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344U - 스크린을 구비하는 오수받이 및 상기 오수받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린 - Google Patents

스크린을 구비하는 오수받이 및 상기 오수받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344U
KR20160001344U KR2020140007514U KR20140007514U KR20160001344U KR 20160001344 U KR20160001344 U KR 20160001344U KR 2020140007514 U KR2020140007514 U KR 2020140007514U KR 20140007514 U KR20140007514 U KR 20140007514U KR 20160001344 U KR20160001344 U KR 201600013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hole
pipe
sewage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5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욱
Original Assignee
최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욱 filed Critical 최성욱
Priority to KR20201400075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344U/ko
Publication of KR201600013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34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크린을 구비하는 오수받이 및 상기 오수받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분류식 하수관거에 맞는 오수받이 및 이에 장착되는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오수 받이에 이물질 통과 방지용 스크린을 둠으로써 크기가 큰 이물질이 오수받이와 연결된 하류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방지하도록 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하수가 유출되는 유출되는 유출관이 구비되는 오수받이 하우징과; 상기 유출관의 입구에 상기 오수받이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유출관 입구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상기 유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은 그 중앙부에 마련되는 중앙 통공과;상기 중앙 통공을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되는 주변 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을 구비하는 오수받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크린을 구비하는 오수받이 및 상기 오수받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린{ A house inlet comprising a screen and a screen being capable of being detachably mounted to the house inlet}
본 고안은 스크린을 구비하는 오수받이 및 상기 오수받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분류식 하수관거에 맞는 오수받이 및 이에 장착되는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오수 받이에 이물질 통과 방지용 스크린을 둠으로써 크기가 큰 이물질이 오수받이와 연결된 하류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방지하도록 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종전의 합류식 하수관거에 의하면 오수가 가정의 화장실, 주방에서 정화조(모든 협착물이 정화조 안에 쌓여 있음)를 거쳐 측구, 기존하수관(우수관), 도심지 하천, 중계펌프장, 하수처리장으로 가서 처리된다
국책사업으로 시행하고 있는 하수관거는 분류식으로서, 오수가 가정의 화장실, 주방에서 정화조를 폐쇄하고 여건에 따라서 각 가정에 마당 및 대문앞에 설치하고 있는 오수받이를 거쳐 소형맨홀, 신설오수관, 오수용 수중펌프맨홀, 중계펌프장, 하수처리장으로 가서 처리되도록 한다.
종전에는 가정에서 생활하수 및 변기에서 버려진 협착물(행주, 라이터, 볼펜, 나무젓가락, 행주, 수건, 걸레, 생리대, 분쇄되지않은 음식물찌거기, 비닐봉지, 물티슈등)등은 정화조 안에 쌓여 정화조차량을 불러 수거 처리 하였다.
그런데, 정화조가 없는 분류식 하수관거에서는 협착물등이 오수용펌프맨홀 및 중계펌프장으로 흘러 들어와 오수용 수중펌프 고장 및 사업장 폐기물(협착물) 발생으로 유지관리 비용 및 폐기물처리비용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각 가정에서 버린 이물질 또는 협착물(예, 행주, 라이터, 볼펜, 나무젓가락, 행주, 수건, 걸레, 생리대, 분쇄되지않은 음식물찌거기, 비닐봉지, 물티슈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문제점, 즉 분류식 하수관거의 하류측에 설치된 펌프장의 펌프고장을 방지하고, 하수처리장의 유지관리비 및 사업장 폐기물 비용등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하수가 유출되는 유출관이 구비되는 오수받이 하우징과; 상기 유출관의 입구에 상기 오수받이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유출관 입구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상기 유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은 그 중앙부에 마련되는 중앙 통공과;상기 중앙 통공을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되는 주변 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을 구비하는 오수받이를 제공한다.
상기 유입관은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오수받이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유입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구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하수를 수용함으로써 수용된 하수에 의하여 유입관의 출구가 폐쇄되도록 하여 상기 오수받이 하우징 내부의 악취가 상기 유입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악취 역류 방지용 트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린은 상기 중앙 통공을 형성하는 환형 리브와; 상기 환형리브에서 외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이격되어 상기 주변 통공을 형성하는 연장 리브를 포함하되, 각 연장 리브의 간격은 상호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주변통공의 크기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형 통공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변 통공은 부채꼴의 부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환형 통공의 직경은 상기 주변 통공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린의 최외곽에 마련되어 상기 스크린이 상기 유출관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결합 안내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오수받이 하우징에 마련되는 유출구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 안내관과; 상기 결합 안내관의 입구에 마련되어 중앙 통공을 형성하는 환형 리브와; 상기 환형리브에서 외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이격되어 상기 중앙 통공을 둘러싸는 주변 통공을 형성하는 연장 리브를 포함하되, 각 연장 리브의 간격은 상호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주변통공의 크기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에 장착되는 스크린을 제공한다.
