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285Y1 - 핸드피스용 모터하우징 - Google Patents

핸드피스용 모터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285Y1
KR200265285Y1 KR2020010036663U KR20010036663U KR200265285Y1 KR 200265285 Y1 KR200265285 Y1 KR 200265285Y1 KR 2020010036663 U KR2020010036663 U KR 2020010036663U KR 20010036663 U KR20010036663 U KR 20010036663U KR 200265285 Y1 KR200265285 Y1 KR 2002652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piece
motor housing
stator
rotor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6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수
Original Assignee
(주)마이크로엔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크로엔엑스 filed Critical (주)마이크로엔엑스
Priority to KR20200100366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2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2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285Y1/ko

Links

Landscapes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핸드피스용 모터하우징은 내부에 고정자와 회전자가 설치되고, 선단부에 환형링, 이동부재, 탄성부재 등이 차례로 내장됨과 더불어 종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가 체결되어 핸드피스의 내부에 고정되는 핸드피스용 모터하우징에 있어서, 탄성부재의 선단 둘레면을 걸리게 하는 환형돌기와 암나사 중의 하나가 선단 내부면 둘레에 형성되고, 핸드피스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의 공간과 연통하는 다수의 통기공이 중앙부 둘레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선단부에 형성된 암나사가 모터의 축 선단에 위치하는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때문에 스프링과 함께 선단부에 배치된 그 밖의 구성요소의 이탈을 용이하게 방지하여 핸드피스를 순서대로 분해하게 하여 핸드피스의 재조립 순서를 파악하기 쉽게 하며, 본체와 모터하우징에 형성된 통기공을 통하여 공기가 쉽게 유통하기 때문에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내부의 열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어 핸드피스를 용이하게 냉각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핸드피스용 모터하우징{MOTOR HOUSE IN HAND PIECE}
본 고안은 모터의 구성요소인 고정자와 회전자를 내장하는 핸드피스용 모터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의 축 선단에 위치하는 스프링과 그밖의 구성요소의 이탈을 용이하게 방지하고,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드피스용 모터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핸드피스는 치과에서 치아의 연삭, 인공치아의 연삭, 보석이나 목공예의 섬세한 부분의 연삭 등에 사용하게 되며,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치아 또는 보석을 동력 기공하는 공구이며, 전기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것과 에어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것 등이 있다.
예컨대 전기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핸드피스는 인체의 치아, 모형치아 및 정교한 공예품 등을 연삭하는 것이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하우징(101)의 내부면에 고정자(102)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자(102)의 중심에 회전자(103)가 배치되며, 상기 회전자(103)의 축(103a)이 가공팁(미도시)과 연동하는 종동축(104)과 연결되며, 상기 모터하우징(101)의 선단부에는 다수의 환형링(105), 이동부재(106), 탄성부재(107) 등이 설치되며, 상기 모터하우징(101)의 선단 외부 둘레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상기 종동축(10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108)가 체결되어 상기 탄성부재(107)를 지지하게 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즉 종래의 모터하우징(101)은 내부에 고정자(102)와 회전자(103)가 설치되며, 선단부에 환형링(105), 이동부재(106) 및 탄성부재(107)가 내장됨과 더불어 종동축(104)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자(103)의 축(103a)과 연결되면서 지지체(108)가 체결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지지체(108)를 분리하게 되면 모터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한 탄성부재(107)가 튕겨서 이탈하면서 이동부재(106)와 환형링(105) 등이쉽게 이탈할 수 있기 때문에, 기계적 구조를 쉽게 파악하지 못하는 의사 또는 작업자가 쉽게 조립할 수 없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모터의 축 선단에 위치하는 스프링이 튕겨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그 밖의 구성요소의 이탈을 용이하게 방지하여 핸드피스를 순서대로 분해하게 하여 핸드피스의 재조립 순서를 파악하기 쉽게 하고,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핸드피스용 모터하우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고정자와 회전자가 설치되고, 선단부에 환형링, 이동부재, 탄성부재 등이 차례로 내장됨과 더불어 종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가 체결되어 핸드피스의 내부에 고정되는 핸드피스용 모터하우징에 있어서, 탄성부재의 선단 둘레면을 걸리게 하는 환형돌기와 암나사 중의 하나가 선단 내부면 둘레에 형성되고, 핸드피스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의 공간과 연통하는 다수의 통기공이 중앙부 둘레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핸드피스용 모터하우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모터하우징이 적용되는 핸드피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핸드피스용 모터하우징을 나타내는 핸드피스의 부분 생략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핸드피스용 모터하우징의 사시도,
도 4는 종래에 관련하는 핸드피스용 모터하우징을 나타내는 핸드피스의 부분 생략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핸드피스 2 : 고정자
3 : 회전자 6 : 탄성부재
10 : 모터하우징 11 : 암나사
12 : 통기공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모터하우징이 적용되는 핸드피스 및 이의도면으로서, 핸드피스(1)의 내부에 모터하우징(10)이 설치된다.
상기 모터하우징(10)은 그 내부에 고정자(2)와 회전자(3)가 설치되고, 선단부에 환형링(4), 이동부재(5), 탄성부재(6) 등이 차례로 내장됨과 더불어 종동축(7)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8)가 체결되어 핸드피스(1)의 내부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핸드피스용 모터하우징(1)은 선단 내부면 둘레에 형성하여 상기 탄성부재(6)의 선단 둘레면에 걸림 가능하게 되는 암나사(11), 그리고 핸드피스(1)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고정자(2)와 회전자(3) 사이의 공간과 연통하는 통기공(12)을 포함한다.
물론 상기 암나사(11)를 대신하여 환형돌기(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핸드피스용 모터하우징(1)의 둘레면에는 본체(9)가 배치되며, 상기 본체(9)에 상기 통기공(12)과 일치하는 통기공(9a)을 형성하는 것이 자명하다.
또한 종래와 마찬가지로 상기 핸드피스(1)의 내부면에는 상기 고정자(2)가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자(2)의 중심에 회전자(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자(3)의 축(3a)과 종동축(7)이 연결되며, 종동축(7)의 선단부에는 치아 또는 공예품을 연삭하는 팁(미도시)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핸드피스용 모터하우징은 회전자(3)에 전기를 인가하면 고정자(2)와 회전자(3) 사이의 공간에서 열이 발생되지만 모터하우징(10)에 형성된 통기공(12)과 본체(9)에 형성된 통기공(9a)을 통하여 공기의 유통이 원활하게 되어 내부의 열이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의사 또는 작업자가 사용하다가 내부의 청소 등을 이유로 지지체(8)를 풀게 되면 모터하우징(10)에 형성된 암나사(11)로 인하여 탄성부재(11)가 걸려서 외부로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모터하우징(10)의 선단부의 구성요소를 순서대로 분해하면서 주지하기 쉬우며, 다시 역순으로 용이하게 조립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핸드피스용 모터하우징은 선단부에 형성된 암나사가 모터의 축 선단에 위치하는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때문에 스프링과 함께 선단부에 배치된 그 밖의 구성요소의 이탈을 용이하게 방지하여 핸드피스를 순서대로 분해하게 하여 핸드피스의 재조립 순서를 파악하기 쉽게 하며, 본체와 모터하우징에 형성된 통기공을 통하여 공기가 쉽게 유통하기 때문에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내부의 열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어 핸드피스를 용이하게 냉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내부에 고정자와 회전자가 설치되고, 선단부에 환형링, 이동부재, 탄성부재 등이 차례로 내장됨과 더불어 종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가 체결되어 핸드피스의 내부에 고정되는 핸드피스용 모터하우징에 있어서,
    탄성부재(6)의 선단 둘레면을 걸리게 하는 환형돌기와 암나사(11) 중의 하나가 선단 내부면 둘레에 형성되고, 핸드피스(1)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고정자(2)와 회전자(3) 사이의 공간과 연통하는 다수의 통기공(12)이 중앙부 둘레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핸드피스용 모터하우징.
KR2020010036663U 2001-11-28 2001-11-28 핸드피스용 모터하우징 KR2002652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663U KR200265285Y1 (ko) 2001-11-28 2001-11-28 핸드피스용 모터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663U KR200265285Y1 (ko) 2001-11-28 2001-11-28 핸드피스용 모터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285Y1 true KR200265285Y1 (ko) 2002-02-21

