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642Y1 - 도로표지판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도로표지판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642Y1
KR200259642Y1 KR2020010026995U KR20010026995U KR200259642Y1 KR 200259642 Y1 KR200259642 Y1 KR 200259642Y1 KR 2020010026995 U KR2020010026995 U KR 2020010026995U KR 20010026995 U KR20010026995 U KR 20010026995U KR 200259642 Y1 KR200259642 Y1 KR 2002596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road sign
bracket
roa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백상
Original Assignee
윤백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백상 filed Critical 윤백상
Priority to KR2020010026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6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6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642Y1/ko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명이 표기된 도로표지판을 지면에 입설할 때에 도로표지판이 지주의 상부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지주와 브라켓이 결합됨에 있어 결합력을 강화하는 결합보조구를 더 구성하여 상기 결합보조구에 의해 지주의 상부에 결합된 브라켓이 유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도로표지판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도로표지판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인 도로표지판 결합구조는, 협지부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된 지주와, 상기 협지부에 끼워지는 끼움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도로표지판이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고 상/하부면에 볼트공이 형성된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0)의 끼움부(21)가 끼워지는 지주(10)의 협지부(11)와 협지부(11) 사이에 형성된 인입부(12), 상기 인입부(12)에 인입되고 상/하부에 결합공(51)이 통공된 장형의 몸체를 갖는 결합보조구(5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표지판 결합구조{STRUCTURE FOR FIXING TRAFFIC SIGNBOARD}
본 고안은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로표지판이 지주의 상부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장기간 방치하여도 도로표지판이 지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도로표지판과 지주와의 결합력이 강화된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 또는 보행자들에게 도로명을 알려주기 위해 도로안내구가 지면에 설치되는 바, 이 도로안내구는, 지주와, 이 지주의 상부에 결합되는 도로표지판으로 구성되며, 이 도로명이 표기된 도로표지판을 지주에 결합하는 방법은, 하부가 지면에 매립되어 입설된 지주의 상부에 도로명이 표기된 도로표지판을 결속밴드 등으로 결속하여 결합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설치된 도로안내구는, 도로명을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알려줌으로써 가고자 하는 도로명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결속밴드를 이용하여 도로표지판을 지주의 상부에 결합할 경우, 장시간이 지나는 동안에 이 결속밴드의 결속력이 약화되어 도로표지판이 지주의 상부로부터 아래로 떨어질 뿐만 아니라, 도로표지판이 바람이나 또는 차량등과 같은 외부의 힘에 의해 가격(加擊)을 당할 경우에는 가리키는 위치가 움직이게 되어 처음 설치된 방향과는 전혀 다른 방향을 가리킴으로써, 보행자 또는 운전자들이 도로명을 식별하는데에 어려움이 있다.
한편, 다수개의 끼움편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지주가 도로표지판을 설치하는데에 사용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이 해결되고 있다.
도 5는 그 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협지부(1a)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된 지주(1)와, 상기 지주의 협지부(1a)에 협지되는 끼움부(2a)가 일측에 형성되고 도로표지판(3)이 결합되는 결합부(2b)가 타측에 형성된 브라켓(2)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도로표지판 결합구조는, 지주(1)의 외주면에 형성된 협지부(1a)에 상기 브라켓(2)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부(2a)를 끼우고, 볼트(3)로써 상기 브라켓과 지주를 결합한 후, 브라켓(2)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부(2b)에 도로명이 표기된 도로표지판(3)을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도로표지판 결합구조는, 도로표지판(3)이 결합된 브라켓(2)이 지주(1)의 상부에 볼트(4)에 의해 결합되고 또한, 브라켓(2)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부(2a)가 상기 지주(1)의 협지부(1a)에 협지됨에 따라, 결속밴드를 이용한 도로표지판의 결합구조와는 달리 결합력이 강화되어 도로표지판의 가리키는 방향이 처음 설치 할 때의 방향에서 벗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주의 외면부에 협지부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하는 위치에 쉽게 도로표지판을 결합할 수 있으며, 하나의 지주에 여러개의 도로표지판을 결합함으로써 네거리 등과 같이 교차하는 도로에서 각각의 도로명을 가리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지주(1)와 브라켓(2)이 단순히 볼트(4)에 의해서만 서로 결합되기 때문에, 종래의 결속밴드를 이용한 도로표지판 결합구조보다는 결합력이 강화 되었긴 했으나, 그 결합력이 크게 강화되지는 못하고 있다.
