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142B1 - 무동력 싸이펀 홍수 예방장치 - Google Patents

무동력 싸이펀 홍수 예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142B1
KR100640142B1 KR1020050086694A KR20050086694A KR100640142B1 KR 100640142 B1 KR100640142 B1 KR 100640142B1 KR 1020050086694 A KR1020050086694 A KR 1020050086694A KR 20050086694 A KR20050086694 A KR 20050086694A KR 100640142 B1 KR100640142 B1 KR 100640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phon
discharge
rainwater
water
pow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천
Original Assignee
보은군
이호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은군, 이호천 filed Critical 보은군
Priority to KR1020050086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16Fixed weirs; Superstructures or flash-boards therefor
    • E02B7/18Siphon wei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댐의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홍수를 예방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폭우, 강우로 인해 댐의 수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 별도의 동력원을 사용하지 않고 우수에 의해 싸이펀(Siphon)이 자동으로 가동하면서 설정된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다량의 물을 방류하여 항상 홍수위를 초과하지 않는 적정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무동력 싸이펀 홍수 예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댐의 내, 외부를 경유하게 설치되는 싸이펀과;
상기 싸이펀에 형성된 배출싸이펀에 우수공급관을 통해 집수한 우수를 공급하는 우수받이와;
상기 배출싸이펀에 우수가 충진되도록 배출커버를 부양하여 배출구를 밀폐시키는 부력탱크와;
상기 싸이펀에 만충진 후 초과하는 우수를 압력수관을 통해 압력탱크로 유도하여 피스톤의 가압력으로 배출커버를 개방시켜 싸이펀을 가동시키는 싸이펀 작동수단을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무동력 싸이펀 홍수 예방장치{Flood prevention device by using a siphon}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홍수 예방장치의 일실시예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 우수받이의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배출싸이펀 및 부력탱크에 우수가 유입되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유입싸이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일부절결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싸이펀에 채워진 우수가 압력수관으로 유입되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싸이펀 작동수단의 작동상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수위조절수단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수위조절관의 설치상태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댐 10: 싸이펀
11-3: 역지디스크 12: 배출싸이펀
12-3: 배출커버 12-4: 드레인밸브
20: 우수받이 21: 우수공급관
30: 부력탱크 40: 싸이펀 작동수단
41: 압력탱크 45: 누름봉
46: 탄성부재 50: 수위조절수단
52: 릴와인더 53: 수위조절관
본 발명은 댐의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홍수를 예방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폭우, 강우로 인해 댐의 수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 별도의 동력원을 사용하지 않고 우수에 의해 싸이펀(Siphon)이 자동으로 가동하면서 설정된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다량의 물을 방류하여 항상 홍수위를 초과하지 않는 적정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무동력 싸이펀 홍수 예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래에는 비교적 강이나 하천 또는 배수로가 잘 정비됨에도 불구하고 환경변화에 의한 기상변동이 매우 심하여 폭우 및 강우가 쏟아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폭우, 강우로 인해 댐의 수용한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홍수가 발생하며, 상기 홍수가 발생하면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가옥이나 농경지의 침수, 농작물의 피해 등으로 인한 재산상의 막대한 손실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자연재해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이 마련되고 있으며, 이러한 대책으로는 댐의 건설시에 홍수조절 기능을 겸비한 고용량의 홍수조절용 수문을 적용하거나 또는 홍수예 경보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는 정도이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들은 제작 및 설치에 따른 많은 예산이 소요됨은 물론 급격한 수위증가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고, 다만 작업자의 조작에 의한 수문의 개방을 통해 하류로 물을 방류하거나 또는 홍수예 경보를 발령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이었다.
또한, 이러한 수동적인 대처를 행함에도 항상 별도의 동력원(전기 등)과 많은 작업인력을 확보하여야만 가능함으로써 이에 따른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야기되는 것이었다.
