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645B1 -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645B1
KR102220645B1 KR1020190085690A KR20190085690A KR102220645B1 KR 102220645 B1 KR102220645 B1 KR 102220645B1 KR 1020190085690 A KR1020190085690 A KR 1020190085690A KR 20190085690 A KR20190085690 A KR 20190085690A KR 102220645 B1 KR102220645 B1 KR 102220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an
power
lighting
inser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9114A (ko
Inventor
김병조
이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텍
Priority to KR1020190085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645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8Ceil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형 조명의 중앙에 커넥트 장치를 형성하여 별도의 배선을 설치하지 않고, 별도로 형성되는 선풍기부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미관이 수려해지며, 커넥트 장치를 회전형으로 형성하므로, 임의로 회전을 통해 전원을 단락 시킬 수 있어 별도의 차단스위치가 필요 없으며, 리모컨을 통해 조명 및 선풍기부를 원격으로 제어하므로 쉽게 어느 위치에서라도 제어가 가능한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의 내측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명의 바닥면보다 깊게 형성되어 벽면 일부에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인가단자가 형성되며, 내측면에 고정부재가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하부에서 선풍기부가 결합되며,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바 형상으로 양측이 형성되며, 양단 또는 회전방향 양측에 하나 또는 다수의 연결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인가단자와 연결되는 단자부 및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삽입부의 인가단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고, 리모컨을 통해 제어되며, 리모컨을 통해 상기 조명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선풍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풍기부가 삽입부에 삽입되어 회전을 통해 인가단자와 연결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조명의 작동 및 선풍기부의 작동을 선풍기부를 통해 리모컨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Electric fans to connected type of ceiling type lighting fixtures rotary-connected type connectors}
본 발명은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형 조명의 중앙에 커넥트 장치를 형성하여 별도의 배선을 설치하지 않고, 별도로 형성되는 선풍기부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미관이 수려해지며, 커넥트 장치를 회전형으로 형성하므로, 임의로 회전을 통해 전원을 단락시킬 수 있어 별도의 차단스위치가 필요 없으며, 리모컨을 통해 조명 및 선풍기부를 원격으로 제어하므로 쉽게 어느 위치에서라도 제어가 가능한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등을 이용한 등기구의 경우, 형광등과 안정기, 그리고 형광등 갓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등기구를 주택 등의 천정에 설치하거나 또는 이미 설치된 등기구 전체를 철거하여 새로운 등기구로 교체하는 경우, 전원을 차단한 후에 천정에 노출된 전원전선의 피복을 벗겨내고, 등기구의 갓을 통해 노출된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절연테이프로 절연시킨 다음, 스크류를 이용하여 등기구를 천정에 고정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천정에 등기구만 설치하여 사용하므로 하나의 기구만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IT/전기·전자/통신산업분야의 기술발전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의 기술 제품과 융합이 필요하고 이를 적용 및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원을 연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는 천정 내의 공간에 위치하는 케이스와, 내부에 전도체를 구비하고 있는 한 쌍의 결합봉이 수직하게 돌출되어있는 형태로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얇은 판 부재로 된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가 끼워지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걸림돌기와, 판 부재로 되어있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케이스 둘레를 따라 일체로 구비되는 고정판과, 상기 결합봉의 내부에 구비된 전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이 인입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는 전원연결부와,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구비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천정 고정식 베이스에; 전구가 끼워지는 조명 갓과, 상기 조명 갓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구결합부와, 상기 조명 갓의 상부에 구비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상부에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결합구에 끼워지는 전도체로 된 플러그와, 상기 접속부의 측면에는 구비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등기구를 결합하는 등기구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종래의 문제점인 천정에 등기구만 설치하여 사용하므로 하나의 기구만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원을 연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그대로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 한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465278호(2013.02.04.)
