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533Y1 - 냉장고의에어커텐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에어커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533Y1
KR200263533Y1 KR2019980020885U KR19980020885U KR200263533Y1 KR 200263533 Y1 KR200263533 Y1 KR 200263533Y1 KR 2019980020885 U KR2019980020885 U KR 2019980020885U KR 19980020885 U KR19980020885 U KR 19980020885U KR 200263533 Y1 KR200263533 Y1 KR 2002635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refrigerating chamber
air
refrigerator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993U (ko
Inventor
정재욱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0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533Y1/ko
Priority to CN98814293.7A priority patent/CN1128970C/zh
Priority to GB0110266A priority patent/GB2359126B/en
Priority to PCT/KR1998/000435 priority patent/WO2000026587A1/en
Priority to US09/216,939 priority patent/US6105377A/en
Publication of KR200000089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9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533Y1/ko

Links

Landscapes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에어커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증발기를 통해 형성된 냉기를 에어커텐용 팬 보유부로 유입시키는 횡류팬, 상기 횡류팬에 의해 냉기가 안내되고 전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냉기공급덕트, 상기 냉기공급덕트의 단부에 형성되어 냉기를 냉장실로 토출시키는 냉기토출구, 토출된 냉기가 에어커텐을 형성한 후 냉장실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냉기회수구, 상기 냉기회수구로 흡입된 냉기를 순환시키는 냉기순환덕트,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전면에 내설되어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마이컴으로 신호를 보내는 외기온도센서, 냉장실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마이컴으로 신호를 보내는 고내온도센서 및 상기 외기온도센서와 고내온도센서의 측정값의 차이에 따라 모터의 RPM을 조절하여 횡류팬의 회전수를 변화시키는 마이컴으로 이루어진 냉장고의 에어커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에서는 외기온도값과 상기 냉장실 내부온도값의 차이가 5보다 작으면 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외기온도값과 상기 냉장실의 내부온도값의 차이가 5보다 크고 25보다 작으면 상기 모터를 정격 RPM인 200RPM으로 구동시키며, 상기 외기온도값과 상기 냉장실 내부온도값의 차이가 25보다 크면 모터를 224RPM으로 작동시킨다. 이러한 본 고안은 겨울철 등 실내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에어커텐 장치가 정지하여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에어커텐 장치
본 고안은 냉장고의 에어커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전방에 외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외기온도센서를 내설하고 냉장실의 내부에 내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고내온도센서를 설치하여, 마이컴에서 외기온도와 내부온도의 차에 따라 횡류팬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에너지 낭비를 줄이고 냉장실 내부의 온도상승을 막을 수 있는 냉장고의 에어커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에어커텐 냉장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100)과 냉장실(200)로 구성된다.
그리고, 냉장고의 바닥에 장착된 압축기(10)는 냉매를 압축하여 냉동실(100)의 배면 측에 설치된 증발기(20)로 냉매를 순환시키며, 상기한 증발기(20)는 순환냉매의 증발을 통해 주위 공기가 냉각되도록 한다.
또한, 냉기순환용 팬(23,24)은 냉동실(100)의 배면 측에 설치되며, 증발기 (20)에 의해 냉각된 냉기를 냉기공급덕트(25,26)을 통해 냉동실(100) 및 냉장실 (200)에 각각 공급한다.
상기한 냉기공급덕트(25)는 냉동실(100)의 배면측에 설치되고, 팬(23)에 의해 냉기공급덕트(25)에 유입된 냉기는 냉기공급구(27)를 통해 냉동실(100)에 공급되며, 냉기공급덕트(26)는 냉장고의 배면측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덕트로 분기되어 냉장실(200)의 배면측의 양 코너를 따라 연장된다.
그리고, 팬(24)을 통해 냉기공급덕트(26)에 유입된 냉기는 냉기공급구(28)를 통해 냉장실(200)에 공급되며, 바람직하게는 냉장실(200)의 양 측벽에 냉기공급덕트(26)와 연통된 별도의 냉기공급구(29)를 제공하여도 좋다.
한편, 냉동실(100)과 냉장실(200) 사이의 온도차이를 유지하기 위한 단열부재(41)가 냉장고의 상하, 좌우 및 후측을 포위하며, 냉동실(100)과 냉장실(200) 사이에 제공된다.
