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655Y1 -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 - Google Patents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655Y1
KR200260655Y1 KR2020010028416U KR20010028416U KR200260655Y1 KR 200260655 Y1 KR200260655 Y1 KR 200260655Y1 KR 2020010028416 U KR2020010028416 U KR 2020010028416U KR 20010028416 U KR20010028416 U KR 20010028416U KR 200260655 Y1 KR200260655 Y1 KR 2002606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earring
clutch
shaped
decorat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키골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키골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키골드
Priority to KR20200100284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6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6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655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핀형귀걸이 클러치가 실리콘에 내설된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로서, 보다 자세히는 일반적으로 중앙부의 천공구멍과 귀걸이핀을 가이드 홈으로 유도하는 양날개를 가진 핀형 귀걸이의 클러치를 일정한 형상의 실리콘재질속에 내설시킨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에 관한 것으로, 중앙부의 천공구멍과 뒷장식핀을 탠션을 이용하여 홀딩시키는 양날개를 가진 핀형귀걸이의 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를 중앙부에 위치시키고, 천공된 장공을 가지며 외피하단부에 돌출된 테두리를 가지는 실리콘재질의 금형으로 구성된 것과 상기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의 외피하단부에서 테두리가 저면과 공간여유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Backside decorating element for a pintype earring}
본 고안은 귀걸이 클러치가 실리콘에 내설된 귀걸이 뒷장식부재로서, 보다 자세히는 일반적으로 중앙부의 천공구멍과 귀걸이핀을 가이드 홈으로 유도하는 양날개를 가진 핀형귀걸이의 클러치를 일정한 형상의 실리콘재질속에 내설시킨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일반적으로 해당업계에서는 '클러치'라 함)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중앙부의 천공구멍(24)과 탠션을 이용하여 가이드 홈(23)으로 유도하는 양날개(21)를 가진 클러치(2)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양날개(21)를 가진 클러치(2)는 사용기간이 길어질수록 천공구멍(24)이 마모되어 헐거워지고 또한 양날개(21)의 탠션이 약화되어 스프링효과가 감소하여 귀걸이를 교체를 하여야 했으며, 크기가 너무나 작아 분실하거나 손으로 집어서 끼워서 사용하기엔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고가의 보석(31)을 사용하는 핀형귀걸이의 특성상 뒷장식부재가 없는 상태이거나 다른 대체용으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귀에 착용된 핀형귀걸이가 빠져서 분실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양날개(21)를 가진 클러치는 고가의 재료를 처리하는데 있어 재료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두께를 필요로 하는 재료의 한계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됨에 따라 마모로 인한 천공구멍의 헐거워짐과 양날개의 스프링효과의 저하와 귀의손상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탠션의 저하와 재료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두께를 필요로 하는 재료의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는 핀형귀걸이의 뒷장식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클러치는 작은 크기로 인하여 쉽게 분실하는 크기면이나 집을 수 있는 구조면에서 분실을 방지하는 핀형귀걸이 장식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예는 중앙부의 천공구멍과 귀걸이핀을 가이드 홈으로 유도하는 양날개를 가진 핀형귀걸이의 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를 중앙부에 위치시키고, 천공된 장공을 가지며 외피하단부에 돌출된 테두리를 가지는 실리콘재질의 금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의 외피하단부에서 테두리가 저면과 공간여유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클러치(뒷장식부재)와 핀형귀걸이를 조립한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와 핀형귀걸이를 조립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작공정 단면도이다.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 2 : 클러치
11 : 테두리면 12 : 장공
13 : 공간여유부 21 : 양날개
22 : 저면 23 : 가이드 홈
24 : 천공구멍 31 : 보석
32 : 귀걸이핀
도 2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1)는 중앙부의 천공된 장공(12)과 귀걸이핀(32)을 가이드 홈(23)으로 유도하는 양날개(21)를 가진 종래의 핀형귀걸이의 클러치(2)를 중앙부에 위치시키고, 천공된 장공(12)을 가지며 외피하단부에 돌출된 테두리(11)를 가지는 실리콘재질의 금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는 외피하단부의 테두리(11)가 저면과 여유공간부(13)를 이룬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1)는 다음과 같이 작용하며 제작되어진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2) 두께를 종래의 귀걸이 클러치(2)보다 얇게 제작하여, 중앙부에 금형용 귀걸이핀(32')이 설치되고 일정형상을 이루는 실리콘금형(41, 42)의 중앙부에 위치시키고, 실리콘을 주입하여 열프레스로 실리콘고무형을 덧씌운다.
상기와 같은 제작공정에 의해 제작되어진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1)는 귀걸이핀(32)이 하단부에 천공된 장공(12)을 통과할 때 내설된 클러치 양날개(21)의 탠션과 실리콘의 일정형상 복원력으로 인하여 귀걸이핀(32)을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1)의 상단부의 장공(12)으로 유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클러치(2)의 일정두께가 마모로 인하여 헐거워지고 양날개(21)의 탠션이 저하되어 스프링효과가 감소되는 것을 실리콘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종래의 클러치(2)를 견고히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실리콘의 복원력에 의하여 종래의 클러치(2)보다 더욱 얇아진 클러치(2)를 제작하고 실리콘으로 외피를 둘러싸게 하여 클러치(2)의 형상을 고스란히 유지한 채 고가 재료의 원가를 절감하는 잇점을 창출하고, 종래의 클러치(2)로 인한 귀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1)는 외피하단부의 테두리(11)가 저면(22)과 공간여유부(13)를 이룬 것은 사용자가 귀걸이를 착용할 때 쉽게 집거나 빼어낼 수 있도록 저면(22)과 유격을 이루면서 공간여유부(13)를 가지게 하고, 사용자가 손쉽게 착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주며, 떨어드렸을 경우 테두리(11)가 실리콘으로 재질로 돌출되어 있어 튀는 현상이 급격히 감소하여 쉽게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 더불어 종래의 클러치(2)는 작은 크기로 인하여 쉽게 분실하여 고가의 귀걸이를 교체를 하거나 다른 귀걸이의 클러치(2)를 임시방편용으로 대체하여 사용하여 왔으나 고가의 보석(31)을 사용하는 핀형귀걸이의 특성상 뒷장식부재가 없는 상태이거나 다른 대체용으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귀에 착용된 핀형귀걸이가 빠져서 분실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 뒷장식부재(1)는 종래의 클러치(2)보다 크기면이나 집을 수 있는 구조면에서 사용편리성이 월등하게 높아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는 종래의 클러치가 가지는 고가의 재료비 및 안정성, 분실의 위험을 대폭 감소시킨 것이며, 특히 핀형귀걸이핀의 날카로운 부분이 실리콘의 부드러운 재질로 인하여 귀에 손상을 주는 위험이 대폭 감소하엿고, 또한 종래의 클러치가 사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탠션이 약화되어 스프링효과가 감소하는 것을 외피로 둘러싸고 있는 실리콘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반영구적으로 클러치의 탠션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고가의 원자재를 쓸 경우 일정두께를 이루어야만 형상이 가능한 클러치를 실리콘이 외피로 둘러싸고 있어 클러치의 두께 및 중량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원가절감이라는 효과를 볼수 있다.
또한,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가 테두리를 가지게 하여 분실의 위험과 착용시의 사용자가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가 금속으로 주종을 이루고 있어 형태의 변환과 색상의 변환이 용이하지 못하던 것을 본 고안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는 실리콘의 금형의 형태변환과 색상변환을 통해 다양한 연출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위의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분야에 기술을 가진 자라면,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외에도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벗어남 없이 본 고안에 따른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를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중앙부의 천공구멍(24)과 귀걸이핀(32)을 가이드 홈(23)으로 유도하는 양날개(21)를 가진 핀형귀걸이의 클러치(2)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2)를 중앙부에 위치시키고, 천공된 장공(12)을 가지며 외피하단부에 돌출된 테두리(11)를 가지는 실리콘재질의 금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 뒷장식부재(1)의 외피하단부에서 테두리(11)가 저면(22)과 공간여유부(1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
KR2020010028416U 2001-09-14 2001-09-14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 KR2002606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416U KR200260655Y1 (ko) 2001-09-14 2001-09-14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416U KR200260655Y1 (ko) 2001-09-14 2001-09-14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655Y1 true KR200260655Y1 (ko) 2002-01-15