본 발명은 천정형 조명의 중앙에 커넥트 장치를 형성하여 별도의 배선을 설치하지 않고, 별도로 형성되는 선풍기부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미관이 수려해지며, 커넥트 장치를 회전형으로 형성하므로, 임의로 회전을 통해 전원을 단락 시킬 수 있어 별도의 차단스위치가 필요 없으며, 리모컨을 통해 조명 및 선풍기부를 원격으로 제어하므로 쉽게 어느 위치에서라도 제어가 가능한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는,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의 내측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명의 바닥면보다 깊게 형성되어 벽면 일부에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인가단자가 형성되며, 내측면에 고정부재가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하부에서 선풍기부가 결합되며,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바 형상으로 양측이 형성되며, 양단 또는 회전방향 양측에 하나 또는 다수의 연결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인가단자와 연결되는 단자부 및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삽입부의 인가단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고, 리모컨을 통해 제어되며, 리모컨을 통해 상기 조명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선풍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풍기부가 삽입부에 삽입되어 회전을 통해 인가단자와 연결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조명의 작동 및 선풍기부의 작동을 선풍기부를 통해 리모컨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는 필요시 또는 파손시 교체가 가능하도록 조명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명에는 전원이 삽입부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단자가 형성되고, 삽입부가 회전을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체 또는 결합홈이 벽면에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도록 삽입부의 외벽면에 전원단자와 결합홈 또는 결합체가 형성되어 대응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풍기부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단자부와 연결되도록 상측에 형성되는 연결체; 상기 연결체의 외측에 형성되어 삽입부의 고정부재와 결합 고정되는 고정체; 상기 연결체의 하측에 형성되어 단자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며, 하부에 선풍기 날이 결합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단자부 간에 형성되어 입력 전원을 구동모터에 맞도록 변환시키는 컨버터; 상기 단자부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통해 단자부 간의 전원을 단락시켜 조명의 전원을 제어하는 릴레이; 상기 컨버터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작동되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체;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며, 릴레이의 단락을 제어하여 조명을 온오프 시키고, 상기 음이온 발생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외부의 리모컨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수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체 간에는 연결대가 형성되어 구동모터의 각도 및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정형 조명의 중앙에 커넥트 장치를 형성하여 별도의 배선을 설치하지 않고, 별도로 형성되는 선풍기부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미관이 수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넥트 장치를 회전형으로 형성하므로, 임의로 회전을 통해 전원을 단락 시킬 수 있어 별도의 차단스위치가 필요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모컨을 통해 조명 및 선풍기부를 원격으로 제어하므로 쉽게 어느 위치에서라도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음이온 발생체에서 발생되는 음이온은 선풍기 팬의 영향으로 음이온의 도달 범위가 확대되어 더욱더 넓은 공간을 공기청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의 삽입부와 단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의 삽입부 연결전극과 단자부의 인가전극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의 삽입부 연결전극과 단자부의 인가전극이 다수로 형성될 때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의 삽입부에 선풍기부의 연결체가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의 삽입부가 조명과 분리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의 선풍기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의 선풍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의 선풍기부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1)의 내측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명(1)의 바닥면보다 깊게 형성되어 벽면 일부에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인가단자가 형성되며, 내측면에 고정부재(13)가 형성되는 삽입부(10); 상기 삽입부(10)의 하측에 형성되어 하부에서 선풍기부(70)가 일체로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바 형상으로 양측이 형성되며, 양단 또는 회전방향 양측에 하나 또는 다수의 연결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인가단자와 연결되는 단자부(20) 및 상기 단자부(20)가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삽입부(10)에 삽입되어 단자부를 통해 고정되며, 삽입부(10)의 인가단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고, 리모컨을 통해 제어되며, 리모컨을 통해 상기 조명(1)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선풍기부(70)를 포함하며, 상기 선풍기부(70)가 삽입부(10)에 삽입되어 회전을 통해 인가단자와 연결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조명(1)의 작동 및 선풍기부(70)의 작동을 선풍기부(70)를 통해 리모컨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10)는 필요시 또는 파손시 교체가 가능하도록 조명(1)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명(1)에는 전원이 삽입부(10)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단자(4)가 형성되고, 삽입부(10)가 회전을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체(5) 