또한, 홍수위를 넘지 않은 적정수위를 항상 일정하게 자동으로 제어할 수 없음은 물론 상기한 적정수위를 기상, 주변여건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가변할 수 없는 개선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싸이펀(Siphon)의 원리를 이용하여 수위증가에 따른 초과량의 물을 자동으로 방류함과 동시에 홍수위 이하로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싸이펀의 가동을 중단하여 홍수를 예방할 수 있는 적정수위를 일정하게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우수받이로 집수한 우수를 싸이펀에 완전 충진하도록 하고, 상기 싸이펀을 충진한 후 초과되는 우수를 압력수관으로 유도하여 싸이펀을 작동하기 위한 압력수로 사용하도록 하며, 상기 압력수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싸이펀의 배출커버를 개방하여 싸이펀이 가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을 강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수위조절관을 이용하여 싸이펀의 작동을 자동으로 해제함은 물론 상기 수위조절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최종수위를 선택적으로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인력 및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우수를 집수한 후 상기 우수를 이용하여 싸이펀(10)을 가동함으로써 홍수위를 초과하는 물을 자동으로 방류하여 댐의 적정수위를 자동으로 유지함으로써 급류의 범람으로 인한 홍수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을 발명의 지배적인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특징적인 요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개략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1)의 내, 외부를 경유하게 설치되는 싸이펀(10)과, 상기 싸이펀(10)을 구성하는 배출싸이펀(12)에 우수를 공급하는 우수받이(20)와, 상기 배출싸이펀(12)에 우수가 충진되도록 배출커버(12-3)를 부양하여 배출구(12-1)를 밀폐시키는 부력탱크(30)와, 상기 싸이펀(10)에 만충진 후 초과하는 우수를 압력탱크(41)로 유도하여 피스톤(44)의 가압력으로 배출커버(12-3)를 개방시켜 싸이펀(10)을 가동시키는 싸이펀 작동수단(40)의 유기적인 결합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가능하도록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싸이펀(10)은 높은 곳에 있는 액체를 낮은 곳으로 이송시키는 연통관(連通管)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높은 쪽의 액면(液面)에 작용하는 대기압(大氣壓)으로 인해 액체가 관 안으로 밀어 올려지는 원리를 이용하도록 댐(1)의 내부에 위치하는 유입구(11-1)가 댐(1)의 외부에 위치하는 배출구(12-1)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됨을 기본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싸이펀의 기본적인 원리를 적용함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기적인 구성요소들을 추가로 실시하게 된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싸이펀(10)은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 하향으로 갈수록 경사진 유입싸이펀(11) 및 배출싸이펀(12)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싸이펀(11)의 하단에는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1-1)에는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11-2)가 설치되며, 상기 필터(11-2)의 상부에는 역지디스크(11-3)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역지디스크(11-3)는 유입싸이펀(11)의 내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반면, 상기 유입싸이펀(11)으로 유입된 물이 역류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유입싸이펀(11)에 형성된 고정브라켓(11-4)에 패킹(11-5)이 설치되며, 상기 패킹(11-5)의 상단에 역지디스크(11-3)가 힌지축(11-6)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역지디스크(11-3)는 패킹(11-5)에 안착되어 더이상 하부로 밀리지 않아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싸이펀(12)의 하단에는 배출구(12-1)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 구(12-1)에는 힌지축(12-2)을 매개로 배출커버(12-3)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배출커버(12-3)는 시건장치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시건장치는 배출커버(12-3)에 부착되는 록크(13) 및 배출싸이펀(12)에 부착되는 고정부재(14)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14)에 형성된 해정구(15)의 누름조작에 따라 록크(13)의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이러한 시건장치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록크(13) 및 고정부재(14)의 구성으로 제시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배출커버(12-3)를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싸이펀(10)은 내부에 채워지는 물이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싸이펀이 더욱 원활하게 가동될 수 있도록 유입싸이펀(11)에 비해 배출싸이펀(12)이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배출싸이펀(12)에 더 많은 양의 물이 저장됨은 물론 잔여 공기량이 매우 적어 배출커버(12-3)의 개방과 동시에 싸이펀의 초기 가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싸이펀(12)의 하측에는 싸이펀의 해지시 내부에 잔류하는 잔량의 물이 외부로 완전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밸브(12-4)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드레인밸브(12-4)를 개방하여 배출싸이펀(12)의 내부에 잔류하는 물을 외부로 완전하게 배출하여 초기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싸이펀(10)이 가동할 수 있도록 배출싸이펀(12)에 우수(빗물)를 공급하는 우수받이(20)는 싸이펀(10)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우수를 집수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집수된 우수를 배출싸이펀(12)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단에 형성된 우수공급관(21)이 상기 배출싸이펀(12)에 연통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우수공급관(21)에는 공급되는 우수의 유입량을 제어하는 유입량 조절밸브(22)가 설치되어 우수의 유입량 조절을 통해 싸이펀(10)이 가동되는 시간을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우수받이(20)를 배제한채 산이나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계곡수 등이 상기 우수공급관(21)에 직접적으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또는 별도의 모터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유체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후자의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별도의 동력원을 요하므로 그다지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한 배출싸이펀(12)에 우수가 충진될 수 있도록 배출커버(12-3)를 닫아주어 배출구(12-1)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력탱크(30)는 배출커버(12-3)의 하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채워지는 물이 점진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배출커버(12-3)를 부양시켜 배출구(12-1)를 자동으로 밀폐시키게 된다.
