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907B1 - 담수설비의 스팀 배관용 신축장치 - Google Patents

담수설비의 스팀 배관용 신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907B1
KR100912907B1 KR1020070111211A KR20070111211A KR100912907B1 KR 100912907 B1 KR100912907 B1 KR 100912907B1 KR 1020070111211 A KR1020070111211 A KR 1020070111211A KR 20070111211 A KR20070111211 A KR 20070111211A KR 100912907 B1 KR100912907 B1 KR 100912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team pipe
steam
expansion
b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4921A (ko
Inventor
이병철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1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907B1/ko
Publication of KR20090044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배관에 다수의 신축 굴곡부를 형성하여 고온의 열에 의해 배관이 신장될 경우에 배관에서 발생되는 추력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담수설비의 스팀 배관용 신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담수설비의 스팀 배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스팀 배관의 팽창량을 흡수하는 신축 굴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 굴곡부는, 스팀 배관과 연통되어 있고 수평상의 스팀 배관에 대하여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굴곡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굴곡관은, 양측에 구비되어 스팀 배관과 원호형 굴곡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양 수직관과, 양 수직관의 하부와 원호형 굴곡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수평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신축 굴곡부는 스팀배관에서 일체로 연통되게 구성되고; 상기 신축 굴곡부는 다수로 분할되어 상호 용접을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담수설비, 스팀 배관, 신축장치, 하부 서포트