또는 결합홈(6)이 벽면에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도록 삽입부(10)의 외벽면에 전원단자(4)와 결합홈(6) 또는 결합체(5)가 형성되어 대응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풍기부(70)는, 상기 삽입부(10)에 삽입되어 단자부(20)와 연결되도록 상측에 형성되는 연결체(71); 상기 연결체(71)의 외측에 형성되어 삽입부(10)의 고정부재(13)와 결합 고정되는 고정체(72); 상기 연결체(71)의 하측에 형성되어 단자부(20)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며, 하부에 선풍기 날이 결합되는 구동모터(76); 상기 구동모터(76)와 단자부(20) 간에 형성되어 입력 전원을 구동모터(76)에 맞도록 변환시키는 컨버터(74); 상기 단자부(20)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통해 단자부(20) 간의 전원을 단락시켜 조명(1)의 전원을 제어하는 릴레이(73); 상기 컨버터(74)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작동되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체(75); 상기 구동모터(76)와 연결되어 구동모터(76)의 작동을 제어하며, 릴레이(73)의 단락을 제어하여 조명(1)을 온오프 시키고, 상기 음이온 발생체(7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7) 및 상기 제어부(77)와 연결되고, 외부의 리모컨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77)로 전송하는 수신부재(7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모터(76)와 연결체(71) 간에는 연결대(79)가 형성되어 구동모터(76)의 각도 및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1)의 내측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명(1)의 바닥면보다 깊게 형성되어 벽면 일부에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인가단자가 형성되며, 내측면에 고정부재(13)가 형성되는 삽입부(10); 상기 삽입부(10)의 하측에 형성되어 하부에서 선풍기부(70)가 일체로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바 형상으로 양측이 형성되며, 양단 또는 회전방향 양측에 하나 또는 다수의 연결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인가단자와 연결되는 단자부(20) 및 상기 단자부(20)가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삽입부(10)에 삽입되어 단자부를 통해 고정되며, 삽입부(10)의 인가단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고, 리모컨을 통해 제어되며, 리모컨을 통해 상기 조명(1)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선풍기부(7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의 삽입부와 단자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의 삽입부 연결전극과 단자부의 인가전극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의 삽입부 연결전극과 단자부의 인가전극이 다수로 형성될 때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의 삽입부에 선풍기부의 연결체가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의 삽입부가 조명과 분리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삽입부(10)는 천정에 형성되는 조명(1)의 내측에 조명(1)의 바닥면보다 천정측으로 깊게 형성되어 원형으로 형상으로 형성되고, 벽면 일부에 단자부(20)의 연결단자가 연결되는 인가단자가 형성되어 외부의 전원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인가단자는 양측에 한쌍 또는 다수쌍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단자부(20)에 결합되는 별도로 형성되는 선풍기부(70)에 구비되는 장치에 따라 숫자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자부(20)에 연결되는 선풍기부(70)가 하나인 경우 또는 복합형이나 전원을 많이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기구인 경우 한쌍의 인가단자 만으로도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므로, 벽면에 한쌍의 인가단자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도록 단자부(20)의 연결단자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인가단자는 한쌍일 경우 벽면에 반원형으로 돌출되어 단자부(20)의 연결단자와 연결되도록 하고, 다수쌍일 경우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자부(20)를 덮으며 형성되는 연결전극(21)이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0)는 조명(1)의 내측에서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필요시 또는 파손시 교체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조명(1)에는 전원이 삽입부(10)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단자(4)가 형성되고, 삽입부(10)가 회전을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체(5) 또는 결합홈(6)이 벽면에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도록 삽입부(10)의 외벽면에 전원단자(4)와 결합홈(6) 또는 결합체(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부(20)는 삽입부(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삽입부(10)의 하측면에서 슬라이드 회전될 수 있도록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이 하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단자부(20)의 중앙측에는 선풍기부(70)의 전원단자가 연결되도록 단자부(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양단 또는 회전방향 양측에 하나 또는 다수의 연결단자가 형성되며, 연결단자와 연결되는 전극이 선풍기부(70)의 연결체(71)까지 형성되어 연결단자의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전극(21)은 선풍기부(70)의 종류에 따라 한쌍 또는 다수쌍으로 형성되는데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단자부(20)의 양단에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부(10)의 벽면에 형성되는 인가단자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전극(21)이 다수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단자부(20)의 회전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단자부(20)를 덮으며 형성되어 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인가전극(11)이 형성되며, 인가전극(11)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연결전극(21)이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단자부(20)는 