즉 개방상태의 배출커버(12-3)는 도 3과 같이 우수공급관(21)을 통해 배출싸이펀(12)에 우수가 공급되고, 상기 우수는 배출구(12-1)를 통해 부력탱크(30)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부력탱크(30)의 수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면서 배출커버(12-3)를 부양시킨다.
이때 상기 배출커버(12-3)는 수위 증가에 따라 부양될 수 있도록 내부에 스티로폴 등과 같은 부력체가 내설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력탱크(30)의 일측에는 동절기 내부에 잔류하는 물이 빙결되면서 배출커버(12-3)의 개폐가 원활하지 않거나 또는 시설물이 동파됨을 방지하기 위한 동파방지밸브(31)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동파방지밸브(31)를 개방하여 내부에 담수되는 물을 외부로 완전하게 배출함으로써 동파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배출싸이펀(12)에 우수가 공급됨으로 인해 싸이펀(10)의 내부에는 우수가 가득 채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싸이펀(10)에 우수가 만충진되면 이를 초과하는 우수를 압력수관(42)을 통해 압력탱크(41)로 유도한 후 피스톤(44)의 가압력으로 배출커버(12-3)를 개방시켜 싸이펀(10)을 가동시키는 싸이펀 작동수단(40)이 구비된다.
이러한 싸이펀 작동수단(40)은 본 발명의 핵심기술로써 상기 배출싸이펀(12)의 하측에 압력탱크(41)가 설치되고 상기 압력탱크(41)와 싸이펀(10)은 압력수관(42)을 매개로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만충진 후 초과하는 우수는 압력수관(42)으로 유도되어 싸이펀을 가동하기 위한 압력수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압력수관(42)에는 싸이펀(10)에 만충진 후 싸이펀(10)에 잔류하는 에어 및 초과량의 물을 일방향인 압력수관(42)으로 유입시키는 반면, 유입된 물은 싸이펀(10)으로 역류됨을 방지하는 역지밸브(43)가 설치된다.
상기 압력탱크(41)의 내부에는 피스톤(44)이 상, 하 이송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44)의 저부에 형성된 누름봉(45)은 압력탱크(41)를 관통하여 하단부가 시건장치의 해정구(15)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피스톤(44)과 압력탱크(41)의 바닥 면 사이에는 탄성부재(46)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44)은 압력수의 가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하강함은 물론 가압력이 해제되면 탄성부재(46)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압력탱크(41)는 평상시 내부에 우수가 존재하지 않는 초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바닥면에 배수공(47)이 형성되며, 이 배수공(47)을 통해 내부에 잔류하는 물이 완전하게 배출됨으로써 싸이펀의 재가동시 압력탱크(41)에 물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싸이펀 작동수단(40)은 압력수관(42)을 통해 압력탱크(41)로 유도되는 우수의 중량에 의해 피스톤(44)이 하강하게 되며, 상기 피스톤(44)의 하강으로 인해 누름봉(45)은 시건장치의 해정구(15)를 누름으로써 배출커버(12-3)가 자동으로 개방되면서 싸이펀이 가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싸이펀의 가동으로 인해 급격하게 증가하는 물을 외부로 방류하게 되며, 상기 방류되는 물은 수위조절수단(50)을 구성하는 수위조절관(53)에 의해 적정수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싸이펀(10)의 가동을 해제하여 방류를 중단함으로써 항상 홍수위를 초과하지 않는 적정수위를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수위조절수단(50)의 구성은 싸이펀(10)의 상부에 수위조절박스(51)가 입설되고, 상기 수위조절박스(51)의 내부에는 릴와인더(52)가 설치되며, 상기 릴와인더(52)에는 일측이 싸이펀(10)과 연통된 수위조절관(53)이 길이 가변 가능하도록 권취된 상태에서 타측의 하단부가 댐(1)의 내측에 위치된다.