예를들어, 도로안내구가 장기간동안 도로에 설치될 경우, 이 도로안내구를 이루는 지주(1)의 상부에 결합된 도로표지판(3)이 차량이나 바람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타격을 받게되면 상기 도로표지판(3)이 결합된 브라켓(2)이 유동되고, 따라서 브라켓(2)을 지주(1)에 결합하는 수단인 볼트(4)의 조임이 느슨해지기 때문에, 결국엔 도로표지판이 흔들리거나 하여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다수개의 협지부가 외면부에 형성된 지주에 도로표지판을 결합함에 있어서 도로표지판과 지주와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도로표지판 결합구조가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로표지판 결합구조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도로표지판이 결합된 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부가 끼워지는 지주의 협지부 사이에 인입부를 더 형성하고, 이 인입부에 인입되는 결합결합보조구를 더 구성함으로써, 상기 지주의 상부에 도로표지판이 결합된 브라켓을 결합하여 볼트로 체결하되 볼트가 결합보조구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결합보조구에 의해 지주의 상부에 결합된 브라켓이 유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도로표지판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도로표지판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에 의해 도로안내구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의 구성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일부생략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 도로표지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주 11 : 협지부
12 : 인입부 20 : 브라켓
21 : 끼움부 22 : 결합부
23 : 볼트공 50 : 결합보조구
51 :결합공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판 결합구조는, 협지부가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된 지주와, 상기 협지부에 끼워지는 끼움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도로표지판이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고 상/하부면에 볼트공이 형성된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끼움부가 끼워지는 지주의 협지부 사이에는 인입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에 인입되며 상/하부에 결합공이 통공된 결합보조구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판 결합구조는, 도로표지판이 결합된 브라켓이 지주의 상부 외주면에 결합될 때, 체결수단인 볼트가 상기 브라켓의 볼트공을 지나 상기 협지부 사이에 형성된 인입부에 인입되어 있는 결합보조구의 결합공에 체결되고 이에 따라 상기 결합보조구가 인입부와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브라켓과 지주와의 결합력이 더욱 강화되어 도로표지판을 견고하게 지면에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에 의해 지면에 설치된 도로안내구(1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인 도로표지판 결합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부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된 협지부(11), 상기 협지부(11)와 협지부(11)사이에 형성된 인입부(12)를 갖는 지주(10)와, 상기 인입부(12)에 인입되며 상/하부에 결합공(51)이 통공된 결합보조구(50)와, 상기 지주(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협지부(11)에 끼워지는 끼움부(21)가 양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도로표지판(3)이 결합되는 결합부(22)가 형성되며, 상/하부에 상기 결합보조구(50)에 통공된 결합공(51)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볼트공(23)이 형성된 브라켓(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판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도로명을 가리키는 도로안내구(100)를 지면에 설치하는 방법은, 먼저 지주(10)의 하부를 땅에 매립함으로써, 이 지주(10)를 지면에 입설하고, 입설된 지주의 상부에 도로표지판이 타측에 결합된 브라켓을 결합하면 되는 것으로, 상기 브라켓을 지주의 상부에 결합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협지부(11)에, 상기 브라켓(20)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부(21)를 끼우고, 상기 협지부(11)와 협지부(11) 사이에 형성된 인입부(12)내로 상/하부에 결합공(51)이 통공된 결합보조구(50)를 끼운 다음, 볼트(4)를 볼트공(23)에 인입하여 조임으로써, 상기 지주(10)의 상부에 브라켓(20)을 결합하면 된다.
상기 볼트(4)를 체결하여 지주(10)와 브라켓(20)을 결합함에 있어, 상기 인입부(12)내로 인입된 결합보조구(50)의 상부 및 하부에 통공된 결합공(51)내에 상기 브라켓(20)의 볼트공(23)내로 인입되어 체결되는 볼트(4)가 인입되도록 하여 체결하면, 상기 브라켓(20)은, 지주(20)와의 결합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되는 볼트(4)가 결합보조구(50)의 결합공(51)에 인입되어 체결되기 때문에, 상기 결합보조구(50)가 인입부(12)의 내측면(12a), 다시말해, 브라켓(20)과 근접한 내측면으로 이동하게 되고, 볼트(4)를 완전하게 조이게 되면, 상기 결합보조구(50)는 인입부(12)의 내측면(12a)과 긴밀하게 접하기 때문에, 그 결합력이 더욱 강화되는 것이다.
