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451Y1 - 골프 스윙연습기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451Y1
KR200264451Y1 KR2020010035954U KR20010035954U KR200264451Y1 KR 200264451 Y1 KR200264451 Y1 KR 200264451Y1 KR 2020010035954 U KR2020010035954 U KR 2020010035954U KR 20010035954 U KR20010035954 U KR 20010035954U KR 200264451 Y1 KR200264451 Y1 KR 2002644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
golf
pulley
support plate
exerci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9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영
Original Assignee
유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영 filed Critical 유광영
Priority to KR20200100359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4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4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451Y1/ko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습자가 스윙하여 골프볼을 티로부터 쳐낸 다음 이를 쉽게 티위에 원위치시켜 편리하게 반복연습을 실시할 수 있고, 스윙및 퍼팅연습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퍼팅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면서 연습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효율좋은 연습을 실시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골프 스윙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그물망이 받침판의 전방측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받침판의 상부측으로는 승강판이 배치되어 받침판에 대하여 승하강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내장되는 권취모터를 갖추고, 상기 권취모터에 의해서 당겨지는 줄을 통하여 연결된 골프볼을 승강판의 티위에 복귀시켜 올려 놓는 볼장착부; 상기 줄을 권취기의 권취 반대방향으로 당겨 줄이 이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장력 이완부; 및, 상기 볼이 티위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센서를 갖추고, 연습자의 입력신호를 받는 스위치등이 구비되며, 상기 권취모터를 제어하도록 된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스윙후 타격된 볼을 티상에 자동으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되는 골프 스윙 연습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골프 스윙연습기{AN APPARATUS FOR EXERCISING GOLF SWING}
본 고안은 실내및 좁은 공간에서 효율좋게 스윙(swing) 연습을 실시할 수 있는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연습자가 스윙하여 골프볼을 티로부터 쳐낸 다음 이를 쉽게 티위에 원위치시켜 편리하게 반복연습을 실시할 수 있고, 스윙및 퍼팅연습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퍼팅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면서 연습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효율좋은 연습을 실시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골프 스윙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운동은 스윙연습을 반복적이고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야 골퍼의 몸근육이 이들 스윙 동작을 기억하여 연습효과를 얻을 수 있는 운동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골퍼들은 이와 같은 스윙연습을 지속하기 위해서 실내 연습장등을 찾게 되고, 이 같은 실내 연습장을 통한 연습은 효과적일 수 있으나 비용적인 측면과 장소의 이동에 따른 시간적인 측면에서 여유롭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골프 스윙연습에 못지 않게 퍼팅연습의 중요성은 말할 나위도 없다.
