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388Y1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388Y1
KR200264388Y1 KR2020010034474U KR20010034474U KR200264388Y1 KR 200264388 Y1 KR200264388 Y1 KR 200264388Y1 KR 2020010034474 U KR2020010034474 U KR 2020010034474U KR 20010034474 U KR20010034474 U KR 20010034474U KR 200264388 Y1 KR200264388 Y1 KR 2002643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artificial lighting
artificial
electric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오현
Original Assignee
백오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오현 filed Critical 백오현
Priority to KR2020010034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3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3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388Y1/ko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조명기구를 오르내릴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에 의해 빛을 발산하고 전기코드가 상부에 설치되어있는 인공조명부재; 상기 인공조명부재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하 길이가 변할 수 있는 가변성 연결부재; 상기 가변성 연결부재가 감기는 권취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인공조명부재가 위치할 건물의 대응 천장부위에 장착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부재; 상기 인공조명부재가 상승했을 때 인공조명부재의 전기코드가 결합할 수 있도록 대응 천장부위 또는 회전부재에 설치되는 착탈식 전기소켓; 상기 인공조명부재의 작동을 위한 ON/OFF 스위치; 및, 상기 구동부재의 작동을 위한 UP/DOWN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조명장치를 사용하면, 사무실, 가정집, 공장 등과 같은 건물에서 일정한 주기로 교체를 요하는 조명기구의 교체 또는 수리시, 작업자가 사다리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버튼 조작에 의해 조명기구를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극히 적어지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 {Illuminating Apparatus}
본 고안은 상하로 작동이 가능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천장에 장착되는 조명기구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조명기구의 대응 천장 부위에 조명기구를 내리고 올릴 수 있는 구동장치를 구비하고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건축술의 발전과 더불어 구조물(대표적으로는 건물)에 인공적인 조명을 제공하는 기술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화되어왔다. 자연광을 유입할 수 있도록 건물의 많은 부분에 유리기재를 사용하는 방법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자연광을 이용할 수 없는 흐른 날이나 저녁 또는 밤에는 인위적인 조명이 반드시 필요하고, 건물의 모든 곳에서 자연광을 이용할 수는 없으므로 인공 조명기구는 건물에 필수적이다.
따라서, 건물에는 상당수의 조명기구가 설치되게 되는데, 조명기구에 사용되는 형광등, 백열등 등은 일정한 수명을 가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심미적 실내 환경을 이루려는 욕구에 따라 특히 대형 건물은 높은 천장과 많은 수의 조명기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일정한 수명의 조명기구를 교체하는 작업은 과거와는 달리 더 이상 간단한 작업은 아니다. 특히, 공장과 같은 특수한 환경하에서는 넓은 내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더 높은 천장을 가진 구조의 건물을 필요로 하므로, 이러한 구조물에서의 조명기구의 교체는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그에따른 관리비용 및 작업의 위험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조명기구의 교체가 용이한 조명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은 조명기구의 교체 작업이 전기 스위치의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에는, 조명기구의 교체를 위하여 천장에 고정되어있는 조명장치에 작업자가 도달할 수 있도록 꺽쇠형 사다리나 소형 기중기 등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작업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없었고, 그에 따라 작업자의 추락과 같은 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본 고안은 최근의 무선 인텔리전트 환경의 구성에 부합될 수 있도록 무선으로 조명기구의 상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선 인텔리전트 환경은 실내 공간의 디바이스를 리모트컨트롤러와 같은 무선 제어장치로 작동하는 것을 의미하며, 최근에는 여기에 정보기술이 더하여져 가전 정보, 디지털 가전의 개념으로 확대되고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가 부설된 실내공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조명장치에 사용되는 착탈식 전기소켓의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 조명장치에 부설될 수 있는 흔들림방지 보조부재의 예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 조명장치의 다양한 설치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조명장치 200: 인공조명부재
300: ON/OFF 스위치 320: UP/DOWN 스위치
400: 가변성 연결부재 500: 회전부재
600: 착탈식 전기소켓 700: 구동부재
810, 820: 흔들림방지 보조부재
901, 902, 903, 904: 동력전달부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조명장치는,
전기에 의해 빛을 발산하고 전기코드가 상부에 설치되어있는 인공조명부재;
상기 인공조명부재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하 길이가 변할 수 있는 가변성 연결부재;
상기 가변성 연결부재가 감기는 권취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인공조명부재가 위치할 건물의 대응 천장부위에 장착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부재;
상기 인공조명부재가 상승했을 때 인공조명부재의 전기코드가 결합할 수 있도록 대응 천장부위 또는 회전부재에 설치되는 착탈식 전기소켓;
상기 인공조명부재의 작동을 위한 ON/OFF 스위치; 및,
상기 구동부재의 작동을 위한 UP/DOWN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조명장치는 상기 작동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인공조명부재를 하강시켜 교체 또는 수리를 행할 수 있고,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역시 작동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인공조명부재를 원위치시킬 수 있다.
