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733Y1 - 온돌 난방용 배관호스 - Google Patents

온돌 난방용 배관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733Y1
KR200259733Y1 KR2020010030488U KR20010030488U KR200259733Y1 KR 200259733 Y1 KR200259733 Y1 KR 200259733Y1 KR 2020010030488 U KR2020010030488 U KR 2020010030488U KR 20010030488 U KR20010030488 U KR 20010030488U KR 200259733 Y1 KR200259733 Y1 KR 2002597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heating
piping hose
cement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4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환
Original Assignee
최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환 filed Critical 최영환
Priority to KR20200100304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7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7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733Y1/ko

Links

Landscapes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 바닥에 내장되어 보일러에서 공급되는 난방수의 열을 주변으로 전도시키는 온돌 난방용 배관호스에 관한 것으로, 전열면적의 증대와 시멘트와의 접촉성 개선을 위해 보일러의 난방장치에 연결되면서 실내 바닥에 시멘트로 감싸여 설치되어 공급되는 난방수의 열을 주변으로 전도시키는 온돌 난방용 배관호스에 있어서, 상기 배관호스의 단면이 연속된 파형(1)을 이룬 중공호스(2)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온돌 난방용 배관호스{Piping Hose for Heating Room}
본 고안은 보일러의 난방시설에서 공급되는 난방수 전열면적을 증대시키어 전열효과를 증대시키고 시공시 시멘트등과 접촉성도 개선시킨 온돌 난방용 배관호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보일러의 난방수가 공급되어 건물의 난방을 시키는 배관용 난방호스는 실내 난방바닥에 시멘트로 감싸여 설치되는바, 이러한 난방호스의 재질은 주로 P.E. 내지는 P.P.와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종래 온돌 난방호스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3와 같이 그 단면이 원형의 단일팅 형상의 중공호스(102)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같은 종래 온돌 난방호스는 난방수의 전열효과를 개선시키기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보일러의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난방수가 이 온돌 난방호스를 통하여 흐르면서 열을 실내바닥으로 전도시키도록 되어 있으나, 밋밋한 난방호스의 단면적에 따라 효과적인 전열작용을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실내 바닥에 온돌 난방호스시공시 이 난방호스와 이를 감싸는 시멘트 사이의 접촉성에도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난방수 공급시 전열효과의 증대와 주변 시멘트와의 접촉성 개선 및 재료비 절감도 이루어지는 온돌 난방용 배관호스를 제공함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온돌 난방용 배관호스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종래구조로서, 도1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파형 2 - 중공호스
3a - 바깥면 3b - 안쪽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보일러의 난방장치에 연결되면서 실내 바닥에 시멘트로 감싸여 설치되어 공급되는 난방수의 열을 전도시키는 온돌 난방용 배관호스에 있어서, 상기 배관호스의 단면이 연속된 파형을 이전 중공호스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온돌 난방용 배관호스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의 난방장치에 연결되면서 실내바닥에 시멘트로 감싸여 설치되어 공급되는 난방수의 열을 주변으로 전도시키는 온돌 난방용 배관호스에 있어서, 상기 배관호스의 단면이 연속된 파형(1)을 이룬 중공호스(2)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은 도1과 같이 중공호스(2)의 바깥면(3a)은 파형(1)을 이루고 안쪽면(3b)은 밋밋한 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도2와 같이 중공호스(2)의 바깥면(3a)과 안쪽면(3b) 모두 파형(1)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배관호스는 공지의 재질인 P.E 내지 P.P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배관호스를 실내바닥에 시공시 중공호스(2)의 파형(1)부분이 시멘트와 접촉성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이 파형(1)부분의 전열면적 증대로 공급되는 난방수의 유체난류에 의한 전열효과도 상승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파형(1)의 단면을 가진 온돌 난방호스는 동일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기존 난방호스에 비해 두께의 감소로 재료비의 절감도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온돌 난방용 배관호스는 난방수의 전열효과 증대와 이 배관호스를 감싸는 시멘트 와의 접촉성 향상 및 재료비의 절감도 이루어지는 효과를 지닌다.

Claims (1)

  1. 보일러의 난방장치에 연결되면서 실내 바닥에 시멘트로 감싸여 설치되어 공급되는 난방수의 열을 주변으로 전도시키는 온돌 난방용 배관호스에 있어서, 상기 배관호스의 단면이 연속된 파형(1)을 이룬 중공호스(2)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 난방용 배관호스.
KR2020010030488U 2001-10-06 2001-10-06 온돌 난방용 배관호스 KR2002597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488U KR200259733Y1 (ko) 2001-10-06 2001-10-06 온돌 난방용 배관호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488U KR200259733Y1 (ko) 2001-10-06 2001-10-06 온돌 난방용 배관호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733Y1 true KR200259733Y1 (ko) 2002-01-09

Family

ID=73109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488U KR200259733Y1 (ko) 2001-10-06 2001-10-06 온돌 난방용 배관호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7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4236A1 (ko) 2012-07-20 2014-01-23 Shin Yoon Min 온수 보일러와 난방 배관용 파이프 및 그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4236A1 (ko) 2012-07-20 2014-01-23 Shin Yoon Min 온수 보일러와 난방 배관용 파이프 및 그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12099Y2 (ko)
DE69905632D1 (de) Lamellenwärmetauscher mit Rohrverbindung
GB2083603A (en) A pipe made from flexible or rigid plastics material, for conveying heat transfer fluids
KR200259733Y1 (ko) 온돌 난방용 배관호스
KR20050075887A (ko)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
KR200241473Y1 (ko) 난방배관용플레이트
KR200165442Y1 (ko) 플랙시블 이중관
KR910005062B1 (ko) 보일러 및 냉방기 파이프의 보온, 보냉용 단열카바
WO2002081978A8 (en) Device for a hot water tank of the pressure heater type and a fitting for a hot water tank of the pressure heater type
KR200291665Y1 (ko) 가정용 난방시스템용 온돌패널어셈블리
ID28706A (id) Pemasang pipa untuk pendingin udara
JPH0725526Y2 (ja) 組み合わせ二重管を使用した面発熱体
KR200367894Y1 (ko) 열효율을 향상시킨 온돌 난방용 플라스틱 파이프
KR100531440B1 (ko) 실내용 합성수지제 난방 파이프
WO1997045681A1 (en) Integrally formed, combined heat exchanger
KR100554528B1 (ko) 난방용 온수파이프의 커버 및 그 제조방법
JP2006250526A (ja) 床暖房放熱器
JP2602483Y2 (ja) 蛇 口
KR20000050963A (ko) 입상 분기 배관의 신축량 흡수 배관 방법 및 신축량 흡수 분기관
KR102048055B1 (ko) 파이프 연결 장치용 수밀 부재
JPH11325566A (ja) 二管路フレキシブルダクト
JP3069338U (ja) 給水・給湯用断熱管
KR20030009822A (ko) 온돌 패널 시스템
JP3606924B2 (ja) 温水パイプの接続方法とその接続部
KR101169599B1 (ko) 폴리부틸렌 소재의 냉온수 및 에어 공급용 코르게이트 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