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343B1 - 하수관거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거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343B1
KR100967343B1 KR1020090039930A KR20090039930A KR100967343B1 KR 100967343 B1 KR100967343 B1 KR 100967343B1 KR 1020090039930 A KR1020090039930 A KR 1020090039930A KR 20090039930 A KR20090039930 A KR 20090039930A KR 100967343 B1 KR100967343 B1 KR 100967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ated carbon
sewage pipe
gas
filter
air v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혁
황지순
Original Assignee
(주)드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림테크 filed Critical (주)드림테크
Priority to KR1020090039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34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8Ventilation of sew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거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및 휘발성 유기물질(VOCs)을 제거하기 위한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악취물질 및 휘발성 유기물질을 활성탄층과, 바이오 필터(Bio Filter) 및 팰링 필터(Pall Ring Filter)을 통해 상기 하수관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는 하수관거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거 탈취장치, 에어벤트(Air Vent), 활성탄층, 바이오 필터(Bio Filter), 팰링 필터(Pall Ring Filter)

Description

하수관거 탈취장치{DRAINPIPE DEODORIZATION UNIT}
본 발명은 하수관거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관거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및 휘발성 유기물질(VOCs)을 제거하기 위한 하수관거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생활 오·폐수와 공단에서 발생하는 각종 산업용 폐수는 지면에 매설되어 있는 하수관을 통해 하수종말처리장까지 흘러간 후 별도의 정화처리를 거쳐 하천으로 방류된다.
이 과정에서 하수관을 흐르는 오·폐수는 흘러가는 도중 각종 세균의 작용에 의해 부패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는바, 하수관을 통과하면서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용존산소(DO) 등의 수치가 높아짐은 물론, 암모니아, CO2, SO2, 메탄 등 각종 유해가스가 발생 되고, 관로 내에 서식하는 각종 해충들로 인해 수인성 질병을 퍼트리기도 한다.
더욱이, 온도가 더운 여름철의 경우 상기와 같은 가스발생량이 증가하여 하 수관을 열 경우 심한 악취를 유발하고 있으며, 하수관 내부에 가득 찬 가스에 점화가 이루어질 경우 폭발할 위험성마저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하수관거 내의 유기물 부패로 인하여 발생한 황화수소는 황 박테리아의 발생으로 황산을 생성하여 시멘트를 침식하고 관정부식(crown corrosion)현상을 유발한다.
또한, 하수관에 손상이 발생하여 이를 수리하고자 하면 하수관거에서 일정 거리마다 설치되어 있는 맨홀로 들어가서 수리를 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때, 상기 가스에 의해 작업자가 질식하여 목숨을 잃게 되는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하수관거 내부에서 하수에 의해 발생 되는 가스를 발생 즉시 외부로 배출하여 하수관거 내부에 가스가 차 있지 않도록 유지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수관거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및 휘발성 유기물질(VOCs)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하수관거 가스 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탈취장치는, 원기둥으로 내부 빈 공간에 필터를 형성하는 에어벤트(Air Vent)와; 상기 에어벤트 내부에 첨착 활성탄으로 형성하며 악취가스를 제거하는 활성탄층과; 상기 활성탄층 하부에 위치하며 순환수를 분사 악취가스 중의 분진과 수용성가스를 흡수 제거하는 세정노즐과; 상기 세정노즐 하부에 위치하며 소나무껍질 담체 필터로 악취가스를 제거하는 바이오 필터(Bio Filter)와; 상기 바이오 필터 하부에 위치하고 순환수와 접촉 생성된 막으로 악취를 제거하는 팰링 필터(Pall Ring Filter); 및 상기 팰링 필터 하부에 위치하며 반응 중 생긴 수분이 상기 하수관거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하는 데미스트(Demis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수관거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의 상부에 무동력으로 탈취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벤츄레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하수관거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층은 산성 첨착 활성탄 과, 중성 첨착 활성탄 및 염기성 첨착 활성탄을 수직 3단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수관거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층은 6개월~1년 주기로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수관거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의 직경은 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관거 탈취장치는 하수관거 내의 각종 악취가스를 탈취에 가장 효과가 좋은 활성탄층과, 바이오 필터(Bio Filter) 및 팰링 필터(Pall Ring)으로 정화 배출하고, 관정부식의 원인이 되는 발생가스를 제거하므로 하수관거 자체의 내구연한을 증가시킨다.