상기 중앙 통공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변 통공은 부채꼴의 부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환형 통공의 직경은 상기 주변 통공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여 분류식 하수관거 시스템 상에서 생리대나 헹주와 같은 부적절 이물질 또는 협착물이 펌프장으로 이동하여 펌프를 고장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펌프장 유지비용을 절감하고, 관리 인건비나 펌프 교체비용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오수받이에 일체형으로 스크린을 형성하거나, 또는 기존의 오수받이에 스크린을 결착하여 사용하게 함으로써, 신규 오수받이 설치시에는 스크린 일체형의 오수받이를 사용하고, 기존 오수받이에는 착탈식 스크린을 장착하게 하여 신규 하수관거 공사에만 적용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기존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스크린에는 소정 크기의 중앙 통공과 주변 통공이 형성됨으로써, 대변과 같은 적정 이물질은 통과시키고, 생리대나 헹주와 같은 이물질은 선택적으로 걸러냄으로써 보다 원활한 하수 및 적정 이물질의 이동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3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사시도이다.
도3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사시도이다.
도3c는 본 고안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정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동작을 도시하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과 도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오수받이 하우징(100)을 도시한 것이다.
도1과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오수받이 하우징(100)은 대략 위가 뚫린 직육면체 형태의 박스로 구현된다.
오수받이 하우징(100)의 측면에는 복수의 유입관(110)과 유출관(120)이 마련된다.
유입관(110)은 주방의 싱크대의 배수관이나, 화장실 변기의 배수관과 연결되어 싱크대나 변기에서 배출되는 하수 및 이에 섞인 분뇨 기타 음식을 찌꺼기 등을 오수받이 하우징(100)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유입관(110)의 입구에는 유입관 커버(111)가 장착될 수 있는데, 유입관 커버(111)는 사용하지 않은 유입관(110)을 막는 역할을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입관(110)의 외주면에는 노브가 장착될 수 있으며, 노브는 유입관(110)과, 싱크대나 변기의 배수관을 연결하는 중개 역할을 한다.
오수받이 하우징(100)의 내부의 일측면에는 트랩(130)이 마련된다.
트랩(130)은 오수받이 하우징(100) 내부의 악취가 유입관을 타고 역류하여 싱크대와 같이 상류 측에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서 트랩(130)은 물을 담을 수 있는 수용부(131)를 구비하는 용기 형태로 마련되고, 트랩(130)과 인접한 유입구(110)의 출구(110a)는 트랩(130)의 바닥이나 측벽을 향하게 된다.
도1,2에서는 트랩(130)과 인접한 유입관(110) 일부가 하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그 출구(110a)가 트랩의 바닥을 향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곡된 관 형태가 아니고 오수받이 하우징(100) 측벽에 출구만 뚫려 있는 형태도 가능하다.
따라서 트랩(130)에 일정 수위 이상의 하수가 차있는 경우, 그 하수의 수위는 유입구의 출구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오수받이 하우징(100) 내부의 악취가 그 출구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트랩(130)에 있는 하수가 악취 역류용 배리어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이는 양변기에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항상 채워져 있는 원리와 유사하다.
오수받이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관리용 홀(102)이 형성되는 상부 커버(101)가 구비되며, 관리용 홀(102)은 도시되지 않은 홀 커버에 의하여 덮힌다.
유출관(120)의 입구에는 스크린(140,150)이 마련된다.
스크린(140,150)은 도1과 같이 오수받이 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도 있고, 도2와 같이, 유출관(120)의 입구(12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1에서 나타난 스크린(140)은 하나의 금형에 의하여 오수받이 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스크린(140)이 형성된 신규 오수받이 하우징(100)을 제작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한편 도2에 나타난 스크린(150)은 유출관(120)의 입구(121)에 장착될 수 있는 스크린(140)을 나타낸다. 유출관(120)의 입구(121)는 오수받이 하우징(100) 내부 공간을 향하며, 스크린(150)은 하우징(100) 내부 공간을 통해서 유출관(120)의 입구(121)에 장착된다.
