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354Y1 - 전동공구용 트리거 스위치 - Google Patents

전동공구용 트리거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354Y1
KR200260354Y1 KR2019970024289U KR19970024289U KR200260354Y1 KR 200260354 Y1 KR200260354 Y1 KR 200260354Y1 KR 2019970024289 U KR2019970024289 U KR 2019970024289U KR 19970024289 U KR19970024289 U KR 19970024289U KR 200260354 Y1 KR200260354 Y1 KR 2002603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 switch
wire
terminal block
elastic piec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42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0957U (ko
Inventor
김인기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700242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354Y1/ko
Publication of KR199900109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9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3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3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3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flexing of blade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공구에 설치되어 전원을 온, 오프시키는 역할을 하는 트리거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 몸체 내부에 공통단자를 일체형으로 설치하고 상기 공통단자에 전선을 끼워 연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선의 연결작업이 간단하고 용이해 지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스위치 몸체(1)의 일측에 단자대(5)를 고정하고 상기 단자대(5)의 양측에는 탄성편(6)을 고정하여 단자대와 탄성편의 상단 사이에 전선을 끼워 연결할 수 있게 한 전동공구용 트리거 스위치이다.

Description

전동공구용 트리거 스위치
본 고안은 전동공구(절단기, 해머, 드릴등)에 설치되어 전원을 온, 오프시키는 역할을 하는 트리거 스위치(Trigger Switch)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동공구의 조립시 내부 배선의 작업공수와 소요부품수를 줄이기 위해 스위치 자체에 공통단자를 추가한 트리거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온 트리거 스위치는 도 1과 같이 스위치 몸체(1)내부에 2개의 단자(3)(4)가 설치되어 버튼(2)의 누름 위치에 따라 상기 2개의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단락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트리거 스위치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전원코드(7)의 두가닥 전선중 하나의 전선(8)과 모터(10)의 두가닥 전선중 하나의 전선(11)을 각각 몸체(1)내에 설치된 단자(3)(4)에 연결하고 상기 전원코드(7)의 다른 하나의 전선(9)과 모터(10)의 다른 하나의 전선(12)은 콘넥터나 터미널 블록과 같은 별도의 접속기구(13)에 의해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치를 온시키면 전원이 모터에 공급되고 오프시키면 모터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트리거 스위치는 전선중 한가닥은 스위치내의 단자에 의해 연결되고 다른 한가닥은 콘넥터나 터미널 블록과 같은 접속기구(13)에 의해 연결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전동공구 내에서의 전선 연결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전선 연결을 위한 별도의 전기부품이 소요되어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트리거 스위치 내부에 전선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공통단자를 부설하여 전선의 연결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라 몸체내부에 2개의 단자가 설치된 트리거 스위치에 단자대를 설치하고 상기 단자대의 일측에 전선을 단자대측으로 밀착시키는 탄성편을 설치하여서된 전동공구용 트리거 스위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트리거 스위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 트리거 스위치의 회로도
도 3은 본 고안의 트리거 스위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 트리거 스위치에 의해 전선이 공통단자에 연결된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 트리거 스위치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위치 몸체 3, 4: 단자
5 : 단자대 6 : 탄성편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동공구용 트리거 스위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5는 전선이 공통단자에 연결된 상태도이다.
스위치 몸체(1)에 버튼(2)이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는 2개의 단자(3)(4)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 몸체(1)내의 하부에는 길이가 긴 단자대(5)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단자대(5)의 양측 하방에는 판스프링 재질의 탄성편(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편(6)은 그 상단부가 몸체(1)의 중심부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며, 탄성편(6)의 상단 끝부분은 상기 단자대(5)와 소정의 틈새를 유지한 상태로 떨어져 있다.
따라서 전선의 연결작업시 전원코드(7)와 모터(10)의 일측 전선(8)(11)을 스위치 몸체(1)내에 설치된 단자(3)(4)에 각각 연결하고, 전원코드(7)와 모터(10)의 다른 일측 전선(9)(12)들을 단자대(5)와 탄성편(6)사이 틈새로 끼워 주기만 하면 전선의 연결 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단자대(5)에 연결된 전선(9)(12)은 판스프링 재질로된 탄성편(6)의 강한 탄성력을 받아 단자대(5)에 밀착 고정되며, 탄성편(6)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의 삽입은 용이한반면 일단 삽입된 후에는 전선이 쉽게 빠져 나오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트리거 스위치는 스위치 몸체내에 단자대와 탄성편으로 이루어진 공통단자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전선을 단자대와 탄성편 사이의 틈새로 끼워주기만 하면 전선의 연결이 완료되므로 별도의 콘넥터나 터미널 블록을 사용하여야 하는 종래의 트리거 스위치에 비해 전선의 연결작업이 간단하고 용이해지며, 원가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스위치 몸체(1)의 일측에 버튼(2)을 설치하고 내부에 2개의 단자(3)(4)를 설치한 트리거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일측에 단자대(5)를 고정하고 상기 단자대(5)의 양측에는 탄성편(6)을 고정하여 단자대와 탄성편의 상단 사이에 틈새에 전선이 삽입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용 트리거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이 판스프링 재질로된 전동공구용 트리거 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그 상단부가 몸체의 중심을 향해 기울어지게 설치된 전동공구용 트리거 스위치.
KR2019970024289U 1997-08-30 1997-08-30 전동공구용 트리거 스위치 KR2002603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289U KR200260354Y1 (ko) 1997-08-30 1997-08-30 전동공구용 트리거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289U KR200260354Y1 (ko) 1997-08-30 1997-08-30 전동공구용 트리거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957U KR19990010957U (ko) 1999-03-25
KR200260354Y1 true KR200260354Y1 (ko) 2002-02-19

Family

ID=53898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4289U KR200260354Y1 (ko) 1997-08-30 1997-08-30 전동공구용 트리거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35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460B1 (ko) * 2007-10-31 2009-09-28 진흥전기 주식회사 누전배선차단기의 리드선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957U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5097B1 (en) Method for assembling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a power tool
JPH06310227A (ja) コネクタ装置
EP1709723A1 (en) Integrated brush-holder retention system
ATE163809T1 (de) Fassung für elektrische betriebsmittel
CN102412072A (zh) 用于手持电动工具的开关的直角引脚端子
DE58905802D1 (de) Elektrische Schutzkontaktsteckdose.
US4992765A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KR200260354Y1 (ko) 전동공구용 트리거 스위치
JPH07226249A (ja) コネクタ装置
EP0060065B1 (en) Improved switch for portable electric tools
EP0740398B1 (en) Multi-pole DC electric motor
US6094357A (en) Product having a rechargeable battery which is held in a mechanically stable manner and is easy to remove
JPH07296879A (ja) 電気コネクタ
EP1020954A3 (de) Elektrische Anschlussklemme
US4469924A (en) Portable electric power tools
JPH0660863A (ja) 電池ケース
EP1014493A3 (de) Elektrische Verbindereinheit und Steckverbinder hieraus
KR200239200Y1 (ko) 보호커버를 구비한 스위치 유니트
KR100379688B1 (ko) 전자접촉기의 조작전원 연결장치
CN112701014A (zh) 一种夹头装置及插入式断路器
KR200219321Y1 (ko) 단락스위치가 부설된 멀티콘센트의 단자연결구조
JP2647981B2 (ja) 配線用差込接続器
CA2423040A1 (en) Socket for a charging device
JPH0555420U (ja) 電気機器の端子構造
JPH10283897A (ja) ヒューズフリー遮断器用電源クリ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