또한, 하수관거 내의 유해 가스에 의해 발생 될 우려가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탈취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탈취장치는 내부에 빈 공간을 포함하는 원기둥 형상의 관으로 구성되는 에어벤트(Air Vent, 100)와, 상기 에어벤트(100) 내부에 첨착 활성탄으로 형성하며 악취가스(200)를 제거하는 활성탄층(20)과, 상기 활성탄층(20) 하부에 위치하며 순환수를 분사 악취가스(200) 중의 분진과 수용성가스를 흡수 제거시키는 세정노즐(30)과, 상기 세정노즐(30) 하부에 위치하며 소나무껍질 담체 필터로 악취가스(200)를 제거하는 바이오 필터(Bio Filter, 40)와, 상기 바이오 필터(40) 하부에 위치하고 순환수와 접촉 생성된 막으로 악취를 제거하는 팰링 필터(Pall Ring Filter, 50), 및 상기 팰링 필터(50) 하부에 위치하며 반응 중 생긴 수분이 상기 하구관거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하는 데미스트(Demister, 60)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벤트(100)는 상부에 무동력으로 상기 활성탄층(20)을 거쳐 탈취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벤츄레이터(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벤트(100)는 악취가스(200)의 탈취 반응이 잘 일어나게 하기 위하여 직경을 1000㎜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벤트(100)는 첨착 활성탄의 교체 및 점검을 위해 상기 활성탄층(20)이 위치하는 부분에 외부 개폐가 가능한 활성탄 주입구(미도시)와 점검구(미도시)를 구성한다.
상기 활성탄층(20)은 산성 첨착 활성탄과, 중성 첨 착활성탄 및 염기성 첨착 활성탄을 수직 3단으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활성탄층(20)은 흡착되기 어려운 가스를 흡착시키고, 교체주기를 길게 하며, 탈취효과를 높이기 위해 염기성 첨착 활성탄, 산성 첨착 활성탄, 중성 첨착 활성탄 순으로 층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착 활성탄은 미세공이 잘 발달되어 물리적 흡착력이 뛰어난 기존 활성탄소의 표면 및 세공 내벽에 CuO, AgNO3, CrO3 등의 금속염을 첨착(impregnation)시켜 화학적 활성을 높인 활성탄이다.
그리고, 상기 첨착 활성탄은 산성(H2S), 염기성(NH3) 및 중성(DMS) 악취가스 처리와, 메칠 요드 방사성 가스 처리와, 시아노겐 크로라이드, 시안화수소, 아르신 독가스 처리와, 살균, 염소이온 흡착 정수 처리와, 수소화 반응, 탈황 화학 촉매처리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활성탄층(20)은 6개월~1년 주기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바이오 필터(40)는 하수관거에서 발생하는 악취가스(200)를 호기성 미생물을 포함한 상기 소나무껍질 담체(Media)에 악취가스(200)를 통과시켜 악취를 산화 분해하며 CO2와 H2O 및 무기염류로 변환시킨다. 이때, 일부 악취물질의 반응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09027538929-pat00001
Figure 112009027538929-pat00002
Figure 112009027538929-pat00003
상기 팰링 필터(50)는 내부를 충진물(미도시)로 이루어지며 악취가스(200)와 순환수의 접촉으로 악취를 제거한다. 이때, 상기 충진물은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 형상이며, 내부에 부챗살 모양의 뼈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충진물은 순환수와 접촉하여 얇은 액체막을 형성하고, 상기 액체막은 악취가스(200)에 대해 넓은 상경계면을 형성한다.
상기 충진물은 비활성 물질인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탈취장치의 탈취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수관거에서 발생된 악취가스(200)는 에어벤트(100) 내부로 유입 팰링 필터(50)에서 1차 탈취된다.
이때, 상기 팰링 필터(50)은 세정노즐(30)에서 분사된 순환수와 악취가스(200)를 접촉시켜 악취중의 분진과 수용성가스를 순환수에 흡수시켜 제거한다.
그리고, 1차 탈취된 악취가스(200)는 상기 팰링 필터(50) 상부로 이동하여 바이오 필터(40)에 의해 2차 탈취된다.
이때, 상기 바이오 필터(40)는 상기 세정노즐(30)에서 분사된 순환수와 악취가스(200)를 접촉시켜 세정 및 가습 시키고, 소나무 껍질 담체에 악취가스(200)를 통과시켜 담체 내에 존재하는 호기성 미생물로 악취를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2차 탈취된 악취가스(200)는 상기 바이오 필터(40) 상부로 이동하여 활성탄층(20)에 의해 3차 탈취되며, 3차에 걸쳐 탈취된 가스는 벤츄레이터(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활성탄층(20)은 악취가스(200)의 유해물질을 첨착 활성탄에 흡착시켜 제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탈취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20 : 활성탄층 30 : 세정노즐
40 : 바이오 필터(Bio Filter) 50 : 팰링 필터(Pall Ring Filter)
60 : 데미스터(Demister) 70 : 벤츄레이터
100 : 에어벤트(Air Vent) 200 : 악취가스(Gas)

