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243Y1 - 장신구용 연결구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장신구용 연결구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243Y1
KR200261243Y1 KR2020010030100U KR20010030100U KR200261243Y1 KR 200261243 Y1 KR200261243 Y1 KR 200261243Y1 KR 2020010030100 U KR2020010030100 U KR 2020010030100U KR 20010030100 U KR20010030100 U KR 20010030100U KR 200261243 Y1 KR200261243 Y1 KR 2002612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connector
male connector
couple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장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장식
Priority to KR2020010030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2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2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243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신구용 연결구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숫연결구와 판스프링, 누름부를 서로 조립시 별도의 펀칭작업을 행하여야 하는데 상기의 펀칭작업은 숙련도를 요구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숫연결구(100)의 저판(110) 선단에는 양측으로 돌기 (120)를 형성하면서 그 상측으로 덮개편(130)을 절곡 형성하고, 선단과 후미가 소정각도로 절곡된 판스프링(200)의 선단 양쪽에는 상기 돌기(120)가 끼워지는 요홈 (220)을 형성하여 판스프링(200)의 일단이 결합되게 하며, 상기 판스프링(200)의 단턱부(210)사이에는 끼움공(230)을 형성하고,누름부(300)의 저면에는 상기 끼움공 (230)과 결합되는 돌출부(310)를 형성하되 그 저면으로 덮개편(320)을 일체로 절곡 형성하여 판스프링 (200)의 타단이 결합되게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숫연결구(100)와 판스프링(200)그리고 누름부(300)를 서로 조립시 종전처럼 별도의 펀칭작업을 행하지 않고서도 서로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하므로서 즉, 숙련도를 요하는 작업이 없어 그만큼 조립성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킨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장신구용 연결구의 조립구조{Construction structure for join device of accessary}
본 고안은 장신구용 연결구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히는 숫연결구와 누름부, 판스프링의 조립작업을 간편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 것은 물론 장기간동안 사용하더라도 체결부위가 견고하여 오랫동안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신구용 연결구의 조립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이나 혹은 소수의 남성들의 경우 장식적인 효과나 미려감을 연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러가지 모양의 반지나 목걸이, 팔찌, 발찌등의 장신구를 몸에 달고 다님은 널리 알려진 일이다
상기의 목걸이, 팔찌, 발찌등의 장신구는 적정길이를 갖는 끈형태로 제작되어 양 끝단을 상호 체결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양끝단에 나누어져 장착된 체결장치를 갖는다.
상기 체결장치는 도 1 내지 도2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숫연결구(10)와 암연결구(40)로 구성 되어지고, 상기 숫연결구(10)에는 누름부(30)와 판스프링(20)이 결합되는데 그 구성과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숫연결구(10)의 저판(11)선단은 소정각도를 유지하면서 양측으로 돌기(12)가 돌설되어 있으며, 판스프링(20)의 후미에는 단턱부(21)가 형성되고, 다수개의 돌기공(22a)(22b)이 형성되어 있고, 누름부(30)의 저면에는 상기 판스프링(20)의 돌기공(22a)에 끼워지는 돌기(32)가 돌출형성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서로 조립할 경우에는 먼저 누름부(30)와 판스프링(20)을 서로 접면시킨후 상기 누름부(30)저면에 형성된 돌기(32)를 판스프링(20)의 돌기공 (22a)속으로 끼워 약간 돌출되도록 한후 펀칭작업을 통해 돌출된 돌기(32)를 납작하게 눌러 돌기(32)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처럼 누름부(30)와 판스프링(20)이 서로 결합되도록한후 상기 판스프링 (20)을 숫연결구(10)의 저판(11)에 밀착시켜 상기 저판(11)에 돌설된 돌기(12)가 판스프링(20)의 선단에 형성된 돌기공(22b)속으로 들어가 돌출되도록 한후 이역시 펀칭작업을 통하여 돌기(12)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결합구조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누름부(30)에 형성된 돌기(32)와 숫연결구(10)의 저판(11)에 형성된 돌기(12)는 각각 돌기공(22a)(22b)에 끼워진후 이탈되지 않게하기 위하여 펀칭작업을 하여야 하는데 상기의 펀칭작업은 돌기(12)(32)를 타격하여 즉, 돌기(12)(32)가 납작하게 눌려져 돌기공(22a)(22b)주연을 덮어 돌기(12)(32)가 돌기공(22a)(22b)속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작업인 것이다.
