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411Y1 - 파이프 홀더 - Google Patents

파이프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411Y1
KR200261411Y1 KR2020010031991U KR20010031991U KR200261411Y1 KR 200261411 Y1 KR200261411 Y1 KR 200261411Y1 KR 2020010031991 U KR2020010031991 U KR 2020010031991U KR 20010031991 U KR20010031991 U KR 20010031991U KR 200261411 Y1 KR200261411 Y1 KR 2002614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olt
fixing
fastening member
lowe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길
Original Assignee
김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길 filed Critical 김형길
Priority to KR2020010031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4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4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411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홀더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걸림암부재(101)가 형성되고 타측에 볼트삽입공(102)이 형성되며, 볼트삽입공(102)과 연통된 가이드공(103)이 형성된 반원형상의 상부체결부재(100)와; 일측에 상기 걸림암부재(101)에 삽입되어 회동되게 걸림되는 걸림수부재(111)가 형성되고, 타측에 볼트결합공(112)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통공(114)이 형성된 반원형상의 하부체결부재(110)와; 중앙부에 통공(122)이 형성되고, 단부에 결합편(121)이 형성되어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20)와; 상기 하부체결부재(110)의 통공(114)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체결부재(110)에 고정되고, 외표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120)와 나사결합되어 나사회전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어 길이를 조절시키는 길이조절볼트(130);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볼트(130)에 나사결합되어 위치조정된 상기 길이조절볼트(130)를 상기 고정부재(120)에 고정시키는 고정너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파이프 홀더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배수관 등의 파이프를 벽면에 고정 설치하는 경우 설치가 간단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며, 안전사고를 방지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홀더{pipe holder}
본 고안은 파이프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을 따라 설치되는 배수관 등의 파이프를 벽면에 고정 설치하는 경우 설치가 간단하고, 작업능률 을 향상시키며, 안전사고 방지를 도모한 파이프홀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도시화 및 공업화의 발달로 멀리 떨어진 지점에 여러가지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도구로서 여러 종류의 파이프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일예를 들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파트의 벽면에는 각 층에 거주하는 세대에 급수를 전달하기 위한 배수관(5)이 아파트의 벽면을 따라 설치된다. 이러한 배수관 등의 파이프는 강한 바람 또는 외부의 충격등으로부터 흔들리지 않도록 파이프홀더(1)에 의해 벽면에 고정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파이프홀더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홀더(1)는, 파이프의 외직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고 파이프의 외면을 감싸는 파이프보호부와, 상기 파이프보호부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직연장의 단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아파트벽면에 고정되는 지지부(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에는 볼트체결공(2a)이 형성되어 사용자는 볼트로 체결하여 파이프홀더(1)를 벽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의 구조에서 사용자는 미리 파이프를 파이프홀더(1)의 파이프보호부 내부로 삽입시킨 후, 상기 파이프를 벽면에 위치시켜 볼트체결공(2a)을 통해 볼트로 지지부(2)가 벽면에 부착되도록 하여 파이프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의 경우 고정된 파이프의 사용도중 어느 하나의 파이프홀더(1)를 교환해야할 경우 전체 파이프를 벽면에서 떼어낸 후 제거해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2)는 고정 크기를 가지므로 벽면의 돌출부가 존재하는 경우 지지부(2)의 크기가 맞지 않아 상기 돌출된 부위에는 파이프를 고정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한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개개의 파이프홀더(10)가 파이프 자체로 부터 결합 분리되고, 설치되는 파이프가 벽면과의 일정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파이프홀더(10)가 개발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파이프홀더(10)는,각 개개가 파이프에 결합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보호부(20)와, 상기 파이프보호부(20)와 연결되고 설치되는 파이프가 벽면과소정간격 조절되도록 하는 지지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이프보호부(20)는 좌측보호부(20)와 우측보호부(20')의 두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각 부재(20,20')의 일측은 라운딩되어 이루어진 파이프고정구 (22,22')와 지지편(24)으로 구성되고, 두부재의 파이프고정구(22,22')가 결합되었을 때는 일정한 원호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좌측보호부(20)의 파이프고정구 (22)의 전방 일측에는 결합홈(22a)이 형성되고 타측단부에는 제1볼트체결공(24a)과 제1길이조절공(24b)이 형성된 