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260Y1 - 작업대 - Google Patents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260Y1
KR200261260Y1 KR2020010030918U KR20010030918U KR200261260Y1 KR 200261260 Y1 KR200261260 Y1 KR 200261260Y1 KR 2020010030918 U KR2020010030918 U KR 2020010030918U KR 20010030918 U KR20010030918 U KR 20010030918U KR 200261260 Y1 KR200261260 Y1 KR 2002612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nk member
upper plate
stopper
hi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현
김갑범
Original Assignee
김일현
김갑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현, 김갑범 filed Critical 김일현
Priority to KR2020010030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2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2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260Y1/ko

Links

Landscapes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콤팩트한 사이즈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고 사용시에는 펼쳐서 높은 위치에서 작업하기 편리하도록 된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하단에 다수개의 다리(12)가 하향연장되도록 설치된 프레임(10)과, 복수개의 제1 힌지부(23)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다수개의 링크부재(20)와, 이 링크부재(20)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으로 승강되도록 된 상판(30)과, 상기 링크부재(20)의 회동 궤적에 위치되도록 프레임(10)에 고정되며 상기 상판(30)이 상측으로 들려졌을 때 링크부재(20)에 걸려져 이 상판(30)이 들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스톱퍼(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작업대{plate for working}
본 고안은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콤팩트한 사이즈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고 사용시에는 펼쳐서 높은 위치에서 작업하기 편리하도록 된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 벽걸이 시계, 액자, 싱크대 수납장과 같은 물품은 사람의 몸이 닿을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될 경우 걸리적거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보통 사람의 키높이보다 높은 위치의 벽체에 설치되며, 일반 조명등의 경우에는 조명의 효율을 높이도록 천정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이 천정에 조명등을 설치하거나 사람의 키보다 높은 곳의 벽체에 벽걸이 시계 또는 싱크대 수납장 등의 물품을 설치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할 경우에는, 보통 의자나 작업용 사다리 또는 기타 작업대 등에 올라서서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의자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를 원래 있던 자리에서 옮겨 와야하고 특히 캐스터가 달린 의자의 경우에는 사람이 올라섰을 때, 바닥에서 미끄러져 사람이 추락할 수 있는 등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작업용 사다리 또는 작업대는 비교적 부피가 크기 때문에, 이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별도로 요구될 뿐만 아니라 보관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작업용 사다리나 작업대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이를 들어서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여야하므로, 이동시 불편함은 물론, 비교적 무겁기 때문에 이를 들고 이동할 때의 불편함을 더욱 가중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보관시에는 콤팩트하게 접어서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시에는 용이하게 운반하여 펼침으로써 보다 높은 위치에서 작업하기 편리하도록 된 작업대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콤팩트한 사이즈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고 사용시에는 펼쳐서 높은 위치에서 작업하기 편리하도록 된 작업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작업대의 캐스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12. 다리
20. 링크부재 23. 제1 힌지부
30. 상판 35. 지지대
37. 제2 힌지부 40. 스톱퍼
본 고안에 따르면, 하단에 다수개의 다리(12)가 하향연장되도록 설치된 프레임(10)과, 복수개의 제1 힌지부(23)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다수개의 링크부재(20)와, 이 링크부재(20)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으로 승강되도록 된 상판(30)과, 상기 링크부재(20)의 회동 궤적에 위치되도록 프레임(10)에 고정되며 상기 상판(30)이 상측으로 들려졌을 때 링크부재(20)에 걸려져 이 상판(30)이 들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스톱퍼(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판(30)에는 소정 길이 하향연장된 다수개의 지지대(35)가 구비되고, 각각의 지지대(35)는 복수개의 제2 힌지부(37)에 의해 상기 링크부재(20)의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톱퍼(40)은 제2 힌지부(37)가 제1 힌지부(23)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사점(A)을 지났을 때에 상기 링크부재(20)가 걸려지도록 프레임(10)에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작업대의 사시도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 및 도 4는 각각 상기 작업대의 상판이 상측으로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대의 캐스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작업대는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다수개의 