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0963A - 입상 분기 배관의 신축량 흡수 배관 방법 및 신축량 흡수 분기관 - Google Patents

입상 분기 배관의 신축량 흡수 배관 방법 및 신축량 흡수 분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0963A
KR20000050963A KR1019990001164A KR19990001164A KR20000050963A KR 20000050963 A KR20000050963 A KR 20000050963A KR 1019990001164 A KR1019990001164 A KR 1019990001164A KR 19990001164 A KR19990001164 A KR 19990001164A KR 20000050963 A KR20000050963 A KR 20000050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ranch pipe
branch
granular
flexi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규
Original Assignee
김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규 filed Critical 김정규
Priority to KR1019990001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0963A/ko
Publication of KR20000050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0963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 F16L27/10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comprising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 F16L27/107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 F16L27/11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the sleeve having the form of a bellows with multiple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P.D(Pipe Duct) 내에 설치되어 난방 또는 급탕용으로 사용하는 입상 분기 배관의 분기관을 배관하는 방법 및 이 분기관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뜨거운 증기나 온수에 의해 분기관이 팽창 및 수축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입상관(20)에서 연결되는 분기관(30)을 3∼4번 꺾어서 엘보(40)로 연결하는 스위블드 조인트(Swiveled Joint) 방법을 사용하여 왔으나, 이러한 스위블드 조인트 방법의 분기관(30)은 P.D(13) 내의 공간 부족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위블드 조인트 방식의 분기관(30) 대신 후렉시블 관(4)을 상기 분기관으로 대체하여 사용함으로써, 팽창 및 수축의 신축량을 후렉시블 관(4)이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배관 방법 및 신축량을 흡수하는 분기관인 상기 후렉시블 관(4)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입상 분기 배관의 신축량 흡수 배관 방법 및 신축량 흡수 분기관{PLUMBING METHOD AND PIPE OF DIVERGENCE}
본 발명은 건물의 내벽 P.D(Pipe Duct)에 설치되는 난방 또는 급탕용의 입상 (立像) 분기(分岐) 배관(配管)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상기 입상 분기 배관을 통하여 온수 또는 뜨거운 증기가 통과함으로써 발생하는 분기 배관의 신축량을 흡수할 수 있도록 후렉시블 관을 분기관으로 배관하는 방법 및 그 분기관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에는 난방이나 급탕 또는 오수 등이 통과하는 관을 건물의 내벽 P.D 내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관들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P.D 내에서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입상관에서 분기관을 연결하여 건물 내부의 일정한 공간, 즉 아파트 같은 경우에는 각 세대로 상기 분기관을 배관하고 있다.
그런데, P.D 내에 설치되는 입상 분기 배관이 난방 또는 급탕용의 배관인 경우 뜨거운 증기나 온수가 이 관을 통과하게 됨으로써 상기 입상 분기 배관은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게 되고, 이로 인해 관의 파손으로 인한 누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종래에는 입상 분기 배관의 신축량을 흡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상관(20)에서 연결되는 분기관(30)을 연결하되, 삼각형의 형태로 세 번이나 네 번을 꺾어서 연결 부분에 엘보(40)를 배관하는 스위블드 조인트(Swiveled Joint)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스위블드 조인트 방법에 의하여 꺾여진 부분에 설치한 3∼4개의 엘보가 분기관의 축방향 신축을 흡수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 입상 분기 배관 방법 즉, 스위블드 조인트 방식을 사용할 경우 엘보에 의해 분기관이 삼각형 내지 사각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P.D 공간의 확보가 커야할 뿐 아니라, 상기 스위블드 조인트 방식을 채택하면 엘보로 분기관이 연결되기 때문에 P.D 내부의 배관이 복잡하여 유지 보수의 관리가 곤란하며, 또한 P.D 내부에 엘보에 의한 배관 이음 개소의 과다로 인해 누수 등의 하자 발생의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엘보를 사용하는 스위블드 조인트 방식의 분기 배관 방법을 개선하여 종래 분기관 대신 주름관으로 이루어진 후렉시블(Flexible) 관을 입상관에서 분기하여 연결하는 분기관을 사용하는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입상 배관의 신축량을 상기 후렉시블 관이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입상 분기 배관이 설치된 P.D(Pipe Duct) 내부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상 분기 배관이 설치된 P.D 내부의 종단면도 및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분기관으로 사용하는 후렉시블 관의 사시도.
(도면 부호의 설명)
1...입상관, 2...상부 연결관,
3...하부 연결관, 4...후렉시블 관,
5,5'...엘보, 6...연결 커플링,
7...너트, 8...커플링 나사관,
9...게이트 밸브, 10...연결 나사관,
11...주름관, 12...철사띠,
13...P.D(Pipe Duct).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상기 입상 배관의 신축량 흡수 배관 방법 및 신축량 흡수 분기관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P.D 내의 입상관에 스위블드 조인트 방식을 사용하여 연결하였던 종래 분기관을 후렉시블 관으로 대체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P.D(13) 내에 설치된 입상관(1)에서 분기되는 상부 연결관(2)과 내부공간으로 통하는 하부 연결관(3) 사이를 후렉시블 관(4)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때, 연결 형태는 후렉시블 관(4)의 상부에 게이트(Gate) 밸브(9)를 연결하여 이 게이트 밸브와 상부 연결관(2)을 엘보(5)로 나사 결합하며, 후렉시블 관(4)의 하부에 상기 후렉시블 관에서 연장된 관과 하부 연결관(3)을 엘보(5')로 나사 결합한다(이때 상기 게이트 밸브(9)는 관을 통과하는 뜨거운 증기나 온수를 차단하거나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렇게 연결되는 상기 후렉시블 관(4)의 구성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에 철사띠(12)가 X-형태로 교차해서 엮어져 있는 주름관(11)의 상부에 연결 커플링(6)을 결착하여 이 연결 커플링의 바깥으로 너트(7)를 삽입한 후, 이 너트(7)와 양쪽에 나사산이 형성된 커플링 나사관(8)의 한 쪽을 나사 결합한 다음, 다른 쪽에는 게이트(Gate) 밸브(9)가 나사 결합되어 있고, 하부에 연결 나사관(10)을 바로 결착하여 이 연결 나사관(10)에서 연장된 관과 엘보(5')를 직접 나사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입상관(1)에서 분기하는 분기관으로 설치된 주름관(11) 즉, 후렉시블 관(4)은 증기나 온수에 의한 팽창과 수축을 흡수하여 관의 신축을 조절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되고, P.D 내의 공간 형상이 구부러진 곡선형이나 그 이외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그것에 따라 자유자재로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목적과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면 P.D 내부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입주자의 사용공간을 증대할 수 있고, P.D 내부의 입상 분기 배관을 간소화하게 할 수 있어 유지 보수 관리가 용이하며, P.D 내부의 분기관의 배관 이음개소를 줄임으로써 누수로 인한 하자 발생의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건물의 파이프 덕트 내에 설치하는 입상 분기 배관의 신축량 흡수 배관 방법에 있어서,
    파이프 덕트 (13) 내에 설치된 입상관(1)에서 분기되는 상부 연결관(2)과 내부공간으로 통하는 하부 연결관(3) 사이에 후렉시블 관(4)으로 연결하되, 그 연결 형태는 후렉시블 관(4)의 상부에 게이트 밸브(9)를 연결하고, 이 게이트 밸브와 상부 연결관(2)을 엘보(5)로 나사 결합하며, 후렉시블 관(4)의 하부에 상기 후렉시블 관에서 연장된 관과 하부 연결관(3)을 엘보(5')로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 분기 배관의 신축량 흡수 배관 방법.
  2. 입상 분기 배관의 분기관에 있어서,
    후렉시블 관(4)은 외주에 철사띠(12)가 X-형태로 교차해서 엮어져 있는 주름관(11)의 상부에 연결 커플링(6)을 결착하여 이 연결 커플링의 바깥으로 너트(7)를 삽입한 후, 이 너트(7)와 양쪽에 나사산이 형성된 커플링 나사관(8)의 한 쪽을 나사 결합하고, 상기 주름관(11)의 하부에 연결 나사관(10)을 바로 결착한 분기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 분기 배관의 신축량 흡수 분기관.
KR1019990001164A 1999-01-16 1999-01-16 입상 분기 배관의 신축량 흡수 배관 방법 및 신축량 흡수 분기관 Abandoned KR20000050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164A KR20000050963A (ko) 1999-01-16 1999-01-16 입상 분기 배관의 신축량 흡수 배관 방법 및 신축량 흡수 분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164A KR20000050963A (ko) 1999-01-16 1999-01-16 입상 분기 배관의 신축량 흡수 배관 방법 및 신축량 흡수 분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0963A true KR20000050963A (ko) 2000-08-05

