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964Y1 - 하수장치 - Google Patents

하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964Y1
KR200470964Y1 KR2020110001021U KR20110001021U KR200470964Y1 KR 200470964 Y1 KR200470964 Y1 KR 200470964Y1 KR 2020110001021 U KR2020110001021 U KR 2020110001021U KR 20110001021 U KR20110001021 U KR 20110001021U KR 200470964 Y1 KR200470964 Y1 KR 2004709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waste collection
main body
odor block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775U (ko
Inventor
진만재
Original Assignee
대구광역시 달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광역시 달서구 filed Critical 대구광역시 달서구
Priority to KR2020110001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964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7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7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9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9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8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bell siph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하수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하수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 아래에 결합되고 상기 몸통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의 배수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위에서 아래로 삽입되어 상기 몸통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오물 수거부, 상기 오물 수거부와 상기 배수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악취 차단부 및 상기 배수부의 내부공간에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악취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수장치{Sewage device}
본 고안은 하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으로 악취를 차단하는 하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상가 등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는 하수구로 유입되어 배출된다. 생활하수는 생활폐수(domestic wastewater), 가정오수 또는 오수라고도 한다. 각종 액체성 또는 고체성 오물이 물에 섞인 것이다. 따라서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하수구 주변은 제대로 관리되지 않으면 악취발생의 원인이 되어 주민들의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지금까지 이러한 악취발생을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이 개발된 바 있으나, 그 효과가 아직 만족스럽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보다 완벽한 악취 차단 장치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오수를 신속하게 배출시키고 하수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악취를 이중으로 차단하여 항상 쾌적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하수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 아래에 결합되고 상기 몸통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의 배수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위에서 아래로 삽입되어 상기 몸통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오물 수거부; 상기 오물 수거부와 상기 배수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악취 차단부; 및 상기 배수부의 내부공간에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악취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수장치는 상기 몸통부를 위에서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배수공을 갖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물 수거부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오물 수거용 받침대와 그 상부에 연결된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악취 차단부는 상기 오물 수거부의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몸통부의 바닥에 회오리 형상의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악취 차단부는 유입되는 오수의 무게에 의해 경사진 상태로 개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수는 원활하고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고, 하수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악취는 이중으로 차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항상 쾌적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하수장치의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수장치의 본체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본체에 삽입되는 오물 수거부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2의 본체와 결합하는 커버를 나타낸다.
이하, 본 고안의 하수장치의 구체적인 구성관계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목적, 특징은 첨부한 도면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한 도면들은 본 고안은 구성관계가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의 구성관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 내에서 다양하게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장치(10)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수장치(10)의 본체(100)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수장치(10)는 몸체부(110)와 배수부(120)를 포함하는 본체(100), 오물 수거부(200), 제1 악취 차단부(300), 제2 악취 차단부(400) 및 커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커버(500)에 형성된 배수공(520, 도 4 참조)으로 유입된 오수가 흐를 수 있도록 상하부가 개방된 몸통부(110)와 유입된 오수가 하수관으로 흘러 내려가도록 하는 배수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부(120)는 본체(100)의 하측에 형성되어 하수관과 연결될 수 있다. 몸통부(110)의 바닥과 연결되는 배수부(120)의 입구 둘레에는 상측으로 올라온 제1 연장부(121)가 있어 몸통부(110)의 바닥에 일정량의 물이 고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120)의 입구는 몸통부(110)를 통해 흘러온 오수가 배수부(120)로 유입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몸통부(110)의 바닥에는 회오리 형상의 돌출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입수되는 물에 회전력을 주어 배수가 잘 되도록 한다. 회오리 형상의 돌출부(111)는 배수부(120) 입구 둘레에 형성된 제1 연장부(121)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악취 차단부(300)는 본체(100)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몸통부(110)의 바닥과는 이격될 수 있다. 제 1 악취 차단부(300)는 본체(100)에 위에서 아래로 삽입되어 몸통부(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는 오물 수거부(200)의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오물 수거부(200)는 내부에 흙, 모래, 또는 오물의 수거가 용이하도록 결합된 오물 수거용 받침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500)의 배수공(520, 도 4 참조)을 통해 유입된 오수는 오물 수거부(200)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고 흙, 모래 또는 오물은 오물수거용 받침대(220)에 용이하게 걸러질 수 있다.
제1 악취 차단부(300)는 본체(100)의 배수부(120) 입구 둘레에 형성된 제1 연장부(121)에 의해 고인 물에는 잠길 수 있고, 몸통부(110) 바닥에는 닿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악취 차단부(300)와 몸통부(110) 바닥 사이의 공간에 의해 오수는 배출시키고 악취는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입된 오수는 본체(100)의 배수부(120)로 흘러 제2 악취 차단부(400)로 낙하될 수 있다. 제2 악취 차단부(400)는 배수부(120)의 내부공간에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악취 차단부(400)는 회전축(410)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악취 차단부(400)의 양측으로 돌출된 회전축(410)은 배수부(120) 출구 둘레에 내측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122)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악취 차단부(400)는 본체(1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120)의 출구는 상기 배수부(120)의 입구로 유입된 오수가 흘러 하수관으로 나가는 부분을 의미한다.
제2 악취 차단부(400)는 유입된 오수 자체의 무게에 의해 도 1과 같이 회동하여 경사진 상태로 개방되어 오수가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오수를 배출시킬 때 이외에는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를 폐쇄시키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하수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배수부(120) 입구 둘레에 형성된 제1 연장부(121)에 의한 고인 물과 제1 악취 차단부(300)에 의해 1차로 악취가 차단되고, 회동 가능한 제2 악취 차단부(400)에 의해 2차로 악취가 차단되므로 하수관으로부터 역류하는 악취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본체(100)에 삽입되는 오물 수거부(200)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오물 수거부(200)는 몸통부(1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악취 차단부(30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오물 수거부(200)에는 사용상 편의를 위한 손잡이(210)와 오물 수거용 받침대(220)가 포함될 수 있다. 오물 수거용 받침대(220)는 오물 수거부(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손잡이(210)는 오물 수거부(20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본체(100)와 결합하는 커버(5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커버(500)는 몸통부(110)를 위에서 덮을 수 있도록 본체(100)와 결합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천공된 배수공(520)과 손잡이(51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500)에 형성된 배수공(520)을 통해 오수가 본체(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커버(500)는 본체(10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손잡이(510)는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 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 관점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하고,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하수장치 100 : 본체
110 : 몸통부 120 : 배수부
111 : 회오리 형상의 돌출부 121 :제1 연장부
122 :제2 연장부 200 : 오물 수거부
210 : 손잡이 220 : 오물 수거용 받침대
300 : 제 1 악취 차단부 400 : 제 2 악취 차단부
410 : 회전축 500 : 커버
510 : 손잡이 520 : 배수공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 아래에 결합되고 상기 몸통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의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의 입구 둘레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제1 연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몸통부의 바닥에는 상기 제1 연장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회오리 형상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수부의 내부공간에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유입되는 오수의 무게에 의해 경사진 상태로 개방되도록 구성된 제2 악취 차단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몸통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측면에는 배수공을 하나 이상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오물 수거용 받침대를 구비하고 그 상부에는 손잡이가 연결된 오물 수거부;
    상기 오물 수거부와 상기 배수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오물 수거부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하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몸통부의 바닥과는 이격되도록 구성된 제1 악취 차단부; 및
    상기 몸통부를 위에서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복수 개의 천공된 배수공과 손잡이로 구성된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악취차단부가 결합된 상기 오물수거부를 상기 본체에 위에서 아래로 삽입하면 상기 원통형상의 몸체부에 걸쳐지고, 상기 제1 악취 차단부의 바닥면은 상기 제1 연장부의 높이보다 아래로 위치하도록 하되 상기 몸통부의 바닥에는 닿지 않도록 구성하고, 상기 커버의 배수공을 통해 유입된 오수는 상기 오물수거부의 측면에 형성된 배수공을 통하여 흘러나와 상기 몸통부의 바닥에 일정량의 오수가 고이게 하는 하수장치.
KR2020110001021U 2011-02-07 2011-02-07 하수장치 KR2004709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021U KR200470964Y1 (ko) 2011-02-07 2011-02-07 하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021U KR200470964Y1 (ko) 2011-02-07 2011-02-07 하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775U KR20120005775U (ko) 2012-08-17
KR200470964Y1 true KR200470964Y1 (ko) 2014-01-22

