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328Y1 - 파이프 안전 지지대 - Google Patents

파이프 안전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328Y1
KR200227328Y1 KR2019990003959U KR19990003959U KR200227328Y1 KR 200227328 Y1 KR200227328 Y1 KR 200227328Y1 KR 2019990003959 U KR2019990003959 U KR 2019990003959U KR 19990003959 U KR19990003959 U KR 19990003959U KR 200227328 Y1 KR200227328 Y1 KR 2002273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lder
pipe fixing
fixing par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9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3155U (ko
Inventor
김형길
Original Assignee
김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길 filed Critical 김형길
Priority to KR20199900039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328Y1/ko
Publication of KR199900331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1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3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328Y1/ko

Link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보호대의 파이프를 고정 지지하는 파이프 안전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후방일측에 타원형의 제1볼트체결공(124a)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체결되는 볼트의 직경크기를 가지는 원형상의 제2볼트체결공(124b)이 형성된 지지대(124)와 헤드(122)로 이루어지는 홀더부(120)와, 상기 헤드(122)의 내측 일부분을 가압하여 돌출된 원통을 소성가공하고 상기 원통형의 상부면을 따내기하여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내주면을 확관시켜 원통의 하부 테두리(11Oa)가 헤드(122)의 전방테두리(122a)와 중첩되도록 압착되어 이루어지는 파이프고정부(110)로 구성되어, 파이프고정부(110)가 홀더부9120)의 일측을 가공하여 제작되어 파이프고정부(110)와 홀더부(120)가 한 몸체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안전지지대(100)를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고정부는 홀더부에서 탈락될 염려가 없으므로 파이프고정부에 결합되는 보호대가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제2볼트 체결공에 의해 보다 간편하게 보호대를 평형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안전 지지대{PIPE HOLDER FOR SAFE GUARD}
본 고안은 파이프 안전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가 끼워지는 파이브고정부와 이를 지지하는 홀더부를 판상의 스테인레스를 일체로 성형가공하여 제조함으로서 제작원가의 절감을 도모하고 또한 보다 견고하게 파이프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안전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베란다 또는 창문 등에는 추락의 위험을 저지하기 위하여 알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보호대가 설치된다. 이러한 보호대는 베란다 또는 창문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갑갑함을 느끼게하고, 또한 여유공간의 활용이 되지 않아 최근에는 파이프 안전지지대를 이용하여 베란다 또는 창문과 설치되는 보호대 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파이프 안전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베란다를 참고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파이프 안전 지지대에 의해 보호대가 설치된 베란다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란다(10)의 보호대(20)는 파이프 안전지지대(30)에 의해 지지되어 베란다(10) 벽면과 일정공간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 안전지지대(30)는 홀더부가 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보호대(20)의 단부가 파이프고정부에 삽입되어 되도록 하여 베란다(10)를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부의 길이만큼 보호대(20)는 베란다(10)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으므로 베란다(10) 벽면과 보호대(20) 사이에 일정공간이 확보되어 보는이로 하여금 갑갑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공간에 화분 등을 놓아두어 여유공간을 보다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와 같이 보호대를 고정 지지하는 종래의 파이프 안전지지대를 도시한 도2를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안전지지대(30)는, 보호대의 단부가 삽입되는 파이프고정부(32)와,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홀더부(34)로 구성된다. 파이프고정부(32)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형의 내경은 고정설치되는 보호대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홀더부(34)는 파이프고정부(32)와 결합되어 벽면에 고정설치되도록 후방부 일측에 볼트체결공(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체결공(35)은 체결되는 볼트가 임의의 위치에서 체결될 수 있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보호대의 양측에 설치되는 파이프 안전지지대(30)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즉, 파이프고정부(32)에 보호대의 단부가 삽입되어 베란다 벽면 일측에 파이프 안전지지대(30)를 설치한 후, 타측에 설치되는 파이프 안전지지대(30)가 설치된 일측과 평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볼트체결공(35)의 임의 위치에 볼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호대는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파이브 안전지지대(30)는 파이프고정부(32)와 홀더부(34)가 별개의 부재로 제작되어 결합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파이프고정부(32)와 홀더부(34)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시한 도 3의 경우,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가 막혀있는 원통형의 파이프고정부(32)가 홀더부(34)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고정부(32)와 홀더부(34)의 결합은 스팟용접을 이용하여 파이프고정부(32)가 홀더부(34)에 단단히 부착되도록 한다. 즉, 파이프고정부(32)의 내면을 통하여 스팟용접을 실시하여 파이프고정부(32)가 홀더부(34)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시한 도 4의 경우, 파이프고정부(32')는 상부의 전체가 개구되고 하부의 중앙부분이 일부 개구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홀더부(34)는 파이브고정부(32)가 부착되는 헤드부분이 원호상으로 일부 개구된 개구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상태에서 상기 홀더부(34)의 헤드부분에 형성된 개구부(34a')의 테두리 부분이 파이프고정부(32)의 하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내면 주변에 걸쳐지도록 프레스로 압착 성형하여 파이브고정부(32)와 홀더부(34)를 결합시키게 된다.