이는 상기 수위조절관(53)의 하단부 위치가 댐(1)의 최종수위에 해당되며, 상기 수위조절관(53)의 위치 조절에 따라 최종수위가 결정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수위조절관(53)이 물속에 잠겨진 상태에서는 싸이펀(10)의 내부로는 공기가 유입되지 않으며, 방류가 지속되면서 수위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수위조절관(53)의 하단부가 외부로 노출됨과 동시에 공기가 수위조절관(53)을 통해 싸이펀(10)으로 유입됨으로써 자동으로 싸이펀의 가동이 해제되어 더 이상의 방류는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위조절관(53)은 자동으로 싸이펀의 가동을 해제하여 적정수위를 유지하도록 함은 물론 길이 가변에 따라 담수되는 물의 최종수위를 기상조건, 주변여건 등을 고려하여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릴와인더(52)의 일측에는 상기 수위조절관(53)의 파손시 인위적으로 싸이펀(10)의 가동을 중단하기 위한 싸이펀 해제밸브(54)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싸이펀 해제밸브(54)의 개방을 통해 싸이펀(10)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통해 홍수위를 초과하지 않는 적정수위를 자동으로 유지함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장마철 폭우, 강우로 인해 수위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우수받이(20)에는 우수가 집수되며, 상기 집수된 우수는 우수공급관(21)을 통해 배출싸이펀(12)으로 유입된다.
상기 배출싸이펀(12)으로 유입되는 우수는 개방된 배출구(12-1)를 통해 부력탱크(30)로 유입된 후 상기 부력탱크(30)의 수위가 증가함에 따라 부력을 갖는 배 출커버(12-3)가 부양하면서 자동으로 밀폐된다.
따라서 배출싸이펀(12)으로 공급되는 우수는 더 이상 부력탱크(30)로 유입되지 않고 배출싸이펀(12)의 내부에 채워지며, 순차적으로 유입싸이펀(11)의 내부에도 우수가 채워지면서 싸이펀(10)의 전영역에 우수가 채워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싸이펀(10)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전량 역지밸브(43)를 통과하여 압력수관(42)으로 완전하게 배출되며, 상기 공기 배출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우수는 싸이펀(10)에 만충진된 상태에서 역지밸브(43)를 통과하여 압력수관(42)으로 유도된다.
다음으로 압력수관(42)으로 유도된 우수는 압력수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압력수는 압력탱크(41)에 공급됨으로써 상기 압력수의 가압력에 의해 피스톤(44)이 하강하게 되며, 상기 피스톤(44)의 하강력에 의해 누름봉(45)은 시건장치의 해정구(15)를 눌러주어 잠금상태를 해제한다.
따라서 배출커버(12-3)가 개방됨과 동시에 싸이펀(10)에 만충진된 압축상태의 물이 배출구(12-1)를 통해 배출되면서 싸이펀(10)이 비로서 가동하여 지속적으로 댐(1)에 담수되는 물을 자동으로 방류하게 된다.
즉 별도의 동력이나 인력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싸이펀(10)을 가동함으로써 적정수위를 초과하는 물을 외부로 방류함은 물론 상기 싸이펀(10)의 가동은 수위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면서 수위조절관(53)을 통해 공기가 싸이펀(10)으로 유입되는 순간 자동으로 해제됨으로써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장마철 급격한 수위증가시 우수를 이용하여 싸이펀을 자동으로 가동함으로써 수위증가에 따른 초과량의 물을 방류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싸이펀의 작동을 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항상 홍수위 이하의 적정수위를 자동으로 유지함으로써 급류의 범람으로 인한 홍수의 피해를 근본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한 싸이펀의 작동을 별도의 동력원 및 인력을 사용하지 않고 우수를 이용하여 무동력으로 실시함으로써 홍수의 방지에 따른 많은 인력 및 예산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기상조건이나 주변여건 등을 고려하여 수위조절관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한 적정수위를 선택적으로 가변할 수 있는 광범위한 작업성을 제공한다.