Description

담수설비의 스팀 배관용 신축장치{Steam pipe line expansion apparatus of the fresh-water equipment}
본 발명은 담수설비의 스팀 배관용 신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배관에 다수의 신축 굴곡부를 형성하여 고온의 열에 의해 배관이 신장될 경우에 배관에서 발생되는 추력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담수설비의 스팀 배관용 신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수설비는, 물이 부족한 지역에서 인공적으로 담수를 생산하여 식수나 농업용수 및 공업용수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해수에서 담수를 분리해 내는 방법에 따라 증발법, 역삼투압법, 전기투석막법, 냉동법 등 다양한 방법 및 그에 따른 담수설비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통상적인 담수설비는 해수의 가열로 증발되는 스팀상의 담수를 이송시키기 위한 스팁 배관을 포함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스팀 배관이 고온의 열에 의해 늘어나는 팽창량을 흡수하기 위한 신축장치를 개량한 것이다.
이에, 먼저 종래의 스팀배관용 신축장치는 신축 이음장치를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다.
즉, 도 5는 종래의 신축이음 장치가 장착된 스팀 배관을 나타낸 개략 정면도로서, 종래의 신축 이음장치(100)는, 다수로 분리된 스팀 배관(200)의 사이에 스팀 배관(200)의 신장에 따른 팽창량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플렌지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팀배관(200)은 다수의 하부 서포트(300)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신축 이음장치를 스팀 배관에 장착할 경우에는, 배관에서 큰 추력이 발생됨으로써 배관을 지지하고 있는 하부 서포트들이 기울어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각각의 신축 이음장치는 배관의 팽창량을 흡수하는데 한계가 있음으로써, 스팀 배관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좁은 간격에 많은 수의 신축 이음장치를 시공해야 함에 따라 배관을 지지하는 하부 서포트들이 휘어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상기 신축 이음장치를 장기간 동안 사용할 경우에는 플렌지 연결부의 패킹 등이 마모됨으로써,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부에서 스팀이 누출되는 대형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배관에 다수의 신축 굴곡부를 형성함으로써 고온의 열에 의해 배관이 신장될 경우에 배관에서 발생되는 추력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담수설비의 스팀 배관용 신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팀 배관의 전체적인 무게를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신축장치를 제공하는 목적도 있다.
또 스팀 배관을 장기가 사용하더라도 배관에서 스팀이 누출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담수설비의 스팀 배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스팀 배관의 팽창량을 흡수하는 신축 굴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 굴곡부는, 스팀 배관과 연통되어 있고 수평상의 스팀 배관에 대하여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굴곡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굴곡관은, 양측에 구비되어 스팀 배관과 원호형 굴곡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양 수직관과, 양 수직관의 하부와 원호형 굴곡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수평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신축 굴곡부는 스팀배관에서 일체로 연통되게 구성되고; 상기 신축 굴곡부는 다수로 분할되어 상호 용접을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고온의 열에 의해 신축 배관이 신장될 경우에 신축 배관에서 발생되는 추력을 최소로 줄여 신축 배관을 지지하는 하부 서포트의 경사지는 손상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스팀 배관을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팀 배관의 전체적인 무게를 최소로 줄여 하부 서포트가 휘어지는 손상를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스팀 배관을 좀 더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스팀 배관을 장기가 사용하더라도 배관에서 스팀이 누출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대형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축장치가 구비된 배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장치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배관용 신축장치는, 담수설비를 구성하는 스팀 배관(3)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스팀 배관(3)의 팽창량을 흡수하는 신축 굴곡부(1)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신축 굴곡부(1)는 스팀 배관(3)에 일체로 연통되게 구성됨으로써, 신축 배관(3)의 신장과 더불어 변형되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신축 굴곡부(1)는, 스팀 배관(3)과 연통되어 있고 수평상의 스팀 배관(3)에 대하여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굴곡관(11)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굴곡관(11)은, 양측에 구비되어 스팀 배관(3)과 원호형 굴곡부(113)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양 수직관(111)과, 양 수직관(111)의 하부와 원호형 굴곡부(113)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수평관(112)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스팀 배관(3)은, 철재로 구성된 다수의 하부 서포트(2)를 통해 지상에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서, 담수 설비에 있어서 고온의 스팀을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 굴곡부(1)는 다수의 분할되어 상호 용접을 통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신축 굴곡부(1)를 구성하는 양 수직관(111)과 스팀 배관(3)을 연결하는 원호형 굴곡부(113)는 다수의 분할된 관이 상호 용접되어 원호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고열로 인하여 스팀 배관(3)이 신장되어 신축 굴곡부(1)가 변형될 경우에 스팀 배관(3)과 신축 굴곡부(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신축 굴곡부(1)를 구성하는 양 수직관(111)과 하부 수평관(112)의 사이에 형성된 원호형 굴곡부(113)도 다수의 분할된 관이 상호 용접되어 원호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고열로 인하여 스팀 배관(3)이 신장되어 신축 굴곡부(1)가 변형될 경우에 양 수직관(111)과 하부 수평관(112)의 연결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신축장치가 구비된 배관이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4에서는 스팀 배관의 신장 전 상태를 실선으로 표시하였고, 스팀 배관의 신장된 상태를 가상선(이점쇄선)으로 표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축장치들이 구비된 스팀 배관(3)이 내부를 통과하는 스팀으로 인하여 온도가 상승되게 되면, 스팀 배관(3)이 신장됨에 따라서 신축 굴곡부(1)가 변형되면서 스팀 배관(3)의 신장을 상쇄시키는 것이다.
즉 스팀 배관(3)이 신장될 경우에는, 신축 굴곡부(1)를 구성하는 양 수직관(111)이 경사지게 되고 하부에 위치된 수평관(112)이 신장됨으로서 스팀 배관(3)의 신장시 발생되는 팽창력을 상쇄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팀 배관(3)이 신장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스팀 배관(3)과 양 수직관(111)의 사이에 원호형 굴곡부(1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 수직관(111)과 하부 수평관(112)의 사이에 원호형 굴곡관(11)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서, 신축 굴곡부(1)를 구성하는 수직관(111)과 수평관(113)이 변형되는 시점에서 각각의 원형 굴곡관(11)에서 변형을 상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신축 굴곡부(1)에서 변형이 발생되면 원호형 굴곡부(113)에서도 변형을 상쇄시킴에 따라서 각 원호형 굴곡부(113)의 손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스팀 배관(3)을 장기간 동안 사용하더라고 신축 굴곡부(1)와 스팀 배관(3)의 연결 부분에서 스팀이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신축 굴곡부(1)를 구성하는 수직관(111)과 수평관(112)의 연결부에서 스팀이 누출되 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온으로 인하여 스팀 배관(3)이 신장될 경우에는, 양 수직관(111)의 상부가 상호 좁아지는 변형을 일으키게 됨으로써 각 신축 굴곡부(1)들의 사이에 구비된 스팀 배관(3)은 위치가 변화되지 않고 양측부만 신장된다.
따라서 스팀 배관(3)에서 발생되는 추력이 저감됨으로써, 스팀 배관(3)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서포트(2)가 기울어지는 변형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신축 굴곡부(1)를 스팀 배관(3)에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스팀 배관(3)의 전체적인 무게를 줄임으로써, 스팀 배관(3)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서포트(2)가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하부 서포트(2)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스팀 배관(3)을 좀더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담수설비의 스팀 배관용 신축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축장치가 구비된 배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장치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신축장치가 구비된 배관이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종래의 신축이음 장치가 장착된 스팀 배관을 나타낸 개략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축 굴곡부
11 : 굴곡관
111 : 수직관, 112 : 수평관, 113 : 원호형 굴곡부
2 : 하부 서포트
3 : 스팀 배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담수설비의 스팀 배관(3)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스팀 배관의 팽창량을 흡수하는 신축 굴곡부(1)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 굴곡부(1)는, 스팀 배관(3)과 연통되어 있고 수평상의 스팀 배관(3)에 대하여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굴곡관(11)으로 구성되고;
    상기 굴곡관(11)은, 양측에 구비되어 스팀 배관(3)과 원호형 굴곡부(113)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양 수직관(111)과, 양 수직관(111)의 하부와 원호형 굴곡부(113)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수평관(1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신축 굴곡부(1)는 스팀배관(3)에서 일체로 연통되게 구성되고;
    상기 신축 굴곡부(1)는 다수로 분할되어 상호 용접을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설비의 스팀 배관용 신축장치.
KR1020070111211A 2007-11-01 2007-11-01 담수설비의 스팀 배관용 신축장치 KR100912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211A KR100912907B1 (ko) 2007-11-01 2007-11-01 담수설비의 스팀 배관용 신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211A KR100912907B1 (ko) 2007-11-01 2007-11-01 담수설비의 스팀 배관용 신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921A KR20090044921A (ko) 2009-05-07
KR100912907B1 true KR100912907B1 (ko) 2009-08-20

