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344Y1 - 지하 케이블 관로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지하 케이블 관로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344Y1
KR200259344Y1 KR2020010030750U KR20010030750U KR200259344Y1 KR 200259344 Y1 KR200259344 Y1 KR 200259344Y1 KR 2020010030750 U KR2020010030750 U KR 2020010030750U KR 20010030750 U KR20010030750 U KR 20010030750U KR 200259344 Y1 KR200259344 Y1 KR 2002593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adapter
underground
pipeline
protec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7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내진
노황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0100307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3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344Y1/ko

Links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 케이블 관로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 케이블의 관로의 소정구간 중에 구축된 맨홀의 벽체에 설치된 관로구(12)와, 상기 관로구에 접속되어 지하에 설치되는 케이블을 보호하는 케이블 보호관(14)과, 상기 관로구와 상기 케이블 보호관을 연결하는 어댑터(16)를 구비하되, 상기 관로구의 외주면에는 돌기(24)가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에는 상기 돌기에 걸리는 걸림턱(2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맨홀주위의 부등 침하, 또는 연결부 보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등으로 인한 케이블 보호관의 이탈을 방지하여, 케이블 사고를 방지하고 재굴착 시공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하 케이블 관로의 연결장치{a connecting apparatus for a pipe protecting an underground cable}
본 고안은 지하 케이블 관로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에 전력케이블 또는 통신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맨홀을 구축하고 이 맨홀에는 관로구를 설치하며, 상기 관로구에는 어댑터를 매개로 케이블 보호관을 연결 설치하여, 상기 관로구와 케이블 보호관의 접속부를 콘트리트로 타설하여 보강한다.
지하 케이블은 상기 맨홀에서 관로구를 통해 상기 케이블 보호관으로 배선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로 된 종래의 지하 케이블 관로에서는, 맨홀 주위의 부등 침하시에 어댑터가 관로구에서 빠져서 케이블 보호관이 이탈하는 경우가 있어 케이블 사고로 이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관로구와 케이블 보호관의 접속부를 콘트리트로 타설할 시에 케이블 보호관이 관로구에서 이탈하여 재 시공을 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관로구와 케이블 보호관의 접속부를 콘트리트로 타설한 후에 양생기간을 충분히 가져야 하나 대도시 도심 등에서는 양생기간을 충분히 할 수가 없다. 이로 인해 케이블을 포설한 후에 케이블 보호관이 관로구에서 이탈하기도 하므로 재굴착 시공을 하여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맨홀주위의 부등 침하, 또는 연결부 보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등으로 인한 케이블 보호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하 케이블 관로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지하 케이블 관로의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2는 도1의 분해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연결장치를 가진 지하 케이블 관로의 시공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관로구 14 : 케이블 보호관
16 : 어댑터 24 : 돌기
26 : 파형부 28 : 걸림턱
본 고안에 의한 지하 케이블 관로의 연결장치는, 지하 케이블의 관로의 소정구간 중에 구축된 맨홀의 벽체에 설치된 관로구와, 상기 관로구에 접속되어 지하에 설치되는 케이블을 보호하는 케이블 보호관과, 상기 관로구와 상기 케이블 보호관을 연결하는 어댑터를 구비하되, 상기 관로구의 외주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에는 상기 돌기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 보호관은 파형관으로 되고, 상기 어댑터의 걸림턱 반대측부에는 상기 파형관에 걸리는 파형부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 보호관은 직선관으로 되고, 상기 어댑터의 걸림턱 반대측부는 상기 파형관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후술하는 맨홀에 설치되는 관로구(12)와, 상기 관로구(12)에 접속되어 지하에 설치되는 케이블을 보호하는 케이블 보호관(14)과, 상기 관로구(12)와 상기 케이블 보호관(14)은 연결하는 어댑터(16)을 포함한다.
상기 관로구(12)는, 그 내부에 지하 케이블이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몸체(18)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18)의 일단에는 상기 맨홀 내부에 돌출된 노출 플랜지(20)가 형성되며, 상기 노출 플랜지(20)에서 몸체의 타단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곳의 외주면에는 상기 맨홀의 벽체에 내삽되어 매설되는 매설 플랜지(22)가 형성되고, 상기 매설 플랜지(22)에서 몸체의 타단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곳의 외주면에는 돌기(24)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돌기(24)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거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된 띠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매설 플랜지(22)측이 수직면(24a)을 이루고 상기 몸체의 타단측이 경사면(24b)을 이룬 형상이다.
상기 케이블 보호관(14)은 골과 산을 가진 파형관으로 되어 있다.
상기 어댑터(16)는, 상기 파형관으로 된 케이블 보호관에 외삽되어 걸리는 파형부(26)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24)에 외삽되어 걸리는 걸림턱(28)이 타단에 형성된 관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28)은 상기 돌기(24)의 수직면(24a) 및 경사면(24b)에 밀착하는 수직면과 경사면이 그 내면에 형성된 갈고리 형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지하 케이블 연결장치는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맨홀(30)이 구축되고, 상기 맨홀(30)의 벽체(32)에 상기 관로구(12)가 삽입되어 몰탈(34)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매설 플랜지(22)가 몰탈(34)에 매설되는데, 상기 몰탈(34)과 관로구(12) 외면과의 접착력을 높이도록 물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수팽창 고무제의 침수방지링(36)이 내장된다.
상기 관로구(12)에는 상기 어댑터(16)를 매개로 케이블 보호관(14)이 결합되고, 상기 관로구(12)와 케이블 보호관(14)의 접속부에는 콘크리트(38)로 타설하여 보강한다. 이때, 어댑터(16)의 일단의 걸림턱(28)은 상기 관로구(12)의 돌기(24)에 걸리고, 어댑터(16)의 타단의 파형부(26)는 상기 케이블 보호관(14)의 파형외면에 걸리게 되므로, 콘트리트의 타설시나 콘크리트가 충분히 양생되지 않고 사용될 시라도 케이블 보호관(14)이 관로구(12)에서 이탈할 염려가 없다.
또한 맨홀 주의의 부등 침하시에도 케이블 보호관(14)이 관로구(12)에서 이탈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케이블 보호관은 직선관으로 되고, 상기 어댑터의 걸림턱 반대측부는 상기 파형관에 억지끼움되거나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어댑터의걸림턱만 상기 관로구의 돌기에 착탈가능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지하 케이블 관로의 연결장치에 의하면, 맨홀 주위의 부등 침하, 또는 연결부 보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등으로 인한 케이블 보호관의 이탈을 방지하여, 케이블 사고를 방지하고 재굴착 시공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지하 케이블의 관로의 소정구간 중에 구축된 맨홀의 벽체에 설치된 관로구와, 상기 관로구에 접속되어 지하에 설치되는 케이블을 보호하는 케이블 보호관과, 상기 관로구와 상기 케이블 보호관을 연결하는 어댑터를 구비하되,
    상기 관로구의 외주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에는 상기 돌기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케이블 관로의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보호관은 파형관으로 되고,
    상기 어댑터의 걸림턱 반대측부에는 상기 파형관에 걸리는 파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관로의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보호관은 직선관으로 되고,
    상기 어댑터의 걸림턱 반대측부는 상기 파형관에 억지끼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케이블 관로의 연결장치.
KR2020010030750U 2001-10-09 2001-10-09 지하 케이블 관로의 연결장치 KR2002593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750U KR200259344Y1 (ko) 2001-10-09 2001-10-09 지하 케이블 관로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750U KR200259344Y1 (ko) 2001-10-09 2001-10-09 지하 케이블 관로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344Y1 true KR200259344Y1 (ko) 2001-12-29