도시한 도 5의 경우, 도 4와 달리 파이프고정부(32'')의 하부 원통형의 모서리 부분이 홀더부(34)의 헤드에 형성된 개구부(34a'')의 외면 주변에 결쳐지도록 프레스로 압착성형하여 파이프 고정부(32'')와 홀더부(34'')를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각 예에서 나타나듯이 파이브고정부와 홀더부를 각각 별도로 제작하여 상호 결합시켜 제작하게 되는 종래의 파이프 안전지지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상기 파이프 안전지지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란다에 설치되는 보호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 안전지지대는 보호대를 견고하게 지지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보호대가 파이프 안전지지대에서 탈락되어 위험한 사고를 일으키게 된다. 고층아파트가 즐비한 최근의 아파트 문화에서는 상기 보호대의 견고한 지지는 파이프 안전지지대의 가장 큰 목적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파이프 안전지지대는 보호대를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파이프고정부와 홀더부를 별도로 제작하여 상호 결합시키게 됨으로서 상기 파이브고정부와 홀더부가 서로 분리됨으로서 보호대가 쉽게 탈락되어 안전사고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이는 종래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파이프고정부와 홀더부의 결합이 보호대를 지탱하기에 충분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즉, 도 3의 스팟용접이나 도4와 도5의 경우처럼 모서리 압착에 의해 파이프고정부와 홀더부를 결합시키는 부착은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지 못하여 사용자가 무심코 보호대에 힘을 가한다든지 또는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결합력이 저하되어 보호대를 충분히 지탱하지 못하여 파이프고정부와 홀더부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파이프고정부와 홀더부의 분리는 치명적인 사고를 일으키므로 상기 파이프고정부와 홀더부의 결합력의 강화는 파이프안전 지지부재에서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으나 종래의 파이프 안전지지대에서 처럼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방법에 있어서는 결합력이 저하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문제점은 상기 홀더부에 형성된 타원형의 볼트체결공 구조로는 보호대의 정확한 설치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보호대의 평형설치는 볼트체결공의 임의의 위치에서 볼트가 체결되도록 하여 평형을 유지하나, 실지 작업시 약간의 흔들림이나 움직임에도 볼트에 체결되는 볼트체결공의 위치가 변경되어 보호대가 정확하게 평형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의 경우 다시 볼트를 풀어서 재차 설치되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제차 결합시에는 벽면에 체결되는 볼트의 체결력이 저하되어 파이프 안전지지대 자체의 체결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파이프고정부와 홀더부가 일체로 제작되도록 하여 파이프고정부가 홀더부로부터 탈락되는 것이 지지되어 보호대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파이프 안전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볼트체결공의 구조를 변경하여 보호대를 보다 간단히 평형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도모하며, 또한 벽면에 체결되는 파이프 안전지지대의 체결력을 강화하는데 있다.
도 1 - 파이프 안전지지대의 설치모습을 보인도.
도 2 - 종래 파이프 안전지지대의 사시도.
도 3 - 종래 파이프 안전지지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4 - 종래 파이프 안전지지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5 - 종래 파이프 안전지지대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6 -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안전지지대의 사시도.
도 7 -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안전지지대의 횡단면도.