또한, 에어커텐용 냉기공급덕트(42)가 냉동실(100)과 냉장실(200) 사이에 제공된 단열부재(41) 아래에 제공되며, 후단에 에어커텐용 팬 보유부(42a)와 전단에 만곡진 후 직선부를 갖는 에어커텐용 냉기토출구(43)로 구성된다.
그리고, 에어커텐용 냉기토출구(43)는 슬릿형상을 갖고, 냉장실(200)의 도어에 인접하게 냉장실(200)의 상부에 제공되며, 냉기가 직하방으로 토출되지 않고 전방으로 경사지게 토출되도록 한다.
이때, 에어커텐용 냉기토출구(43)는 바람직하게는 냉장실(200)의 전체 폭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에어커텐 형성용 팬(44)은 냉장고의 배면 측 근방에 에어커텐용 팬 보유부(42a) 내에 설치되고, 층류형성을 위해 팬으로는 횡류팬(44)을 사용한다.
또한, 횡류팬(44)은 바람직하게는 냉장실(200)의 내부폭과 같은 길이를 가지는 것이 좋으며, 횡류팬(44)은 부가된 모터(46)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에어커텐용 냉기공급덕트(42)의 하부면은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어 냉기공급덕트(42)의 단면적이 냉기토출구(43) 쪽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된다. 이 결과, 냉기공급덕트(42)의 상부면에 근접하여 흐르는 냉기의 유속이 냉기공급덕트 (42)의 하부면에 근접하여 흐르는 냉기의 유속보다 더 빠른 층류(層流 : laminarflow)가 형성된다.
또한, 에어커텐용 냉기공급덕트(42)의 만곡진 냉기토출구(43)의 전단은 직선형상으로 되어 에어커텐용 냉기가 일정한 각을 갖고 토출시 직진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냉기회수덕트(47)는 냉장고의 배면 측의 중앙부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고, 냉기회수구(48,48',48")는 냉장실(200)내의 다수의 수납공간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냉기회수덕트(47)에 연통된다.
또한, 상단의 수납공간에 제공된 냉기회수구(48)의 단면적은 중단의 수납공간에 제공된 냉기회수구(48') 보다 작으며, 중단의 수납공간에 제공된 냉기회수구 (48')의 단면적은 하단의 수납공간에 제공된 냉기회수구(48")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냉장실(200)의 수납공간은 선반(49,49',49")에 의해 구분되고, 선반 (49,49',49")의 상면은 분사된 에어커텐용 냉기의 회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평탄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수납공간내의 냉기회수구(48,48',48")의 설치높이는 저장물의 수납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선반으로부터 1/2지점의 상부에 설치되고, 냉기회수구(48,48',48")의 형상은 가로길이가 긴, 예컨대 직사각형이나 타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냉장실(200)의 도어 개방시, 횡류팬(44)이 작동을 개시하며, 이때 팬(24)이 작동하고 있다면 냉장실(200) 도어개방시, 그 작동이 정지된다.
그리고, 횡류팬(44)의 작동에 따라 에어커텐용 냉기토출구(43)를 통해 냉기가 분사되어 에어커텐이 형성되고, 이와 같이 에어커텐이 형성됨에 의해, 냉장실 (200)의 냉기는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므로 냉장실(200) 내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되지 않는다.
