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001Y1 - 악취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악취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001Y1
KR200260001Y1 KR2019990001024U KR19990001024U KR200260001Y1 KR 200260001 Y1 KR200260001 Y1 KR 200260001Y1 KR 2019990001024 U KR2019990001024 U KR 2019990001024U KR 19990001024 U KR19990001024 U KR 19990001024U KR 200260001 Y1 KR200260001 Y1 KR 2002600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odor
anion
anion generator
generating pl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0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1893U (ko
Inventor
조효석
Original Assignee
김석택
조효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택, 조효석 filed Critical 김석택
Priority to KR20199900010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001Y1/ko
Publication of KR199900218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8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0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001Y1/ko

L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존과 음이온을 이용하는 것이 특징인 바 종래의 악취제거방법에 비해 작용이 탁월한 장점을 가진다. 이는 악취발생장소에 오존 및 음이온을 분사시키기 위한 노즐이 각기 조립되어 있는 다수의 송풍배관과; 상기 송풍배관이 연결되며 오존측정자동제어장치가 내장되어 적정량의 오존 및 음이온을 악취발생장소로 공급시켜 주기 위한 오존 및 음이온 발생기와; 상기 오존 및 음이온 발생기에 연결되어 악취발생장소의 오존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오존감지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악취제거장치{STINK REMOVAL DEVICE}
본 고안은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존과 음이온을 이용하며 악취가 발생되는 밀폐된 공간이나 반 밀폐된 시설물 등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악취제거 방법에 비해 과학적이고 정확하며 악취제거 속도가 빠르고 인체에 무해한 등의 장점을 가진다. 다시 말해서, 본 고안은 어떤 특정한 악취가 아닌 복합적인 악취를 제거할 수 있으며 밀폐된 공간이나 반 밀폐된 시설물 등에 사용하기에 편리한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안출 목적이다.
한편, 화학공장 및 각종 산업시설, 폐기물 처리장, 하수처리장,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 유기질비료 발효시설, 화장실, 농축산물 처리장, 병원, 축사, 기타 생활시설에서 각종 악취가 발생되고 있는데 이러한 악취에는 여러 가지의 개스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환기(a)를 시키거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약품을 살포(b) 시키거나 방향족 물질을 분사하여 중화(c)시키는 방법과 함께, 활성탄이나 지르코늄 등의 흡착필터를 통해 흡착 제거시키는 방법(d)과 세정 스크레버에 의한 세정수를 통해 녹여서 저감시키는 방법 및 바이오 필터와 촉매 물질에 접촉시켜 제거시키는 방법(e)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a)(c)의 방법은 주변에 또 다른 악취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고, (b)(d)의 방법은 악취의 제거 기능은 비교적 양호하나 흡착 수단을 자주 교체하거나 약제 살포를 계속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불편하고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e)의 방법은 악취제거의 효과는 양호하지만 고가의 장치를 사용하여야 하고 사용상 고도의 기술이 수반되어야 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경제성을 띠면서 악취제거효과가 양호한 악취제거장치를 제공코저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밀폐된 공간이나 반 밀폐된 시설물 등에 사용하기에 편리한 악취제거장치를 제공코저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악취발생장소에 오존 및 음이온을 분사시키기 위한 노즐이 각기 조립되어 있는 다수의 송풍배관과; 상기 송풍배관이 연결되며 오존측정자동제어장치가 내장되어 적정량의 오존 및 음이온을 악취발생장소로 공급시켜 주기 위한 오존 및 음이온 발생기와; 상기 오존 및 음이온 발생기에 연결되어 악취발생장소의 오존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오존감지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오존 및 음이온발생기 2,2a:송풍배관
3:노즐 4:오존감지센서
5:전선 100:시설물
200:악취발생물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지구상에서 발생되는 악취나 유해 개스는 대기의 자정능력에 의해 산화와 환원이 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산화성기체(O1,O2,O3)에 의한 것임이 밝혀져 있고 그 중에서 가장 불안정하고 반응성이 강한 오존(O3)의 작용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음이온은 악취를 제거시키는데 효과가 있어 공기청정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본 고안은 악취가 발생되고 있는 밀폐된 공간이나 반 밀폐된 시설물의 내부에 오존을 공급하여 악취와 오존이 상호 혼합 및 접촉되어 산화되도록 하는 장치인 바, 상기 악취발생장소에는 필연적으로 오존이 존재하게 된다.
오존은 대기 중에서 농도가 높으면 동식물에 해를 끼치고 농도가 낮으면 악취제거 기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오존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오존의 농도를 항상 측정하여오존 및 음이온 발생기(1)를 자동으로 제어, 과잉 오존 농도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오존 및 음이온 발생기(1) 내부에는 통상의 오존측정자동제어장치가 내장되어 있는데, 이는 오존감지센서(4)를 통해 감지된 오존의 농도를 분석하여 오존 및 음이온 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여 오존의 적당한 투입량 및 정지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도면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를 근거로 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먼저 본 고안의 오존 및 음이온발생기(1)를 악취가 발생되는 시설물(100)과 가까운 곳에 안착시킨 후, 오존 및 음이온발생기(1)로부터 전선(5)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오존감지센서(4)를 상기 시설물(100)의 안쪽에 고정시킨다. 다음, 송풍배관(2, 2a)을 상기 시설물(100)의 천정에 설치하고 노즐(3, 3a) 부분이 시설물의 공간부 안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노즐은 하방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오존 및 음이온발생기에 전원을 인가시킴에 따라 시설물(100)의 내부에는 오존과 음이온이 다량 분사되도록 하여 악취가 산화되어 분해되도록 한다.이어서 오존감지센서(4)는 시설물(100) 안의 오존 농도를 감지하여 오존 및 음이온 발생기(1) 내부에 장치되어 있는 상기의 오존측정자동제어장치로 신호를 인가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오존의 농도를 유지하도록 한다.[실시예 1]암모니아 농도가 50ppm이 유지되고 있는 밀폐시설 내부에 2∼3ppm의 농도를 가지는 오존을 분사시킬 경우 분사 노즐의 반경 1미터 이내에서의 오존 농도는 0.5∼2ppm이 되고, 반경 1∼2미터 내에서는 0.5∼0.05ppm이 되며 반경 2∼3미터 내에서는 인체에 유해하지 않는 농도인 0.1ppm이하의 농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암모니아 개스는 거의 산화되어 소멸됨을 알 수 있었다.[실시예 2]아민, 암모니아, 유화수소가 발생되는 주조공장의 천장(지상고 3∼4미터)에 상기의 노즐을 설치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농도의 오존을 분사시킨 결과 실시예 1과 거의 같은 결과를 얻었다.상기의 실험에 있어서 음이온을 오존과 함께 투입시킨 결과 악취의 제거 기능이 더욱 양호하였으나 반드시 음이온을 투입하지 않고 오존만 투입시켜도 실시예와 거의 차이가 없는 결과가 얻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본 고안은, 오존과 음이온을 이용하여 각종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특히, 생활주변에서 복합적으로 발생되는 통상적인 악취를 제거시키는데 유용한 특징이 있음은 물론, 밀폐된 공간이나 반 밀폐된 시설물에 적용하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악취발생장소에 오존 및 음이온을 분사시키기 위한 노즐이 각기 조립되어 있는 다수의 송풍배관과; 상기 송풍배관이 연결되며 오존측정자동제어장치가 내장되어 적정량의 오존 및 음이온을 악취발생장소로 공급시켜 주기 위한 오존 및 음이온 발생기와; 상기 오존 및 음이온 발생기에 연결되어 악취발생장소의 오존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오존감지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장치.
KR2019990001024U 1999-01-23 1999-01-23 악취제거장치 KR2002600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024U KR200260001Y1 (ko) 1999-01-23 1999-01-23 악취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024U KR200260001Y1 (ko) 1999-01-23 1999-01-23 악취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893U KR19990021893U (ko) 1999-06-25
KR200260001Y1 true KR200260001Y1 (ko) 2002-01-10