이러한 착탈식 스크린(150)은 이미 건물에 설치된 오수받이 하우징(100)에 추가로 설치할 수 있게 마련되었으나, 신규 생산된 오수받이에 스크린이 없는 경우에도 설치될 수 있다.
도3a는 도1과 같이 오수받이 하우징(100)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크린(140)을 도시한 것이며, 도3b는 도2와 같이 오수받이 하우징(100)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크린(140)을 도시한 것이다.
도3a와 도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140,150)은 중앙 통공(141,151)과, 중앙 통공(141,151)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주변 통공(142,152)을 포함한다.
중앙 통공(141,151)을 형성하기 위하여 환형 리브(142,152)가 구비되고, 주변 통공(143,153)을 형성하기 위하여, 환형 리브(142,152)에서 반경방향 또는 외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 리브(144,154)를 포함한다.
연장 리브(144,154)는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주변 통공(143,153)의 크기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140, 150)은 인장시험 20℃에서 인장강도가 49N/㎟ {500kgf/㎠}이상, 하중시험 12kN{1220kgf/}의 하중에 균열, 파열 및 기공등이 없어야 하고, 부압시험 0.078Mpa{0.8kgf/㎠}의 부압에 견뎌야 하며, 침지시험 각 시험액마다 ±0.2mg/㎠ 이하, 비카트연화 온도시험 78℃ 이상에 만족할 것이 요구된다.
스크린(140,150)의 내,외면은 매끈하여 사용상 해로움 및 흠, 갈라짐, 비틀림등의 결점이 없어야 하며, 재료는 경질염화비닐제이며 색상은 연한 회색이 표준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착탈식 스크린(150)은 유출관(120)에 삽입시 비틀림이 없고 내부는 흐름에 따른 마찰력이 발생치 않도록 한다
도3a와 같이, 스크린(140)이 오수받이 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 연장리브(144)는 유출관의 입구 테두리까지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린(140)과 하수오거 하우징(100)이 하나의 금형에서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러한 것이다.
도3b와 같이, 스크린(150)이 오수받이 하우징(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 스크린(140)의 최외곽에는 결합 안내관(155)이 형성된다.
결합 안내관(155)은 스크린(150)의 최외곽 후방으로 소정 길이(예, 5cm) 연장된다.
결합 안내관(155)은 오수받이 하우징(100)의 유출관(120) 내주벽에 삽입되고 면접되게 형성되어 스크린(150)이 유출관(120)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스크린이 설치되지 않은 기존의 오수받이 하우징의 유출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또는 스크린이 설치되지 않은 신규 제작 오수받이 하우징에도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3b에서도 중앙 통공(151)과, 주변 통공(153)의 위치나 형상, 그리고, 중앙 통공(151)을 형성하는 환형 리브(152) 및 연장리브(154)의 구성은 도3a와 동일하다.
다만, 연장리브(154)는 환형리브(152)와 결합 안내관(155) 사이에 마련된다는 점이 도3a의 연장리브(144)와 다를 뿐이다.
도3c는 도3a 및 도3b에서 나타난 스크린(140, 150)의 정면도이다.
여기서, 중앙 통공(141,151)의 직경은 주변 통공(143,153)의 길이 또는 높이 보다 크게 형성되어, 중앙 통공(141,151) 부분에서 보다 원활한 적절 이물질의 통과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였다.
중앙 통공(141,151)은 원형 형태로 마련되고, 주변 통공(143,153)은 부채꼴의 일부 형상, 즉, 꼭지점 및 그 인접 부분이 생략된 형태로 마련된다.
고안자는 중앙 통공(141, 151)의 직경(A)은 6cm, 주변 통공(143, 153)의 길이(B)는 4cm로 제안하였고, 각 연장리브(144,154)의 각도는 45도씩 옆으로 배치된다. 이에 의하여 동일한 형상의 주변통공(144,154)이 8개가 연속해서 배치된다.
