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443Y1 - 철관 이음매 보강재 - Google Patents

철관 이음매 보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443Y1
KR200261443Y1 KR2020010033101U KR20010033101U KR200261443Y1 KR 200261443 Y1 KR200261443 Y1 KR 200261443Y1 KR 2020010033101 U KR2020010033101 U KR 2020010033101U KR 20010033101 U KR20010033101 U KR 20010033101U KR 200261443 Y1 KR200261443 Y1 KR 2002614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welding
present
reinforced concrete
pip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1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형
Original Assignee
건양콘크리트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콘크리트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건양콘크리트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31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4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4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443Y1/ko

Links

Landscapes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주면에 콘크리트 및 몰탈이 코팅된 철관의 용접된 이음매를 보강하기 위한 철관 이음매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중공형 실린더가 다등분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호 조립시 외부에서 용접고정이 용이하도록 원주방향의 양 단부 외측모서리에는 'ㄴ'자 형상의 용접보조쇠가 각각 부착된 다수의 철근콘크리트 자켓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현장에서 매우 빠르게 조립하고 용접함으로써 시공을 마칠 수 있어 편리하고, 공기를 단축함으로써 인건비를 비롯한 공사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철관 이음매의 강도를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관 이음매 보강재{supporting material for steel pipe were connected}
본 고안은 외주면에 콘크리트 및 몰탈이 코팅된 철관의 용접된 이음매를 보강하기 위한 철관 이음매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 및 해저에 매설되는 가스관이나 송유관 등의 철관은 부식으로 인한 강도의 저하 및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그리고 철관의 비중을 증가시켜 부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콘크리트나 몰탈 등을 코팅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및 몰탈 코팅 철관은 일반적으로 철관의 양단부를 회전하는 롤러에 지지시킨 후 상기 롤러로 철관을 회전시키면서 에어건(air gun)으로 콘크리트 및 몰탈을 철관의 외주면에 강하게 분사하는 숏크리트코팅(shot crit coating)법을 사용하여 생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숏크리트코팅법에 의해 생산된 철관은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부측까지 완벽하게 코팅할 수는 없으므로,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공시 용접이음된 철관(1)의 이음매 부분 외측은 코팅층(2)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강도 저하 및 부식에 의한 내구성 저하가 발생되기 쉽다.
그러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종래에는 용접이음을 완료한 후에 용접이음매(3) 주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에폭시 등 고가의 화학제품으로 마감처리를 하여 시공을 완료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공방법은 시공을 위한 작업공정수가 너무 많고, 타설콘크리트의 양생 기간이 길어 공기가 늘어나며, 필요인력이 증가하고 공사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립시공이 매우 쉽고 간편하며, 공기가 짧아 인건비 및 공사비가 절감되는 철관 이음매 보강재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공형 실린더가 다등분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호 조립시 외부에서 용접고정이 용이하도록 원주방향의 양 단부 외측모서리에는 'ㄴ'자 형상의 용접보조쇠가 각각 부착된 다수의 철근콘크리트 자켓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콘크리트 및 몰탈 코팅된 철관 사시도
도 2는 콘크리트 및 몰탈 코팅된 철관의 연결모습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리프팅앵커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 사용 상태도(용접고정 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 사용 상태 단면도(용접고정 후)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 사용 상태도(용접고정 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철관 10 : 철근콘크리트 자켓
11 : 용접보조쇠 12 : 철근
13 : 후크 14 : 리프팅앵커
15 : 플랜지부 16 : 나사구
17 : 테이퍼부 18 : 캡
19 : 머리부 20 : 용접이음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5는 리프팅앵커 사시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용접고정 전 사용 상태도와 용접고정 후의 사용 상태 단면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팅층(2)과 동일한 재질과 강도를 가지는 철근콘크리트 자켓(10)을 용접이음매(3) 외측에 덮어씌운 후, 이들을 상호 용접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었는데, 그 자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철근콘크리트 자켓(10)은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공형 실린더가 다등분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면에서는 철근콘크리트 자켓(10)이 이등분된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철근콘크리트 자켓(10)의 원주방향의 양 단부 외측모서리에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ㄴ'자 형상의 용접보조쇠(11)가 각각 부착되는데, 이는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호 조립시 외부에서 용이하게 용접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자켓(10)은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에 다수의 철근(12)이 배근된 후 그 외측에 설치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 철근콘크리트 자켓(10)의 양 단부 외측모서리에 부착되는 상기 용접보조쇠(11)는 다른 고정수단이 없을 경우 쉽게 탈거 된다. 그러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앵커볼트 등으로 강제고정해도 되지만, 본 고안은 보다 간편하고 견고한 고정수단을 제공해 준다. 즉, 도 4 및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ㄱ'자 형상의 후크(13)를 구비하여 그 단부를 상기 용접보조쇠(11)와 용접하여 고정한 후 거푸집 설치시 미리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상기 용접보조쇠(11)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는 상기 철근콘크리트 자켓(10)을 운반 및 시공할 때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견인고리를 가체결할 수 있는 수단이 형성된다. 즉, 도 4 및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에는 넓적한 플랜지부(15)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상측면에서부터 내측으로 노출되는 하측면까지 나사구(16)가 관통형성된 리프팅앵커(14)를 다수 더 구비한 후 거푸집 설치시 상기 철근콘크리트 자켓(10)의 지름방향으로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된다. 이러한리프팅앵커(14)의 나사구(16) 입구에는 테이퍼부(17)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콘크리트 타설시 나사구(16) 내측으로 콘트리트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퍼진 머리부(19)가 형성된 캡(18)을 구비하여 체결하는 것이 좋다. 콘크리트가 완전 응고된 후 상기 캡(18)을 분리시키면, 내설된 리프팅앵커(14)의 나사구(16)에 견인고리를 체결하여 쉽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장에서 콘크리트 및 몰탈이 코팅된 철관(1)의 용접이음매(3)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시킨 후,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호 맞닿은 용접보조쇠(11) 부분을 용접하여 고정시켜 사용한다. 그리고 측면 단부에 존재하는 틈새 부분은 몰탈 등으로 메꾸어주거나 에폭시 등으로 마감해 주는 것이 좋다. 한편, 본 고안의 시공이 완료되더라도 상기 철관(1)과 철근콘크리트 자켓(10)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틈이 있게 되는데, 이 틈은 상기 리프팅앵커(14)의 나사구(16)를 이용하여 그라우팅하여 메워주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시공이 완료되면 용접이음매(20)에 의해 상호 고정된 철근콘크리트 자켓(10)이 내측 철관(1)의 용접이음매(3)를 완전 밀봉시켜 보호하게 되며, 종래의 공법보다 훨씬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철근콘크리트 자켓(10)은 철관(1)의 지금 크기에 따라서 중공형 실린더가 다등분된 형상으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명백한 설명과 같이 본 고안은 현장에서 매우 빠르게 조립하고 용접함으로써 시공을 마칠 수 있어 편리하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어 인건비를 비롯한 공사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철근 콘크리트 재질로 용접이음매를 감싸주게 되므로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중공형 실린더가 다등분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호 조립시 외부에서 용접고정이 용이하도록 원주방향의 양 단부 외측모서리에는 'ㄴ'자 형상의 용접보조쇠(11)가 각각 부착된 다수의 철근콘크리트 자켓(1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관 이음매 보강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보조쇠(11)는 상기 철근콘크리트 자켓(10)의 내측에 매입되어 고정된 후크(13)에 용접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관 이음매 보강재.
  3. 제1항에 있어서,
    하측에는 넓적한 플랜지부(15)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상측면에서부터 내측으로 노출되는 하측면까지 나사구(16)가 관통형성된 리프팅앵커(14)가 더 구비되어 상기 철근콘크리트 자켓(10)의 지름방향으로 다수 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관 이음매 보강재.
KR2020010033101U 2001-10-30 2001-10-30 철관 이음매 보강재 KR2002614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101U KR200261443Y1 (ko) 2001-10-30 2001-10-30 철관 이음매 보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101U KR200261443Y1 (ko) 2001-10-30 2001-10-30 철관 이음매 보강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443Y1 true KR200261443Y1 (ko) 2002-01-23