그러나, 종래에는 마땅히 퍼팅을 연습할 만한 공간이 부족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여러가지 실내 골프 연습기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실내 골프 연습기들은 스윙과 퍼팅을 동시에 연습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고, 스윙연습을 하기 위한 스윙매트와 그물망을 별도로 준비하고, 퍼팅연습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퍼팅 매트를 준비하여 각각 따로 따로 연습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연습자들은 이들을 각각 별도로 구입하여야 함으로써 이중적인 장비구입을 하게 되고, 특히 각각 따로따로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보다 큰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효율적인 공간활용에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스윙연습기는 골퍼가 골프볼을 타격하게 되면, 이는 티로 부터 날라가서 그물망등에 걸려 정지하게 되고, 그대로 그 주위에 떨어진 상태를 남아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골퍼들은 여러개의 골프볼들을 준비하여야 하는 것이고, 골프볼들을 타격한 다음에는 매번 이를 수거하며, 티위에 골프볼들을 올려 놓기 위해서는 각각의 골프볼마다 손으로 들어 올려야 하기 때문에 골프연습이 번거로워서 스윙연습의 리듬을 깰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는 별도의 고가의 골프볼 티-업기기등을 구입해야 함으로써 경제적인 부담은 더욱 가중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골프 연습자가 스윙하여 골프볼을 티로부터 쳐낸 다음 이를 쉽게 티위에 원위치시켜 반복연습을 실시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을 높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스윙및 퍼팅연습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퍼팅 연습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퍼팅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면서 연습할 수 있음으로써 효율좋은 골프 연습을 실시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골프 스윙연습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제 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기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제 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 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기에 갖춰진 권취모터를 도시한 사시도;
제 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기에 갖춰진 코일 스프링의 외관 사시도;
제 5도의 a),b),c)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기의 작동상태도로서,
a)도는 티위에 골프볼이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b)도는 티위의 골프볼을 타격하여 골프볼이 전방향으로 날아간 상태를 도
시한 설명도;
c)도는 권취모터가 작동하여 티위에 골프볼을 재차 올려놓은 상태를 도시
한 설명도;
제 6도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기에 갖춰진 퍼팅 연습상황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로서,
a)도는 승강판이 하강되어 경사도를 낮게 유지한 상태로 퍼팅을 실시하는 설명도;
b)도는 승강판을 상승시켜 경사도를 크게 한 상태에서 퍼팅을 실시하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그물망 8..... 몸체부
10.... 받침판 14.... 승강판
25.... 티 30,30a... 골프볼
35.... 줄 50.... 코일 스프링
60.... 스위치 70.... 골프볼 검지센서
82.... 연결끈 90.... 승하강 모터
98.... 롤러 102... 홀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내및 좁은 공간에서 효율좋게 스윙(swing) 연습을 실시할 수 있는 골프 연습기에 있어서, 그물망이 받침판의 전방측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받침판의 상부측으로는 승강판이 배치되어 받침판에 대하여 승하강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내장되는 권취모터를 갖추고, 상기 권취모터에 의해서 당겨지는 줄을 통하여 연결된 골프볼을 승강판의 티위에 복귀시켜 올려 놓는 볼장착부; 상기 줄을 권취기의 권취 반대방향으로 당겨 줄이 이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장력 이완부; 및, 상기 볼이 티위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센서를 갖추고, 연습자의 입력신호를 받는 스위치등이 구비되며, 상기 권취모터를 제어하도록 된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스윙후 타격된 볼을 티상에 자동으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를 마련함에 의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받침판에 내장되는 승하강모터를 갖추고, 상기 승하강모터는 승강판의 일측에 줄을 통하여 연결되어 받침판에 대하여 상기 승하강판을상하 경사이동시키도록 된 경사조절부;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1)는 실내및 좁은 공간에서 효율좋게 골프스윙연습을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도 1및 도 2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5)이 받침판(10)의 전방측에 고정볼트(5a)등에 의해서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받침판(10)의 상부측으로는 승강판(14)이 배치되어 받침판(10)에 대하여 승하강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몸체부(8)를 갖는다.