Claims (8)

  1. 댐(1)의 내, 외부를 경유하게 설치되는 싸이펀(10)과;
    상기 싸이펀(10)에 형성된 배출싸이펀(12)에 우수공급관(21)을 통해 집수한 우수를 공급하는 우수받이(20)와;
    상기 배출싸이펀(12)에 우수가 충진되도록 배출커버(12-3)를 부양하여 배출구(12-1)를 밀폐시키는 부력탱크(30)와;
    상기 싸이펀(10)에 만충진 후 초과하는 우수를 압력수관(42)을 통해 압력탱크(41)로 유도하여 피스톤(44)의 가압력으로 배출커버(12-3)를 개방시켜 싸이펀(10)을 가동시키는 싸이펀 작동수단(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싸이펀 홍수 예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싸이펀(10)은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으로 유입싸이펀(11) 및 배출싸이펀(12)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싸이펀(11)의 유입구(11-1)에 역지디스크(11-3)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배출싸이펀(12)의 배출구(12-1)에는 배출커버(12-3)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출커버(12-3)는 시건장치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동력 싸이펀 홍수 예방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싸이펀(10)은 원활한 가동을 위해 배출싸이펀(12)에 더 많은 양의 물이 충진되도록 상기 배출싸이펀(12)이 유입싸이펀(11)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출싸이펀(12)의 하측에는 싸이펀의 해지시 잔량의 물을 완전하게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밸브(12-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싸이펀 홍수 예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우수받이(20)는 배출싸이펀(12)과 우수공급관(21)을 매개로 연통 설치되고, 상기 우수공급관(21)에는 우수의 유입량을 제어하는 유입량 조절밸브(2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싸이펀 홍수 예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부력탱크(30)는 배출커버(12-3)의 하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배출커버(12-3)의 개방시 배출구(12-1)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면서 배출커버(12-3)를 부양시켜 배출구(12-1)를 자동 밀폐시키며, 일측에는 담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동파를 방지하는 동파방지밸브(3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동력 싸이펀 홍수 예방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싸이펀 작동수단(40)은 배출싸이펀(12)의 하측에 압력탱크(41)가 설치되고, 상기 압력탱크(41)는 역지밸브(43)가 설치된 압력수관(42)을 매개로 싸이펀(10)과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압력탱크(41)의 내부에는 피스톤(44)이 탄성부재(46)에 의해 상,하 이송가능하게 탄설되고, 상기 피스톤(44)은 하단에 형성된 누름봉(45)이 압력수의 가압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시건장치의 해정구(15)를 눌러 배출커버(12-3)가 개방됨과 동시에 싸이펀이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싸이펀 홍수 예방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싸이펀(10)의 상부에는 수위조절박스(51)가 설치되고, 상기 수위조절박스(51)의 내부에는 릴와인더(52)가 설치되며, 상기 릴와인더(52)에는 싸이펀(10)에 공기를 유입하여 싸이펀의 가동을 해제하는 수위조절관(53)이 권취된 수위조절수단(5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싸이펀 홍수 예방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릴와인더(52)의 일측에는 인위적으로 싸이펀(10)의 가동을 해제하는 싸이펀 해제밸브(5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싸이펀 홍수 예방장치.
