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299Y1 -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 - Google Patents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299Y1
KR200392299Y1 KR20-2005-0015159U KR20050015159U KR200392299Y1 KR 200392299 Y1 KR200392299 Y1 KR 200392299Y1 KR 20050015159 U KR20050015159 U KR 20050015159U KR 200392299 Y1 KR200392299 Y1 KR 2003922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ating
opening
closing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1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택
Original Assignee
부덕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덕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덕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51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2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2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2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에 관한 것으로서, 밸브 차단시 급수주 내에 남아있던 잔류수가 내부에 마련된 저수실로 신속하게 이동되어 임시 저장이 이루어진 후 재 공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 동절기 동파를 방지함과 동시에 잔류수 유출로 인한 토양 오염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수관이 연결되는 상수관 연결부(11)를 일측에 구비하고 있으며, 내부 유로 개폐를 위한 개폐구(12)가 내부에 설치되어진 부동밸브 하우징(10)과, 상기 부동밸브 하우징(10)에 하단이 연결되며, 상단에는 외부로의 상수 공급을 위한 수도꼭지(30)가 연결 구성되는 급수주(20)와, 상기 급수주(20) 내에 잔류되는 잔류수의 저장을 위해 상기 부동밸브 하우징(10) 내에 구비되어진 저수실(15)과, 상기 개폐구(12)의 개폐 조절을 위해 승강 구동이 이루어지는 저수밸브체(40)와, 상기 저수밸브체(40)의 승강 구동을 위해 상부에 연결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NONFREEZING WATER SUPPLY PIPE FOR PREVENT WINTER SOWING}
본 고안은 겨울철 동파방지 기능을 갖는 부동 급수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주의 사용시 잔류수의 외부 배출로 인한 문제를 개선하고 사용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동 급수주는 동절기의 한파에 의해 결빙되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도전으로서, 이러한 부동전에 대한 종래의 기술은 밸브 및 파이프에 보온수단을 사용한 부동전과 부동전 자체의 내부 구조를 개량한 부동전으로 대별될 수 있으나, 겨울철 혹한기에 효과적인 동파방지를 위해서는 후자의 방법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후자에 따른 종래 부동 급수주의 일 예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바 있는 국내특허출원 제2003-42549호를 보면, 앞쪽과 뒤쪽에 2개의 밸브(수도꼭지, 부동밸브핸들)를 각각 구비하여 여름에는 뒤쪽의 부동밸브는 개방시킨 상태에서 앞쪽의 수도꼭지만을 조작하여 급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동절기에는 앞쪽의 수도꼭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뒤쪽의 부동밸브핸들만을 조작하여 급수 개폐를 실시함으로 밸브 폐쇄시 급수주에 남아 있는 잔류수가 하부로 유도되어 급수주의 겨울철 동파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종래 기술에서는 하부로 유도된 잔류수가 외부로 배출되어 토양에 스며들 수 있도록 배출공을 형성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부동급수주의 시공을 위해서는 잔류수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밸브 주위에 자갈층을 별도로 시공해 주어야 하는 불편과 함께, 이와 같이 배출된 잔류수로 인해 토양 오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배출된 양 만큼의 물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2개의 밸브 구조를 이루고 있어 여름철과 겨울철에 따라 밸브 개폐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별도의 관리가 필요하게 되고, 따라서 공공 시설물로서의 사용상 불편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급수주에 남아있던 잔류수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내부에서 별도 저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토양 오염은 물론 물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유로 개폐를 위한 밸브가 단일갯수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부동전의 사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상수가 유급되는 상수관이 일측에 연결되어지되, 유로 개폐를 위한 개폐구가 내부에 설치되어진 부동밸브 하우징과, 상기 부동밸브 하우징에 하단이 연결되며, 상단에는 외부로의 상수 공급을 위한 수도꼭지가 연결 구성된 급수주와, 상기 