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878Y1 - 액체 용기 - Google Patents

액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878Y1
KR200259878Y1 KR2020010028859U KR20010028859U KR200259878Y1 KR 200259878 Y1 KR200259878 Y1 KR 200259878Y1 KR 2020010028859 U KR2020010028859 U KR 2020010028859U KR 20010028859 U KR20010028859 U KR 20010028859U KR 200259878 Y1 KR200259878 Y1 KR 2002598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ntainer
conduit
liquid
side member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교
Original Assignee
이순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교 filed Critical 이순교
Priority to KR2020010028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8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8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878Y1/ko

Link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 용기 내에 적정량 이상의 액체가 따라졌을 경우 액체가 외부로 흘러나가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액체 용기를 구성하는 부재 내에 역 U 자형 관로를 형성하되, 관로의 제 1 종단은 액체 용기 내부 공간의 하단부에, 제 2 종단은 액체 용기 외부에 각각 대응시켰으며, 관로의 높이는 액체 용기 내부 공간의 전체 체적중 적정량의 체적에 따라 설정된 액체 용기 내부 공간의 높이에 일치되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액체 용기 내에 적정량 이상의 액체가 따라졌을 경우, 사이펀 원리에 의하여 액체 용기는 관로를 통하여 외부로 자연적으로 배출된다.

