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420Y1 - 옥외용 화장실 - Google Patents

옥외용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420Y1
KR200454420Y1 KR2020110003831U KR20110003831U KR200454420Y1 KR 200454420 Y1 KR200454420 Y1 KR 200454420Y1 KR 2020110003831 U KR2020110003831 U KR 2020110003831U KR 20110003831 U KR20110003831 U KR 20110003831U KR 200454420 Y1 KR200454420 Y1 KR 200454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tank
dirt
booth
wast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8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원
이호
심규원
Original Assignee
국립공원관리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공원관리공단 filed Critical 국립공원관리공단
Priority to KR20201100038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4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4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5/00Sanitation
    • B61D35/005Toilet facilities
    • B61D35/007Toilet facilities comprising toilet waste receiving, treatment, storage, disposal or removal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02Sludge treatment using liquids immiscible with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옥외용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옥외용 화장실은, 사용자가 용변을 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용변통이 마련되어 있는 부스; 상기 부스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용변이 일시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용변통과 소통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 내에 오수펌프가 배치되는 오물탱크; 상기 오물탱크 내의 용변의 고형화를 억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오물탱크를 히팅시키는 히터; 상기 오물탱크 내의 암모니아 지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부스와 오물탱크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암모니아를 센싱하는 암모니아 센서; 및 상기 암모니아 센서로부터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오물탱크 내의 용변에 악취제거용 물질을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부스는, 그 부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용변 이외의 이물질이 상기 용변통을 경유하여 오물탱크로 유입되기 이전에 상기 이물질을 걸러 낼 수 있도록, 걸름망이 마련되어 있는 스크린블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옥외용 화장실{Outdoor toilet}
본 고안은 옥외용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옥외용 화장실의 오물탱크 내의 온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오물 수거를 위한 부품의 원활한 작동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부품의 동파 또는 용변의 고형화를 억제할 수 있고, 이물질이 오물탱크 내에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악취를 현저히 제거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옥외용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옥외용 화장실은, 야외에 노출되는 설치환경 때문에, 오물탱크 내의 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부품들이 쉽게 동파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왔다.
그리고, 종래의 옥외용 화장실에는, 용변 이외의 생리대나 휴지와 같은 이물질을 걸러 내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오물탱크 내 이물질 유입으로 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관의 막힘 등의 현상을 초래하여 화장실의 원활한 이용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왔다.
또한, 종래의 옥외용 화장실은, 악취 제거를 위한 수단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 화장실 이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오물탱크 내의 오물 수거를 위한 부품의 동파 또는 용변의 고형화를 억제할 수 있고, 오물탱크 내의 이물질 유입을 억제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악취의 현저한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옥외용 화장실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옥외용 화장실은, 사용자가 용변을 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용변통이 마련되어 있는 부스; 상기 부스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용변이 일시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용변통과 소통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 내에 오수펌프가 배치되는 오물탱크; 상기 오물탱크 내의 용변의 고형화를 억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오물탱크를 히팅시키는 히터; 상기 오물탱크 내의 암모니아 지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부스와 오물탱크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암모니아를 센싱하는 암모니아 센서; 및 상기 암모니아 센서로부터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오물탱크 내의 용변에 악취제거용 물질을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부스는, 그 부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용변 이외의 이물질이 상기 용변통을 경유하여 오물탱크로 유입되기 이전에 상기 이물질을 걸러 낼 수 있도록, 걸름망이 마련되어 있는 스크린블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오물탱크 내의 오물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오물탱크 내에 마련되는 오물 감지센서;를 구비하여서, 상기 오물 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오수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오물탱크 내의 오물을 보조탱크에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옥외용 화장실은, 오물탱크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그 온도센서에 의해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되는 히터를 구비함으로써, 오물탱크 내의 용변의 고형화를 억제함은 물론 오수펌프 또는 배관 등의 동파를 억제하여, 오물탱크 내의 용변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고안은, 이물질을 걸러 내기 위한 스크린블럭을 구비하여서, 종래의 옥외용 화장실에서 빈번하게 발생하였던 문제점, 즉 여성용 생리대나 휴지와 같은 이물질이 오물탱크 내에 유입됨으로써 오물의 외부 수거를 방해하였던 요소를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악취제거를 위한 암모니아 센서와 분사장치를 구비하여서, 종래기술의 옥외용 화장실에서 발생하였던 문제점인 악취로 인한 사용자의 불쾌감 유발을 억제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화장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스크린블럭이 부스로부터 이동된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 일실시예의 다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화장실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화장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화장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스크린블럭이 부스로부터 이동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일실시예의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옥외용 화장실은, 부스(1)와 오물탱크(2)와 히터(3)와 암모니아 센서(4)와 분사장치(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부스(1)는, 사용자가 용변을 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용변통(11)이 마련되어 있다. 