링크부재(20)와, 이 링크부재(20)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승강되도록 된 상판(30)과, 상기 링크부재(20)가 걸려지도록 프레임(10)에 구비된 스톱퍼(4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대략 직사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둘레부의 하단에 하측에 소정 길이의 다리(12)가 복수개 설치되어 하향연장되어 있고, 상기 다리(12)의 하단부에는 캐스터(45)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캐스터(4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46)과 이 중공(46)에 연통되도록 장공(47)이 형성된브래킷(50)과, 상기 장공(47)을 따라 상하로 승강가능되는 휠(55)과, 상기 브래킷(50)의 상단에 구비된 마찰판(60)과, 상기 중공(46)에 삽입설치되어 휠(55)을 하향 탄지하는 스프링(57)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찰판(60)의 상측에서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휠(55)이 마찰판(60)에 가압밀착되어 고정되므로, 상기 휠(55)이 구르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링크부재(20)가 제1 힌지부(2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링크부재(20)가 걸려지도록 스톱퍼(4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에는 수직 방향으로 패널(13)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패널(13)의 중앙부에는 사용자가 손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통공(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크부재(20)는 제1 힌지부(37)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된 스톱퍼(40)에 걸려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20)를 프레임(10)의 상측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스톱퍼(40)에 걸려져 프레임(10)과 직각을 이룬 상태에서 더 이상 회동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20)의 선단에는 상판(30)의 저면에서 하향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대(35)가 제2 힌지부(37)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판(30)은 그 저면에서 하향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대(35)에 의해 상기 링크부재(20)에 연결된 것으로, 대략 그 중앙부에는 관통공(33)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이 관통공(33)에 손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통공(33)에 손을 집어넣고 상판(30)을 상부로 들어올린 다음, 상기 프레임(10)의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링크부재(20)와 지지대(35)가 각각 제1 및 제2 힌지부(23, 37)를 중심으로 회동하다가 상기 링크부재(20)가 프레임(10)에 구비된 스톱퍼(40)에 걸리져 지지되므로,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으로 들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35)는 그 상단의 보강리브(36)에 의해 상판(30)의 저면에 강성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판(10)이 상측으로 들려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스톱퍼(40)는 프레임(10)의 내측 하단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링크부재(20)의 회동 궤적 상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링크부재(20)가 프레임(10)의 상측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링크부재(20)가 걸려지도록 하여 상기 프레임(10)과 직각을 이루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톱퍼(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힌지부(37)가 제1 힌지부(23)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사점(A)을 지났을 때에 상기 제1 링크부재(20)가 걸려지도록 상기 프레임(10)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링크부재(20)를 회동시켜 프레임(10)과 직각을 이루도록 펼쳤을 때, 이 링크부재(20)에 연결고정된 상판(30)이 상측으로 들려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판(30)에 사람이 올라가는 등의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이 하중은 B 방향과 C 방향 쪽으로 작용되고 상기 링크부재(20)는 스톱퍼(40)에 걸려져 있으므로, 상기 상판(30)이 아래로 절첩되지 않고 상측으로 펼쳐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설명안된 도면 부호 41은 상기 링크부재(20)가 프레임(10)의 상측으로 회동되어 스톱퍼(40)에 걸렸을 때, 상기 링크부재(20)와 스톱퍼(40)의 접촉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작업대에 의하면, 상기 상판(30)을 상부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제1 링크부재(20) 및 제2 링크부재(20)가 각각 제1 힌지부(23)와 제2 힌지부(37)를 중심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1 링크부재(20)는 프레임(10)의 스톱퍼(40)에 의해 걸려져 지지되므로, 상기 상판(30)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판(30) 작업자가 올라가 천정 등과 같은 보다 높은 곳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업대의 다리(12) 하단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캐스터(45)가 장착되는데, 이 캐스터(45)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상부에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마찰판(60)과 휠(55)이 가압밀착되어 휠(55)이 구르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판(30)에 사람이 올라서게 되면 상기 휠(55)이 마찰판(60)에 가압밀착되어 구르지 않게 되므로, 상기 작업대가 바닥면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되므로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다.