Family

ID=54755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024U KR200260001Y1 (ko) 1999-01-23 1999-01-23 악취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0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420Y1 (ko) 2011-05-04 2011-07-04 국립공원관리공단 옥외용 화장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539B1 (ko) * 1999-11-06 2002-12-06 주식회사 석천환경 오존발생장치를 이용한 축사의 냄새제거방법
KR20030017936A (ko) * 2001-08-25 2003-03-04 오즈바이오(주) 이온을 함유한 오존수 제조순환장치
KR100769242B1 (ko) * 2007-05-08 2007-10-22 비오티스아시아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집하시설의 살균탈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420Y1 (ko) 2011-05-04 2011-07-04 국립공원관리공단 옥외용 화장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893U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84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nitrogen oxides using an ozone and catalyst hybrid system
KR200468971Y1 (ko) 복합형 가축분뇨 악취가스 제거장치
Holub et al. Plasma supported odour removal from waste air in water treatment plants: An industrial case study
KR100967343B1 (ko) 하수관거 탈취장치
KR101243849B1 (ko) 고농도 악취가스 탈취방법과 탈취장치
KR200434060Y1 (ko) 오존(수), 플라즈마, 촉매를 이용한 고효율 악취제거장치및 그 방법
KR100542085B1 (ko) 오존과 유해가스 분해촉매제가 포함된 세정액을 이용한 습식공기정화장치
US20170283287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oxidative treatment of liquid, gaseous, and/or solid phase
KR20080057808A (ko) 생화학 악취가스처리부를 갖는 악취가스처리장치
JP2008036513A (ja) ガス処理ユニットおよびガス処理システム
KR200260001Y1 (ko) 악취제거장치
CN101543728A (zh) 一种TiO2光解净化处理装置及方法
KR20200002508A (ko)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 제거 장치
KR20120021828A (ko) 광산화 공정을 이용한 축산분뇨 악취 제거장치 및 방법
CN212039809U (zh) 餐厨垃圾废气除臭装置
KR101450603B1 (ko) 오존수를 이용한 암모니아 가스 저감장치
CA2417346C (en) Odor control through air-facilitated injection of hydroxyl radicals
KR102351135B1 (ko) 오염 가스 처리 장치
JPS6348567B2 (ko)
KR102584115B1 (ko) 오염 가스 처리 장치
KR100766272B1 (ko) Uv(또는 가시광선)/광촉매산화, 혼합조 및 바이오필터로 조합된 하이브리드시스템 공정
KR101383917B1 (ko) 나무 칩을 이용한 탈취 시스템
CN102728220A (zh) 超重场光催化氧化恶臭气体净化处理设备
JP2007136252A (ja) 臭気ガスの脱臭方法及び装置
CN201537460U (zh) 一种TiO2光解净化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EXPY Expiration of term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