상기 몸체부(8)는 받침판(10)이 〔 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상부면은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단 모서리는 높이차를 유지하며, 전방부측의 높이(h1)가 후방부측의 높이(h2)보다 높게 형성되며, 중간부분은 그 높이차이가 이어지도록 된 경사부(16)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10)의 상부측에 올려지는 승강판(14)은 상기 받침판(10)의 개방부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것으로서, 그 상부면에는 마치 골프장의 퍼팅그린(Putting Green)과 같은 질감및 촉감을 주는 인조잔디층(14a)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는 그 측방 하단모서리들이 받침판(10)의 측방 내면에 다수개가 형성된 받침돌기(20)들에 지지되어 상기 받침판(10)의 상측 개방부를 덮도록 되어 있고, 후방 일측으로는 관통구멍(22)을 형성하고, 그 상부면에 중공 원통형의 고무티(25)를 배치하고, 고정구(25a)에 의헤서 장착하여 골프볼(30)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8)에 내장되는 권취모터(33)를 갖추고, 상기 권취모터(33)에 의해서 당겨지는 줄(35)을 통하여 연결된 골프볼(30)을 승강판(14)의 티(25)위에 복귀시켜 올려 놓는 볼장착부(37)를 구비하는 바, 상기 볼장착부(3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권취모터(33)를 갖추고, 상기 권취모터(33)의 회전축(33a)에는 전자석 클러치(41)가 위치되어 그 내부에서 풀리(43)의 축(43a)과 상기 모터(33)의 회전축(33a)을 전자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풀리(43)에는 골프볼(30)에 연결된 줄(35)이 감겨지는 바, 상기 줄(35)은 그 일단이 풀리(43)에 감겨지고, 그 타단은 골프볼(30)의 중앙을 관통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권취모터(33)의 작동은 풀리(43)를 회전시켜서 골프볼(30)을 모터(33)측으로 당기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자석 클러치(41)는 상기 권취모터(33)와 동시적으로 작동되는 것으로서, 모터(33)의 감김작동시에는 전자석 클러치(41)를 동작시켜 풀리(43)를 회전시키고, 모터(33)의 작동이 정지되는 경우에는 전자력을 정지시켜 풀리(43)의 축(43a)과 모터(33)의 회전축(33a)을 서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분리시키고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코일 스프링(50)에 의해서 상기 줄(35)이 권취방향의 반대측으로 당겨지는 경우, 풀리(43)의 자유로운 공회전을 허용함으로써 줄(35)이 쉽게 풀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권취모터(33)와 전자석 클러치(41)는 상기 받침판(10)에 내장된 콘트롤러(5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되며, 상기 콘트롤러(55)는 전원이 공급되기 위한 콘센트(57)를 받침판(10)의 일측에 구비하고, 상기 콘센트(57)에는 콘트롤러(55)를 통하여 전기적인 조작을 이루기 위한 스위치(60)가 플러그(62)를 통하여 연결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콘트롤러(55)에는 승강판(14)의 티(25)위에 골프볼(30)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골프볼 검지센서(7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 상기 골프볼 검지센서(70)는 상기 승강판(14)의 일측에 고정되어 티(25)위의 골프볼(30)을 검출하는 포토센서(Photo Sensor)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받침판(10)내의 콘트롤러(5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전기도선(72)의 중간부분에는 플러그(72a)와 콘센트(72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골프볼(30)이 티(25)위에 있을 경우, 상기 줄(35)을 권취모터(33)의 권취 반대방향으로 당겨 줄(35)이 이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코일 스프링(50)을 구비한 장력 이완부(80)를 갖는 바, 상기 장력 이완부(80)는 도 4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모터(33)의 반대측에, 즉 전방측의 권취모터(33)의 반대측 후방 받침판(10)내측에 위치된 코일 스프링(50)과 상기 코일 스프링(50)에 끼워진 풀리(51)및 이들을 덮기 위한 커버(50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풀리(51)에는 상기 권취모터(33)의 