또한, 횡류팬(44)에 의해 발생된 층류는 에어커텐용 냉기공급덕트(42)의 전단에 형성된 냉기토출구(43)를 통해 분사된다. 또한, 냉기토출구(43)는 비교적 얇은 두께의 에어커텐을 제공하기 위해 슬릿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에어커텐용 냉장고는 겨울철 등 실내온도가 낮은 상태나 여름철 등 실내온도가 높은 상태에 관계없이 냉장실(200)의 도어를 열게 되면, 횡모터의 작동으로 횡류팬(44)이 구동하여 에어커텐 형성용 냉기가 토출구(43)를 통해 분사되었기 때문에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냉장고의 내·외측에 온도감지 센서가 설치되어 마이컴에서 이들의 온도차에 따라 횡류팬의 작동을 조절함으로써, 실내온도가 낮은 경우 불필요하게 에어커텐 장치가 작동되지 않게 하고 실내온도가 높은 경우 냉기를 강하게 토출시켜 냉장실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에어커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냉장고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에어커텐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에어커텐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증발기 42 : 냉기공급덕트
42a : 에어커텐용 팬 보유부 43 : 냉기토출구
44 : 횡류팬 46 : 모터
47 : 냉기순환덕트 48,48',48" : 냉기회수구
50 : 외기온도센서 51 : 고내온도센서
200 : 냉장실 210 : 도어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증발기(20)를 통해 형성된 냉기를 에어커텐용 팬 보유부(42a)로 유입되게 하는 횡류팬(44), 상기 횡류팬(44)에 의해 냉기가 안내되고 전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냉기공급덕트(42), 상기 냉기공급덕트(42)의 단부에 만곡지게 형성되어 냉기를 냉장실(200)의 전면 하방으로 경사지게 토출시키는 냉기토출구(43), 토출된 냉기가 에어커텐을 형성한 후 냉장실(200)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냉기회수구(48,48',48"), 상기 냉기회수구(48,48',48")로 흡입된 냉기를 순환되게 하는 냉기순환덕트(47), 냉장실(200)을 개폐하는 도어(210)의 전면에 내설되어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마이컴으로 신호를 보내는 외기온도센서(50), 냉장실(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마이컴으로 신호를 보내는 고내온도센서(51) 및 상기 외기온도센서(50)와 고내온도센서(51)에서 입력된 측정값의 차이에 따라 모터(46)의 알피엠(이하, "RPM"이라 칭함)을 조절하여 횡류팬(44)의 회전수를 변화시키는 마이컴으로 이루어진 냉장고의 에어커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에서는 외기온도값(TA)과 상기 냉장실(200) 내부온도간(TB)의 차이가 5(TO)보다 작으면 모터(46)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외기온도값(TA)과 상기 냉장실(200)의 내부온도간(TB)의 차이가 5(TO)보다 크고 25(TZ)보다 작으면 상기 모터(46)를 정격 RPM인 200RPM으로 구동 시키며, 상기 외기온도값(TA)과 상기 냉장실(200) 내부온도값(TB)의 차이가 25(TZ)보다 크면 모터(46)를 224RPM으로 작동시키는 것으로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 냉장고의 에어커텐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에어커텐구조를 갖는 냉장고는 냉동실(100)과 냉장실(200)로 구성된다.
그리고, 냉장실(200)의 도어(210) 내측에는 외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외기온도센서(50)가 설치되어 마이컴으로 신호를 보낸다.
또한, 냉장고의 바닥에 장착된 압축기(10)는 냉매를 압축하여 냉동실(100)의 배면 측에 설치된 증발기(20)로 냉매를 순환시키며, 상기한 증발기(20)는 순환냉매의 증발을 통해 주위 공기를 냉각한다.
그리고, 냉기순환용 팬(23,24)은 냉동실(100)의 배면 측에 설치되며, 증발기 (20)에 의해 냉각된 냉기를 냉기공급덕트(25,26)을 통해 냉동실(100) 및 냉장실 (200)에 각각 공급한다.
상기한 냉기공급덕트(25)는 냉동실(100)의 배면측에 설치되고, 팬(23)에 의해 냉기공급덕트(25)에 유입된 냉기는 냉기공급구(27)를 통해 냉동실(100)에 공급되며, 냉기공급덕트(26)는 냉장고의 배면측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2개의 덕트로 분기되어 냉장실(200)의 배면측 양 코너를 따라 연장된다.
그리고, 팬(24)을 통해 냉기공급덕트(26)에 유입된 냉기는 냉기공급구(28)를 통해 냉장실(200)에 공급되며, 바람직하게는 냉장실(200)의 양 측벽에 냉기공급덕트(26)와 연통된 별도의 냉기공급구(29)를 제공하여도 좋다.
한편, 냉동실(100)과 냉장실(200) 사이의 온도차이를 유지하기 위한 단열부재(41)가 냉장고의 상하, 좌우 및 후측을 포위하며, 냉동실(100)과 냉장실(200) 사이에 제공된다.