부동밸브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진 저수실과, 상기 개폐구의 개폐동작을 위해 승강 구동이 이루어지는 저수밸브체와, 상기 저수밸브체의 승강 구동을 위해 상부에 연결된 구동수단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를 통해 이룰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동 급수주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부동 급수주의 부동밸브 하우징부 단면 상세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 부동 급수주의 동작 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응용예에 따른 수도꼭지의 분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음수대 사용시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본 실시 예에 따른 부동 급수주의 전체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장치 하단에 위치하는 부동밸브 하우징(10)에는 상수관이 연결되는 상수관 연결부(11)가 일측에 구비되어져 있으며, 내부에는 유로 개폐를 위해 탄성스프링(13)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개폐구(12)가 설치되어져 있는데, 개폐구(12) 상면에는 소정 높이로 가압돌기(12a)가 돌출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부동밸브 하우징(10)내의 상수 유로와 연통되도록 급수주(20)가 직립 설치되어지는데, 급수주(20) 상부에는 유로가 개방된 수도꼭지(30)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급수주(20)는 내부 잔류수의 변화를 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은 물로 불투명 재질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부동밸브 하우징(10) 내에는 저수실(15)을 구비하고 있으며, 저수실(15) 내에는 수밀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저수밸브체(40)가 개폐구(12)의 유로 개폐동작을 위해 승강구동 가능하도록 저수실(15) 내측벽에 밀착 구성되어져 있고, 저수실(15) 하단 일측에는 저수밸브체(40)의 하강 높이를 지지하여 유로를 확보하기 위한 스토퍼(14)가 구성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저수밸브체(40)의 상부에 연결된 승강 구동수단으로는 봉 형태의 핸들대(41)가 핸들대 보호관(42) 내에 구성되어져 있는데, 핸들대(41) 상단에는 힌지(51)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한 밸브핸들(50)이 링크(52)를 통해 연결 되었다.
또한, 상기 상수관 연결부(11)에는 단수 발생시 부동전으로 유입된 상수의 역류 방지를 위해 탄성 스프링(17)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역류방지 밸브(16)가 구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응용예로서 상기 수도꼭지(30)에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음수구(31)가 상향으로 분기 구성되되, 유로 분기지점에는 스프링(38)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가운데 분출유로를 선택적으로 절환시키는 절환밸브(35)가 구성되었다.
상기 음수구(31) 하부에는 내부에 잔류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공(32)이 형성 되었으며, 드레인공(32)에는 드레인 유로 개폐를 위한 드레인밸브(33)가 스프링(36)에 의해 탄성 지지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4는 드레인밸브(3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되어 체결구 이고, 37은 수밀성 유지를 위한 지수패킹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고안 부동 급수주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3 내지 도 5의 동작 상태도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부동 급수주는 주로 공원이나 버스 정류장과 같은 공공장소에 설치하여 다수의 시민이 상수를 용이하게 이용토록 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비 사용시는 도 3에서와 같이 밸브핸들(50)이 원위치 되어 상수의 공급이 중단된 유로 폐쇄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이때에는 부동밸브 하우징(10) 내의 저수밸브체(40)가 상승된 상태이므로 개폐구(12)는 하부의 탄성스프링(13)에 의해 상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유로를 막고 있는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수를 공급받기 위해서는 이용자가 밸브핸들(50)을 조작해야 하는데, 그 1단계 열림동작으로서 도 4에서와 같이 밸브핸들을 힌지(51)를 축으로 하여 약 90도 꺽어주게 되면, 링크(52)에 의해 연결되어져 있는 핸들대(41)와 저수밸브체(40)가 하강하면서 개폐구(12)의 가압돌기(12a) 부분에 근접하게 된다.
이때에는 밸브핸들(50)과 링크(52) 그리고 핸들대(41)가 일직선을 이루고 있어 밸브핸들(50)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만약 이 상태에서 밸브핸들(50)을 놓게 되면 탄성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계속하여 밸브핸들(50)을 완전히 꺽어주게 되면, 이때는 2단계 열림동작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밸브체(40)가 더욱 하강하여 개폐구(12)를 눌러주게 된다.
이에 따라, 가압력이 작용된 개폐구(12)가 하강하면서 유로의 개방이 이루어짐으로, 상수관(미도시)을 통해 공급되는 상수가 급수주(20)측으로 공급되게 된다.