Description

액체 용기{Liquid cup}
본 고안은 액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 공간에 적정량 이상의 액체가 채워졌을 때 액체가 외부로 흘러나가도록 구성된 액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 전래의 음주 문화에서는 과음을 피하라는 의미에서 술잔의 약 70 내지 80% 정도만의 술을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며, 특히 술잔에서 술이 넘치도록 술을 따르는 것은 큰 실례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적정양의 술을 따르는 것이 어려우며, 특히 술을 마신 후에 술잔에 적정량의 술을 따르는 것은 더욱 어렵다. 또한, 근래에 들어 술잔에 가득 술을 채우는 것이 예의라는 그릇된 생각이 보편화되어 있어 과음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술잔에 적정량의 술을 따르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술잔이 고안되어 왔으며, 그 예로서 술잔 내의 중앙부에 일정 높이의 내관과 외관을 형성하여 적정량 이상의 술을 따랐을 경우 술이 술잔 밖으로 배출되는 술잔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술잔은 술잔 내에 기둥 형태의 내관과 외관이 존재하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유리 또는 자기로 만들어진 소형의 술잔에 내관과 외관의 이중관을 구성하는 것은 제조 과정에서 어려움을 수반하게 된다.
본 고안은 적정량 이상의 액체(특히, 술)가 따라졌을 경우 액체가 외부로 흘러나가도록 구성함으로서 과음을 방지할 수 있는 액체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용기의 손잡이를 사이펀 관으로 이용함으로서 상술한 목적은 물론 외관상 단점을 제거할 수 있는 술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액체 용기의 다른 목적은 술잔을 구성하는 외벽 부재 내에 사이펀 관 형태의 공간부를 구성함으로서 외부에서 이러한 구성을 육안으로 볼 수 없는 액체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액체 용기를 구성하는 부재에 역 U자형의 관로를 형성하되, 관로의 제 1 종단은 액체 용기 내부 공간의 하단부에, 제 2 종단은 액체 용기 외부에 대응하며, 관로의 높이는 액체 용기 내부 공간의 전체 체적중 적정량의 체적에 따라 설정된 액체 용기 내부 공간의 높이에 일치되도록 구성하였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는, 액체 용기의 일측에 고정된 손잡이의 내부에 손잡이 길이에 걸쳐 관로를 형성되었으며, 관로의 제 1 종단은 액체 용기의 측면 부재를 관통하여 액체 용기 내부 공간의 하단에 대응한다. 여기서, 관로의 제 2 종단을 용기 받침대를 관통시킴으로서 액체가 배출되는 관로의 일단을 외부에서 볼 수 없도록 하였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관로를 액체 용기를 형성하는 측면 부재 내에 형성하였으며, 관로의 제 1 일단은 액체 용기 내부 공간의 하단부에, 또다른 일단은 액체 용기의 바닥 부재를 관통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액체 용기의 측면 부재에 관로를 구성하되, 종단이 액체 용기 내부 공간의 하단에 대응하는 제 1 수직부를 측변 부재의 한 위치에 형성하고, 수평부는 측면 부재를 따라 연장되게 구성하고, 종단이 술잔 외부에 대응하는 제 2 수직부를 측면 부재의 다른 위치에 형성시켜 제 1 수직부, 수평부 및 제 2 수직부를 서로 연결함으로서 액체 용기 측변 부재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술잔(액체 용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술잔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술잔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술잔의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술잔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술잔의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술잔(10)은 일반적인 술잔이 갖고 있는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가장 큰 특징은 술잔(10)의 일측에 고정된 손잡이(11)의 내부에 손잡이 길이에 걸쳐 관로(12; 管路)를 형성한 것으로서, 이 관로(12)는 역 U 자형, 즉 ∩형태를 갖는다. 관로 (12)의 제 1 종단(12a)은 술잔(10)의 외벽 부재(10a)를 관통하여 술잔(10) 내부 공간(S)의 하단부에 대응하며, 제 2 종단(12b)은 외부(대기)와 대응한다. 관로(12)의상단은 술잔(10) 내에서의 적정량의 술 높이(즉, 'T'로서, 술잔(10) 내부 공간(S) 높이의 약 70%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음은 물론이다)와 일치한다. 이와 같은 형태의 관로(12)는 사이펀 관(siphon tube)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술잔(10)에 술을 따르게 되면, 술잔(10)의 내부 공간(S)에 술이 채워짐과 동시에 술잔 내부 공간(S) 하단부에 대응하는 관로(12)의 일단(12a)을 통하여 관로(12) 내부에도 술이 유입되며, 술잔 내부 공간(S)의 술 높이와 관로 (12)에 유입된 술의 높이는 동일한 상태를 유지한다. 만일, 술잔(10)의 내부 공간 (S)에 채워진 술의 양이 적정선, 즉 T를 초과하면, 관로(12) 내의 술은 관로(12)의 상단을 지나 관로(12)의 또다른 일단(12b)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관로(12)를 통한 이와 같은 술의 배출시, 술잔(10) 내부 공간(S)의 압력(즉, 술 내부의 압력)과 대기압과의 압력 차이로 인하여 술잔 내부 공간(S)에 채워진 술도 관로(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사이펀 원리).
이와 같이 술잔 내부 공간(S)의 술이 관로(12)를 통하여 배출되는 과정에서 술잔 내부 공간(S)의 술의 높이가 관로(12)의 제 1 종단(12a)과 일치(즉, t)되면, 더 이상의 술의 배출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술잔은 술을 따르는 사람으로 하여금 적정량만의 술을 따르게 유도하게 되며, 결국 술을 따르는 사람은 술이 잔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술을 따를 때, 적정량의 술을 따르기 위하여 주의를 기울여야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술잔의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의 가장 큰 특징은 손잡이(21)에 형성되어 술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관로(22)를 술 받침대(20b)에 관통시켜 의 제 2 종단(22b)을 외부에 대응시킨 점이다. 따라서, 술이 배출되는 관로(22)의 제 2 종단(22b)을 외부에서 볼 수 없으며, 외부로 배출된 술이 술잔 받침대(20b) 밑에 놓여진 냅킨과 같은 술 흡수 수단에 흡수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술잔의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는 관로 (32)를 술잔(30)을 구성하는 측면 부재(30a) 내에 형성한 것이다. 즉, 술잔(30)을 형성하는 측면 부재(30a)의 두께를 보다 두껍게 구성하고, 그 측변 부재(30a) 내에 역 U 자형(∩형)의 관로(32)를 구성하였다. 관로(32)의 제 1 종단(32a)은 술잔(30) 내부 공간(S)의 하단부에, 또다른 제 2 종단(32b)은 술잔(30) 바닥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실시예 역시 관로(30)의 상단은 적정 량의 술에 대응하는 술잔(30)의 높이(T)와 일치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술잔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의 술잔(30)은 관로(32)를 측변 부재(30a)의 한 위치에서 두께에 걸쳐 형성하였기 때문에 측면 부재(32a)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밖에 없으나, 본 실시예의 술잔(40)에서는 측변 부재(40a)의 한 위치에 관로(42)의 종단(42a)이 술잔 내부 공간(S)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제 1 수직부(42-V1)만을 형성하고 수평부(42-H)는 측면 부재(40a)를 따라 연장시켰다. 그리고 관로(42)의 다른 종단(42b)이 외부와 대응하는 제 2 수직부(42-V2)를 측면 부재(40a)의 다른 위치에 형성하였다. 따라서 측면 부재(42a)의 두께를 최소한으로 줄임으로서 기존의 술잔의 외관을 크게 변형시킬 필요가 없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액체 용기 내에 항상 적정량의 이상의 액체가 따라졌을 경우,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어지며, 따라서 사용자가 액체(술, 또는 차)를 따를 때 항상 주의를 기울이게 된다.
특히, 상술한 상세한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을 술잔에 적용하였을 경우, 술잔에 적정량 이상의 술을 따를 때, 술잔에서 술이 자연적으로 배출됨으로서 술 따르는 사람이 이를 항상 유의하여 항상 적정량의 술을 따르게 된다. 또한, 술잔에 술을 가득 채우는 좋지 못한 습관을 배제할 수 있어 과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밖에, 술자리에서 항상 적정량의 술을 따라야 한다는 자세로 인하여 건전한 음주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음주량이 적은 사람이 술잔 외부로 노출된 관로의 일단을 막고 술잔에 술을 받은 후 관로의 일단을 개방하여 적정량의 술만을 남기고 외부로 술을 배출시킬 수 있어 상대방의 기분을 상하지 않고 술자리에 어울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관로를 액체 용기의 특정 위치에 구성한 것을 설명하였으나, 관로의 구성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원리를 적용할 수 있으면 그 구성 위치는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Claims (5)

