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308Y1 -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구조 - Google Patents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308Y1
KR200344308Y1 KR20-2003-0039967U KR20030039967U KR200344308Y1 KR 200344308 Y1 KR200344308 Y1 KR 200344308Y1 KR 20030039967 U KR20030039967 U KR 20030039967U KR 200344308 Y1 KR200344308 Y1 KR 2003443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eline
connection
connector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9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화
Original Assignee
최용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화 filed Critical 최용화
Priority to KR20-2003-00399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3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3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3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력이나 통신용 데이터 등을 지중으로 공급하기 위한 지중 전력관로에 있어서 인접하는 관로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관로 이음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관로구의 내측에 위치되는 접속부에 타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확장되는 내경을 갖도록 한 일정 길이의 연결관 결속부를 두고 이에 플랙시블하게 구성되는 합성수지 연결관을 끼워 별도의 접착부재를 통해 접착 고정토록 한 것으로, 관로구의 길이 연장의 필요성이 배제되어 관로구의 제조원가의 상승억제를 기함은 물론 연결관의 결속이 입체적인 면접촉 상태로 결합되도록 하여 관련법규에서 규정하는 규격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연결관을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속하는 것이 가능토록 하여 사용효과를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구조{THE JOIN STRUCTURE OF PIPE FOR CABLE PATHWAY}
본 고안은 전력이나 통신용 데이터 등을 지중으로 공급하기 위한 지중 전력관로에 있어서 인접하는 관로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관로 이음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관로구의 내측에 위치되는 접속부에 타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확장되는 내경을 갖도록 한 일정 길이의 연결관 결속부를 두고 이에 플랙시블하게 구성되는 합성수지 연결관을 끼워 별도의 접착부재를 통해 접착 고정토록 한 것으로, 관로구의 길이 연장의 필요성이 배제되어 관로구의 제조원가의 상승억제를 기함은 물론 연결관의 결속이 입체적인 면접촉 상태로 결합되도록 하여 관련법규에서 규정하는 규격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연결관을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속하는 것이 가능토록 하여 사용효과를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지하에 전력케이블 또는 통신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맨홀을 구축하고 이 맨홀에는 관로구를 설치하며, 상기 관로구와 케이블의 어댑터를 매개로 케이블 보호관을 연결 설치하여, 상기 관로구와 케이블 보호관의 접속부를 콘트리트로 타설하여 보강한다.
지하 케이블은 상기 맨홀에서 관로구를 통해 상기 케이블 보호관으로 배선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로 된 종래의 지하 케이블 관로에서는, 맨홀 주위의 부등 침하 시에 어댑터가 관로구에서 빠져서 케이블 보호관이 이탈하는 경우가 있어 케이블 사고로 이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관로구와 케이블 보호관의 접속부를 콘트리트로 타설할 시에 케이블 보호관이 관로구에서 이탈하여 재시공을 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관로구와 케이블 보호관의 접속부를 콘트리트로 타설한 후에 양생기간을 충분히 가져야 하나 대도시 도심 등에서는 양생기간을 충분히 할 수가 없다. 이로 인해 케이블을 포설한 후에 케이블 보호관이 관로구에서 이탈하기도 하므로 재 굴착 시공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연결관과 관로구의 결합 시에는 어댑터의 파형관부를 파형의 연결관에 결합한 다음 어댑터의 직관부를 관로구의 내주에 끼우고, 어댑터의 양쪽 단부를 실링테이프로 감고 그 위에 발코테이프를 감은 다음 비닐테이프로 마감 처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고,