또한, 에어커텐용 냉기공급덕트(42)가 냉동실(100)과 냉장실(200) 사이에 제공된 단열부재(41) 아래에 제공되며, 후단에 에어커텐용 팬 보유부(42a)와 전단에 만곡진 후 직선부를 갖는 에어커텐용 냉기토출구(43)로 구성된다.
그리고, 에어커텐용 냉기토출구(43)는 슬릿형상을 갖고, 냉장실(200)의 도어에 인접하게 냉장실(200)의 상부에 제공되며, 냉기가 직하방으로 토출되지 않고 전방으로 경사지게 토출되도록 한다.
이때, 에어커텐용 냉기토출구(43)는 바람직하게는 냉장실(200)의 전체 폭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에어커텐을 형성하는 팬(44)은 냉장고의 배면 측 근방에 에어커텐용 팬 보유부(42a) 내에 설치되고, 층류형성을 위해 팬으로는 횡류팬(44)을 사용한다.
또한, 횡류팬(44)은 바람직하게는 냉장실(200)의 내부폭과 같은 길이를 가지는 것이 좋으며, 횡류팬(44)은 부가된 모터(46)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모터 (46)는 RPM(RPM)의 조정이 가능한 디씨(DC)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어커텐용 냉기공급덕트(42)의 하부면은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어 냉기공급덕트(42)의 단면적이 냉기토출구(43) 쪽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된다. 이 결과, 냉기공급덕트(42)의 상부면에 근접하여 흐르는 냉기의 유속이 냉기공급덕트 (42)의 하부면에 근접하여 흐르는 냉기의 유속보다 더 빠른 층류(層流 : laminar flow)가 형성된다.
그리고, 에어커텐용 냉기공급덕트(42)의 만곡진 냉기토출구(43)의 전단은 직선형상으로 되어 에어커텐용 냉기가 일정한 각을 갖고 토출시 직진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냉기회수덕트(47)는 냉장고의 배면 측의 중앙부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고, 냉기회수구(48,48',48")는 냉장실(200)내의 다수의 수납공간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냉기회수덕트(47)에 연통된다.
그리고, 상단의 수납공간에 제공된 냉기회수구(48)의 단면적은 중단의 수납공간에 제공된 냉기회수구(48') 보다 작으며, 중단의 수납공간에 제공된 냉기회수구(48')의 단면적은 하단의 수납공간에 제공된 냉기회수구(48")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장실(200)의 수납공간은 선반(49,49',49")에 의해 구분되고, 선반 (49,49',49")의 상면은 분사된 에어커텐용 냉기의 회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평탄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수납공간내의 냉기회수구(48,48',48")의 설치높이는 저장물의 수납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선반으로부터 1/2지점의 상부에 설치되고, 냉기회수구(48,48',48")의 형상은 가로 길이가 긴, 예컨대 직사각형이나 타원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장실(200) 내부에는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고내온도센선(51)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고내온도센서(51)는 냉장실(200)의 보관되는 물품과 접촉되지 않도록 냉기회수구(48,48',48")의 외측 등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마이컴에서는 상기 외기온도센서(50)와 고내온도센서(51)로부터 입력된 데이타의 차이를 구하여 모터(46)의 작동을 조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에어커텐 장치를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상태에서 도어(210)가 오픈되지 않으면 모터 (46)가 정지되어 횡류팬(44)이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에어커텐 형성용 냉기가 냉기공급덕트(42)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어(210)가 오픈되면 횡류팬(44)이 정격 RPM인 200rpm으로 구동하여 증발기(20)로부터 발생된 냉기를 에어커텐용 팬 보유부(42a)로 유입되게 한다. 그런후에, 횡류팬(44)이 에어커텐용 팬 보유부(42a)로 유입된 냉기를 냉기공급덕트 (42)를 통해 냉기토출구(43) 측으로 흐르게 한다.
이때, 냉기공급덕트(42)의 단면적이 냉기토출구(43) 측으로 갈수록 작아지기 때문에 냉기의 유속이 빨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냉기토출구(43)를 통해 분사되는 냉기는 에어커텐을 형성하면서 개방된 냉장실(200)의 전면 하방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도어(210)의 내측에 설치된 외기온도센서(50)가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냉장실(200)의 내측에 설치된 고내온도센서(51)가 냉장실(2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외기온도센서(50)와 고내온도센서(51)가 측정한 온도값을 냉장고의 마이컴에 보내게 된다.