즉, 상기 결합보조구(50)는, 볼트(4)가 체결될 때에 너트의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장형으로 이루어진 몸체 일부가 상기 인입부(12)의 내측면(12a)과 접하기 때문에, 상기 브라켓(20)과 지주(10)는, 그 결합력이 더욱 강화된다.
따라서, 종래의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에 있어서 단순히 브라켓과 지주를 볼트에 의해 결합함에 따라 그 결합력이 약화된 문제점을 해결한다.
상기 결합보조구(50)와 이 결합보조구가 인입되는 인입부(12)는 도시한 바에 의하면 원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결합보조구의 형상과 인입부의 형상이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면, 어느 형상이든이 관계치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에 의하면, 지주와 도로표지판이 결합되는 브라켓을 결합함에 있어서, 별도의 결합보조구를 더 구성함에 따라 그 결합력이 강화되고, 이에 따라 장기간 동안 도로안내구(100)를 설치하여도 지주의 상부에 결합된 도로표지판의 견고한 결합력이 유지되기 때문에, 도로명을 알리는 도로안내구의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

  1. 협지부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된 지주와, 상기 협지부에 끼워지는 끼움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도로표지판이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고 상/하부면에 볼트공이 형성된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도로표지판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0)의 끼움부(21)가 끼워지는 지주(10)의 협지부(11)와 협지부(11) 사이에 형성된 인입부(12), 상기 인입부(12)에 인입되고 상/하부에 결합공(51)이 통공된 장형의 몸체를 갖는 결합보조구(5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결합구조.
KR2020010026995U 2001-09-04 2001-09-04 도로표지판 결합구조 KR2002596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995U KR200259642Y1 (ko) 2001-09-04 2001-09-04 도로표지판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995U KR200259642Y1 (ko) 2001-09-04 2001-09-04 도로표지판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642Y1 true KR200259642Y1 (ko) 2002-01-09

Family

ID=73068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995U KR200259642Y1 (ko) 2001-09-04 2001-09-04 도로표지판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64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673B1 (ko) 2006-12-15 2007-04-09 한양프레임주식회사 도로표지장치
KR100964290B1 (ko) 2006-08-10 2010-06-16 주식회사 청우시그널 도로 안내판 지지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290B1 (ko) 2006-08-10 2010-06-16 주식회사 청우시그널 도로 안내판 지지구조
KR100705673B1 (ko) 2006-12-15 2007-04-09 한양프레임주식회사 도로표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0401A (en) Barricade system
US6308927B1 (en) Breakaway sign post connector
AU2006276366B2 (en) Road traffic-control signboard assembly having automatic return function
US4737048A (en) Resilient sign post attachment
US6959902B2 (en) Breakaway signpost connector
KR200259642Y1 (ko) 도로표지판 결합구조
KR200248431Y1 (ko) 도로표지판 조립체
KR200225257Y1 (ko) 가로안내표지판 부착 설치구조
KR200345530Y1 (ko) 차선규제봉
US20040194400A1 (en) Pole anchor footing system
JP2001045887A (ja) 樹木の支持装置
GB2079354A (en) Anchoring portable road markers
KR100483800B1 (ko) 가드레일부착용 도로표지판
KR200184745Y1 (ko) 도로안내표지판용 지주조립체
KR100676079B1 (ko) 도로 표시병
JP3161992B2 (ja) 道路標識柱
JP5736126B2 (ja) 道路用標示体
KR200307152Y1 (ko) 조립식 차량 과속 방지턱
KR200185057Y1 (ko) 도로안내표지판 경사 부착 설치구조
KR200335491Y1 (ko) 가로등지주의 보강 커버체
KR200255784Y1 (ko) 도로 표지판
KR200402528Y1 (ko) 도로교통 표지판 구조
KR200227075Y1 (ko) 도로표지병
JP3051212U (ja) フェンス連結具
KR200278436Y1 (ko) 도로 교통표지판에 설치되는 진북방향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