풀리(43)와 골프볼(30)을 이어주는 줄(35)의 중간부분에 선단이 결합된 연결끈(82)이 감겨지며, 권취모터(33)가 줄(35)을 당겨 풀리(43)에 감게 되면, 코일 스프링(50)에 연결된 풀리(51)가 회전되어 코일 스프링(50)이 풀려지면서 그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게 되고, 만일 권취모터(33)와 전자석 클러치(41)에 전원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코일스프링(50)의 탄성복원력으로서 풀리(51)을 다시 역회전시키고 연결끈(82)을 통하여줄(35)을 당겨 풀리(43)로 부터 줄(35)이 풀어지도록 하고, 승강판(14)의 티(25)위에 올려진 골프볼(30)로 부터 연장되는 줄(35)이 티(25) 아래부분에 이완된 상태로 모여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받침판(10)의 전방측에 내장되는 승하강모터(90)를 갖추고, 상기 승하강모터(90)는 승강판(14)의 일측에 줄(35)을 통하여 연결되어 받침판(10)에 대하여 상기 승하강판(14)을 상하 경사이동시키도록 된 경사조절부(92)를 추가 포함하여 그린의 경사조절이 가능한 퍼팅 연습기로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모터(90)는 받침판(10)의 전방 내측에 장착되고, 그 회전축(90a)에 연결된 풀리(94)에는 줄(96)이 감기며, 상기 줄(35)은 받침판(10)의 전방측면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고, 받침판(10)의 상단모서리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롤러(98)에 감겨서 그 선단이 상기 승강판(14)의 전방 상부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승하강모터(90)의 작동은 풀리(94)를 통하여 줄(96)을 감게 되고, 이는 롤러(98)를 통하여 상기 승강판(14)의 전면을 들어 올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승강판(14)은 전방측이 높아지게 되어 전체적으로 그 경사도가 조절되고, 연습자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판(14)의 티(25)측방의 공간부분과 승강판(14)의 전방측에 마련된 홀컵(102)을 이용하여 퍼팅연습을 하는 과정에서 승강판(14)의 경사도를 조절하여 퍼팅한 골프볼을 회수하거나, 마치 그린의 경사도를 다르게 하여 퍼팅 연습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25)위에 골프볼(30)이 올려져 있고, 티(25) 아래부분에는 골프볼(30)로 부터 티(25)의 중앙을 관통하여 하부측으로 연장된 줄(35)이 이완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며, 코일 스프링(50)에는 탄성력이 축적되지 않은 상태이며, 골프볼 검지센서(70)는 골프볼(30)을 인식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습자가 스윙하여 골프볼(30)을 타격하면 골프볼(30)은 그 충격력으로 전방으로 날아가고, 몸체부(8)의 전방측에 위치된 그물망(5)에 부딪쳐서 정지된다. 이러한 경우, 골프볼(30)이 자유롭게 날아가기 위해서는 상기 줄(35)이 충분하게 이완되어 있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상기 이완된 줄(35)의 길이가 상기 티(25)로 부터 그물망(5)까지의 골프볼(30)의 비행거리보다 길어야 함이 당연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골프볼(30)이 타격되고 나면, 이를 다시 티(25)위로 복귀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서 연습자는 스위치(60)의 보턴 조작을 통하여 권취모터(33)와 전자석 클러치(41)에 전원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권취모터(33)는 풀리(43)를 회전시키면서 줄(35)을 당겨 풀리(43)에 감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코일 스프링(50)은 줄(35)에 연결된 연결끈(82)부분이 풀리(43)측으로 이끌리면서 풀리(51)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풀리(51)의 내측에서 탄성복원력을 축적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지속되면, 결과적으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프볼(30)이 티(25)상에 끌려 올려질 때까지 상기 권취모터(33)의 작동은 지속될 것이며, 이러한 상태는 상기 줄(35)과 연결끈(82)의 일부분이 풀리(43)에 감겨질정도인 것이다.
이와 같이 티(25)위에 골프볼(30)이 올려지면, 이는 골프볼 검지센서(70)에 의해서 골프볼(30)이 인식되어지며, 상기 센서(70)는 그 검지신호를 콘트롤러(55)에 제공하여 상기 콘트롤러(55)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권취모터(33)와 전자석 클러치(41)의 전원을 차단시킨다. 따라서 전원이 차단된 전자석 클러치(41)는 풀리(43)를 자유회전상태로 해방시키고, 그에 따라서, 코일 스프링(50)에 복원된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연결끈(82)과 줄(35)들은 코일 스프링(50)측으로, 즉 상기 권취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이끌리면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된다.