제1지지편(24)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우측보호부(22')의 파이프고정구(22')의 전방 일측 단부에는 상기 결합홈(22a)에 결합분리되는 결합돌기(22a')가 형성되고, 타측단부에는 상기 제1볼트체결공(24a)에 대응하는 제2볼트체결공(24a')이 형성된 제2지지편(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보호부(20)의 길이조절공(24b)과 결합되어 파이프홀더(10)가 벽면과 일정거리 조절되어 부착되도록 하는 지지부(3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는 'ㄴ'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직졀편(32)에는 상기 제1길이조절공(24b)과 대응하는 제2길이조절공(32a)이 형성되며, 수평절편(34)에는 벽면으로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34a)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구조로 이루어진 파이프홀더(10)의 체결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우측보호부(20')의 결합돌기(22a')를 좌측보호부(20)의 결합홈(22a)에 결합시킨 후, 상기 파이브보호부를 파이프에 고정시킨다. 상기의 상태에서 좌측보호부(20)의 제1볼트체결공(24a)과 우측보호부(20')의 제2볼트체결공(24a')을 관통하도록 볼트로 결합시켜 파이프보호부가 파이브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의 상태에서 지지부(30)의 제2길이조절공(32a)과 좌측보호부(20)의 제1길이조절공(24b)을 임의의 상태로 조절하여 벽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한 상태에서 제1길이조절공(24b)과 제2길이조절공(32a)을 볼트로 결합시켜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지지부(30)의 수평절편(34)을 벽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수평절편(34)에 구비된 체결공(34a)을 통해 벽면에 볼트로 체결하여 전체 파이프홀더(10)가 파이프를 고정하도록 한 상태에서 벽면에 고정시켜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서 각 개개의 파이프홀더(10)는 파이프에 결합분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파이프홀더(10)와 벽면과는 소정거리 조정되어 설치될 수 있으므로 돌출된 벽면 등에도 파이프홀더(10)를 고정시킬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파이프홀더는 다음과 같은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다.
고층아파트 등의 높은위치에서 파이프홀더를 조립하는 경우 각 부재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실수로 어느 하나의 부재를 떨어뜨릴 경우 낙하는 부재에 의해 하부의 사람 물건에 손상을 가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이럴 경우 다른 여분의 부재를 가지지 않은 경우에는 파이프홀더의 조립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상기 지지부의 제2길이조절공과 좌측보호부의 제1길이조절공을 고정시키기 위해 볼트로 체결하는 경우 상기 제2길이조절공이 좌우로 유동됨으로서 작업하기 매우 곤란하다는 것이다. 특히 고층아파트의 경우 외부에서 이러한 작업은 매우 위험할 뿐만 아니라 쉽게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볼트로 체결시 제2길이조절공이 좌우로 유동됨으로서 쉽게 고정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아 작업 능률의 저하는 물론 매우 위험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상기 지지부는 좌측보호부의 일측을 통하여 결합되므로 파이프홀더가 벽면에 고정설치될 때, 균일하게 설치될 수 없으며, 벽면에서 지지되는 힘이 약하여 장시간 사용시 쉽게 벽면에서 탈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벽면의 일측부분을 통해서만 파이프가 고정되므로 좌우 대칭이 이루어지지 않아 바람 등의 영향으로 자주 흔들리게 되며, 이러한 외력에 의해 장시간 사용시 파이프홀더가 쉽게 벽면으로 부터 탈락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이 출원인이 기출원한 파이프홀더가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9-33157호에 소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4 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파이프보호대(112)의 일단부가 서로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각각 수직판상의 지지편(114)이 구비되며 상기 각 지지편(114)의 외측면에는 가이드리브(114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114a)의 상측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원형의 볼트체결공과 하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길이조절공이 각각구비되어 파이프의 외부면을 감싸는 파이프고정부(110)와; 상기 파이프고정부(110)의 각 가이드리브(114a)의 형상에 대응하는 수용홈(122a)이 내측면에 구비되어 가이드리브(114a)를 따라 상하 유동되고, 상기 길이조졸공에 대응되는 길이조절공(122b)이 구비된 수직절편(122)과, 상기 수직절편(122)의 단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수평면상에 볼트홈(124a)이 형성된 수평절편(124)으로 이루어지는 길이조정부(120)로구성되어 상기 수직절편(122)의 길이를 가이드리브(114a)에 따라 상하 조절시켜 임의위치조정하여 벽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파이프를 고정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후술하는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기 가이드리브에 가이드되어 지지편이 움직이는 동안에 지지편이 좌우로 소정 유동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파이프를 고정한 후에 파이프홀더를 제거하여야 하는 경우에, 설치된 볼트를 모두 풀어야만 파이프로 부터 파이프홀더를 분리해 낼 수 있으므로 불편하고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모든 볼트를 풀고 파이프를 제거한 후 지지편을 소정 유동시킨 다음, 파이프를 수용시키고 다시 볼트를 조여햐 하는 등 길이조절에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파이프를 벽면에 고정 설치하는 경우 설치가 간단한 파이프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파이프의 수용및 제거가 용이하며, 길이조절이 쉬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며, 안전사고 방지를 도모하는 파이프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또한 목적으로 한다.