선풍기부(70)의 연결체(71)와 결합 형성되여 연결체(71)를 통해 단자부(20)를 회전시킴으로서 단자부(20)의 연결단자가 삽입부(10)의 인가단자에 연결되어 선풍기부(7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단자부(20)는 삽입부(10)의 바닥면을 따라 수평방향 90°각도로 회전하여 연결전극(21)과 인가전극(11)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단자부(20)의 회전각도가 한정되도록 다수의 걸림돌기(12)가 삽입부(10)의 벽면측 바닥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단자부(20)는 연결되는 전원에 따라 복합형 선풍기부(70)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한쌍의 전원단자가 형성되거나, 다수쌍의 전원단자가 형성되는 연결모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단자부(20)는 선풍기부(70)가 연결체(71)를 통해 결합된 뒤 회전되지 않으면 단자부(20)의 연결단자와 삽입부(10)의 인가단자가 연결되지 않아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며, 선풍기부(70)의 연결체(71)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단자부(20)가 90° 회전되어 연결단자와 인가단자가 연결되면 전원이 인가되어 단자부(20)를 통해 선풍기부(70)로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단자부는(20)는 선풍기부(70)의 연결체(71)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원이 선풍기부(70)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연결체(71)의 회전을 통해 단자부(20)가 삽입부(10)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되어 고정 및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단자부(20)의 하측에는 단자부(20)가 삽입부(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하는 차단체(30)가 삽입부(10)의 중앙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단자부(20)의 양측이 걸려 삽입부(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체(30)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이 개구되므로, 단자부(20)가 삽입 및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단체(30)의 하부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차단부와 단자부(2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판(40)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판(40)은 상기 단자부(20)및 연결체(71)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며, 단자부(2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판(40)의 하측에는 회전판(4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단돌기(50)가 삽입부(10)의 벽면측에 중앙측으로 돌출되어 다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돌기(50)의 하측에는 차폐판(60)이 형성되어 차단돌기(50)를 가려 외부에서 차단돌기(50)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판(40)과 차단돌기(50)의 구성은 필요에 따라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단자부(20)가 모듈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의 선풍기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의 선풍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의 선풍기부 저면도이다.
도 1 및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선풍기부(70)는 삽입부(1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삽입부(10)의 인가단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고, 리모컨을 통해 제어되며, 리모컨을 통해 상기 조명(1)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삽입부(10)에 삽입되어 단자부(20)와 연결되도록 상측에 형성되는 연결체(71), 연결체(71)의 외측에 형성되어 삽입부(10)의 고정부재(13)와 결합 고정되는 고정체(72), 연결체(71)의 하측에 형성되어 단자부(20)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며, 하부에 선풍기 날이 결합되는 구동모터(76), 구동모터(76)와 단자부(20) 간에 형성되어 입력 전원을 구동모터(76)에 맞도록 변환시키는 컨버터(74), 단자부(20)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통해 단자부(20) 간의 전원을 단락시켜 조명(1)의 전원을 제어하는 릴레이(73), 컨버터(74)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작동되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체(75), 구동모터(76)와 연결되어 구동모터(76)의 작동을 제어하며, 릴레이(73)의 단락을 제어하여 조명(1)을 온오프 시키고, 상기 음이온 발생체(7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7) 및 제어부(77)와 연결되고, 외부의 리모컨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77)로 전송하는 수신부재(78)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체(71)는 단자부(20)에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되므로, 단자부(20)와전원선을 통해 연결되어 인가되는 전원을 컨버터(74)로 인가하게 된다.
상기 삽입체가 단자부(20)의 삽입부재에 결합되면,선풍기부(70) 전체를 회전시켜 단자부(20)가 회전되도록 하며, 단자부(20)의 회전을 통해 삽입부(10)의 인가단자와 연결단자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선풍기부(70)의 삽입체 외측면에는 삽입부(10)의 고정부재(1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고정체(7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3)는 나사산 형상 또는 슬라이드홈으로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도록 고정체(72)가 나사산 또는 슬라이드 돌기로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슬라이드 결합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체(71)에는 릴레이(73)가 형성되어 조명(1)과 연결되어 조명(1)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릴레이(73)는 제어부(77)의 제어신호를 통해 작동된다.
상기 연결체(71)에는 컨버터(74)가 연결되어 인가되는 전원을 변환하여 하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컨버터(74)는 연결체(71)를 통해 인가되는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여 하위의 구동모터(76), 제어부(77) 및 음이온 발생체(75)로 인가하게 된다.