Family

ID=73111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101U KR200261443Y1 (ko) 2001-10-30 2001-10-30 철관 이음매 보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4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36406B2 (ja) 橋脚柱の補強構造
CN109235236B (zh) 基于法兰连接的装配式空心管墩及其施工方法
JP7185499B2 (ja) 杭支持構造物の杭頭部接合構造
KR200261443Y1 (ko) 철관 이음매 보강재
CN108774947B (zh) 装配式桥梁墩柱超高强混凝土连接结构及施工方法
JP5186315B2 (ja) 柱部材の防食ライニング方法
CN111022080A (zh) 轨道梁与盾构隧道的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盾构隧道
KR100661301B1 (ko) 강관말뚝 두부의 속채움 콘크리트 타설용 지지구조물 및이를 이용한 기초콘크리트 시공방법
JPS6335999A (ja) トンネル覆工方法
CN214301761U (zh) 一种抱箍-螺栓混合节点及基坑内支撑结构
CN211692489U (zh) 轨道梁与盾构隧道的连接结构及盾构隧道
JP2000159290A (ja) タンク及びタンクの構造材
JPS61155521A (ja) 鋼管杭防食用補強材支持金具付き組立型枠
CN209817222U (zh) 叠合楼板与墙体的连接节点
KR200395627Y1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JPS6332018A (ja) 場所打ち杭の造成方法
JP2002364283A (ja) 圧入工法用セグメントピース及びそれを用いた沈設体
JP3721528B2 (ja) 地下タンクの施工方法
JP2020133198A (ja) 構造物、構造物の施工方法
JPH06185168A (ja) 鉄筋継手
JP3406280B2 (ja) 合成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
CN212714907U (zh) 预制建筑结构
CN219823373U (zh) 一种便于重复利用的混凝土预制柱吊装轴
CN214832639U (zh) 地锚系统
CN217735514U (zh) 一种新型电力隧道盾构管片上预埋钢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