본 고안에 채용된 부스(1)는, 종래의 옥외용 화장실에서 빈번하게 발생하였던 문제점, 즉 여성용 생리대나 휴지와 같은 이물질(A)이 오물탱크(2) 내에 유입됨으로써 오물(B)의 외부 수거를 방해하였던 요소를 원천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름망(121)이 마련되어 있는 스크린블럭(12)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블럭(12)은, 상기 부스(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도 2 및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름망(121)에 의해 걸러진 생리대나 휴지와 같은 이물질(A)을 원활하게 걸러 낼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블럭(12)에는 상기 암모니아 센서(4)와 분사장치(5)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설치구조에 의하면, 상기 암모니아 센서(4)와 분사장치(5)가 스크린블럭(12)과 함께 슬라이딩되어, 작업자가 분사용액의 충액 또는 센서의 점검 등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러한 설치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상기 암모니아 센서(4)와 분사장치(5)가 상기 부스(1) 내부의 상기 스크린블럭(12) 이외의 부분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암모니아 센서(4)와 분사장치(5)는, 종래기술의 옥외용 화장실에서 발생하였던 문제점인 악취로 인한 사용자의 불쾌감 유발을 억제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즉, 상기 암모니아 센서(4)는, 상기 부스(1)의 스크린블럭(12)에 설치되어 상기 오물탱크(2) 내의 암모니아 지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사장치(5)는, 상기 암모니아 센서(4)로부터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탈취제나 미생물과 같은 악취제거용 물질을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오물탱크(2)는, 상기 부스(1)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용변통(11)을 경유한 용변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부분으로, 상기 용변통(11)과 소통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그 수용공간 내에 오수펌프(6)가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히터(3)는, 상기 오물탱크(2)를 히팅시켜 줌으로써, 상기 오물탱크(2) 내의 용변의 고형화를 억제시킴은 물론, 상기 오수펌프(6) 또는 배관(61) 등 오물탱크(2) 내에 배치되는 부품의 동파를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히터(3)는 상기 부스(1)의 하측 프레임을 형성하는 바닥판넬(13)에 내장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히터(3)의 설치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히터(3)가 오물탱크(2) 내의 용변을 히팅시킬 수 있는 것으로 족하다.
상기 히터(3)는, 상기 오물탱크(2) 내에 설치되는 온도센서(7)와 함께 상기 용변의 고형화를 억제시킨다.
즉, 상기 온도센서(7)는 상기 오물탱크(2) 내부의 온도를 센싱하고, 그 센싱된 신호에 기호하여 상기 히터(3)에 제어신호가 인가됨으로써 상기 히터(3)가 선택적으로 발열된다.
이와 같이 오물탱크(2)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7)와 그 온도센서(7)에 의해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되는 히터(3)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오물탱크(2) 내의 오물(B)의 고형화를 억제함은 물론 오수펌프(6) 또는 배관(61) 등의 동파를 억제하여, 오물탱크(2) 내의 오물(B)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오물탱크(2) 내에 수용되어 있는 오물(B)은, 오물탱크(2) 내의 오물 감지센서(8)에 의해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부스(1)의 외부에 마련되어 있는 보조탱크(9)에 유입된다.
상기 오물 감지센서(8)는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이 가능하나, 예컨대 광센서가 채용된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탱크(2) 내의 오물(B)이 상기 광센서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차단여부에 따라 상기 오수펌프(6)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상기 오물탱크(2) 내의 오물량이 상기 광센서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차단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광센서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오수펌프(6)를 작동시켜 상기 오물탱크(2) 내의 오물(B)을 보조탱크(9)에 유입되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화장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화장실의 단면도이다. 이 도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옥외용 화장실은, 오물탱크(120) 내부의 냄새를 차단하기 위하여 그 오물탱크(120) 내에 설치되는 구획벽(110)과,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스크린블럭이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과는 달리 종 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스크린블럭(140)을 구비한다.
상기 구획벽(110)에는 부스 내의 용변통(130)과 소통되도록 그 용변통(13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용변구멍(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스크린블럭(140)은 상기 오물탱크(120) 내의 레일(125)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그 오물탱크(120)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오물탱크(120)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이러한 스크린블럭(140)은, 오물에 포함되어 있는 생리대와 같은 이물질이 걸러내어 줌으로써, 오수펌프(160)에 상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채용된 오물 감지센서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광센서가 채용된 것과는 달리, 오물의 수위를 센싱하기 위한 오물수위센서(150)가 채용되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70은 악취제거를 위한 탈취제 또는 미생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장치이고, 180은 암모니아 지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암모니아를 센싱하는 암모니아 센서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서로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고안은, 오물탱크 내의 오물 수거를 위한 부품의 동파 또는 용변의 고형화를 억제할 수 있고, 오물탱크 내의 이물질 유입을 억제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악취의 현저한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옥외용 화장실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어서, 상기 목적을 달성을 위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부스 11:용변통
12:스크린블럭 121:걸름망
13:바닥판넬 2:오물탱크
3:히터 4:암모니아 센서
5:분사장치 6:오수펌프
61:배관 7:온도센서
8:오물 감지센서 9:보조탱크
A:이물질 B:오물