Family

ID=73071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663U KR200265285Y1 (ko) 2001-11-28 2001-11-28 핸드피스용 모터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2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882B1 (ko) 2008-11-24 2010-10-13 안순애 냉각수단을 구비한 핸드피스
KR102173423B1 (ko) * 2019-06-21 2020-11-03 주식회사 세양 핸드피스 구동용 모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882B1 (ko) 2008-11-24 2010-10-13 안순애 냉각수단을 구비한 핸드피스
KR102173423B1 (ko) * 2019-06-21 2020-11-03 주식회사 세양 핸드피스 구동용 모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0884B2 (en) Air-moving appliance including an attachment
US5252067A (en) Handpiece for dental medical treatment
US3847154A (en) Surgical drill with detachable hand-piece
JP3123272U (ja) 電動耳かき器及びパーツ
JP4693415B2 (ja) 歯科用ミラー
MXPA06002174A (es) Aditamento para angulo recto para herramienta manual electrica que tiene una fuente de luz con un suministro de energia electrica de auto-produccion.
WO2008105951A3 (en) Universal rechargeable limited reuse assembly for ophthalmic hand piece
JP3448229B2 (ja) モータ内蔵ハンドピース
KR200265285Y1 (ko) 핸드피스용 모터하우징
KR20210001193A (ko) 기능 모듈이 결합된 휴대용 선풍기
HK1077187A1 (en) Powered handpiece for dental or surgical use
KR100302963B1 (ko) 착탈가능한모터를가진치과용핸드피스
US2891312A (en) Combined bearing and turbine element
JP5193508B2 (ja) 接続部材及び歯科用ハンドピース装置
KR101089276B1 (ko) 핸드피스
ATE315905T1 (de) Elektrisch betriebener schläger und rührer
DE60309616D1 (de) Vorrichtung zum Verdampfen von Insektizid
CN210130949U (zh) 一种水气分离高速手机
WO2024004275A1 (ja) 送風機、送風機付衣服
JP3228173U (ja) 衣服内冷却用送風機、送風機付衣服
KR200372964Y1 (ko) 침대용 회동제어기어의 이탈방지구조
JPH0690964A (ja) 歯科用ハンドピース
JPH1024052A (ja) 歯科用マイクロモータハンドピース
JP2514985Y2 (ja) 歯科用研磨装置
JPH05208025A (ja) 歯科医療用ハンドピ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