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370Y1 - 상수도 직수압 유지기능 저수탱크 - Google Patents

상수도 직수압 유지기능 저수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370Y1
KR200263370Y1 KR2020010020805U KR20010020805U KR200263370Y1 KR 200263370 Y1 KR200263370 Y1 KR 200263370Y1 KR 2020010020805 U KR2020010020805 U KR 2020010020805U KR 20010020805 U KR20010020805 U KR 20010020805U KR 200263370 Y1 KR200263370 Y1 KR 2002633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pressure
fauce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8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순우
Original Assignee
정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순우 filed Critical 정순우
Priority to KR20200100208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3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3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370Y1/ko

Links

Landscapes

  • Float Valves (AREA)

Abstract

수돗물을 쓰고있는 공장이나 가정에서는 대부분 저수탱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저수탱크의 물을 수도꼭지까지 끌어쓰게 될 때는 수압이 낮아 큰 불편을 겪고 있다. 특히 단층주택이나, 탱크와 수도꼭지와의 높이 격차가 적을수록 더욱 그러하다. 이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을 들여 탱크위치를 더욱 높히거나, 양수모터를 설치하거나, 직수관을 별도로 설치하는 등 번거로움과 경제적인 부담을 안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으로, 배수장에서 저수탱크까지 보내는 수압(기계적 가압 또는 자연 낙차)을 저수탱크까지만으로 끝날것이 아니라 수도꼭지까지 그 수압을 이용하려는 고안이다. 고안의 요지로서는, 저수탱크의 덮개를 덮었을 때 완전밀폐가 되게하고,탱크 상단부에 한 개의 후드밸브를 장착하여, 탱크내부에 직수가 들어갈 때 밀려나오는 공기는 후드밸브(열려있는)의 통기구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하며, 또한 물이 탱크내부에 유입, 만충되었을 때 부력을 얻은 부이가 뜨면서 밸브의 통기구를 차단, 물의 범람을 방지, 차폐하며, 단수시 수도꼭지를 열므로써 탱크 속의 물이 유출될 때, 필요로하는 공기의 공급 등의 기능을 밸브장치로서 해결함으로서, 배수지의 가압된 수압을 수도꼭지까지 유지, 연결해 쓸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Description

상수도 직수압 유지기능 저수탱크{The water tank with a function for holding the direct water pressure of waterworks}
본 고안은 상수도 배수지에서 생긴 직수압(기계가압 또는 자연 낙차)을 저수탱크를 경유, 각 개별 수도꼭지에까지 유지, 전달 할 수 있도록 한 저수탱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배수지에서 발생한 직수압(기계적 가압 또는 자연낙차)은 각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쓰고있는 기존의 저수탱크로 물을 공급하는 것만으로, 그 목적을 다하고 기능은 끝난다. 따라서 저수탱크 안에 저장된 물을 수도꼭지까지 운송하는 방법은 (계속 급수상태일 때에도) 저수탱크의 위치를 높여 그 자연낙차로 발생하는 수압을 이용, 수도꼭지까지 보내야 하므로 설치위치를 높이는데 큰 애로를 겪고있으며 일반 단층건물의 주택에서는 그 수압이 너무 낮아 더욱 답답하다. 그래서 대부분의 수용가들은 건축당시부터 많은 경제적인 부담과 번거로움을 감수하면서도 직수라인을 별도로 설치하게되고 또, 항시 직수만을 사용할 뿐 저수탱크의 물은 단수에 대비한 비상수로만 사용하게됨에 따라 극히 사용빈도가 낮은 저수탱크의 물은 정체, 변질의 우려가 다분히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당초 배수지에서 개별 저수탱크까지 물을 전달하던 그 강력한 수압이 옥상의 저수탱크에서 끝날 것이 아니라 저수탱크를 경유, 수도꼭지에까지 그 수압을 유지함으로써 직수라인의 직수압과 대등한 수압의 물을 얻게 되는 것이다. 즉, 이상의 직수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그 수압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저수탱크의 덮개를 덮었을 때 완전 밀폐되게 하고, 탱크상단부에 후드밸브를 장착함으로서, 탱크 속에 물이 유입되는 과정에서, 이미 꽉 차 있던 공기는 열린 상태의 밸브 통기구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고 점차 탱크 안에 가득 저장된 물은 상단부에 설치한 밸브의 부이(극히 가벼운)를 띄우게 됨으로서 부이와 연결된 박킹이 통기구를 폐쇄하고 탱크내부에 수압의 팽창력이 커질수록 더욱 굳게 닫힌다 또한 단수의 경우(물을 밀어주는 수압이 없을 때), 수도꼭지를 열었을 때 탱크 안이 진공임으로 물의흐름에 장애가 있을 수 있으나 순간 부력을 잃은 밸브(가벼운 부력)가 물의 낙차력에 의해 열리면서 공기가 탱크 속으로 유입되어 물의흐름의 장애는 해소된다.
도-1은 상수도 직수압을 유지하기위한 물저장 탱크의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물탱크
2 : 후드밸브
3 : 부이와 연결되어 통기구를 개페하는 기능의 고무마개
4 : 부력을 가진 부이
5 : 완벽한 밀페 기능의 물탱크 뚜껑
6 : 직수 입수관
7 : 저수 배출관
이상의 과정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물탱크(1) 안으로 직수가 입수관(6)을 통하여 유입되면 물탱크 속에는 공기저항(압력)이 발생하면서 직수유입에 저항이 생길 수 있으나 이때 그 공기압은 이미 열려있는 상태의 후드밸브(2)의 상단부 통기구(9)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어 직수유입의 지장을 해소한다.
또한 계속 유입된 물은 물탱크를 점차 충진하고 그물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후드밸브(2)안에 내장된 부이(4)가 부력을 얻어 뜨게되고 부이와 연결된 고무마개(3)이 후드밸브 상단부의 통기구(9)를 폐쇄함으로써 물의 범람을 차단한다.
이때 탱크 속에는 직수가 계속 밀고있으므로 팽창수압이 상존하고 직수유입도 멈추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수도 꼭지를 열게되면 저수탱크 속에 상존하고 있는 그 팽창수압으로 직수관에서 토출하는 수압과 대등한 수압의 물을 얻을 수 있다.
또, 배수지에서 급수를 중단하는 경우(단수)에는 저수탱크의 물이 자연낙차에 의하여 수도꼭지에 이르게 되는데 이때 저수탱크 속이 진공상태이므로 물의낙차에 지장을 줄 수 있으나, 수도꼭지를 열면 저수탱크 속에 물은 상존하는 팽창수압에 의하여 토출되다가 그 수압이 떨어지고 수위가 낮아지면서 후드밸브(2)안에 내장된 부이(4)에 부력이 떨어지고 고무마개(3)가 느슨해지면서 물의 낙차력에 의해 통기구(9)가 열리고 공기가 유입되면서 진공으로 인한 물의 흐름에 장애가 해소되도록 한 구조가 특징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배수지에서 각 가정으로 보내는 그 수압을 각 개별탱크까지 만으로 끝날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조작하는 수도꼭지까지 유지, 직결시켜 이용함으로써,
1. 급수탱크의 높이와는 상관없이(상수도의 급수상태)직수압에 대등한 수압의 물을 이용할 수 있고,
2. 항상 저수탱크를 경유한 물을 사용하게 됨으로서 저수탱크 속의 물이 정체로 인한 녹조발생 등 변질, 부패의 우려가 없으며,
3. 주택을 건립할 때 별도로 직수라인을 설치하는 번거로움과 경제적인 부담이 없다.