Family

ID=19571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164A Abandoned KR20000050963A (ko) 1999-01-16 1999-01-16 입상 분기 배관의 신축량 흡수 배관 방법 및 신축량 흡수 분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09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907B1 (ko) * 2007-11-01 2009-08-2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담수설비의 스팀 배관용 신축장치
KR102297742B1 (ko) * 2021-05-14 2021-09-03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분기 배관 및 주름 배관에 의한 배관 모듈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907B1 (ko) * 2007-11-01 2009-08-2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담수설비의 스팀 배관용 신축장치
KR102297742B1 (ko) * 2021-05-14 2021-09-03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분기 배관 및 주름 배관에 의한 배관 모듈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50963A (ko) 입상 분기 배관의 신축량 흡수 배관 방법 및 신축량 흡수 분기관
KR20120015085A (ko)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천정매립형 분배기
KR20070029781A (ko) 배관연결구 및 이 배관연결구를 이용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연결시스템
KR100647525B1 (ko) 하수관 연결용 엘보
KR200427223Y1 (ko) 매립형 배수 접속기
KR0117170Y1 (ko)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배관장치
CN222378076U (zh) 一种新型的再热器减温器套管结构
KR100527179B1 (ko)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CN2498437Y (zh) 可伸缩管道接头
JP7446883B2 (ja) 多重給水管の止水構造および配管設置構造
KR200259733Y1 (ko) 온돌 난방용 배관호스
CN222783134U (zh) 一种结构强度高的给水管
JPH06331100A (ja) ベント配管構造
CN201071995Y (zh) 不锈钢分水器总成
JPS6016692Y2 (ja) 洗面器配管ユニツト
KR200366489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
JP2006145392A (ja) 原子力プラント
CN220958665U (zh) 一种用于单体建筑中采暖系统的补偿排气泄水装置
CN108888146A (zh) 浴室柜
CN209705510U (zh) 一种注塑成型的转角l型管件
RU2182201C1 (ru) Шахт-пакет
KR200143101Y1 (ko) 노통연관식보일러와 흡수식냉동기의 병설구조
KR920001969Y1 (ko) 누수테스터용 연결관
KR200282224Y1 (ko) 앵글 가지관을 가진 스프링클러헤드 접속배관용삼방티(“t”)
KR200369159Y1 (ko) 새들분수전의 조임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129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