도1 - 종래 파이프홀더의 설치모습을 나타낸 도.
도2 - 종래 파이프홀더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3 - 종래 파이프홀더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4 - 종래 파이프홀더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5 - 도4의 A부 확대도.
도6 -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홀더의 사시도.
도7 -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8 - 제1실시예에 따른 정면도.
도9 -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단면도.
도10 -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홀더의 사시도.
도11 -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홀더의 분해사시도.
도12 -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홀더의 사시도.
도13 -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홀더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상부체결부재 101 : 걸림암부재
102 : 볼트삽입공 103 : 가이드공
110 : 하부체결부재 111 : 걸림수부재
112 : 볼트결합공 114 : 통공
115 : 보조통공 120 : 고정부재
121 : 결합편 122 : 통공
123 : 보스 130 : 길이조절볼트
131 : 헤드부 132 : 몸체부
133 : 고정부 140 : 고정너트
141 : 제1고정너트 142 : 제2고정너트
150 : 볼트 160 : 너트
170 : 연장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에 걸림암부재가 형성되고 타측에 볼트삽입공이 형성되며, 볼트삽입공과 연통된 가이드공이 형성된 반원형상의 상부체결부재와; 일측에 상기 걸림암부재에 삽입되어 회동되게 걸림되는 걸림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볼트결합공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반원형상의 하부체결부재와;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단부에 결합편이 형성되어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하부체결부재의 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체결부재에 고정되고, 외표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나사결합되어 나사회전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어 길이를 조절시키는 길이조절볼트;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볼트에 나사결합되어 위치조정된 상기 길이조절볼트를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파이프 홀더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통공 인접부에 통공을 감싸는 형상으로 하측으로 연장된 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보스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볼트는, 상기 하부체결부재의 통공 상측으로 돌출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 그리고, 상기 헤드부의 하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체결부재의 통공 인접부에 형성된 보조통공으로 삽입되어 헤드부를 하부체결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체결부재는 볼트결합공 하측에 고정편이 돌출형성되어 볼트의 헤드부가 걸림되어 회동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너트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측을 조임시키는 제1고정너트와,하측을 조임시키는 제2고정너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파이프의 수용이 용이하며, 길이조절볼트를 돌림에 의해 길이조정이 이루어지므로 길이조정이 용이하여, 설치가 용이하며 각각의 부품이 서로간에 연결됨에 의해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 제1실시예 >
도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7은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8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며, 도9는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홀더는 크게 상부체결부재(100)와, 하부체결부재(110)와, 고정부재(120)와, 길이조절볼트(130) 그리고 고정너트(140)로 구성된다.