그런데 상기의 펀칭작업은 한번에 정확히 돌기(12)(32)부위를 타격하여 작업을 마쳐야 만이 판스프링(20)에 손상이 가지 않는 것인데, 이러한 작업은 숙련도가 필요한 작업이기 때문에 그만큼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펀칭작업으로 돌기(12)(32)가 돌기공(22a)(22b)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였다 하더라도 장기간 동안 체결구를 사용하다 보면 돌기(12)(32)가 돌기공 (22a)(22b)속에서 이탈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이는 돌기(12)(32)가 돌기공(22a)(22b)바깥으로 약간만 튀어나온 상태에서 펀칭작업을 하기 때문에 즉, 펀칭작업으로 눌려진 돌기(12)(32)가 돌기공(22a)(22b)주연을 약간만 덮어버리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다보면 돌기(12)(32)가 돌기공(22a)(22b)속에서 쉽게 빠져버리는 것이다.
여기서 체결력을 강화시키기 위해서 돌기공(22a)(22b)바깥으로 돌기(12) (32)를 많이 튀어나오게 한후 펀칭작업을 할수도 있으나 이렇게 하면 눌려진 돌기(12)(32)가 돌기공(22a)(22b)주연을 너무 많이 덮어버려 미관상 보기가 좋지않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은 사용치 않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숫연결구에 누름부와 판스프링을 결합시 고도의 숙련도가 없이도 간편히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신구용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숫연결구의 저판 선단에는 양측으로 돌기를 형성하면서 그 상측으로 덮개편을 절곡 형성하고, 선단과 후미가 소정각도로 절곡된 판스프링의 선단 양쪽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요홈을 형성하여 판스프링의일단이 결합되게 하며, 상기 판스프링의 단턱부 사이에는 끼움공을 형성하고,누름부의 저면에는 상기 끼움공과 결합되는 돌출부를 형성하되 그 저면으로 덮개편을 일체로 절곡 형성하여 판스프링의 타단이 결합되게 구성함으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판스프링의 선단과 숫연결구의 저판을 결합하거나 판스프링의 후단과 누름부의 결합시 모두 펀칭작업 없이도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즉, 숙련도가 필요없어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므로서 그만큼 생산성을 증대시킬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연결구 구조를 보이기 위해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누름부와 판스프링 및 숫연결구의 저판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연결구 구조를 예시한 분리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서 누름부와 결합된 판스프링이 숫연결구의 저판과 체결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숫연결구와 암연결구가 서로 체결되기전 상태의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숫연결구와 암연결구가 서로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서 판스프링과 누름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연결구에 안전고리가 실시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숫연결구 110 : 저판
120, 430 : 돌기 130, 320 : 덮개판
140 : 안전고리 200 : 판스프링
210 : 단턱부 220 : 요홈
230 :끼움홈 300 : 누름부
310 : 돌출부 400 : 암연결구
410 : 삽입공 420 : 걸림턱