이와 같이 중앙 통공(141,151)이나 주변 통공(143,153)의 크기를 배치한 이유는 하수 처리장으로 정상적으로 유입되어야할 오물 중 가장 큰 것이 대변인데, 평균적인 대변의 직경이 2~2.5cm 임을 고려하여 이것이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만,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생리대나 행주 같이 큰 크기를 갖는 이물질(또는 협착물)을 변기에 넣는 경우, 이러한 이물질의 덩어리 크기는 중앙 통공(141,151)이나 주변통공(143,153)의 크기에 비해서 크기 때문에 스크린(140, 150)에 걸려서 하수 처리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주변통공(143,153)이나 중앙 통공(141,151)의 크기는 위에서 언급한 크기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더 축소되거나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통공(143,153)을 형성하는 연장리브(144,154) 간의 배치간격도 변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도4와 도5는 스크린(140)이 오수받이 하우징(100)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나타냈으나, 이에 대한 설명은 스크린(150)이 오수 받이 하우징(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4와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나, 싱크대에서 나오는 하수나 기타 오물은 유입관(110)을 거쳐서 오수받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다.
오수받이 하우징(100)에 마련되는 유입관(110) 들의 중심부의 높이는 유출관(120)의 중심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유입관(110)에서 빠져나온 하수와 이물질이 용이하게 유출관(1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오수받이 하우징(100)의 바닥면에서는 유출관(120) 입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안내 경사면(109)이 형성된다.
안내 경사면(109)에 의하여 유입관(110)에서 빠져나온 하수와 이물질이 용이하게 유출관(1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유입관(110) 중 일부의 출구에 인접한 부분에는 용기 모양의 트랩(130)이 형성되어 일정 수위의 물이 채워질 수 있고, 채워진 물보다 낮은 위치에 유입관(110a)의 출구가 잠긴다.
특히, 트랩(130)에 의하여 출구가 잠기는 유입관(110)은 싱크대나 바닥의 배수홀과 같이 실내와 직통 연결되는 배수관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랩(130)이 없으면 오수받이 하우징(100) 내부의 악취가 유입관(110) 및 배수관을 타고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어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과 같이 유입관(110)의 출구가 트랩에 고여 있는 물에 의하여 잠기기 때문에 오수받이 하우징(100)의 악취가 실내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트랩에 물이 고여 있고 유입관(110)의 출구가 잠겨 있는 상태에서 유입관(110)으로 계속 하수가 공급되면, 트랩(130)에 고였던 물은 오수받이 하우징(100) 내부 바닥으로 이동한다. 다만 새롭게 공급된 하수가 트랩(130)의 고인 물의 수위를 유지한다.
오수받이 하우징(100)으로 유입된 하수에는 대변이나 분쇄된 자잘한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적절 이물질(C)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적절 이물질(C)은 하수처리장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며, 하수 처리장의 펌프의 정상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대변이나 자잘한 음식물 쓰레기의 크기는 유출관(120) 입구에 마련되는 스크린(140)의 주변 통공이나 중앙 통공에 비하여 작다.
따라서, 이러한 적절 이물질(C)은 중앙 통공(141)이나 주변 통공(143)을 통과하여 유출관(120)으로 유입되고, 이후, 유출관(120)과 이어지는 관을 따라서 종국적으로 하수처리장으로 이동한다.
한편, 사용자의 의도적으로 또는 실수로 변기에 생리대나 행주와 같이 덩어리가 큰 부적절 이물질(또는 협착물)(D)을 넣고 변기 배수 레버를 당기면, 유입관(110)을 타고 오수받이 하우징(100)에 이와 같은 부적절 이물질(또는 협착물)(D)이 유입된다.
부적절 이물질(또는 협착물)(D)은 하수와 함께 유출관(120) 입구쪽으로 향한다.
다만, 스크린(140)의 중앙 통공(141)이나 주변 통공(143)의 크기가 부적절 이물질(또는 협착물)(D)보다 작기 때문에 이러한 부적절 이물질(또는 협착물)(D)은 스크린(140)에 의하여 걸러져서 더 이상 유출관(120)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적정 이물질(C)이나 하수만 스크린을 통과할 수 있다.