먼저 상부체결부재(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상부체결부재(100)는 대략 반원형상으로 구성되며, 일측에는 소정 돌출되고 통공이 형성된 걸림암부재(101)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하부체결부재(110)의 걸림수부재(111)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체결부재(100)의 타측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에 상하 관통된 볼트삽입공(10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체결부재(100)의 절곡부에는 상기 볼트삽입공(102)과 연결되어 상기 절곡부의 측면측으로 절단된 형상의 가이드공(103)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체결부재(110)는 상기 상부체결부재(100)와 대응되게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걸림수부재(111)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체결부재(100)의 걸림암부재(10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걸림수부재(111)의 형성은 상기 하부체결부재(110)의 일측에 소정의 돌출부를 형성시킨 후 상기 돌출부를 상기 상부체결부재(100)의 걸림암부재(101)에 삽입한 후, 상기 돌출부를 라운딩 절곡시킴에 의해 상기 걸림수부재(111)에 통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암부재(101)와 회동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체결부재(110)의 타측단부도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절곡부가 형성되어 절곡부에 상기 볼트삽입공(102)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결합공(1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체결부재(110)의 절곡부에는 상기 볼트결합공(112)의 하측으로 ㄴ형상으로 형성된 고정편(116)이 상기 하부체결부재(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볼트(150)의 헤드부가 상기 고정편(116)에 걸림됨에 의해 헤드부의 좌우유동이 방지된다.
상기 상부체결부재(100)와 하부체결부재(110)의 절곡부는 볼트삽입공(102) 및 볼트결합공(112)으로 볼트(150)를 삽입한 후 너트(160)에 의해 상호간에 결합조임됨에 의해 상,하부체결부재(100)(11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볼트(150)는 상기 하부체결부재(110)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볼트(150)의 무단 분리가 방지된다. 그리고 볼트(150)를 용접하지 않더라도 볼트(150)의 헤드부가 상기 고정편(116)에 걸림됨에 의해 헤드부의 좌우유동이 방지되어 너트(160)에 의한 조임이 용이하다.
사용자는 상기 상부체결부재(100)와 하부체결부재(110)를 결합시킴에 있어서 볼트(150)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결합이 가능한 바, 상기 상부체결부재(100)에 형성된 가이드공(103)을 통하여 상기 볼트(150)의 측면을 삽입시킴에 의해 상,하부 체결부재(100)(110)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
상기 하부체결부재(110)의 중앙부에는 상하 관통된 통공(114)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114)에 후술하는 길이조절볼트(130)가 삽입된다. 그리고 통공(114)의 양측면에 소정 이격되어 보조통공(115)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통공(115)에 후술하는 고정부(133)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하부체결부재(110)의 통공(114)주위는 하측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함몰부에 후술하는 길이조절볼트(130)의 헤드부(131)가 수용된다.
상기 고정부재(120)는 대략 ㄷ자형상으로 구성되며 양단부가 측면으로 절곡되어 결합편(121)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편(121)에는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볼트가 결합됨에 의해 고정부재(120)를 벽면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고정부재(120)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통공(122)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122) 인접부에는 통공(122)을 감싸는 형상으로 하측으로 연장된 보스(123)가 형성되며 상기 보스(123)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길이조절볼트(130)가 상기 통공(122)에 삽입된 후 보스의 암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며, 나사회전에 의해 길이조절볼트(130)가 상하로 유동된다.
상기 길이조절볼트(130)는 크게 헤드부(131)와, 몸체부(132) 그리고고정부(133)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부(131)는 상기 하부체결부재(110)의 통공(114)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헤드부(131)의 하측에 소정길이를 가지는 몸체부(132)가 형성되어 통공(114)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몸체부(132)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32)가 상기 고정부재(120)의 보스(123)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길이조절볼트(130)가 나사회전됨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120)의 외측으로 돌출/삽입되어 상기 상,하부 체결부재(100)(110)의 벽면이격거리가 조정된다.
상기 헤드부(131)의 하측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고정부(133)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33)가 상기 하부체결부재(110)의 보조통공(115)으로 삽입된 후, 용접 등에 의해 상기 하부체결부재(110)에 고정되어 상기 길이조절볼트(130)가 상기 하부체결부재(110)에 안정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볼트(130)의 몸체부(132)에는 고정너트(140)가 결합되어 상기 고정너트(140)를 조임에 의해 고정부재(120)와 길이조절볼트(130)가 안정되게 결합된다.
즉, 상기 길이조절볼트(130)를 소정 나사회전시켜 벽면과의 이격거리를 조정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너트(140)를 조이게 되면 고정너트(140)가 상기 고정부재(120)측으로 근접되어 고정부재(120)에 밀착됨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120)와 길이조절볼트(130)가 결합되어 유동이 방지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동효과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먼저 고정부재(120)가 벽면측으로 접근시켜 고정부재(120)를 벽면에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상기 길이조절볼트(130)를 나사회전시켜 상,하부체결부재(100)(110)의 벽면이격거리를 조절시킨다.
