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310Y1 - 하수장치 - Google Patents

하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310Y1
KR200455310Y1 KR2020110001141U KR20110001141U KR200455310Y1 KR 200455310 Y1 KR200455310 Y1 KR 200455310Y1 KR 2020110001141 U KR2020110001141 U KR 2020110001141U KR 20110001141 U KR20110001141 U KR 20110001141U KR 200455310 Y1 KR200455310 Y1 KR 2004553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waste collection
odor blocking
unit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1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만재
Original Assignee
대구광역시 달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광역시 달서구 filed Critical 대구광역시 달서구
Priority to KR20201100011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3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3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3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8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bell siphon

Abstract

하수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하수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 아래에 결합되고 상기 몸통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의 배수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위에서 아래로 삽입되어 상기 몸통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오물 수거부, 상기 오물 수거부와 상기 배수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악취 차단부, 및 상기 배수부의 아래측과 결합되는 제2 악취 차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수장치{Sewage device}
본 고안은 하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으로 악취를 차단하는 하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상가 등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는 하수구로 유입되어 배출된다. 생활하수는 생활폐수(domestic wastewater), 가정오수 또는 오수라고도 한다. 각종 액체성 또는 고체성 오물이 물에 섞인 것이다. 따라서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하수구 주변은 제대로 관리되지 않으면 악취발생의 원인이 되어 주민들의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지금까지 이러한 악취발생을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이 개발된 바 있으나, 그 효과가 아직 만족스럽지 못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오수를 신속하게 배출시키고 하수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악취를 이중으로 차단하여 항상 쾌적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하수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 아래에 결합되고 상기 몸통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의 배수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위에서 아래로 삽입되어 상기 몸통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오물 수거부, 상기 오물 수거부와 상기 배수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악취 차단부, 및 상기 배수부의 아래측과 결합되는 제2 악취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수장치는 상기 몸통부를 위에서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배수공을 갖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물 수거부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오물 수거용 받침대와 그 상부에 연결된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악취 차단부는 상기 오물 수거부의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악취 차단부는 측면에 배수공을 갖고, 하부면은 폐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배수부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악취 차단부의 내주연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수는 원활하고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고, 하수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악취는 이중으로 차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항상 쾌적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하수장치의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수장치의 본체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본체와 결합하는 제2 악취 차단부를 나타낸다.
도 4은 도 2의 본체에 삽입되는 오물 수거부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2의 본체와 결합하는 커버를 나타낸다.
이하, 본 고안의 하수장치의 구체적인 구성관계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목적, 특징은 첨부한 도면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한 도면들은 본 고안은 구성관계가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의 구성관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 내에서 다양하게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장치(10)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수장치의 본체(100)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수장치(10)는 몸체부(110)와 배수부(120)를 포함하는 본체(100), 오물 수거부(200), 제1 악취 차단대(300), 제2 악취 차단대(400) 및 커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커버(500)에 형성된 배수공(520, 도 4 참조)으로 유입된 오수가 흐를 수 있도록 상하부가 개방된 몸통부(110)와 유입된 오수가 하수관으로 흘러 내려가도록 하는 배수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부(120)는 몸통부(100)의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몸통부(110)의 바닥(111)과 연결되는 배수부(120)의 입구 둘레에는 상측으로 올라온 연장부(121)가 있어 몸통부(110)의 바닥(111)에는 일정량의 물이 고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120)의 입구는 몸통부(110)를 통해 흘러온 오수가 배수부(120)로 유입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제1 악취 차단부(300)는 몸통부(1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몸통부(110)의 바닥(111)과는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악취 차단부(300)는 몸통부(110) 내부 공간에 위에서 아래로 삽입될 수 있는 오물 수거부(200)의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오물 수거부(200)는 흙, 모래 또는 오물의 수거가 용이하도록 그 내부에 배치된 오물 수거용 받침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500)의 배수공(520, 도 4 참조)을 통해 유입된 오수는 오물 수거부(200)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고 흙, 모래 또는 오물은 오물수거용 받침대(220)에 용이하게 걸러질 수 있다.
제1 악취 차단부(300)는 본체(100)의 배수부(120) 입구 둘레에 형성된 연장부(121)에 의해 고인 물에는 잠길 수 있고, 몸통부의 바닥(111)에는 닿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악취 차단부(300)와 몸통부의 바닥(111) 사이의 공간에 의해 오수는 배출되고 상기 고인 물에 잠긴 제1 악취 차단부에 의해 악취는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입된 오수는 본체(100)의 배수부(120)로 흘러 제2 악취 차단부(400)로 낙하될 수 있다. 제2 악취 차단부(400)는 측면에 배수공(410)이 형성될 수 있고 바닥은 폐쇄될 수 있으며 상기 바닥과 상기 측면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물이 고일 수 있는 구조로 될 수 있다. 또한 제2 악취 차단부(400)는 본체(100)의 배수부(1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배수부(120)의 아래측이 제2 악취 차단부(400)내로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배수부(120)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악취 차단부의 내주연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배수부(120)는 제2 악취 차단부(400) 내의 고인 물에는 잠길 수 있고 제2 악취 차단부(400)의 바닥에는 닿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수부(120)를 통해 유입된 오수는 배수부(120)와 제2 악취 차단부(400)의 바닥 사이로 흘러 제2 악취 차단부(400)의 측면에 형성된 배수공을 통해 배출되고 하수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악취는 상기 고인 물에 잠긴 배수부(120)와 하측이 폐쇄된 제2 악취 차단부(400)에 의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배수부(120) 입구 둘레에 형성된 연장부(121)에 의한 고인 물과 제1 악취 차단부(300)에 의해 1차로 악취가 차단되고, 제2 악취 차단부(400)와 배수부(120)에 의해 2차로 악취가 차단되므로 하수관으로부터 역류하는 악취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본체(100)와 결합되는 제2 악취 차단부(400)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악취 차단부(400)는 하측은 폐쇄되고 상측은 개방되며 측면에는 배수공(410)이 형성된 뚜껑모양의 부품일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본체(100)에 삽입되는 오물 수거부(200)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오물 수거부(200)는 몸통부(1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악취 차단대(30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오물 수거부(200)에는 사용상 편의를 위한 손잡이(210)와 오물 수거용 받침대(220)가 포함될 수 있다. 오물 수거용 받침대(220)는 오물 수거부(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손잡이(210)는 오물 수거부(20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본체(100)와 결합하는 커버(5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버(500)는 몸통부(110)를 위에서 덮을 수 있도록 본체(100)와 결합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천공된 배수공(520)과 손잡이(51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500)에 형성된 배수공(520)을 통해 오수가 본체(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커버(500)는 본체(10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손잡이(510)는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 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 관점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하고,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하수장치 100 : 본체
110 : 몸통부 120 : 배수부
111 : 몸통부의 바닥 121 : 연장부
200 : 오물 수거부 210 : 손잡이
220 : 오물 수거용 받침대 300 : 제1 악취 차단부
400 : 제2 악취 차단부 410 : 배수공
500 : 커버 510 : 손잡이
520 : 배수공