Claims (1)

  1. 상수도 저수탱크의 구조에 있어서, 배수지에서 생긴 수압을 수도꼭지까지 이르게 할 목적으로 각 개별탱크의 뚜껑은 개폐식으로 하되 덮었을 때는 완전 밀폐되도록하고 탱크부위에 밸브를 장착하여 저수탱크 안에 물의 유입에 따른 저항공기압의 배기, 탱크내부에 물이 만충되었을 때 물의 범람방지, 단수 때 수도꼭지를 열고 물을 쓰게될 때 탱크 내부의 진공상태에 공기를 공급하는 기능을, 밸브를 사용하여 조정하는 상수도 직수압 유지기능 저수탱크.
KR2020010020805U 2001-07-10 2001-07-10 상수도 직수압 유지기능 저수탱크 KR2002633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805U KR200263370Y1 (ko) 2001-07-10 2001-07-10 상수도 직수압 유지기능 저수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805U KR200263370Y1 (ko) 2001-07-10 2001-07-10 상수도 직수압 유지기능 저수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370Y1 true KR200263370Y1 (ko) 2002-02-04

Family

ID=7310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805U KR200263370Y1 (ko) 2001-07-10 2001-07-10 상수도 직수압 유지기능 저수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3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90398A1 (en) * 2003-04-11 2004-10-21 Myung-Gil Jung Shuttle valv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90398A1 (en) * 2003-04-11 2004-10-21 Myung-Gil Jung Shuttle valve
GB2416020A (en) * 2003-04-11 2006-01-11 Myung-Gil Jung Shuttle valve
GB2416020B (en) * 2003-04-11 2006-08-23 Myung-Gil Jung Shuttle val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66081A (ko)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
KR200263370Y1 (ko) 상수도 직수압 유지기능 저수탱크
KR100712707B1 (ko)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
KR100530575B1 (ko) 절수형 양변기
CN109083234B (zh) 一种利用虹吸的下水排放装置及排放方法
KR100775609B1 (ko) 저수압에서도 작동 가능한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구조
KR101674417B1 (ko) 사이폰 현상을 이용한 배수장치
KR200277610Y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
JPH10159147A (ja) 排水管路の臭気止め装置
JPS59215549A (ja) 太陽熱温水器の抜水凍結防止装置
KR100640142B1 (ko) 무동력 싸이펀 홍수 예방장치
KR101522246B1 (ko) 물탱크에 구비되는 무전원 밸브
JP3123143U (ja) 自動給水式排水トラップ
CN114164847B (zh) 一种地下建筑物用应急排水系统及方法
KR200339326Y1 (ko) 부동 급수주의 흡기구조
KR200392299Y1 (ko)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
KR100562522B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GB2458136A (en) Drainpipe float valve arrangement
CN217811541U (zh) 加压排水、虹吸排水两用排水系统
KR20100009972U (ko) 절수형 변기 수조
CN215211341U (zh) 一种浮筒装置及进水阀和排水阀
JP2512800Y2 (ja) 寒冷地用減圧弁
CN201513615U (zh) 二级反馈型自动阀
KR200372364Y1 (ko) 부체수문을 이용한 자동 수로개폐장치
CN1719085A (zh) 旋钮虹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