즉, 개폐구(12)의 하강에 따른 유로의 개방이 이루어지면서 강한 수압으로 상수의 공급이 이루어져 수도꼭지(30)를 통해 상수가 배출되어지게 되며, 이때에는 저수밸브체(40)와 저수실(15) 내벽면과의 기밀성으로 인해 저수실(15) 내부로는 상수의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수도꼭지(30)를 통해 배출되는 상수는 응용예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수대 겸용인 경우, 평상시에는 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해 절환밸브(35)가 상승된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도 6에서와 같이 수도꼭지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절환밸브(35)를 눌러서 하강시키면 도 7a에서와 같이 공급 유로를 음수구(31)측으로 분기시켜 음수대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에는 공급되는 상수의 수압으로 인해 드레인 밸브(33)가 스프링(36)을 누르면서 하강되어 지수패킹(37)과 맞닿은 상태를 이룸으로 드레인공(32)이 폐쇄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음수대로의 사용중 상수의 공급을 중단시키게 되면, 내부에 남아있던 물은 드레인공(32)을 통해 낙하되어 외부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즉, 이때에는 드레인 밸브(33)를 눌러주던 수압이 해제된 상태이므로,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드레인 밸브(33)가 상승하여 지수패킹(37)과 이격 되면서 드레인공(32)이 개방되고, 이에 따라 음수구(31) 내에 잔류되어 있는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사용 중 상수의 배출을 중단하기 위해 밸브핸들(50)을 직각방향으로 위치 시키게 되면, 이때는 다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구(12)를 눌러주고 있던 저수밸브체(40)가 상승함으로서 개폐구(12)가 탄성력에 의해 유로를 폐쇄하게 되어 상수 공급이 중단되게 된다.
그리고, 계속하여 도 3에서와 같이 밸브핸들(50)을 완전히 원위치 시키게 되면, 부동밸브 하우징(10) 내부에는 저수밸브체(40) 상승에 따른 일정 체적의 저수실(15)이 형성되게 되고, 수도꼭지(30)를 통해 배출되지 않고 급수주(20)내에 남아있던 잔류수는 저수실(15)로 신속히 유입되게 됨으로 급수주(20) 내에는 물이 잔류하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상수의 사용을 위해 밸브핸들(50)을 들어올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순차적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저수밸브체(40)가 하강되어지면서 저수실(15)내에 저장되어져 있는 물을 가압하여 급수주(20)측으로 다시 이동시키고, 이후 계속적인 하강동작에 따라 개폐구(12)를 눌러 개방시킴으로서 상기 동작설명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수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급수주(20)에 잔류되어져 있던 잔류수는 유로 폐쇄시 저수실(15)에 임시 저장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이후에 공급 용수로 다시 사용이 가능하게 됨으로 상수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도꼭지(30)에 호스를 연결하여 별도의 물받이통에 상수를 저장시키는 과정에서 갑작스런 단수가 발생하면 물받이통에 있던 물이 호스를 통해 역류되어 상수관으로 역류될 수 있으나, 이때에는 역류방지 밸브(16)에 의해 상기 역류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됨으로 역류된 물이 원수를 오염시키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부동 급수주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저수밸브체의 승강 구동 수단으로서 링크 연결이 이루어진 밸브핸들 구조가 설명 되었으나, 이러한 손잡이식 개폐구조는 스크류식으로 변경되거나 또는 발을 이용한 패달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밸브 차단시 급수주 내에 남아있던 잔류수가 내부에 마련된 저수실로 신속히 이동되어 임시 저장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동절기 동파를 방지함과 동시에 잔류수 유출로 인한 토양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임시 저장이 이루어진 잔류수는 상수 공급시 재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용수 사용을 절약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기존 잔류수의 외부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자갈층을 시공하는 과정이 필요없게 됨으로 설치 시공성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의 밸브를 이용하여 유로 개폐 및 내부 잔류수 조절이 가능하게 됨으로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 부동 급수주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단면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 부동 급수주의 닫힘시 단면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 부동 급수주의 1차 열림 동작시 단면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 부동 급수주의 2차 열림 동작시 단면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 부동 급수주의 응용예에 따른 수도꼭지부 유로 분기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응용예에 따른 음수대 사용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7a는 음수구로의 유로 개방시 상태도.