도 8 -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안전지지대의 파이프고정부의 제작과정을 나타낸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파이프 안전지지대 110 : 파이프고정부
110a : 테두리 120 : 홀더부
122 : 헤드 122a : 헤드테두리
124 : 지지대 124a : 제1볼트체결공
124b : 제2볼트체결공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후방일측에 타원형의 제1볼트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체결공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체결되는 볼트의 직경크기를 가지는 원형상의 제2볼트체결공이 형성된 판상홀더부와, 상기 판상홀더부의 전방내측 일부분을 가압하여 돌출된 원통을 소성가공하고 상기 원통형의 상부면을 따내기하여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내주면을 확관시켜 원통의 하부 테두리가 판상홀더부의 전방테두리와 중첩되도록 압착되어 이루어지는 파이프고정부로 구성되어, 파이프고정부가 홀더부의 일측을 소성가공하여 제작되어 파이프고정부와 홀더부가 한몸체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안전 지지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요지가 있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고정부는 홀더부에서 탈락될 염려가 없으므로 파이프고정부에 결합되는 보호대가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제2볼트체결공에 의해 보다 간편하게 보호대를 평형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안전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안전지지대(100)는 파이프고정부(110)와 홀더부(120)로 구성되며, 상기 파이프고정부(110)와 홀더부(120)가 일체로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파이프고정부(11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역시 개구되어 있으며, 홀더부(120)와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이프고정부(110)의 하부테두리(110a)는 홀더부(120)의 외측테두리(122a)와 중첩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고정부(110)는 홀더부(120)의 일측을 원통형으로 소성가공하여 내부를 확관시켜 원통형의 하부테두리(110a)가 홀더부(120)의 외측테두리(122a)에 중첩되도록 가압하여 제작된다. 따라서 별도의 파이프고정부(110)를 제작하여 홀더부(120)에 부착시킬 필요가 없으며, 또한 홀더부(120)와 일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파이프고정부(110)는 홀더부(120)로부터 탈락될 염려가 없으므로 보호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파이프고정부(110)의 제작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홀더부(120)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홀더부(120)는 베란다 벽면등에 고정되어 보호대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파이프고정부(110)와 연결되는 헤드(122)가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헤드(122)의 일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연장된 지지대(l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124)의 길이는, 설치되는 보호대가 베란다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임의의 길이를 갖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24)의 후방일측에는 지지대를 베란다의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체결공(124a,124b)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체결공(124a,124b)을 통해 볼트로 벽면에 고정시켜 파이프 안전지지대(100)는 고정 설치되게 된다. 한편, 본고안에서 상기 볼트체결공(124a,124b)은 두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후방일측에 지지대(124)의 길이방향으로 다소 길게 형성되어 임의의 위치에서 볼트체결공을 통해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제1볼트체결공(124a)이 형성된다. 상기 제1볼트체결공(124a)은 설치되는 파이프 안전지지대(100)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임의 위치에서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상기 제1볼트체결공(124a)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전방부분에 볼트의 직경을 가지며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제2볼트체결공(124b)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볼트체결공(124a)을 통하여 임의의 위치를 선정하여 파이프 안전지지대(100)를 수평으로 설치되게 한 후, 제2볼트체결공(124b)을 통하여 파이프 안전지지대(100)를 더욱 견고하게 벽면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시한 도8을 참조하여 파이프 안전지지대(100)의 제작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지지대(124)에 볼트체결공(124a,124b)이 형성되고, 헤드(122)부분이 판상으로 이루어진 판상홀더부를 준비한다. 상기 헤드(122)의 테두리를 단단히 고정하고, 헤드(122)의 내측부분을 가공하여 파이프고정부를 형성한다. 상기 과정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판상홀더부의 헤드(122) 내측을 프레스를 이용하여 드로잉가공하여 원통형(110')을 형성한다.(Ⅱ) 이러한 드로잉가공에 의한 원통형성은 스테인레스판금을 제조하는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드로잉가공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110')의 상부는 막힌 상태이고, 또한 원통형의 내부직경은 삽입되는 보호대의 단부직경보다 다소 적은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원통형(110')의 상부를 따내기 하여 원통형의 상부를 개구시킨다.(Ⅲ) 상기의 상태에서 원통의 내측에 확관기를 주입하여 원통을 확관시킴과 동시에 원통의 하부 테두리(110a)부분이 판상홀더부의 헤드테두리(122a)에 겹쳐지도록 가압하여 파이프고정부(110)를 형성한다.(Ⅳ) 따라서 상기 확관에 의해 원통의 내부직경은 보호대의 직경과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의 하부 테두리(122a) 부분이 헤드의 테두리(122a)에 겹쳐져 가압되어 파이프고정부(110)가 홀더부(120)와 일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견고하게 성형되어 파이프고정부의 탈락이 저지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안전지지대의 사용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보호대의 단부를 파이프 안전지지대(100)의 파이프고정부(110) 내부로 삽입한 후, 베란다의 일측면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홀더부(120)의 지지대(124)의 제1볼트체결공(124a)을 이용하여 임의 위치에서 볼트가 체결되도록 하여 보호대와 베란다 벽면과 어느 정도 원하는 소정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제2볼트체결공(124b)을 통해 볼트로 체결하여 베란다 벽면에 설치되는 파이프 안전지지대(100)가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상태에서 보호대의 타측단부를 다른 파이프 안전지지대(100)의 파이프고정부(110)에 삽입하고, 상기 파이프 안전지지대(100)를 기 설치된 지지대와 수평으로 위치되도록 조정한다. 