그러면, 마이컴에서는 외기온도값(TA)과 냉장실 내부의 온도값(TB)의 차이값을 이미 설정된 값과 비교하게 된다.
그리고, TA- TB< TO인 경우에는 모터(46)의 작동을 정지 시킨다. 상기식에서 TA는 외기센서가 감지한 외기온도값이고, TB는 고내온도센서가 감지한 냉장실내부의 온도값이며, TO는 이미 설정된 값으로 5이다.
즉, 외기온도값(TA)에서 냉장실 내부온도값(TB)을 감한 수치(TA-TB)가 5(TO)보다 작으면 모터(46)의 작동이 정지되어 횡류팬(44)이 구동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겨울철 등의 동절기에 실내온도가 하강하여 냉장실(200) 내부 온도와 차이가 거의 없을 때에는 외기가 혼입 되더라도 냉장실(200)의 온도가 상승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모터(46)가 작동되지 않게 하여 횡류팬 (44)을 정지시킴으로서 에어커텐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TO< TA- TB< TZ인 경우에는 모터(46)를 정격 RPM으로 구동하게 된다. 상기식에서 TZ는 이미설정된 값 25이다. 즉, 외기온도값(TA)과 냉장실(200)의 내부온도값(TB)의 차이가 5(TO)보다 크고 25(TZ)보다 작은 경우에는, 모터(46)를 정격 RPM인 200RPM으로 구동시켜 횡류팬(44)이 회전되게 한다.
그런후에, 마이컴은 외기온도센서(50)가 외기온도값(TA)을 측정하고, 고내온도센서(51)가 냉장실 내부온도값(TB)을 측정하여 모터(46)의 작동을 조절한다.
즉, 무더운 여름철이나 추운 겨울철이 아닌 경우, 실내온도가 매우높거나 낮지 않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에는 모터(46)를 정격 RPM으로 작동시켜 횡류팬(44)을 회전시키더라도 외기의 혼입을 막을 있게 된다.
그리고, TA - TB > TZ 인 경우에는 모터(46)를 정격 RPM 이상으로 구동 시켜야 한다. 즉, 외기의 온도값(TA)과 냉장실(200) 내부의 온도값(TB)의 차이가 25(TZ)이상인 경우에는 모터(46)를 정격 전압의 120%인 224RPM으로 작동시켜 횡류팬(44)의 회전수를 증가시킨다.
그리고, 무더운 여름철에 외기의 온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냉장실(200)의 도어(210)를 잠시만 열게 되더라도 에어커텐을 형성하는 냉기에 외기가 혼입되어 냉장실(20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모터(46)가 정격 RPM 이상으로 작동하여 횡류팬(44)을 강하게 회전 시킴으로서, 에어커텐을 형성하는 냉기가 토출구(43)를 통해 빠른 속도로 강하게 토출 되게 한다. 그러면, 고온의 외기가 에어커텐용 냉기에 혼입이 어려워 냉장실(200)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지 않게 된다.