7b는 음수구의 잔류수 드레인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동밸브 하우징 11 : 상수관 연결부
12 : 개폐구 13,17 : 탄성 스프링
14 : 스토퍼 15 : 저수실
16 : 역류방지 밸브 20 : 급수주
30 : 수도꼭지 31 : 음수구
32 : 드레인공 33 : 드레인 밸브
34 : 체결구 35 : 절환밸브
36,38: 스프링 37 : 지수패킹
40 : 저수밸브체 41 : 핸들대
42 : 핸들대 보호관 50 : 밸브핸들
51 : 힌지 52 : 링크

Claims (8)

  1. 상수관이 연결되는 상수관 연결부(11)를 일측에 구비하고 있으며, 내부 유로 개폐를 위한 개폐구(12)가 내부에 설치되어진 부동밸브 하우징(10)과;
    상기 부동밸브 하우징(10)에 하단이 연결되며, 상단에는 외부로의 상수 공급을 위한 수도꼭지(30)가 연결 구성되는 급수주(20)와;
    상기 급수주(20) 내에 잔류되는 잔류수의 저장을 위해 상기 부동밸브 하우징(10) 내에 구비되어진 저수실(15)과;
    상기 개폐구(12)의 개폐 조절을 위해 승강 구동이 이루어지는 저수밸브체(40)와;
    상기 저수밸브체(40)의 승강 구동을 위해 상부에 연결된 구동수단;
    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12)는 저수밸브체(40)의 저면과 대응되는 상부에 가압돌기(12a)가 돌출 형성되어져 있으며, 하부에는 상향으로의 탄성 지지를 위한 탄성 스프링(13)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수밸브체(40)의 승강 구동수단으로는, 하단이 저수밸브체(40) 상부에 연결되며 상단은 힌지(51)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한 밸브핸들(50)과 연결 구비된 핸들대(41)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저수밸브체(40)는 저수실(15) 내에서 승강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저수실 내측벽에 밀착 구성되어져 있으며, 부동밸브 하우징(10) 내의 유로 확보를 위해 상기 저수밸브체(4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14)가 저수실의 내측벽 하단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도꼭지(30)에는 음수구(31)가 분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음수구(31) 하부에는 내부에 잔류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공(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공(32) 유로상에는 스프링(36)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가운데 유로를 개폐하는 드레인 밸브(3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수관 연결부(11)에는 유입된 상수의 역류 방지를 위해 탄성 스프링(17)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역류방지 밸브(1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
KR20-2005-0015159U 2005-05-27 2005-05-27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 KR2003922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159U KR200392299Y1 (ko) 2005-05-27 2005-05-27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159U KR200392299Y1 (ko) 2005-05-27 2005-05-27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993A Division KR100712707B1 (ko) 2005-05-27 2005-05-27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299Y1 true KR200392299Y1 (ko) 2005-08-19

Family

ID=43693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159U KR200392299Y1 (ko) 2005-05-27 2005-05-27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29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707B1 (ko)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
KR200392299Y1 (ko)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
US20100139784A1 (en) Float-controlled water inflow switching device for water pump
KR101721378B1 (ko) 악취 방지와 사이펀 조기종료 기능을 구비한 변기 트랩
KR100557904B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JP3416089B2 (ja) 雨水利用槽
KR200339326Y1 (ko) 부동 급수주의 흡기구조
KR102147767B1 (ko) 상수도용 부동전
KR100403447B1 (ko) 무퇴수 부동전
JP2958641B1 (ja) 配水本管内貯留緊急給水装置
KR200328176Y1 (ko) 하수역류방지밸브
KR20060123695A (ko) 물 절약형 양변기의 구조
KR200335081Y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100562522B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200277610Y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
KR200327072Y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CN219908770U (zh) 一种具有调蓄功能的生态防汛墙
KR200429622Y1 (ko) 양변기의 절수형 출수장치
KR100484056B1 (ko) 절수 부동전
KR100198880B1 (ko) 부동전
KR20060122479A (ko) 푸싱방식 밸브핸들을 구비한 부동 급수주
CN109208733B (zh) 雨水舱及具有雨水舱的综合管廊
KR100370600B1 (ko) 부동전의퇴수장치
KR20040042761A (ko) 절수 부동전
CN2455786Y (zh) 家用节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