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131Y1 -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131Y1
KR200259131Y1 KR2020010030122U KR20010030122U KR200259131Y1 KR 200259131 Y1 KR200259131 Y1 KR 200259131Y1 KR 2020010030122 U KR2020010030122 U KR 2020010030122U KR 20010030122 U KR20010030122 U KR 20010030122U KR 200259131 Y1 KR200259131 Y1 KR 2002591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culture carrier
sludge culture
suppl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1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수
Original Assignee
김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수 filed Critical 김경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1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1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38Feed or discharge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electro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46Supply, recovery or discharge mechanisms of washing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3/001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using granular carriers or supports for the microorg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는 내부에 다공판이 고정되어 있는 탱크와, 상기 탱크내에 투입되는 오니배양담체와, 상기 탱크내에 정화처리할 오수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라인과, 상기 탱크의 하부에 구비되며 정화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체배출라인과, 상기 탱크내로 세척수를 압송하며 상기 오니배양담체를 세척하도록 하는 세척수공급라인과, 상기 오니배양담체를 세척한 세척수를 외부로 뽑아내는 세척수배출라인과, 상기 탱크 내부로 세척수가 공급되는 동안 공기를 압입하는 에어공급라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탱크내에 투입되어 있는 오니배양담체를 손쉽게 세척할 수 있어 오니배양담체가 항상 최상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Water treatment system having sludge cultivating carrier}
본 고안은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거의 모든 물에는 여러 가지 무기물질이나 유기물질들이 섞여 있다. 이러한 것들은 금속제 수도관내에 물이 유동하는 동안 수도관의 내벽면을 부식시키는 요인이 된다.
한편, 물의 내부에 섞여 있는 각종 유기물질이나 무기물질 또는 여러 가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탱크내에 오니배양담체를 넣고 정화할 물을 통과시켜 물이 정화되도록 하는 정수장치가 있다. 이는 상기 오니배양담체의 표면에 서식하고있는 미생물로 하여금 물속의 이물질 등을 정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정수장치는 사용시간이 오래될수록 오니배양담체의 기능이 점차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오니배양담체의 표면에 이물질이 점차 코팅되면 미생물의 활동이 그만큼 저하되고 정화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오니배양담체를 정기적으로 또는 필요시에 세척함으로써 정수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거의 모든 종래의 정화장치에서는 오니배양담체를 세척하기 위한 별도의 적극적 장치가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탱크내에 투입되어 있는 오니배양담체를 손쉽게 세척할 수 있어 오니배양담체가 항상 최상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여 효율적인 정수처리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에서 각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탱크 12:오니배양담체
12a:나선형합성수지부재 14:제 1메인펌프
16:제 2메인펌프 18:제 1솔레노이드밸브
20:제 2솔레노이드밸브 22:벤트관
24:제 1보조펌프 26:제 2보조펌프
28:제 3솔레노이드밸브 30:제 4솔레노이드밸브
32:드레인관 34:블로워(blower)
36:제 5솔레노이드밸브 37:에어공급라인
38:유체공급라인 40:유체배출라인
42:세척수공급라인 44:세척수배출라인
46:전자석 48,68:콘트롤러
50:전원 52:자화부
54:정화부 56:다공판
64:파이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오수를 받아들여 정화하는 것으로, 외부에 대해 밀폐되며 내부공간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다공판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어 있는 탱크와, 상기 탱크내의 상부공간에 투입되는 오니배양담체와, 상기 탱크의 상부공간으로 정화할 오수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라인과, 상기 탱크의 하부공간 내부로 그 단부가 인입되어 오니배양담체에 의해 정화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체배출라인과, 상기 오니배양담체를 세척하도록 상기 탱크의 하부공간 내부로 그 단부가 인입되어 외부로부터 탱크내로 세척수를 공급하는세척수공급라인과, 상기 탱크의 상부공간에 연결되며 상기 세척수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된 세척수를 외부로 뽑아내는 세척수배출라인과, 상기 탱크의 하부공간 내부로 그 단부가 인입되며 세척수공급라인을 통하여 세척수가 공급되는 동안 탱크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라인을 포함하하는 정화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처리시스템은 상기 정화부와 연결되어 그 내부로 물을 통과시키며 통과하는 물을 자화시키는 자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자화부는 상기 정화부의 유체배출라인에 연결되어 유체배출라인을 통해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정화된 물을 통과시키며 자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화부는 상기 유체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받아들인 오수를 먼저 자화시킨 후 상기 탱크로 보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화부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오수 또는 정화수와 직접 접하여 물에 자기력을 가하여 자화시키는 다수의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의 자기력을 조절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탱크의 하부공간에는 유체배출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자기력을 가하여 자화시키는 다수의 전자석이 구비되고, 탱크의 외부에는 상기 전자석과 연결되어 전자석의 자기력을 조절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유체공급라인에는 제 1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되며, 유체배출라인에는 제 2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되고, 세척수공급라인에는 제 3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되며, 세척수배출라인에는 제 4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되고, 에어공급라인에는제 5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제 1,2,3,4,5솔레노이드밸브와 연결되어 각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키되 제 1,2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는 동안 제 3,4,5솔레노이드밸브를 잠그고, 제 3,4,5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는 동안 제 1,2솔레노이드밸브를 잠그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니배양담체는 띠형태의 합성수지띠를 나선형으로 성형한 후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접어 형성한 나선형합성수지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니배양담체는 굴껍데기 또는 조개껍대기 또는 홍합껍데기 또는 합성수지조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고안의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은 예컨대 각종 공장이나 양어장 또는 기타 많은 오수가 배출되는 장소에 설치되어 배수된 오수를 정화시키고 후술하는 바와같이 자화부를 적용할 경우 물을 자화시켜 물이 유동하는 파이프라인의 내벽면에 생기는 녹을 없애거나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오니배양담체를 포함하고 있는 탱크의 내부에 세척수를 유입시킴으로써 오니배양담체를 정기적으로 또는 필요시 세척할 수 있어 항상 일정한 정화효율을 갖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장치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오수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정화부(52)를 갖는다.