상기의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상기 상,하부체결부재(100)(110)의 걸림암부재(101)를 회동시켜 상,하부체결부재(100)(110)의 내주면에 파이프를 수용시키고, 상기 상부체결부재(100)의 가이드공(103)을 통하여 볼트(150)를 삽입시키면 상기 상,하부체결부재(100)(110)가 완전히 결합됨과 동시에 파이프가 상기 상,하부체결부재(100)(110)의 내주면에 수용된다. 수용이 완료되면 상기 볼트삽입공(102) 및 볼트결합공(112)에 결합된 볼트(150)를 너트(160)를 이용하여 조이면 파이프의 유동이 전혀 없게 된다.
파이프가 수용되고 벽면이격거리가 조정되면 상기 길이조절볼트(130)의 몸체부(132)에 설치된 고정너트(140)를 고정부재(120)측으로 나사 회전시키면 너고정트(140)가 고정부재(120)에 밀착되어 설치가 완료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파이프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상부체결부재(100)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들어 올리면 상기 가이드공(103)이 볼트(150) 외측으로 소정 이격되어 상기 상부체결부재(100)와 하부체결부재(110)의 타측이 분리되어 파이프를 교체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하부 체결부재(100)(110)는 걸림암부재(101)와 걸림수부재(111)는 서로간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 제2실시예 >
도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홀더의 사시도이고, 도11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홀더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제1실시예와 다른부분은 고정부재(120) 및 고정너트만이 상이하며 다른 부분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고정부재(120)는 대략 S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하단부가 측면으로 절곡되어 결합편(121)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편(121)에는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볼트가 결합됨에 의해 고정부재(120)를 벽면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20)의 상부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통공(122)이 형성되며 후술하는 길이조절볼트(130)가 상기 통공(122)에 삽입된 후, 상기 고정부재(120)가 소정 유동되어 벽면과의 이격거리가 조정되면 후술하는 고정너트의 나사조임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120)가 상기 길이조절볼트(130)의 외표면 소정위치에 고장된다.
상기 고정너트(140)는 제1고정너트(141)와 제2고정너트(142)로 구성되어 상기 제1고정너트(141)는 고정부재(120)의 상측에서 조임되며 상기 제2고정너트(142)는 고정부재(120)의 하측에서 조임됨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120)를 고정시킨다.
< 제3실시예 >
도12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홀더의 사시도이고, 도1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홀더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서 상기 제2실시예와 다른 점은 하부체결부재(110) 및 상부체결부재(100)와 하부체결부재(110)의 타측 절곡부를 결합시키는 볼트와 너트만이 상기 제2실시예와 다르고 그외의 부분은 상기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제3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체결부재(110)의 타측단부도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절곡부가 형성되어 절곡부에 상부체결부재(100)의 볼트삽입공(102)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결합공(112)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결합공(112)의 하측에 상기 볼트결합공(112)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절곡부와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170)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17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70)에 볼트(150)가 나사결합됨에 상기 상부체결부재(100) 및 하부체결부재(110)의 타측이 상호간에 결합된다. 즉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는 달리 너트(160) 없이 볼트(150)를 상기 하부체결부재(110)의 연장부(170)에 나사결합시킴에 의해 상기 상부체결부재(100)와 하부체결부재(110)의 타측을 결합시키게 되므로 경제적이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170)의 형성은 상기 하부체결부재(110)의 볼트결합공(112)을 형성시키기 위해 펀칭함에 의해, 펀칭된 부분이 하측으로 절곡돌출되어 자연스럽게 연장부(170)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170)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시키면 된다.
