굴 지지장치
JPH10178820A (ja) 定植用補助具
KR200178246Y1 (ko) 육묘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