상기 컨버터(74)에 연결되는 구동모터(76)는 컨버터(74)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구동되며, 제어부(77)의 제어신호를 통해 속도 및 작동이 제어된다.
이러한 상기 컨버터(74)는 AC 전원을 인가받아 DC전원으로 변환하며, 구동모터(76)가 AC 모터인 경우 이를 작동시키도록 변환되지 않는 AC전원을 구동모터(76)로 직접 인가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는 선풍기 팬은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선풍기 팬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실리콘과 프라스틱아 합성되는 연질로 제작된다.
상기 구동모터(76)와 연결체(71) 간에는 플렉시블 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대(79)가 형성되어 구동모터(76)의 각도 및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바람을 보낼 수 있도록 각도 및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대(79)는 주름관, 또는 다관절대로 이루어져 수동으로 길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모터를 통해 구동되는 다수의 실린더 또는 와이어권취장치가 연결되어 길이 및 각도를 리모컨을 통해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음이온 발생체(75)는 컨버터(74)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작동되며 제어부(77)의 제어로 온오프가 되어진다.
이러한 상기 음이온 발생체(75)는 구동모터의 하부측 또는 상측에 위치하여 발생되는 음이온이 선풍기 팬의
상기 제어부(77)는 릴레이(73), 구동모터(76) 및 음이온 발생체(75)와 연결되어 수신부재(78)를 통해 외부의 리모컨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신호로 릴레이(73), 구동모터(76) 및 음이온 발생체(75)의 작동 및 구동모터(76)의 속도조절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수신부재(78)는 외부의 리모컨의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제어부(77)로 전송하게 된다.
이는 상기 선풍기부(70)가 천정에 고정설치되므로, 별도의 제어패널을 형성하기 어려워 리모컨을 통해 제어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수신부재(78)와 리모컨은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통신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77)에는 현재 릴레이(73), 구동모터(76) 및 음이온 발생체(75)의 작동 상태를 빛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재(p)가 연결되어 작동상태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풍기부(70)의 하측면에는 다수의 발광체가 형성되어 보조 조명(1)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발광체는 LED로 이루어져 제어부(77)에 연결되어 리모컨을 통해 작동 또는 색 변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천정형 조명의 중앙에 커넥트 장치를 형성하여 별도의 배선을 설치하지 않고, 별도로 형성되는 선풍기부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미관이 수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넥트 장치를 회전형으로 형성하므로, 임의로 회전을 통해 전원을 단락 시킬 수 있어 별도의 차단스위치가 필요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모컨을 통해 조명 및 선풍기부를 원격으로 제어하므로 쉽게 어느 위치에서라도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음이온 발생체에서 발생되는 음이온은 선풍기 팬의 영향으로 음이온의 도달 범위가 확대되어 더욱더 넓은 공간을 공기청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 : 조명 4 : 전원단자
5 : 결합체 6 : 결합홈
10 : 삽입부 11 : 인가전극
12 : 걸림돌기 13 : 고정부재
20 : 단자부 21 : 연결전극
30 : 차단체 40: 회전판
50 : 차단돌기 60 : 차폐판
70 : 선풍기부 71 : 연결체
72 : 고정체 73 : 릴레이
74 : 컨버터 75 : 음이온 발생체
76 : 구동모터 77 : 제어부
78 : 수신부재 79 : 연결대
p : 표시부재

Claims (4)

  1.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1)의 내측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명(1)의 바닥면보다 깊게 형성되어 벽면 일부에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인가단자가 형성되며, 내측면에 고정부재(13)가 형성되는 삽입부(10);
    상기 삽입부(10)의 하측에 형성되어 하부에서 선풍기부(70)가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바 형상으로 양측이 형성되며, 양단 또는 회전방향 양측에 하나 또는 다수의 연결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인가단자와 연결되는 단자부(20) 및
    상기 단자부(20)가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삽입부(10)에 삽입되어 단자부를 통해 고정되며, 삽입부(10)의 인가단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고, 리모컨을 통해 제어되며, 리모컨을 통해 상기 조명(1)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선풍기부(70)를 포함하며,
    상기 선풍기부(70)가 삽입부(10)에 삽입되어 회전을 통해 인가단자와 연결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조명(1)의 작동 및 선풍기부(70)의 작동을 선풍기부(70)를 통해 리모컨으로 제어하며;
    상기 선풍기부(70)는,
    상기 삽입부(10)에 삽입되어 단자부(20)와 연결되도록 상측에 형성되는 연결체(71);
    상기 연결체(71)의 외측에 형성되어 삽입부(10)의 고정부재(13)와 결합 고정되는 고정체(72);
    상기 연결체(71)의 하측에 형성되어 단자부(20)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며, 하부에 선풍기 날이 결합되는 구동모터(76);