Claims (2)

  1. 사용자가 용변을 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용변통이 마련되어 있는 부스;
    상기 부스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용변이 일시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용변통과 소통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 내에 오수펌프가 배치되는 오물탱크;
    상기 오물탱크 내의 용변의 고형화를 억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오물탱크를 히팅시키는 히터;
    상기 오물탱크 내의 암모니아 지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부스와 오물탱크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암모니아를 센싱하는 암모니아 센서; 및
    상기 암모니아 센서로부터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오물탱크 내의 용변에 악취제거용 물질을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부스는, 그 부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용변 이외의 이물질이 상기 용변통을 경유하여 오물탱크로 유입되기 이전에 상기 이물질을 걸러 낼 수 있도록, 걸름망이 마련되어 있는 스크린블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화장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탱크 내의 오물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오물탱크 내에 마련되는 오물 감지센서;를 구비하여서,
    상기 오물 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오수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오물탱크 내의 오물을 보조탱크에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화장실.
KR2020110003831U 2011-05-04 2011-05-04 옥외용 화장실 KR200454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831U KR200454420Y1 (ko) 2011-05-04 2011-05-04 옥외용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831U KR200454420Y1 (ko) 2011-05-04 2011-05-04 옥외용 화장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420Y1 true KR200454420Y1 (ko) 2011-07-04

Family

ID=49299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831U KR200454420Y1 (ko) 2011-05-04 2011-05-04 옥외용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4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580Y1 (ko) * 2016-03-18 2017-09-27 제트코리아 주식회사 진공변기 시스템의 이물질여과 겸용 오물파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036U (ko) * 1999-03-11 2000-10-05 이상국 배설물 저장통이 분리되는 간이 화장실
KR200260001Y1 (ko) 1999-01-23 2002-01-10 김석택 악취제거장치
KR200349682Y1 (ko) 2004-02-25 2004-05-08 박창하 자동 암모니아 센서환풍기
KR200424404Y1 (ko) 2006-04-05 2006-08-25 이종관 악취 제거용 분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001Y1 (ko) 1999-01-23 2002-01-10 김석택 악취제거장치
KR20000018036U (ko) * 1999-03-11 2000-10-05 이상국 배설물 저장통이 분리되는 간이 화장실
KR200349682Y1 (ko) 2004-02-25 2004-05-08 박창하 자동 암모니아 센서환풍기
KR200424404Y1 (ko) 2006-04-05 2006-08-25 이종관 악취 제거용 분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580Y1 (ko) * 2016-03-18 2017-09-27 제트코리아 주식회사 진공변기 시스템의 이물질여과 겸용 오물파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02959B (zh) 一种智能卫浴节水装置及节水方法
JP2014070374A (ja) 男性用循環式水洗トイレ
SG179074A1 (en) Stormwater filt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200454420Y1 (ko) 옥외용 화장실
KR101135951B1 (ko) 정수기의 자가세정방법
KR100820226B1 (ko) 개폐 가능한 봉수 장치를 구비하는 하수 장치
CN105002964A (zh) 抽水马桶加压冲洗水箱
JP2013192497A (ja) 吸い殻処理装置
KR101011465B1 (ko) 역세척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조
JP2004190474A (ja) 排水トラップ構造
JP2014070375A (ja) 男性用水洗トイレ
JP2009228323A (ja) 局部洗浄装置
KR20050080155A (ko)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KR20180034011A (ko) 빗물 배수시설
JP7252532B2 (ja) 手洗器
CN207672709U (zh) 一种市政工程用多层过滤雨水口装置
CN102605835B (zh) 集智能、节约、清洁为一体的多功能组合装置
KR100880608B1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세척수공급장치
KR20110076365A (ko) 집수구의 배수트랩
KR101756906B1 (ko) 절수형 변기
KR20150090577A (ko) 거름구가 구비된 콘크리트 구조물
JP4971959B2 (ja) 厨芥排水処理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などに使用される排水処理槽
KR200455310Y1 (ko) 하수장치
KR100885249B1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수위검지장치
KR100703627B1 (ko) 수세식 변기에 활용되는 세면대 물 재활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