더불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서는 볼트(150)의 헤드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편이 필요치 않게 되며 상기에서 언급한 내용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2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파이프를 벽면에 고정 설치하는 경우 설치가 간단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파이프의 수용 및 제거가 용이하며, 길이조절이 쉬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이프홀더 전체가 서로간에 연결되어 부품낙하의 염려가 없으므로 부품분실이 방지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일측에 걸림암부재(101)가 형성되고 타측에 볼트삽입공(102)이 형성되며, 볼트삽입공(102)과 연통된 가이드공(103)이 형성된 반원형상의 상부체결부재(100)와;
    일측에 상기 걸림암부재(101)에 삽입되어 회동되게 걸림되는 걸림수부재(111)가 형성되고, 타측에 볼트결합공(112)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통공(114)이 형성된 반원형상의 하부체결부재(110)와;
    중앙부에 통공(122)이 형성되고, 단부에 결합편(121)이 형성되어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20)와;
    상기 하부체결부재(110)의 통공(114)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체결부재(110)에 고정되고, 외표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120)와 나사결합되어 나사회전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어 길이를 조절시키는 길이조절볼트(130);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볼트(130)에 나사결합되어 위치조정된 상기 길이조절볼트(130)를 상기 고정부재(120)에 고정시키는 고정너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20)는, 상기 통공(122) 인접부에 통공(122)을 감싸는 형상으로 하측으로 연장된 보스(123)가 형성되며 상기 보스(123)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볼트(130)는,
    상기 하부체결부재(110)의 통공(114) 상측으로 돌출되는 헤드부(131)와;
    상기 헤드부(131)와 일체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132); 그리고,
    상기 헤드부(131)의 하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체결부재(110)의 통공(114)인접부에 형성된 보조통공(115)으로 삽입되어 헤드부(131)를 하부체결부재(1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홀더.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결부재(110)는 볼트결합공(112) 하측에 고정편(116)이 돌출형성되어 볼트(150)의 헤드부가 걸림되어 회동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너트(140)는
    상기 고정부재(120)의 상측을 조임시키는 제1고정너트(141)와, 하측을 조임시키는 제2고정너트(14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홀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결부재(110)는 상기 볼트결합공(112) 인접부에 볼트결합공(112)을 감싸며 하측으로 일체로 연장된 연장부(170)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17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홀더.
KR2020010031991U 2001-10-19 2001-10-19 파이프 홀더 KR2002614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991U KR200261411Y1 (ko) 2001-10-19 2001-10-19 파이프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991U KR200261411Y1 (ko) 2001-10-19 2001-10-19 파이프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411Y1 true KR200261411Y1 (ko) 2002-01-23

Family

ID=7306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991U KR200261411Y1 (ko) 2001-10-19 2001-10-19 파이프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4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820B1 (ko) * 2019-02-23 2019-08-08 김현동 파이프 지지 장치
KR20240007386A (ko) 2022-07-08 2024-01-16 정재연 논 슬립 구조를 갖는 파이프 홀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820B1 (ko) * 2019-02-23 2019-08-08 김현동 파이프 지지 장치
KR20240007386A (ko) 2022-07-08 2024-01-16 정재연 논 슬립 구조를 갖는 파이프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2047B2 (en) Electrical box mounting bracket
US20210151972A1 (en) Adapter for mounting cable hangers
US7678993B2 (en) Outlet box assembly with anchor screw guide
KR200261411Y1 (ko) 파이프 홀더
KR200261412Y1 (ko) 파이프 홀더
KR101048643B1 (ko) 천장 패널 고정 장치
KR200446452Y1 (ko) 배관 고정용 행거
KR100742531B1 (ko) 수도전 고정구
KR102395145B1 (ko) 매입형 앵커
KR200252536Y1 (ko) 파이프 홀더
JP3805326B2 (ja) 配管用金具
KR200269709Y1 (ko) 낙석방지책용 와이어 고정크립
KR101852829B1 (ko) 가구용 받침다리
CN217150431U (zh) 一种保险盒盖板快拆结构
KR20100005084U (ko)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KR200439692Y1 (ko) 파이프 행거장치
KR200342282Y1 (ko) 공사장 낙하물 방지용 클램프
KR200295970Y1 (ko) 낙석방지망용 고정구
KR100842328B1 (ko) 안전망 설치용 브라켓
EP0976893B1 (en) Access panel for pole
KR200227328Y1 (ko) 파이프 안전 지지대
KR200189749Y1 (ko) 파이프 안전 지지대
KR200303084Y1 (ko) 전주용 체결밴드
KR200384948Y1 (ko) 이탈방지용 맨홀 뚜껑
KR200188854Y1 (ko) 등기구암 고정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