Family

ID=40855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211A KR100912907B1 (ko) 2007-11-01 2007-11-01 담수설비의 스팀 배관용 신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9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334B1 (ko) * 2020-02-12 2020-06-26 필성건설 주식회사 가스 배관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481A (ja) * 1991-09-13 1993-03-23 Sekisui Chem Co Ltd 伸縮継手と管の曲げ加工用型
KR200164129Y1 (ko) 1999-03-30 2000-02-15 김정학 수도관의신축관연결구조
KR20000050963A (ko) * 1999-01-16 2000-08-05 김정규 입상 분기 배관의 신축량 흡수 배관 방법 및 신축량 흡수 분기관
KR200220150Y1 (ko) 2000-11-23 2001-04-16 정호진 루프형 벨로우즈 신축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481A (ja) * 1991-09-13 1993-03-23 Sekisui Chem Co Ltd 伸縮継手と管の曲げ加工用型
KR20000050963A (ko) * 1999-01-16 2000-08-05 김정규 입상 분기 배관의 신축량 흡수 배관 방법 및 신축량 흡수 분기관
KR200164129Y1 (ko) 1999-03-30 2000-02-15 김정학 수도관의신축관연결구조
KR200220150Y1 (ko) 2000-11-23 2001-04-16 정호진 루프형 벨로우즈 신축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921A (ko)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1144650A (ru) Парогенератор
SK287649B6 (sk) Parný generátor
EP2780644A1 (en) Solar tube panel with dual-exposure heat absorption
US5477848A (en) Solar collector expansion assembly
RU2007134389A (ru) Прямоточный парогенератор
KR100912907B1 (ko) 담수설비의 스팀 배관용 신축장치
WO2016143773A1 (ja) 復水器
ITTO20110045A1 (it) Dispositivo per il collegamento del tubo ricevitore di un concentratore solare orientabile a tubazioni fisse.
CN202901676U (zh) 高山大温差环境下用输水管道
PT1288605E (pt) Dispositivo de armazenamento de calor de termosifao
CN213984739U (zh) 一种冷却器组件防护部件
CN103776293A (zh) 多功能翅管式水平支撑结构
KR20110039014A (ko)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장치의 열교환기 유니트
CN110822949B (zh) 一种列片式换热器及其使用方法和清洗维护方法
CN209263763U (zh) 一种用于余热锅炉的换热管组安装结构
KR200326256Y1 (ko) 증기발생기의 번들 지지대
CN215951370U (zh) 锅炉管道余热回收装置
CN217003433U (zh) 带有连接结构的海洋工程用高强度无缝钢管
CN208205901U (zh) 一种水面用漂浮钛管
CN219714105U (zh) 一种高压水舱换热装置
EP2955461A1 (en) Improved solar receiver configuration
Caligiuri et al. Thermal constraint considerations in design of a heat recovery boiler
CN106765051B (zh) 一种具有消除热膨胀功能的过热器保护装置
CN211585266U (zh) 一种防堵型真空闪蒸罐过滤器
KR20180000486A (ko) 소화조용 이중관식 열교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