이외에도 관로구의 밑을 1차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맨홀 벽체의 관로구와 합성수지 연결관을 상술한 테이프 방식과 마찬가지로 어댑터에 의해 상호 연결한 뒤 그 양 단부들을 복수 층의 테이프들로 감아주고, 그 위에 관로 이탈 및 방수의 목적으로 동체 2차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킴으로써 관로를 보강하는 방식으로 이루러지는 맨홀의 관로구와 합성수지 연결관을 연결하는 종래의 지중 전력관로 이음방법이 알려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음방법은 맨홀은 조립식으로 공장에서 제작하여 운반, 설치되고 동체 콘크리트는 현장타설 시공되어 상호간 접착력 부족으로 틈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동체 콘크리트 자체하중으로 접속 가까운 부분의 관로가 짓눌려 틈이 발생함으로서 물 유입의 원인이 되었으며,
맨홀의 벽체 외측에 그 관로구 밑을 1차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일정 기간 양생시킨 후 연결관을 접속하고 관로구와 어댑터 접속부분에 거푸집을 설치해야 하며, 관로구와 연결관 접속부분과 함께 동체 2차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일정기간 양생시켜야 하므로 공사에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공기가 길어질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복잡한 시내도로의 교통체증을 유발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어댑터의 양 단부를 복수 층의 테이프들로 감아서 마감 처리하여야 하므로 시공이 복잡하고 장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특히 관로가 2공 이상일 경우 관로간의 공간이 협소하여 테이핑 처리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외에도 도 4에서와 같이 관로구(20)의 내측부에 외주연에 오링(21)을 가진 연결관(JH)의 일측 단부를 끼운 후 연결관(JH)의 단부를 녹이거나 별도의 실링부재(S)를 접착 시공하여 밀폐 접착하고 있으나,
이는 관로구(2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방식이므로 맨홀의 콘크리트 몰드가 점유한 나머지 부분을 연결하는 데 이용해야 함으로써 연결관을 삽입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없어 결합시공에 애로가 많으며,
상기 관로구에 접하는 연결관의 밀폐수단과 결속수단의 접촉면적이 작아 누수발생이 초래되고 연결관의 결합상태가 불안정하고 견고하지 못하여 관로구에서의 이탈이 초래되는 것이었다.
이를 해결할 목적으로 관로구의 길이를 연장하게 되면 관로구의 제작비용이 상승되고 관로구에 적용되는 관련 법규의 규격에서 벗어날 우려가 있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관로구의 길이 연장의 필요성이 배제되어 관로구의 제조원가의 상승억제를 기함은 물론 연결관의 결속이 입체적인 면접촉 상태로 결합되도록 하여 관련법규에서 규정하는 규격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연결관을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속하는 것이 가능토록 하여 사용효과를 향상할 수 있도록 있는 관로구의 연결관 결속구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맨홀의 관로구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구성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적용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4는 기존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관로구
2 : 노출 플랜지
3 : 간격 유지부
4 : 방수 플랜지
5 : 접속부
10 : 연결관 결속부
11 : 내면부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맨홀의 관로구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구성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적용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를 보인 것으로,
본 고안은 일측 단에 맨홀(MH)의 내부로 노출되는 노출 플랜지(2)를 일체로 구비하는 간격 유지부(3)에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방수 플랜지(4)와 접속부(5)를 일체로 구비하는 관체 상으로 구성되는 공지의 관로구(1)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5)의 일부에 관로구(1)의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확장되는 내면부(11)를 갖도록 한 일정 길이의 연결관 결속부(10)를 두고 이 연결관 결속부(10)에 도포되는 별도의 접착물질(AD)을 통해 플랙시블하게 구성되는 합성수지제 연결관(JH)을 접착 고정토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이 적용된 관로구(1)는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기존의 관로구와 동일한 설치방식으로 맨홀(MH)의 일측 벽으로 노출 플랜지가 노출되고 방수플랜지(4)가 맨홀(MH)의 콘크리트 몰드에 매설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관로구(1)의 접속부(5)에 구성되는 연결관 결속부(10)의 내면부(11)는 관로구(1)의 내경에 비해 약간 크게 구성하여 이에 연결관(JH)을 끼워 결속시켰을 경우 결속된 연결관(JH)의 내경과 관로구(1)의 내경이 거의 동일하게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관 결속부(10)의 내면부(11)에는 공지의 접착물질(AD)을 도포한 상태에서 연결관(JH)의 직선 연결부를 끼워 도 3에서와 같이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완전히 끼워진 연결관의 단부는 연결관 결속부(10)의 내면 단턱부에 닿아 더 이상의 진입이 정지된다.