KR1020050086694A 2005-09-16 2005-09-16 무동력 싸이펀 홍수 예방장치 KR100640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694A KR100640142B1 (ko) 2005-09-16 2005-09-16 무동력 싸이펀 홍수 예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694A KR100640142B1 (ko) 2005-09-16 2005-09-16 무동력 싸이펀 홍수 예방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744U Division KR200403238Y1 (ko) 2005-09-16 2005-09-16 무동력 싸이펀 홍수 예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0142B1 true KR100640142B1 (ko) 2006-11-01

Family

ID=37621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694A KR100640142B1 (ko) 2005-09-16 2005-09-16 무동력 싸이펀 홍수 예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01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7832A (zh) * 2019-01-15 2019-04-02 马荣立 一种引水测控装置
CN109853454A (zh) * 2018-12-25 2019-06-07 水利部交通运输部国家能源局南京水利科学研究院 虹吸式河口地下水库换水装置及运行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6410A (ja) 1985-04-25 1986-11-0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ダム水源等の取水装置
JPS62111012A (ja) 1985-11-06 1987-05-22 Mitsubishi Heavy Ind Ltd サイホン堰
JPH10131156A (ja) 1996-10-31 1998-05-19 Kanefusa Takashima 放水装置
KR200308721Y1 (ko) 2002-11-13 2003-03-26 신동호 저수지 범람방지설비
KR200380460Y1 (ko) 2004-12-14 2005-03-30 인정웅 다단계의 수위로 배수량의 조절이 가능한 사이펀여수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6410A (ja) 1985-04-25 1986-11-0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ダム水源等の取水装置
JPS62111012A (ja) 1985-11-06 1987-05-22 Mitsubishi Heavy Ind Ltd サイホン堰
JPH10131156A (ja) 1996-10-31 1998-05-19 Kanefusa Takashima 放水装置
KR200308721Y1 (ko) 2002-11-13 2003-03-26 신동호 저수지 범람방지설비
KR200380460Y1 (ko) 2004-12-14 2005-03-30 인정웅 다단계의 수위로 배수량의 조절이 가능한 사이펀여수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3454A (zh) * 2018-12-25 2019-06-07 水利部交通运输部国家能源局南京水利科学研究院 虹吸式河口地下水库换水装置及运行方法
CN109853454B (zh) * 2018-12-25 2024-03-19 水利部交通运输部国家能源局南京水利科学研究院 虹吸式河口地下水库换水装置及运行方法
CN109557832A (zh) * 2019-01-15 2019-04-02 马荣立 一种引水测控装置
CN109557832B (zh) * 2019-01-15 2024-01-30 马荣立 一种引水测控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1796B2 (ja) 無動力逆流防止装置
KR101039196B1 (ko) 저류조를 이용한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US6561214B2 (en) Hydrant with improved drain mechanism
KR101224277B1 (ko) 저류조를 이용한 오수 및 계곡수 분리용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CN216475468U (zh) 一种截污干管防倒灌分流井
KR100640142B1 (ko) 무동력 싸이펀 홍수 예방장치
KR200403238Y1 (ko) 무동력 싸이펀 홍수 예방장치
KR200420165Y1 (ko) 하수도용 우수토구 자동 개폐 장치
KR20180112397A (ko) 우수토실의 유량제어용 게이트밸브
KR100669228B1 (ko) 우수범람방지를 위한 건축단지내 배수로 구조물
KR101107734B1 (ko) 사이펀식 빗물 저수 장치
KR101911497B1 (ko) 무전원 침수방지 장치
KR100902260B1 (ko) 수문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고 수질을 개선하는 집수조를 구비하는 전도식수문
KR200405472Y1 (ko) 수압을 이용한 자동보
KR20110108568A (ko) 다단계 수위 조절이 가능한 사이펀여수로
JP5675387B2 (ja) 蓄圧式発電設備および蓄圧式発電設備における高気密ゲート
KR100579869B1 (ko) 다중구동원을 구비한 하부 방류형 어도 겸용 가동보 수문및 그 구동방법
KR200429800Y1 (ko) 하수도용 부력기능을 갖는 자동비
KR200380460Y1 (ko) 다단계의 수위로 배수량의 조절이 가능한 사이펀여수로
CN215406470U (zh) 一种海绵城市智能橡胶堰截流井
CN111996852A (zh) 一种生态本质安全集约下穿立交排水系统
KR102024706B1 (ko) 하수의 역류방지와 오니제거를 위한 하수구구조
KR100644356B1 (ko) 다단계의 수위로 배수량의 조절이 가능한 사이펀여수로
KR101902614B1 (ko)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CN109208733B (zh) 雨水舱及具有雨水舱的综合管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