Family

ID=73069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750U KR200259344Y1 (ko) 2001-10-09 2001-10-09 지하 케이블 관로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34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502B1 (ko) 2009-09-16 2009-12-31 이호기술단(주) 지중 매설형 통신 광케이블 보호관
KR100968600B1 (ko) * 2007-11-30 2010-07-08 이명규 콘크리트 벽체에 관로구를 형성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사용되는 방수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600B1 (ko) * 2007-11-30 2010-07-08 이명규 콘크리트 벽체에 관로구를 형성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사용되는 방수관
KR100933502B1 (ko) 2009-09-16 2009-12-31 이호기술단(주) 지중 매설형 통신 광케이블 보호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6318B1 (ko)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장치
SK286896B6 (sk) Spôsob ukladania dátových káblov
JPH11266519A (ja) 壁体への螺旋管体取付け用コネクタ
JP3430396B2 (ja) 継手付きベルマウスとそのブロック体並びにハンドホール
KR100579003B1 (ko) 전기통신용 맨홀의 누수 방지구조
KR200259344Y1 (ko) 지하 케이블 관로의 연결장치
JP2869462B2 (ja) 光ケーブル布設工法
KR100830928B1 (ko) 건축물 내부 벽체 전선보호관
KR200152285Y1 (ko) 관로구 장치
KR100968600B1 (ko) 콘크리트 벽체에 관로구를 형성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사용되는 방수관
KR100815575B1 (ko) 맨홀용 관 연결장치
EP1533879A1 (en) Cable system and method for laying cable
KR101069882B1 (ko) 침하 및 수밀방지용 연결부를 갖는 맨홀
KR200344308Y1 (ko)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구조
JP2000257755A (ja) 壁体への螺旋管体取付け用コネクタ
JP4530935B2 (ja) マンホールの防水管補修工法及びマンホールの防水工法
KR200435443Y1 (ko) 맨홀과 연결관 접속용 마개
KR200160543Y1 (ko) 철선이 내장된 맨홀용 방수관
KR101046543B1 (ko) 지중맨홀의 관로구에 이음관의 결합구조
JP3872885B2 (ja) 取付管付き地中配管の減勢構造
JPH0510536U (ja) パイプ貫通部の止水材
KR200329922Y1 (ko) 맨홀 관로구조
KR100980601B1 (ko) 방수용 지중(地中)송전 전력관로 이음장치
JP3054542U (ja) 管端連結用ベルマウス
KR20030091930A (ko)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