인공조명부재가 원위치, 즉, 건물 천장의 본래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착탈식 전기소켓이 인공조명부재의 전기코드와 결합되어있어서, ON/OFF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인공조명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다. 반면에, UP/DOWN 스위치의 DOWN 버튼을 누를 경우에는, 구동부재가 회전하고 그에따라 회전부재가 정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권취부에 감겨있는 가변성 연결부재가 풀리게되어 인공조명부재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부에 고정되어있는 착탈식 전기소켓과 인공조명부재에 고정되어있는 전기코드가 서로 분리되어 인공조명부재의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된다. 반대로, UP/DOWN 스위치의 UP 버튼을 누를 경우에는, 구동부재가 회전하고 그에따라 회전부재가 역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가변성연결부재가 권취부에 감기게되어 인공조명부재는 상승하게 된다. 이때, 착탈식 전기소켓과 전기코드가 서로 결합되어 인공조명부재의 전원이 자동으로 연결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강된 인공조명부재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공조명부재의 상부와 대응 천장부위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보조부재를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 ON/OFF 스위치 및/또는 UP/DOWN 스위치는 건물의 측벽에 설치되거나 리모트컨트롤러에 장착된 형태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이러한 무선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장치에 리모트컨트롤러의 적외선 신호 또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신호 수신부,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 및 증폭된 신호에 따라 구동부재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 무선제어부재가 포함되어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현된 도면을 참조하여 고안의 내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고안의 범주가 그것에 한정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에는 일반 건물내에 다수 설치된 본 고안 조명장치의 작동예에 대한 개략적 사시도가 도시되어있다.
조명장치(100)는 건물의 천장에 일련의 배열로 다수 설치되어있고, 인공조명부재(200)의 작동을 위한 ON/OFF 스위치(300)가 건물의 측면에 설치되어있다. 또한, 조명장치(100)의 UP/DOWN 스위치(320)는 ON/OFF 스위치(300)의 대응 측면에 설치되어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스위치(300, 320)가 동일한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하나의 버튼 패드에 함께 설치되어있을 수도 있다. UP/DOWN 스위치(320)에는 허가되지 않은 사람에 의한 임의의 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동암호입력버튼(325)이 포함될 수도 있다. UP/DOWN 스위치(320)의 작동(DOWN 버튼)에 의해 인공조명부재(200)는 하강하게되고(점선으로 표시), 하강된 인공조명부재(200)는 가변성 연결부재(400)에 의해 천장에 연결되어있게 된다. 인공조명부재(200)의 하강 길이는 가변성 연결부재(400)의 길이에 의해 정의되는데, 작업자의 작업이 편리한 위치까지로 고정할 수 있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의 개략적 구성이 부분 단면도로 도시되어있다.
조명장치(100)는, 인공조명부재(200), 인공조명부재(200)상의 전기코드(220), 가변성 연결부재(400), 회전부재(500), 회전부재(500)상의 권취부(520), 착탈식 전기소켓(600), 구동부재(700), UP/DOWN 스위치(320) 등을 포함하고 있다.
구동부재(700)는 대표적으로 전기모터로서, UP/DOWN 스위치(320)의 UP 버튼(322)과 DOWN 버튼(324)에 의해 작동되며, 회전부재(500)에 직렬로 연결되어있다. 회전부재(500)에는 두 개의 권취부(520)가 장착되어있고, 인공조명부재(200)의 상단에 연결되어있는 가변성 연결부재(400)가 감겨있다. 가변성 연결부재(400)는 로프의 형태로 도시되어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체인의 형태일 수 있고, 그것이 감기는 권취부(520)는 기어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400)가 과도하게 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동부재(700)의 회전수를 한정하는 별도의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를 부설할 수도 있다.
인공조명부재(200)는 전기에 의해 빛을 발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백열등, 형광등을 대표적인 예로서 들 수 있다. 인공조명부재(200)의 상단에는 전기코드(220)가 설치되어있는데, 이는 조명장치(100)의 상부에 고정되어있는 착탈식 전기소켓(600)과 자동적으로 결합 및 분리된다. 따라서, 전기코드(220)의 바람직한 형상은, 오목한 내면을 지닌 돌출 외면부(222),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접속부(224) 및 돌출 전기단자(226)로 구성되어있다.
전기코드(220)가 결합되는 착탈식 전기소켓(600)은, 전기코드(220)의 오목한 내면에 결합될 수 있는 돌출 외면부(610), 전기코드(220)의 접속부(224)가 삽입될 수 있는 오목 내면부(620) 및 오목 전기단자(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어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기코드(220)와 전기소켓(600)의 결합시 결합 위치의 정확한 설정과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이들의 외면을 따라 자석과 같은 결합부재(도시하지 않음)를 별도로 부설할 수도 있다.