이하,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고안의 연결구 구조를 예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서 누름부와 결합된 판스프링이 숫연결구의 저판과 체결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의 숫연결구와 암연결구가 서로 체결되기전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의 숫연결구와 암연결구가 서로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7 은 본 고안에서 판스프링과 누름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숫연결구(100)의 누름부(300)로 동작하는 판스프링(200)을 암연결구(400)의 삽입공(410)으로 끼우면 판스프링(200)의 양쪽 단턱부(210)가 암연결구(400)의 삽입공(410)내 상면 걸림턱(420)에 걸려서 괘정되는 장신구용 연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숫연결구(100)의 저판(110) 선단에는 양측으로 돌기(120)를 형성하면서 그 상측으로 덮개편(130)을 절곡 형성하고, 선단과 후미가 소정각도로 절곡된 판스프링(200)의 선단 양쪽에는 상기 돌기(120)가 끼워지는 요홈(220)을 형성하여 판스프링(200)의 일단이 결합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200)의 단턱부(210)사이에는 끼움공(230)을 형성하고,누름부 (300)의 저면에는 상기 끼움공(230)과 결합되는 돌출부(310)를 형성하되 그 저면으로 덮개편(320)을 일체로 절곡 형성하여 판스프링(200)의 타단이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숫연결구(100)와 결합된 판스프링(200)을 암연결구(400)의 삽입공(410)으로 끼워 판스프링(200)에 형성된 단턱부(210)가 암연결구 (400)의 삽입공(410)내 상면 걸림턱(420)에 걸려서 괘정되고, 이후 누름부(300)를 누르면 판스프링(200)이 눌려지면서 상기 단턱부(210)가 걸림턱(420)에서 이탈됨에 따라 해정되도록 하는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판스프링(200)과 누름부(300)그리고 숫연결구(100)의 조립구조를 간편하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 것으로서 도3내지 도7을 통하여 조립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누름부(300)의 저면에 형성된 돌출부 (310)와 상기 돌출부(310)의 저면에 형성된 덮개편(320) 사이로 판스프링(200)의후단이 끼워지도록 하면 상기 돌출부(310)는 도4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판스프링 (200)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홈(230)속으로 들어가 걸리게 된다.
이후 약간 벌어져 있는 덮개편(320)을 눌러 판스프링(200)의 후면에 완전히 밀착시키면 인위적으로도 빼내기 힘들 정도로 판스프링(200)이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이다.
이처럼 판스프링(200)의 후단에 누름부(300)를 조립하고 난후에는 판스프링 (200)을 숫연결구(100)의 저판(110)과 결합되도록 하는데 상기 판스프링(200)의 선단 양측에는 요홈(220)이 형성되고, 숫연결구(100)의 저판(110)선단에는 돌기(1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120)는 덮개판(130)하부방향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판스프링(200)의 요홈(220)에 상기 돌기(120)가 끼워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판스프링(200)의 선단을 덮개판(130)밑면으로 들어가도록 하여야 만이 돌기(120)가 판스프링(200)의 요홈(220)속에 끼워지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돌기(120)를 판스프링(200)의 요홈(220)속으로 끼워지도록 한후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덮개편(130)을 눌러 판스프링(200)에 완전히 밀착시켜 즉, 덮개편(130)으로 판스프링(200)을 압압하면 판스프링(200)과 숫연결구(100)의 저판(110)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누름부(300)의 돌출부(310)가 판스프링(200)의 끼움홈(230)속에 들어가도록 하여 판스프링(200)의 후단을 누름부(300)에 고정시키고, 판스프링(200)의 선단에 형성된 요홈(220)에는 숫연결구(100)의 저판(110)에 돌출된 돌기(120)가 끼워지도록 한 후 각각 덮개편(130)(320)을 눌러 판스프링(200)에 밀착되도록 하면종래의 펀칭작업을 통하여 누름부(30)와 판스프링(20), 판스프링(20)과 숫연결구 (10)를 서로 조립하던 것에 비하여 조립성이 훨씬 간편하여 그만큼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숫연결구(100)의 일표면에는 회전가능한 안전고리(140)를 설치하고, 암연결구(400)의 표면에는 상기 안전고리(140)가 끼워져 걸리는 돌기(430)를 형성하여 숫연결구(100)와 암연결구(400)의 체결력을 한층더 강화시킨 것이다.