즉, 이러한 상황은 티(25)위에 골프볼(30)이 올려진 상태이고, 코일 스프링(50)은 그 복원력으로서 풀리(51)를 통하여 줄(35)을 당겨 그 선단이 티(25)아래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티(25)아래부분에 줄(35)이 이완된 상태로 축적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줄(35)이 이완되어 축적되도록 하는 이유는 연습자가 스윙을 함으로서 골프볼(30)을 타격하게 되면, 이와 같이 이완된 상태의 줄(35)로 인해서 마치 골프볼(30)에 줄(35)이 매달리지 않은 듯한 느낌을 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하여 연습자는 반복적으로 스윙하여 골프볼(30)을 티(25)로부터 쳐낸 다음 이를 쉽게 티(25)위에 원위치시켜 반복연습을 실시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을 높이고, 스윙연습의 감을 잊지 않은 상태로 연속 연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연습자는 상기와 같은 스윙뿐만 아니라, 퍼팅연습도 동시에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승강판(14)의 티(25)측방의 공간부분과 승강판(14)의 전방측에마련된 홀컵(102)을 이용하여 퍼팅연습을 할 수 있고, 이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35)을 매달지 않은 골프볼(30a)들을 이용하게 되며, 몇개의 골프볼(30a)들을 연속적으로 퍼팅하고 나면,이러한 골프볼(30a)들은 상기 홀컵(102)주위에 모여 있을 것이고, 연습자는 이 볼(30a)들을 다시 귀환시키기 위하여 스위치(60)의 보턴(60a)을 조작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승하강모터(90)가 동작하여 풀리(94)를 통하여 줄(96)을 감게 되고, 이는 롤러(98)를 통하여 상기 승강판(14)의 전면을 들어 올리게 되어 골프볼(30a)들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의 퍼팅위치로 굴러서 귀환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골프볼(30a)들이 귀환되고 나면, 연습자는 다시 스위치(60)의 보턴(60a)조작을 통하여 승하강모터(90)를 역회전시키게 되면 승강판(14)은 그 자중에 의해서 하강되어 높이조절되고, 그에 따라서 승강판(14)의 경사도를 조절하여 최초의 상태로 복귀시키거나, 다른 경사각도로 조절하여 마치 그린의 경사도를 다르게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연습자는 본 고안을 통하여 스윙및 퍼팅연습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골프 연습자가 스윙하여 골프볼(30)을 티(25)로부터 쳐낸 다음, 간단한 스위치(60)조작에 의해서 이를 쉽게 티(25)위에 원위치시켜 반복연습을 실시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을 높이고 스윙연습의 감을 잊어버리지 않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스윙및 퍼팅연습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퍼팅 연습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승강판(14)의 경사도를 조절하여 퍼팅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면서 연습할 수 있음으로써 효율좋은 골프 연습을 실시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이다.

Claims (6)

  1. 실내및 좁은 공간에서 효율좋게 스윙(swing) 연습을 실시할 수 있는 골프 연습기에 있어서, 그물망(5)이 받침판(10)의 전방측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받침판(10)의 상부측으로는 승강판(14)이 배치되어 받침판(10)에 대하여 승하강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몸체부(8); 상기 몸체부(8)에 내장되는 권취모터(33)를 갖추고, 상기 권취모터(33)에 의해서 당겨지는 줄(35)을 통하여 연결된 골프볼(30)을 승강판(14)의 티(25)위에 복귀시켜 올려 놓는 볼장착부(37); 상기 줄(35)을 권취기의 권취 반대방향으로 당겨 줄(35)이 이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코일 스프링(50)을 구비한 장력 이완부(80); 및, 상기 볼이 티(25)위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센서(70)를 갖추고, 연습자의 입력신호를 받는 스위치(60)등이 구비되며, 상기 권취모터(33)를 제어하도록 된 콘트롤러(55);를 포함하여 스윙후 타격된 볼을 티상에 자동으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에 내장되는 승하강모터(90)를 갖추고, 상기 승하강모터(90)는 승강판(14)의 일측에 줄(96)을 통하여 연결되어 받침판(10)에 대하여 상기 승하강판(14)을 상하 경사이동시키도록 된 경사조절부(92);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8)는 받침판(10)의 상단 모서리는 높이차를 유지하며, 전방부측의 높이(h1)가 후방부측의 높이(h2)보다 높게 형성되고, 중간부분은 그 높이차이가 이어지도록 된 경사부(16)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받침판(10)의 상부측에 올려지는 승강판(14)은 그 상부면에 인조잔디층(14a)이 부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모터(33)의 회전축(33a)에는 전자석 클러치(41)가 위치되어 그 내부에서 풀리(43)의 축(43a)과 상기 모터(33)의 회전축(33a)을 전자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풀리(43)에는 