착탈식 전기소켓(600)은 조명장치(100)가 위치할 건물의 천장부위에 고정될 수도 있고, 도 3에서와 같이 회전부재(500)상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3의 전시소켓(600)을 살펴보면, 전기소켓(600)은 회전부재(500)의 회전에 관계없이 정립한 형태를 유지한다. 즉, 회전부재(500)와 접하는 전기소켓(600)의 상부(630)에 베어링(640)이 장착되어있고, 상부(630)의 윗면에 건물의 대응 천장부위(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될 상부 전기단자(650)가 설치되어있어서, 회전부재(500)가 회전하더라도 전기소켓(600)은 정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착탈식 전기소켓(600)의 하부(660)는 돌출 외면부(610)와 오목 내면부(620)로 구성되어있고, 오목 내면부(620)에는 오목 전기단자(670)가 위치한다. 오목 전기단자(670)는 상부 전기단자(650)와 전선(도시하지 않음)으로 연결되어있어서, 오목 전기단자(670)가 인공조명부재(200)의 돌출 전기단자(226)와 결합되었을 때, 착탈식 전기소켓(600)을 통해 전류가 인공조명부재(200)로 흐르게 된다. 한편, 하부(660)의 외면에는 자석(680)이 설치되어 있어서, 인공조명부재(200)의 오목한 내면상의 대응 자석(도시하지 않음)과 결합할 수 있다.
도 4a 및 4b에는 인공조명부재(200)가 오르내릴 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인공조명부재(200)와 그것의 대응 천장부위에 장착될 수 있는 흔들림방지 보조부재의 2가지 예가 도시되어있다.
도 4a의 흔들림방지 보조부재(810)는 다단식 구조로 되어있는 부재로서, 상단과 하단에 각각 체결부재(812)가 설치되어있고, 필요에 따라 접고 늘릴 수 있도록 연결관계에서 순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다수의 원통형 부재(814)로 구성되어있다.
도 4b의 흔들림방지 보조부재(820)는 지그재그(zigzag)식 구조로 되어있는 부재로서, 상단과 하단에 각각 두 개의 체결부재(822)가 설치되어있고, 두 개의 선형부재(824)가 교차된 구성단위(826)가 굴절식(articulating type)으로 연속되어있다.
본 고안의 조명장치(100)는 도 5a에 도시되어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동부재(700)에 의해 하나의 회전부재(500)만이 작동되는 형태일 수도 있고, 도 5b에서와 같이 여러 개의 회전부재(500)들이 동력전달부재(900)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구동부재(700)에는 회전 감속부(710)가 장착되어있어서, 구동부재(700)의 회전속도와 힘을 적절히 조절하여 회전부재(500)에 전달하게 된다.
도 5b의 구조를 살펴보면, 구동부재(700)의 구동축(720)이 벨트나 체인과 같은 제 1 동력전달부재(901)에 의해 제 1 회전부재(501)에 연결되고, 제 1 회전부재(501)는 제 2 동력전달부재(902)에 의해 제 2 회전부재(502)에 연결되며, 동일한 방식으로, 제 3 회전부재(503), 제 4 회전부재(504)가 각각 연결되어있다. 따라서, 구동부재(700)의 회전력은 각각의 동력전달부재(901, 902, 903, 904)에 의해 각각의 회전부재(501, 502, 503, 504)로 전달되어, 이들 회전부재들(501, 502, 503, 504)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고안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설명과 도면의 내용을 바탕으로 본 고안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의 조명장치를 사용하면, 사무실, 가정집, 공장 등과 같은 건물에서 일정한 주기로 교체를 요하는 조명기구의 교체 또는 수리시, 작업자가 사다리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버튼 조작에 의해 조명기구를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극히 적어지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4)

  1. 전기에 의해 빛을 발산하고 전기코드가 상부에 설치되어있는 인공조명부재;
    상기 인공조명부재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하 길이가 변할 수 있는 가변성 연결부재;
    상기 가변성 연결부재가 감기는 권취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인공조명부재가 위치할 건물의 대응 천장부위에 장착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부재;
    상기 인공조명부재가 상승했을 때 인공조명부재의 전기코드가 결합할 수 있도록 대응 천장부위 또는 회전부재에 설치되는 착탈식 전기소켓;
    상기 인공조명부재의 작동을 위한 ON/OFF 스위치; 및,
    상기 구동부재의 작동을 위한 UP/DOWN 스위치를 포함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하강된 인공조명부재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공조명부재의 상부와 대응 천장부위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흔들림방지 보조부재가 포함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ON/OFF 스위치 및/또는 UP/DOWN 스위치는 리모트컨트롤러에 장착되어있고, 상기 조명장치에 리모트컨트롤러의 적외선 신호 또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신호 수신부,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 및 증폭된 신호에 따라 구동부재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 무선제어부재가 포함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코드는 오목한 내면을 지닌 돌출 외면부,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접속부 및 돌출 전기단자로 구성되어있고;