그런후에, 마이컴은 외기온도센서(50)가 외기온도값(TA)을 측정하고, 고내온도센서(51)가 냉장실 내부온도값(TB)을 측정하여 모터(46)의 작동을 조절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에어커텐 발생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실내온도가 상승된 여름철이나 실내온도가 하강된 겨울철에 관계없이 냉장실(200)의 도어(210)만 열면 에어커텐 발생장치가 작동하여 에너지의 낭비가 많았기 때문에, 도어(210)에 외기온도센서(50)를 설치하고 냉장실(200)에 고내 온도센서(51)를 설치하여 마이컴에서 온도차에 따라 모터(46)의 RPM을 조정하여 횡류팬 (44)의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써, 실내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에어커텐장치기 정지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실내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에어커텐 장치를 강하게 작동시켜 냉장실 내부에 저장된 물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증발기(20)를 통해 형성된 냉기를 에어커텐용 팬 보유부(42a)로 유입되게 하는 횡류팬(44), 상기 횡류팬(44)에 의해 냉기가 안내되고 전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냉기공급덕트(42), 상기 냉기공급덕트(42)의 단부에 만곡지게 형성되어 냉기를 냉장실(200)의 전면 하방으로 경사지게 토출시키는 냉기토출구(43), 토출된 냉기가 에어커텐을 형성한 후 냉장실(200)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냉기회수구 (48,48',48"), 상기 냉기회수구(48,48',48")로 흡입된 냉기를 순환되게 하는 냉기순환덕트(47), 냉장실(200)을 개폐하는 도어(210)의 전면에 내설되어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마이컴으로 신호를 보내는 외기온도센서(50), 냉장실(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마이컴으로 신호를 보내는 고내온도센서(51) 및 상기 외기온도센서(50)와 고내온도센서(51)에서 입력된 측정값의 차이에 따라 모터(46)의 RPM을 조절하여 횡류팬(44)의 회전수를 변화시키는 마이컴으로 이루어진 로된 냉장고의 에어커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에서는 외기온도값(TA)과 상기 냉장실(200) 내부온도값(TB)의 차이가 5(TO)보다 작으면 모터(46)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외기온도값(TA)과 상기 냉장실(200)의 내부온도값(TB)의 차이가 5(TO)보다 크고 25(TZ)보다 작으면 상기 모터(46)를 정격 RPM인 200RPM으로 구동시키며, 상기 외기온도값(TA)과 상기 냉장실(200) 내부온도값(TB)의 차이가 25(TZ)보다 크면 모터(46)를 224RPM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에어커텐 장치.
KR2019980020885U 1998-10-30 1998-10-30 냉장고의에어커텐장치 KR200263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885U KR200263533Y1 (ko) 1998-10-30 1998-10-30 냉장고의에어커텐장치
CN98814293.7A CN1128970C (zh) 1998-10-30 1998-12-17 用于冰箱的空气幕风扇的驱动装置和方法
GB0110266A GB2359126B (en) 1998-10-30 1998-12-17 Air curtain fan driving device and method for a refrigerator
PCT/KR1998/000435 WO2000026587A1 (en) 1998-10-30 1998-12-17 Air curtain fan driving device and method for a refrigerator
US09/216,939 US6105377A (en) 1998-10-30 1998-12-21 Air curtain fan driving device and method for a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885U KR200263533Y1 (ko) 1998-10-30 1998-10-30 냉장고의에어커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993U KR20000008993U (ko) 2000-05-25
KR200263533Y1 true KR200263533Y1 (ko) 2002-06-24

Family

ID=69522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885U KR200263533Y1 (ko) 1998-10-30 1998-10-30 냉장고의에어커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5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993U (ko) 200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0460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82533B1 (ko) 냉장고 및 그 온도제어방법
JP3184776B2 (ja) エアカーテン発生装置を備えた冷蔵庫
KR100187197B1 (ko) 간냉식 냉장고의 냉기 토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0171523B1 (ko) 냉장고의 냉기 단속 장치
KR200263534Y1 (ko) 냉장고의에어커텐장치
KR20000009637U (ko) 냉장고의 에어커텐 장치
JPH10300316A (ja) 冷凍冷蔵庫
CN1202610A (zh) 具有气幕产生装置的电冰箱
KR200263533Y1 (ko) 냉장고의에어커텐장치
JP2620539B2 (ja) 冷気循環装置を設けた冷蔵庫
KR19980073347A (ko) 에어커튼 발생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487317B1 (ko) 직냉식 냉장고
KR200152091Y1 (ko) 정온 냉기토출 에어커튼 냉장고
CN219346922U (zh) 冷藏冷冻装置
KR100595434B1 (ko) 냉장고
KR0136057Y1 (ko) 냉기순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JP2000180016A (ja) 冷蔵庫
KR100607712B1 (ko) 오픈형 워크 인쿨러 구조
KR200145880Y1 (ko) 냉장고의 냉기토출 장치
KR100370008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 구조
KR100221548B1 (ko) 냉장고의 증발기 설치구조
JPH10267495A (ja) 冷却貯蔵庫
KR0164765B1 (ko) 에어커튼용 냉기전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232148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