즉, 숫연결구(100)와 암연결구(400)가 서로 결합되면 판스프링(200)의 양쪽 단턱부(210)가 암연결구(400)의 삽입공(410)내 상면 걸림턱 (420)에 걸리도록 하여 1차적으로 체결토록 한 것이고, 2 차적으로는 상기 숫연결구(100)에 설치된 안전고리(140)가 암연결구(400)의 돌기(430)에 걸리도록 하므로서 숫연결구(100)와 암연결구(400)는 인위적으로 고정장치를 풀어주기 전에는 절대로 서로 분리되지 않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누름부와 판스프링 그리고 숫연결구의 몸체를 서로 조립시 별도의 펀칭작업을 행하지 않고서도 서로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하므로서 즉, 숙련도를 요하는 작업이 없어 조립성을 향상시킬수 있으므로서 그만큼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숫연결구(100)의 누름부(300)로 동작하는 판스프링(200)을 암연결구(400)의 삽입공(410)으로 끼우면 판스프링(200)의 양쪽 단턱부(210)가 암연결구(400)의 삽입공(410)내 상면 걸림턱(420)에 걸려서 괘정되는 장신구용 연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숫연결구(100)의 저판(110) 선단에는 양측으로 돌기(120)를 형성하면서 그 상측으로 덮개편(130)을 절곡 형성하고, 선단과 후미가 소정각도로 절곡된 판스프링(200)의 선단 양쪽에는 상기 돌기(120)가 끼워지는 요홈(220)을 형성하여 판스프링(200)의 일단이 결합되게 하며, 상기 판스프링(200)의 단턱부(210)사이에는 끼움공(230)을 형성하고,누름부(300)의 저면에는 상기 끼움공(230)과 결합되는 돌출부(310)를 형성하되 그 저면으로 덮개편(320)을 일체로 절곡 형성하여 판스프링 (200)의 타단이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구의 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숫연결구(100)의 일표면에는 안전고리(14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암연결구(400)의 일표면에는 상기 안전고리(140)가 끼워져 걸리는 돌기(430)를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구의 조립구조
KR2020010030100U 2001-09-29 2001-09-29 장신구용 연결구의 조립구조 KR2002612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100U KR200261243Y1 (ko) 2001-09-29 2001-09-29 장신구용 연결구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100U KR200261243Y1 (ko) 2001-09-29 2001-09-29 장신구용 연결구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243Y1 true KR200261243Y1 (ko) 2002-01-19

Family

ID=73069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100U KR200261243Y1 (ko) 2001-09-29 2001-09-29 장신구용 연결구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2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3637B1 (en) Movable buckle structure
US4605312A (en) Watchband/watchcase connection
US6212869B1 (en) Jewelry link assembly
KR200261243Y1 (ko) 장신구용 연결구의 조립구조
US4566155A (en) Separable spring-latched cufflink with transversally pressable release lever
US4361936A (en) Decorative cufflink
KR20090001831U (ko) 장신구의 체인 연결구
KR200497427Y1 (ko) 귀걸이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귀걸이
KR20100008650A (ko) 장신구의 고정장치
KR200275820Y1 (ko) 장신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US3933009A (en) Earring having pivoted one-piece earwire with means for limiting lateral shift
KR200272173Y1 (ko) 미닫이 문용 손잡이
US5657515A (en) End connector
US4987655A (en) End connector for expansible watch band
KR200199803Y1 (ko) 손목시계 밴드용 3중 버클
KR200210901Y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JPS60157509A (ja) ピストン及び連接棒組立体用ヨ−クスラストベアリング及びその組立方法
KR200260666Y1 (ko) 귀걸이 체결구조
CN216534128U (zh) 具有隐藏式锁扣结构的首饰
CN218635465U (zh) 一种手镯
JPH0727853Y2 (ja) 時計バンド駒調整機能付き連結構造
KR200153397Y1 (ko) 팔찌
KR200210233Y1 (ko) 액세서리의 고리 구조
MXPA01011595A (es) Hebilla para cinturon.
KR102617781B1 (ko)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