오수받이 관리자는 주기적으로 오수받이 하우징(100) 윗 부분을 개방하고, 스크린(140)에 걸려서 유출관으로 빠져나가지 못한 부적절 이물질(또는 협착물)(D)을 수거하여 오수받이 하우징(100) 내부를 관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오수받이 110: 유입관
120: 유출관 140, 150: 스크린
141, 151: 중앙 통공 142, 152: 환형 리브
143, 153: 주변 통공 144, 154: 연장 리브

Claims (7)

  1.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하수가 유출되는 유출관이 구비되는 오수받이 하우징과;
    상기 유출관의 입구에 상기 오수받이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유출관 입구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상기 유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은 그 중앙부에 마련되는 중앙 통공과;
    상기 중앙 통공을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되는 주변 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을 구비하는 오수받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오수받이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유입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구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하수를 수용함으로써 수용된 하수에 의하여 유입관의 출구가 폐쇄되도록 하여 상기 오수받이 하우징 내부의 악취가 상기 유입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악취 역류 방지용 트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을 구비하는 오수받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중앙 통공을 형성하는 환형 리브와;
    상기 환형리브에서 외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이격되어 상기 주변 통공을 형성하는 연장 리브를 포함하되,
    각 연장 리브의 간격은 상호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주변통공의 크기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을 구비하는 오수받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통공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변 통공은 부채꼴의 부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환형 통공의 직경은 상기 주변 통공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을 구비하는 오수받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최외곽에 마련되어 상기 스크린이 상기 유출관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결합 안내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을 구비하는 오수받이.
  6. 오수받이 하우징에 마련되는 유출구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 안내관과;
    상기 결합 안내관의 입구에 마련되어 중앙 통공을 형성하는 환형 리브와;
    상기 환형리브에서 외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이격되어 상기 중앙 통공을 둘러싸는 주변 통공을 형성하는 연장 리브를 포함하되,
    각 연장 리브의 간격은 상호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주변통공의 크기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에 장착되는 스크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통공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변 통공은 부채꼴의 부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환형 통공의 직경은 상기 주변 통공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을 구비하는 오수받이.
KR2020140007514U 2014-10-16 2014-10-16 스크린을 구비하는 오수받이 및 상기 오수받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린 KR201600013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514U KR20160001344U (ko) 2014-10-16 2014-10-16 스크린을 구비하는 오수받이 및 상기 오수받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514U KR20160001344U (ko) 2014-10-16 2014-10-16 스크린을 구비하는 오수받이 및 상기 오수받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344U true KR20160001344U (ko) 2016-04-26

Family

ID=55916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514U KR20160001344U (ko) 2014-10-16 2014-10-16 스크린을 구비하는 오수받이 및 상기 오수받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344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357B1 (ko) * 2018-03-19 2018-07-09 (주)태광수지 스크린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
KR101876365B1 (ko) * 2018-03-20 2018-07-09 (주)태광수지 스크린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
KR200489534Y1 (ko) * 2018-07-23 2019-07-02 이상윤 거름부재를 갖춘 배수 트랜치
KR102068815B1 (ko) * 2019-07-10 2020-01-22 주식회사 엔시테크 오수받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357B1 (ko) * 2018-03-19 2018-07-09 (주)태광수지 스크린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
KR101876365B1 (ko) * 2018-03-20 2018-07-09 (주)태광수지 스크린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
KR200489534Y1 (ko) * 2018-07-23 2019-07-02 이상윤 거름부재를 갖춘 배수 트랜치
KR102068815B1 (ko) * 2019-07-10 2020-01-22 주식회사 엔시테크 오수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1344U (ko) 스크린을 구비하는 오수받이 및 상기 오수받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린
JP2010007358A (ja) 排水機器の排水配管、及び排水トラップ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101757620B1 (ko)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JP2011158113A (ja) 貯湯式温水器用排水ホッパー
KR101768117B1 (ko) 다기능 우수겸용 오수받이
JP2003328418A (ja) 排水配管
KR101415952B1 (ko) 배수트랩
KR102035964B1 (ko) 통합 오수 수집 장치
JP3721469B2 (ja) 排水配管
JP2013100716A (ja) 排水機器の排水配管、及び排水トラップ
KR100552492B1 (ko) 오수받이 조립체
KR100923133B1 (ko) 내장형 봉수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CN212153587U (zh) 一种家用废水收集处理装置
KR101562940B1 (ko) 유속을 빠르게 하는 유선형 트랩을 갖는 오수받이
KR101876365B1 (ko) 스크린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
KR101050778B1 (ko)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KR101100907B1 (ko) 바닥체용 배수 장치
KR101114822B1 (ko) 오수받이
KR101272416B1 (ko) 다용도 오폐수 침전조 오수받이 맨홀
KR101918037B1 (ko) 소변기용 절수위생 배수 트랜치
KR200455310Y1 (ko) 하수장치
KR200460842Y1 (ko) 배수관 차단막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관 차단막 조립체
KR100740525B1 (ko) 오수받이 장치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630;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63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124

Effective date: 2018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