  1. 액체 용기를 구성하는 부재에 역 U 자형의 관로를 형성하되, 관로의 제 1 종단은 액체 용기 내부 공간의 하단부에, 제 2 종단은 액체 용기 외부에 대응하며, 관로의 높이는 액체 용기 내부 공간의 전체 체적중 적정량의 체적에 따라 설정된 액체 용기 내부 공간의 높이에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는 액체 용기의 일측에 고정된 손잡이의 내부에 손잡이 길이에 걸쳐 형성되며, 관로의 제 1 종단은 액체 용기 측면 부재를 관통하여 액체 용기 내부 공간의 하단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의 제 2 종단은 액체 용기의 받침대에 관통시켜 액체가 배출되는 관로의 종단을 외부에서 볼 수 없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는 액체 용기를 형성하는 측변 부재 내에 형성되며, 관로의 제 1 일단은 액체 용기 내부 공간의 하단부에, 또다른 일단은 액체 용기의 바닥 부재를 관통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는 종단이 액체 용기 내부 공간의 하단에 대응하는 제 1 수직부가 측변 부재의 한 위치에 형성되며, 수평부는 측면 부재를 따라 연장되게 구성되고, 종단이 액체 용기 외부에 대응하는 제 2 수직부는 측면 부재의 다른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KR2020010028859U 2001-09-19 2001-09-19 액체 용기 KR2002598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859U KR200259878Y1 (ko) 2001-09-19 2001-09-19 액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859U KR200259878Y1 (ko) 2001-09-19 2001-09-19 액체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878Y1 true KR200259878Y1 (ko) 2002-01-09

Family

ID=73108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859U KR200259878Y1 (ko) 2001-09-19 2001-09-19 액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87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854A (ko) * 2001-11-05 2001-12-22 이재언 술잔
KR100563913B1 (ko) * 2003-07-11 2006-03-23 구상회 액면제한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741018B1 (ko) 2005-08-11 2007-07-19 한도현 술잔 제조방법 및 그 술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854A (ko) * 2001-11-05 2001-12-22 이재언 술잔
KR100563913B1 (ko) * 2003-07-11 2006-03-23 구상회 액면제한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741018B1 (ko) 2005-08-11 2007-07-19 한도현 술잔 제조방법 및 그 술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9878Y1 (ko) 액체 용기
KR200183802Y1 (ko) 소주잔
JP3247134U (ja) 見えるステンレスタンブラー・マグカップ
US20040232153A1 (en) Modular drinking vessel and method of construction of such a vessel
EP1233908A1 (en) Liquid vessel
IL289630B1 (en) A drinking vessel with a container for pouring
JP4326118B2 (ja) 竹製飲料用容器
KR200284404Y1 (ko) 액체 용기
KR200280147Y1 (ko) 술잔
CN210204299U (zh) 一种防溢出液体容器
KR200202116Y1 (ko) 술잔세트
KR200264604Y1 (ko) 일정한 양의 유체가 담겨지는 잔
KR200265429Y1 (ko) 술잔
RU48936U1 (ru) Двухъемкостная бутылка
KR200242066Y1 (ko) 술잔
KR200190548Y1 (ko) 술잔
KR200394535Y1 (ko) 내용물의 양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컵
KR200485937Y1 (ko)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
JPS5843587Y2 (ja) カツプを内蔵する容器
KR200216481Y1 (ko) 액체 용기
KR20010112854A (ko) 술잔
CN105919477A (zh) 一种隔油器
AU2003201531B2 (en) A modular drinking vessel and method of construction of such a vessel
RU2379226C1 (ru) Воронка
KR200432189Y1 (ko) 과다 충진 방지홈이 형성된 술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