Claims (7)

  1. 하수관거 탈취장치에 있어서,
    원기둥으로 내부 빈 공간에 필터를 형성하는 에어벤트(Air Vent)와;
    상기 에어벤트 내부에 첨착 활성탄으로 형성하며 악취가스를 제거하는 활성탄층과;
    상기 활성탄층 하부에 위치하며 순환수를 분사 악취가스 중의 분진과 수용성가스를 흡수 제거하는 세정노즐과;
    상기 세정노즐 하부에 위치하며 소나무껍질 담체 필터로 악취가스를 제거하는 바이오 필터(Bio Filter)와;
    상기 바이오 필터 하부에 위치하고 순환수와 접촉 생성된 막으로 악취를 제거하는 팰링 필터(Pall Ring Filter); 및
    상기 팰링 필터 하부에 위치하며 반응 중 생긴 수분이 상기 하수관거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하는 데미스트(Demis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 탈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의 상부에 무동력으로 탈취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벤츄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 탈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층은 산성첨착활성탄과, 중성첨착활성탄 및 염기성첨착활성탄을 수직 3단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 탈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층은 6개월~1년 주기로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 탈취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의 직경은 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 탈취장치.
KR1020090039930A 2009-05-07 2009-05-07 하수관거 탈취장치 Active KR100967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930A KR100967343B1 (ko) 2009-05-07 2009-05-07 하수관거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930A KR100967343B1 (ko) 2009-05-07 2009-05-07 하수관거 탈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7343B1 true KR100967343B1 (ko) 2010-07-05