    상기 구동모터(76)와 단자부(20) 간에 형성되어 입력 전원을 구동모터(76)에 맞도록 변환시키는 컨버터(74);
    상기 단자부(20)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통해 단자부(20) 간의 전원을 단락시켜 조명(1)의 전원을 제어하는 릴레이(73);
    상기 컨버터(74)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작동되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체(75);
    상기 구동모터(76)와 연결되어 구동모터(76)의 작동을 제어하며, 릴레이(73)의 단락을 제어하여 조명(1)을 온오프 시키고, 상기 음이온 발생체(7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7) 및
    상기 제어부(77)와 연결되고, 외부의 리모컨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77)로 전송하는 수신부재(78)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76)와 연결체(71) 간에는 연결대(79)가 형성되어 구동모터(76)의 각도 및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0)는 필요시 또는 파손시 교체가 가능하도록 조명(1)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명(1)에는 전원이 삽입부(10)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단자(4)가 형성되고, 삽입부(10)가 회전을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체(5) 또는 결합홈(6)이 벽면에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도록 삽입부(10)의 외벽면에 전원단자(4)와 결합홈(6) 또는 결합체(5)가 형성되어 대응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90085690A 2019-07-16 2019-07-16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 KR102220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690A KR102220645B1 (ko) 2019-07-16 2019-07-16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690A KR102220645B1 (ko) 2019-07-16 2019-07-16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114A KR20210009114A (ko) 2021-01-26
KR102220645B1 true KR102220645B1 (ko) 2021-02-26

Family

ID=74310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690A KR102220645B1 (ko) 2019-07-16 2019-07-16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6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21492A (ja) * 2015-07-17 2018-08-02 フィンクバイナー,ジャック 電気装置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596A (ja) * 1995-06-19 1997-01-07 Matsushita Seiko Co Ltd 照明器付天井扇風機
KR200465278Y1 (ko) 2011-11-30 2013-02-08 대림산업 주식회사 콘센트 결합형 천정 고정식의 등기구장치
KR102233037B1 (ko) * 2014-09-02 2021-03-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21492A (ja) * 2015-07-17 2018-08-02 フィンクバイナー,ジャック 電気装置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114A (ko)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4302B2 (en) Operating device and communications adapter for outdoor use
RU2538781C2 (ru) Светодиодный светильник для скрытого монтажа
CA2506868A1 (en) Modular luminaire system
US9265312B2 (en) Outdoor umbrella with remote touch-controlled LED lights
CA2432352A1 (en) Quick mount lighting assembly for ceiling fans
JP2009043664A (ja) スイッチアダプタ及びこのスイッチアダプタを用いた照明制御システム
KR101469075B1 (ko) 엘이디조명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센서모듈
KR102220645B1 (ko)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
EP2916065B1 (en) Installation structure, illumination device compris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US20160265761A1 (en) Electrical box having led night lam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29461B1 (ko) 투광기용 결합장치
KR102199710B1 (ko) 천정형 조명기기의 회전 연결형 커넥터 장치
CN205296651U (zh) 装配式顶面集成设备带
KR20110081424A (ko) Led 형광램프 조립체
JP4634988B2 (ja) 照明器具
US11029012B2 (en) Connection device for a luminaire
KR20180055578A (ko) 엘이디 조명장치의 디밍제어장치
JP6041191B2 (ja) 照明器具、および照明システム
JP6422609B1 (ja) 負荷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設置方法
CA3184272A1 (en) Light fixture mounting bracket and canopy assembly
CN212204251U (zh) 一种可远程遥控的吸顶灯
CN212204254U (zh) 一种led吸顶灯
CN215840575U (zh) 一种可变更角度的智能消毒杀菌线形灯
CN110608392B (zh) 一种方便安装的吸顶灯
CN209929609U (zh) 一种用于剧场、演播厅的灯光供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