반대로, 상판(30)에 사람이 올라서지 않게 되면 상기 스프링(57)에 의해 휠(55)이 하향탄지되면서 상기 마찰판(60)으로부터 떨어져 회전될 수 있으므로, 상기 작업대를 바닥에 굴려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의 상판(30)을 프레임(10)으로 절첩시킴으로써 콤팩트한 사이즈로 만들 수 있으며, 이렇게 콤팩트하게 절첩된 상기 작업대를 싱크대의 하부 공간과 같이 유휴 공간에 집어넣어 보관할 수 있는 한편, 이 작업대를 다시 빼낼 때에는 상기 패널(13) 중앙부의 통공(18)에 손을 집어넣고 당겨서 빼내면 된다.
따라서, 상기 작업대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상판(30)과 제1 및 제2 링크부재(20)를 프레임(10) 쪽으로 접어서 콤팩트한 사이즈로 만들어, 이를 싱크대 하측의 공간부 등에 집어넣어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이 편리함은 물론 보관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불필요하다. 또한, 상기 작업대는 사용시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20)와 상판(30)을 프레임(10)의 상측으로 펼친 후, 작업자가 상기 상판(30) 위에 올라서서 작업할 수 있으므로, 천정 등과 같이 높은 위치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판(30)과 제1 및 제2 링크부재(20)를 프레임(10) 쪽으로 접어서 콤팩트한 사이즈로 만들 수 있으므로, 보관이 편리하며, 사용시에는 상기 상판(30)을 상측으로 펼쳐 이 상판 위에 올라가 작업할 수 있으므로, 천정과 같이 높은 위치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하단에 다수개의 다리(12)가 하향연장되도록 설치된 프레임(10)과, 복수개의 제1 힌지부(23)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다수개의 링크부재(20)와, 이 링크부재(20)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으로 승강되도록 된 상판(30)과, 상기 링크부재(20)의 회동 궤적에 위치되도록 프레임(10)에 고정되며 상기 상판(30)이 상측으로 들려졌을 때 링크부재(20)에 걸려져 이 상판(30)이 들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스톱퍼(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30)에는 소정 길이 하향연장된 다수개의 지지대(35)가 구비되고, 각각의 지지대(35)는 복수개의 제2 힌지부(37)에 의해 상기 링크부재(20)의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톱퍼(40)은 제2 힌지부(37)가 제1 힌지부(23)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사점(A)을 지났을 때에 상기 링크부재(20)가 걸려지도록 프레임(10)에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KR2020010030918U 2001-10-10 2001-10-10 작업대 KR2002612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918U KR200261260Y1 (ko) 2001-10-10 2001-10-10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918U KR200261260Y1 (ko) 2001-10-10 2001-10-10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260Y1 true KR200261260Y1 (ko) 2002-01-19

Family

ID=73110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918U KR200261260Y1 (ko) 2001-10-10 2001-10-10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2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5655A (en) Colllapsible and adjustable support means for attachment to a building structure
EP1885531B1 (en) Folding work bench
US6607015B1 (en) Foldable worktable
CA2363380C (en) Collapsible table
US20130000525A1 (en) Wall-mounted folding table
KR20070013351A (ko) 빨래 건조대
US5022617A (en) Collapsible valet
KR200261260Y1 (ko) 작업대
US20120047650A1 (en) Bed that is Folded and Expanded Easily and Quickly
KR100518095B1 (ko) 건설현장용 슬라이딩 및 절첩식 이동 사다리
US7204193B2 (en) Holding apparatus, which can be placed on a table and is also mobile, for a work aid
JP4125305B2 (ja) 作業台
KR100468143B1 (ko) 작업대
JP3226801U (ja) 昇降式テーブル
KR200381414Y1 (ko) 접철식 이동작업대
US11649677B2 (en) Movable ladder
US20040211344A1 (en) Sofa table with adjustable height
KR102000905B1 (ko) 테이블 고정형 가방걸이구
JP2001314257A (ja) 転倒防止機構付ワゴンおよびその付属機器
US3342287A (en) Utility platform
KR200296015Y1 (ko) 접이식 테이블
KR101777081B1 (ko) 요통 예방 건조대
KR102083128B1 (ko)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
KR200313938Y1 (ko) 주방용 사다리
CN213484920U (zh) 一种折叠隐藏式伸缩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