연결관(JH)이 결속되면 맨홀(MH)의 외부로 별도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관로구(1)와 연결관(JH)의 결속부위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연결관(JH)이 관로구(1)의 내주면에 끼워지는 방식이므로 맨홀의 콘크리트 몰드가 점유한 나머지 부분을 연결하는 데 이용해야 하는 기존방식과 달리 맨홀의 콘크리트 몰드와 무관하게 충분한 결속면적을 보유할 수 있어 관로구에 적용되는 관련 법규의 규격에서 벗어남 없이 결합시공에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고 접속부위 전체가 밀폐기능을 하게 되어 누수방지가 완벽하게 수행되고 연결관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되어 품질의 신뢰성을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관로구의 길이 연장의 필요성이 배제되어 관로구의 제조원가의 상승억제를 기함은 물론 연결관의 결속이 입체적인 면접촉 상태로 결합되도록 하여 관련법규에서 규정하는 규격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연결관을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속하는 것이 가능토록 하여 사용효과를 향상할 수 있도록 있는 효과를 갖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일측 단에 맨홀(MH)의 내부로 노출되는 노출 플랜지(2)를 일체로 구비하는 간격 유지부(3)에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방수 플랜지(4)와 접속부(5)를 일체로 구비하는 관체 상으로 구성되는 공지의 관로구(1)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5)의 일부에 관로구(1)의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확장되는 내면부(11)를 갖도록 한 연결관 결속부(1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구조.
KR20-2003-0039967U 2003-12-19 2003-12-19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구조 KR2003443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967U KR200344308Y1 (ko) 2003-12-19 2003-12-19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967U KR200344308Y1 (ko) 2003-12-19 2003-12-19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912A Division KR20030091930A (ko) 2003-11-14 2003-11-14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308Y1 true KR200344308Y1 (ko) 2004-03-10

Family

ID=49426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967U KR200344308Y1 (ko) 2003-12-19 2003-12-19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3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019A (ko) * 2018-05-24 2019-12-04 한국전력공사 맨홀 누수 방지 구조 및 이의 조립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019A (ko) * 2018-05-24 2019-12-04 한국전력공사 맨홀 누수 방지 구조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2156388B1 (ko) * 2018-05-24 2020-09-15 한국전력공사 맨홀 누수 방지 구조 및 이의 조립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6318B1 (ko)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장치
JPH11266519A (ja) 壁体への螺旋管体取付け用コネクタ
JP3430396B2 (ja) 継手付きベルマウスとそのブロック体並びにハンドホール
KR200344308Y1 (ko)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구조
KR101311589B1 (ko) 현장 설치용 추가관로 형성 및 연결장치
KR20030091930A (ko)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구조
KR200464418Y1 (ko) 지중관로용 관로구 몸체
KR100968600B1 (ko) 콘크리트 벽체에 관로구를 형성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사용되는 방수관
KR20120102946A (ko) 관로구 방수 장치
KR102053216B1 (ko) 맨홀용 관로구 방수관체
KR100372316B1 (ko) 방수용 조립식 지중 전력관로 이음장치
KR200152285Y1 (ko) 관로구 장치
JP7424916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内埋設管の継手部材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259344Y1 (ko) 지하 케이블 관로의 연결장치
JP5014738B2 (ja) ケーブル保護管部材
JP7313209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内埋設管の継手部材、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内埋設管の継手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の設置方法
KR100825833B1 (ko) 관 연결 구조
KR200329922Y1 (ko) 맨홀 관로구조
KR200434156Y1 (ko) 맨홀과 접속관의 연결구조
JP2000059972A (ja) マンホール継手とその接続構造
JPH09221768A (ja) 地下配線用コンクリート製構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90026B1 (ko) 건축 및 도로와 같은 토목공사에서의 합성수지제 전선관 및 하수관용연결기구
KR200219460Y1 (ko) 벨로즈형 관로구 및 커플링 구조
JP2006300188A (ja) 通信用管路とハンドホールとの接続構造
JP2022035011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内埋設管の継手部材及び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