    상기 착탈식 전기소켓은 회전부재와 접하는 상부와 상기 전기코드가 결합 및 분리되는 하부로 이루어져있고, 상기 상부는 회전부재와 접하는 부위에 베어링이 장착되어있고, 상단면에 건물의 대응 천장부위에 고정될 상부 전기단자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는 상기 전기코드의 오목한 내면에 결합될 수 있는 돌출 외면부, 전기코드의 접속부가 삽입될 수 있는 오목 내면부 및 오목 전기단자로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2020010034474U 2001-11-09 2001-11-09 조명 장치 KR2002643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474U KR200264388Y1 (ko) 2001-11-09 2001-11-09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474U KR200264388Y1 (ko) 2001-11-09 2001-11-09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388Y1 true KR200264388Y1 (ko) 2002-02-19

Family

ID=73112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474U KR200264388Y1 (ko) 2001-11-09 2001-11-09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388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875B1 (ko) * 2002-02-05 2004-06-07 홍부표 수납식 조명장치
KR100820731B1 (ko) 2008-01-29 2008-04-11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공동주택의 복도설치용 전기조명기구
KR100865942B1 (ko) 2008-07-28 2008-10-30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공용 조명기형 제어반
KR100867207B1 (ko) 2008-07-25 2008-11-06 목원전기설계(주) 공동주택의 실내조명용 전기구 설치대
KR100866152B1 (ko) 2008-07-28 2008-11-06 (주)정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공용전등 설치대
KR100875307B1 (ko) 2008-07-24 2008-12-23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배전용 내선 보호대
KR101766463B1 (ko) * 2010-09-24 2017-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평판 조명 모듈
KR101900442B1 (ko) * 2017-03-07 2018-09-19 오진용 법당내부의 led조명등 부착장치
KR20240006839A (ko) * 2022-07-07 2024-01-16 주식회사일루미나 Led 조명등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875B1 (ko) * 2002-02-05 2004-06-07 홍부표 수납식 조명장치
KR100820731B1 (ko) 2008-01-29 2008-04-11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공동주택의 복도설치용 전기조명기구
KR100875307B1 (ko) 2008-07-24 2008-12-23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배전용 내선 보호대
KR100867207B1 (ko) 2008-07-25 2008-11-06 목원전기설계(주) 공동주택의 실내조명용 전기구 설치대
KR100865942B1 (ko) 2008-07-28 2008-10-30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공용 조명기형 제어반
KR100866152B1 (ko) 2008-07-28 2008-11-06 (주)정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공용전등 설치대
KR101766463B1 (ko) * 2010-09-24 2017-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평판 조명 모듈
KR101900442B1 (ko) * 2017-03-07 2018-09-19 오진용 법당내부의 led조명등 부착장치
KR20240006839A (ko) * 2022-07-07 2024-01-16 주식회사일루미나 Led 조명등
KR102655868B1 (ko) * 2022-07-07 2024-04-09 주식회사일루미나 Led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8520B2 (en) Track fan remote control system
KR200264388Y1 (ko) 조명 장치
US7033048B2 (en) Equipment for highly mounted lamp having ascending and descending function
US8628212B2 (en) Conductive end caps for LED-based linear lighting apparatus
JP7242982B2 (ja) ワイヤー及びケーブル方式で連結されて昇降自在であり、空気清浄機が取り付けられた灯器具装置
US20110193482A1 (en) Table Lamp with Emergency Back Up Light
US20080074893A1 (en) High bay lamp system having power reel control mechanism
JP2010213045A (ja) 負荷機器制御システム
US20070134093A1 (en) Device and method for raising and lowering ceiling fixtures
US7540637B1 (en) Utility mounting and lowering system
CN202972988U (zh) 智能型红外遥控荧光灯升降装置
KR20050082842A (ko)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
JP5374408B2 (ja) 照明装置
KR200482134Y1 (ko) 비상시 완전소등을 방지하는 엘이디 조명등
KR200356232Y1 (ko) 스프링식 전원선을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CN212841016U (zh) 一种升降灯
CN216383862U (zh) 一种智能遥控的家居吸顶灯
JP2531566B2 (ja) 照明装置
JP2004031327A (ja) 電動照明器具
KR200356234Y1 (ko)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용 고정브라켓트
KR101624663B1 (ko) Led 조명의 기본프레임 장치
CN212776971U (zh) 一种用于矿道现场的照明设备
KR102220645B1 (ko)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
KR200244830Y1 (ko) 조명기
KR200248459Y1 (ko) 승하강장치가 구비된 고소 조명등의 접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