Claims (6)

  1.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 아래에 결합되고 상기 몸통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의 배수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위에서 아래로 삽입되어 상기 몸통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오물 수거부;
    상기 오물 수거부와 상기 배수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악취 차단부; 및
    상기 배수부의 아래측과 결합되는 제2 악취 차단부;를 포함하는 하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장치는 상기 몸통부를 위에서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배수공을 갖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 수거부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오물 수거용 받침대와 그 상부에 연결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악취 차단부는 상기 오물 수거부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악취 차단부는 측면에 배수공을 갖고, 하부면은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악취 차단부의 내주연에는 나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장치.


KR2020110001141U 2011-02-10 2011-02-10 하수장치 KR2004553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141U KR200455310Y1 (ko) 2011-02-10 2011-02-10 하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141U KR200455310Y1 (ko) 2011-02-10 2011-02-10 하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310Y1 true KR200455310Y1 (ko) 2011-08-30

Family

ID=4929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141U KR200455310Y1 (ko) 2011-02-10 2011-02-10 하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3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20170050903A (ko) 배수구 덮개를 포함하는 배수 설비
KR101757620B1 (ko)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20160081728A (ko) 배수트랩
KR20160001344U (ko) 스크린을 구비하는 오수받이 및 상기 오수받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린
KR101212948B1 (ko) 그리스 트랩
KR200455310Y1 (ko) 하수장치
KR200470964Y1 (ko) 하수장치
KR200327344Y1 (ko) 착탈식 배수트랩
KR20050080155A (ko)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KR101100907B1 (ko) 바닥체용 배수 장치
KR101272416B1 (ko) 다용도 오폐수 침전조 오수받이 맨홀
KR100786378B1 (ko) 맨홀의 초기 우수처리장치
TWI525238B (zh) Drainage assembly
KR101130189B1 (ko) 서랍형 배수트랩을 갖는 배수관 장치
KR102075758B1 (ko) 배수구의 이물질 제거용 연결 장치
KR200415793Y1 (ko) 방취포집기
CN209568527U (zh) 一种集毛发虹吸式自动清洗快速实用地漏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CN206752590U (zh) 一种防臭排水器
CN212153587U (zh) 一种家用废水收集处理装置
KR20120080276A (ko) 배출관에 역류방지기능이 구비된 오수받이
KR100737270B1 (ko)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KR200434181Y1 (ko) 오수받이용 악취차단트랩
KR20160057135A (ko) 배수트랩용 이물질 걸름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