상기의 상태에서 먼저 제2볼트체결공(124b)을 통해 볼트로 체결하여 지지대가 타측 베란다 벽면에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타측 벽면에 부착되는 지지대의 경우 제2볼트체결공(124b)을 먼저 체결하는 이유는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제2볼트체결공(124b)이 아닌 제1볼트체결공(124a)을 먼저 체결하는 경우, 볼트 체결시 약간의 흔들림에도 제1볼트체결공(124a)의 체결위치가 변경되므로 완전히 체결된 상태에서는 수평을 유지할수 없게 된다. 따라서 먼저 양측의 지지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볼트체결위치가 결정되면, 흔들림에 상관없는 제2볼트체결공(124b)에 먼저 볼트로 체결하여 수평위치를 고정시킨 후, 제1볼트체결공(124a)에 볼트를 재차 체결하여 보다 견고하게 벽면에 부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볼트의 내직경과 동일한 원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볼트체결공(124b)에 의해 베란다 양측 벽면에 설치되는 파이프 안전지지대(100)의 수평을 유지하기가 보다 쉬어짐은 물론 체결력을 더욱 강화시켜 파이프 안전지지대(100)가 베란다 벽면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고정부와 홀더부가 별개로 이루어져 부착된 종래의 파이프 안전지지대와 달리 본 고안에서는 상기 파이프고정부(110)가 홀더부(120)와 일체로 이루어져 파이프고정부(110)와 홀더부(120)의 결합력 저하로 인한 파이프고정부(110)의 탈락이 저지된다. 즉, 보호대가 설치된 이후,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 또는 장시간 사용시에 종래의 지지대는 파이프고정부와 홀더부의 결합력 저하로 쉽게 파이프고정부가 홀더부로 이탈되나, 본 고안에서는 홀더부(120)와 파이프고정부(110)가 일체로 제작되어 별도의 결합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파이프고정부(110)는 홀더부(120)로 부터 분리되지 않게 되어 파이프고정부의 탈락으로 인한 보호대의 추락위험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안전지지부재는 종래와 달리 홀더부와 파이프고정부가 일체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파이프고정부가 홀더부로 부터 탈락되는 것이 저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홀더부의 지지대에 형성된 볼트의 직경을 가진 원형의 제2볼트체결공에 의해 설치되는 보호대의 수평유지가 보다 쉬워짐은 물론 보다 견고하게 베란다 벽면에 파이프 안전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도 있다.

Claims (1)

  1. 파이프고정부와 홀더부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안전지지대에 있어서,
    후방일측에 타원형의 제1볼트체결공(124a)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체결공(124a)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체결되는 볼트의 직경크기를 가지는 원형상의 제2볼트체결공(124b)이 형성된 지지대(124)와 상기 지지대의 전방에 형성되는 헤드(122)로 구성되는 홀더부(120)와;
    상기 홀더부(120)의 전방 헤드(122) 내측 일부분을 가압하여 돌출된 원통을 소성가공하고, 상기 원통형의 상부면을 따내기하여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내주면을 확관시켜 원통의 하부 테두리(110a)가 헤드(122)의 테두리(122a)와 중첩되도록 압착되어 이루어지는 파이프고정부(110)로 구성되어;
    파이프고정부(110)가 홀더부(120)의 일측을 가공하여 제작되어 파이프고정부(110)와 홀더부(120)가 한 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안전지지대.
KR2019990003959U 1999-03-10 1999-03-10 파이프 안전 지지대 KR2002273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959U KR200227328Y1 (ko) 1999-03-10 1999-03-10 파이프 안전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959U KR200227328Y1 (ko) 1999-03-10 1999-03-10 파이프 안전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155U KR19990033155U (ko) 1999-08-05
KR200227328Y1 true KR200227328Y1 (ko) 2001-06-15

Family

ID=54756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959U KR200227328Y1 (ko) 1999-03-10 1999-03-10 파이프 안전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3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735Y1 (ko) * 2018-03-26 2019-07-30 서승일 난간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735Y1 (ko) * 2018-03-26 2019-07-30 서승일 난간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155U (ko) 199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99397S1 (en) Headset
USD455988S1 (en) Protective bar for a vehicle
USD454817S1 (en) Protective bar for a vehicle
USD454099S1 (en) Protective bar for a vehicle
US6966101B2 (en) Handle of a glass door
CN1966309B (zh) 挂钩附接单元
USD508199S1 (en) Grommet
CA2416466A1 (en) Door frame guard
CA2322063A1 (en) Counter flashing
US6517302B2 (en) Modular clip
CA2409990A1 (en) Top frame assembly
KR200227328Y1 (ko) 파이프 안전 지지대
USD453125S1 (en) Fastening buckle
USD462588S1 (en) Fence post driver
USD494451S1 (en) Grommet
CA2431351A1 (en) Square embossed roof and rib plate
USD468446S1 (en) Canopy
KR200189749Y1 (ko) 파이프 안전 지지대
USD470440S1 (en) Bicycle shock absorber lower tube assembly
USD417328S (en) Center pull hoist ring assembly
USD455211S1 (en) Anorectal apparatus
USD499005S1 (en) Grommet
USD516155S1 (en) Tent
USD398269S (en) Shock absorbing seat post
USD387442S (en) Building assembly for a canopy fasc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