골프볼(30)에 연결된 줄(35)이 감겨지며, 상기 줄(35)은 그 일단이 풀리(43)에 감겨지고, 그 타단은 골프볼(30)의 중앙을 관통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권취모터(33)의 작동은 풀리(43)를 회전시켜서 골프볼(30)을 모터(33)측으로 당기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50)의 선단은 권취모터(33)의 풀리(43)와 골프볼(30)을 이어주는 줄(35)의 중간부분에 연결끈(82)을 통하여 결합되어 권취모터(33)가 줄(35)을 당겨 풀리(43)에 감게 되면, 코일 스프링(50)의 둘레에 장착된 풀리(51)가 풀려 나가면서 코일 스프링(50)에 그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게 되고, 권취모터(33)와 전자석 클러치(41)에 전원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코일스프링(50)의 탄성복원력으로서 줄(35)을 당겨 풀리(43)로 부터 줄(35)이 풀어지도록 하고, 승강판(14)의 티(25)위에 올려진 골프볼(30)로 부터 연장되는 줄(35)이티(25) 아래부분에 이완된 상태로 모여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모터(90)는 받침판(10)의 전방 내측에 장착되고, 그 회전축(90a)에 연결된 풀리(94)에는 줄(96)이 감기며, 상기 줄(35)은 받침판(10)의 전방측면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고, 받침판(10)의 상단모서리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롤러(98)에 감겨서 그 선단이 상기 승강판(14)의 전방 상부면에 고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KR2020010035954U 2001-11-22 2001-11-22 골프 스윙연습기 KR2002644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954U KR200264451Y1 (ko) 2001-11-22 2001-11-22 골프 스윙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954U KR200264451Y1 (ko) 2001-11-22 2001-11-22 골프 스윙연습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843A Division KR20030042192A (ko) 2001-11-22 2001-11-22 골프 스윙연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451Y1 true KR200264451Y1 (ko) 2002-02-19

Family

ID=73112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954U KR200264451Y1 (ko) 2001-11-22 2001-11-22 골프 스윙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4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586B1 (ko) 2011-08-02 2013-07-11 서홍태 골프 퍼팅 연습 장치
KR102661553B1 (ko) 2023-07-04 2024-04-25 이종찬 골프 스윙과 퍼팅 연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586B1 (ko) 2011-08-02 2013-07-11 서홍태 골프 퍼팅 연습 장치
KR102661553B1 (ko) 2023-07-04 2024-04-25 이종찬 골프 스윙과 퍼팅 연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1313A (en) Practice device for basketball
US4860717A (en) Self-loading, remotely operable and variable, portable ball throwing apparatus and method
US7273428B2 (en) Baseball retrieval apparatus
US4253663A (en) Golf swing muscle developer
US8137207B2 (en) Golf swing practice apparatus
KR200264451Y1 (ko) 골프 스윙연습기
US3540726A (en) Batting practice apparatus
KR100912012B1 (ko) 다이나믹 롤링식 골프 그린 구현 장치
US4844045A (en) Self-loading, remotely operable and variable, portable ball throw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30042192A (ko) 골프 스윙연습기
GB2039750A (en) Tethered ball training apparatus
KR100912010B1 (ko) 다이나믹 골프 그린 구현 장치
KR200306604Y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6224523B1 (en) Cord controller of exercise device
JP2759008B2 (ja) テザーボール競技用装置
KR100996303B1 (ko) 골프 연습장치
US5711724A (en) Baseball batters warm-up device
CN112221097B (zh) 一种篮球初学者用训练装置
US5700202A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KR200217339Y1 (ko) 골프연습용 골프공 공급장치
KR200190310Y1 (ko) 에어펌프를 이용한 공 자동공급장치
KR200167338Y1 (ko) 골프 타격연습기
KR200442218Y1 (ko) 레저용 수상지상 골프연습 타석대
KR102425012B1 (ko) 스쿼시 연습장치
KR101059376B1 (ko) 다양한 잔디선택이 가능한 골프연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