Family

ID=42645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930A Active KR100967343B1 (ko) 2009-05-07 2009-05-07 하수관거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34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974B1 (ko) 2011-02-28 2011-05-23 (주) 경화엔지니어링 하수, 폐수 및 침출수 관거용 탈취장치
KR101045633B1 (ko) 2010-07-16 2011-06-30 (주) 영동엔지니어링 악취제거장치
KR101804698B1 (ko) * 2016-08-23 2017-12-06 주식회사 평강바이오 하수관거용 탈취탑
KR20180081663A (ko) * 2017-01-07 2018-07-17 이원태 음압방식을 이용한 하수구용 악취저감장치
KR101905842B1 (ko) * 2017-11-28 2018-10-08 차진명 하수관거 탈취장치
CN108625458A (zh) * 2017-03-20 2018-10-09 光大水务(深圳)有限公司 下水道除臭装置
CN109876596A (zh) * 2019-04-15 2019-06-14 石张宇 一种空气污染净化设备
CN111877518A (zh) * 2020-07-16 2020-11-03 周清 一种防淤积式污水泵站
KR102474845B1 (ko) * 2022-04-27 2022-12-07 주식회사 진성건설 보강튜브 내에서 발생하여 배출되는 유해 수증기를 정화하는 정화장치를 포함하는 하수관거 비굴착 전체 보수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4392A (ja) * 1993-08-18 1995-02-28 Asahi Tec Corp 下水道施設内悪臭ガス引抜き設備
KR100561807B1 (ko) 2005-12-05 2006-03-21 주식회사 한조엔지니어링 하수관로의 가스 배출장치
JP2007332662A (ja) 2006-06-15 2007-12-27 Kurita Water Ind Ltd マンホール用脱臭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4392A (ja) * 1993-08-18 1995-02-28 Asahi Tec Corp 下水道施設内悪臭ガス引抜き設備
KR100561807B1 (ko) 2005-12-05 2006-03-21 주식회사 한조엔지니어링 하수관로의 가스 배출장치
JP2007332662A (ja) 2006-06-15 2007-12-27 Kurita Water Ind Ltd マンホール用脱臭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633B1 (ko) 2010-07-16 2011-06-30 (주) 영동엔지니어링 악취제거장치
KR101035974B1 (ko) 2011-02-28 2011-05-23 (주) 경화엔지니어링 하수, 폐수 및 침출수 관거용 탈취장치
KR101804698B1 (ko) * 2016-08-23 2017-12-06 주식회사 평강바이오 하수관거용 탈취탑
KR20180081663A (ko) * 2017-01-07 2018-07-17 이원태 음압방식을 이용한 하수구용 악취저감장치
CN108625458A (zh) * 2017-03-20 2018-10-09 光大水务(深圳)有限公司 下水道除臭装置
KR101905842B1 (ko) * 2017-11-28 2018-10-08 차진명 하수관거 탈취장치
CN109876596A (zh) * 2019-04-15 2019-06-14 石张宇 一种空气污染净化设备
CN111877518A (zh) * 2020-07-16 2020-11-03 周清 一种防淤积式污水泵站
KR102474845B1 (ko) * 2022-04-27 2022-12-07 주식회사 진성건설 보강튜브 내에서 발생하여 배출되는 유해 수증기를 정화하는 정화장치를 포함하는 하수관거 비굴착 전체 보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7343B1 (ko) 하수관거 탈취장치
KR101243849B1 (ko) 고농도 악취가스 탈취방법과 탈취장치
KR101033291B1 (ko) 살균기능을 겸하는 악취제거 탈취탑 및 이의 이용방법
CN202044904U (zh) 一种恶臭气体处理装置
KR101150787B1 (ko) 복합악취 제거용 자연순환형 바이오필터 탈취장치
KR20140068537A (ko) 터널형으로 이루어진 탈취 및 공기정화장치
KR101738349B1 (ko) 악취 제거장치
CN201245490Y (zh) 一种硫醇类恶臭废水臭氧氧化脱臭装置
KR20210059528A (ko) 복합 다단식 탈취장치
KR200205816Y1 (ko) 유기성 악취물질 제거장치
KR100984387B1 (ko) 콤팩트형 가축분뇨 악취가스 제거장치
KR100954087B1 (ko) 분뇨처리시설용 악취제거장치
KR100943882B1 (ko) 폐가스 처리장치
KR101789146B1 (ko) 약액 세정식 다단 탈취장치
CN220565381U (zh) 一种除臭窨井盖
KR101905842B1 (ko) 하수관거 탈취장치
KR101730156B1 (ko) 하수관로 악취 제거장치
CN205392133U (zh) 一种污水废气处理装置
KR101780126B1 (ko) 악취제거용 메디아
KR101035974B1 (ko) 하수, 폐수 및 침출수 관거용 탈취장치
KR102431219B1 (ko) 약액 세정식 플라즈마 산화 복합 탈취장치 및 그 방법
KR20070116757A (ko) 가시광선/광촉매반응기와 바이오필터가 전후공정으로 각각구성된 악취폐가스 처리방법 및 장치
KR20170063020A (ko) 오염공기 탈취방법
CN221514022U (zh) 一种针对工业污水处理厂的高效除臭系统
KR101539367B1 (ko) 하수슬러지 고화처리시설의 가스 배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4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1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0041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4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00601

Appeal identifier: 2010101002826

Request date: 20100415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41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15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30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006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519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6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201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1020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3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