Family

ID=51418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021U KR200470964Y1 (ko) 2011-02-07 2011-02-07 하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9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85617A (zh) * 2020-03-13 2020-08-04 莫丽华 一种基于液体浮力的自排泄且除臭的环保型地漏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3715A (ja) * 1996-12-25 1998-07-14 Kirin Brewery Co Ltd 排水ますの臭気止め
KR200334330Y1 (ko) * 2003-09-06 2003-11-21 박승인 배수구용 걸름망
KR200383189Y1 (ko) * 2005-02-02 2005-05-03 홍승훈 싱크대용 걸름망
JP2009531573A (ja) * 2006-03-29 2009-09-03 ヤンブン カン シンク台用排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3715A (ja) * 1996-12-25 1998-07-14 Kirin Brewery Co Ltd 排水ますの臭気止め
KR200334330Y1 (ko) * 2003-09-06 2003-11-21 박승인 배수구용 걸름망
KR200383189Y1 (ko) * 2005-02-02 2005-05-03 홍승훈 싱크대용 걸름망
JP2009531573A (ja) * 2006-03-29 2009-09-03 ヤンブン カン シンク台用排水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85617A (zh) * 2020-03-13 2020-08-04 莫丽华 一种基于液体浮力的自排泄且除臭的环保型地漏
CN111485617B (zh) * 2020-03-13 2021-08-20 江苏新仕力再生资源有限公司 一种基于液体浮力的自排泄且除臭的环保型地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775U (ko) 201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3633B2 (en) Sewer eco-collar for sump application
KR100957464B1 (ko) 빗물받이 집수정용 덮개 장치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101757620B1 (ko)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101102576B1 (ko) 맨홀용 협잡물 수거장치
KR200470964Y1 (ko) 하수장치
KR101018776B1 (ko)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KR20160001344U (ko) 스크린을 구비하는 오수받이 및 상기 오수받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린
KR102035964B1 (ko) 통합 오수 수집 장치
JP6240717B1 (ja) 防臭機能を備えた排水桝構造
KR200437460Y1 (ko)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도로의 집수박스 구조
KR100552492B1 (ko) 오수받이 조립체
KR200455310Y1 (ko) 하수장치
CN213086951U (zh) 水槽垃圾处理装置及带垃圾处理功能的智能厨房设备
JP3569092B2 (ja) 浴槽水のゴミ捕獲装置
KR20050080155A (ko)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KR20180034011A (ko) 빗물 배수시설
JP2006266045A (ja) 排水栓
CN112064736A (zh) 水槽垃圾处理装置及带垃圾处理功能的智能厨房设备
KR100538411B1 (ko) 오수받이장치
KR100662712B1 (ko) 악취발산 방지용 맨홀
KR20120080276A (ko) 배출관에 역류방지기능이 구비된 오수받이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KR200367717Y1 (ko)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
KR200386998Y1 (ko) 다용도집수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