Family

ID=73082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416U KR200260655Y1 (ko) 2001-09-14 2001-09-14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65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738B1 (ko) * 2007-06-18 2009-03-16 장환석 삽착완충부를 구비한 귀걸이 고정구
KR101632999B1 (ko) 2016-01-28 2016-06-23 양성호 귀걸이 뒷장식 부재
KR101760646B1 (ko) * 2017-02-28 2017-07-24 최상길 제조원가 절감과 보조 장식구의 고정 결합성이 개선된 귀걸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738B1 (ko) * 2007-06-18 2009-03-16 장환석 삽착완충부를 구비한 귀걸이 고정구
KR101632999B1 (ko) 2016-01-28 2016-06-23 양성호 귀걸이 뒷장식 부재
KR101760646B1 (ko) * 2017-02-28 2017-07-24 최상길 제조원가 절감과 보조 장식구의 고정 결합성이 개선된 귀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4227Y1 (ko)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
KR200260655Y1 (ko)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
CN102578768B (zh) 嵌钻结构及嵌钻方法以及嵌钻眼镜
JPH0646712A (ja) 模様入り真珠の製造方法
KR100478220B1 (ko)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
KR200497427Y1 (ko) 귀걸이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귀걸이
KR200331806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KR20160001492A (ko) 귀걸이 뒷장식부재
CN205378943U (zh) 一种变形戒指
KR200280016Y1 (ko) 장식체 교체형 반지
KR102178793B1 (ko) 순금 장식연결구
CN220088759U (zh) 一种新型手镯
KR200494237Y1 (ko) 탄성이 있는 장신구
KR200326415Y1 (ko) 귀고리
CN209498826U (zh) 首饰
KR200327007Y1 (ko) 귀찌용 클립식 장식
KR200436514Y1 (ko) 귀걸이구의 귀걸이 장신구 결합구조.
KR200351597Y1 (ko) 장신구연결체
KR200487902Y1 (ko) 인체에 유용한 광물을 갖는 이어링
KR20110007460U (ko) 귀걸이 뒷장식부재
KR200320214Y1 (ko) 장신구용 지지 구조
KR200282245Y1 (ko) 귓볼을 올려주는 귀걸이
JP3671395B2 (ja) 装身具
KR100338387B1 (ko) 단추를 이용한 장신구 및 그 이용방법
KR200215578Y1 (ko) 구슬을 이용한 악세서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521

Effective date: 200306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