상기 정화부(54)는 외부에 대해 밀폐되고 내부에 오니배양담체(12)를 갖는 탱크(10)와, 상기 탱크(10)내에 오수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라인(38)과, 탱크(10) 내에서 정화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체배출라인(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오니배양담체(12)를 세척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탱크(10)의 내부로 인입되어 오니배양담체(12)를 향하여 물을 분출하는 세척수공급라인(42)과, 상기 오니배양담체(12)의 상부에 그 단부가 위치하고 탱크(10) 외부로 연장되어 세척을 마친 물을 외부로 뽑아내는 세척수배출라인(44)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세척수공급라인(42)을 통해 세척수가 공급될 때 대기중의 공기를 탱크(10)내부로 분출시키는 에어공급라인(37)이 구비된다.
상기 탱크(10)의 내부에는 다공판(56)이 설치된다. 상기 다공판(56)은 다수의 구멍(미도시)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평판으로서 탱크(10)의 내벽면에 그 테두리가 고정되어 탱크(10)를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한다.
상기 오니배양담체(12)는 다공판(56)의 상부에 투입된다. 상기 오니배양담체(12)는 각종 미생물이 그 표면에서 서식하며 물을 정화하는 공지의 것으로 여러 종류의 담체를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일본 특개평7-75712호(1995.3.20공개)를 통해 공지되어 있는 나선형합성수지부재(12a)를 적용할 수 도 있다.
상기 나선형합성수지부재(12a)는 마치 주차장의 램프(ramp) 도로면과 같이 나선형으로 감겨진 일정폭 및 두께의 합성수지띠를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반복하여 접어 제작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나선형의 형태를 취하고 그 표면적이 매우 넓어그만큼 정화효율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나선형합성수지부재(12a)는 보통 그 길이가 4cm 내지 5cm 이하이며 수많은 개수가 불규칙적으로 쌓인 상태로 정화를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다공판(56)이 나선형합성수지부재(12a)를 지지하도록 다공판의 구멍(미도시)은 나선형합성수지부재(12a)의 크기 보다 작아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오니배양담체(12)는 그 표면에서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한 다른 종류의 담체를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다. 이를테면 패류(貝類)의 껍데기나 또는 합성수지조각(통상, 플라스틱제 유산균음료용기)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탱크(10) 내부에 유입되는 오수의 만수위는 상기 오니배양담체(12)의 높이보다 높도록 조절한다. 이와 같은 수위조절은 후술하는 콘트롤러(도 5의 68) 및 제 1솔레노이드밸브(18)를 통해 제어된다.
상기 유체공급라인(38)은 그 단부가 오니배양담체(12)의 상부에 위치하는 파이프(64)와, 상기 파이프(64)를 통해 물을 유동시키는 제 1메인펌프(14)와, 상기 파이프(64)를 통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 1솔레노이드밸브(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8)는 도 4에 도시한 콘트롤러(도 3의 68)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아울러 상기 제 1메인펌프(14)가 물을 퍼올리는 곳은 정화할 물이 임시 저장되어 있는 별도의 저장탱크(미도시)이다.
상기 유체배출라인(40)은 다공판(56)의 하부에 그 단부가 인입되어 위치하는 파이프(64)와, 상기 파이프(64)에 설치되는 제 2솔레노이드밸브(20)로 구성된다.상기 제 2솔레노이드밸브(20)도 콘트롤러(도 5의 68)에 의해 개폐가 제어된다.
결국 정화시킬 오수는 유체공급라인(38)을 통해 탱크(10) 내부로 유동하여 탱크(10)내에 머무르며 그 동안 오니배양담체(12)에 의해 정화가 이루어지고 그 후 유체배출라인(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유체배출라인(40)을 통한 물의 유출 유속은 솔레노이드밸브(20)의 개방 정도에 따라 달아진다.
즉, 콘트롤러(도 5의 68)의 제어에 의해 배출되는 물의 유량이나 유속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탱크(10)의 내부에 오수가 머물러 있는 동안 오수에 섞여 있는 각종 이물질들은 미생물처리되어 제거되고 더러는 상기 나선형합성수지부재(12a)의 표면에 부착된다.
한편, 상기 나선형합성수지부재(12a)의 표면에 이물질이 쌓일수록 물의 정화효율이 저하하므로 후술하는 세척과정을 통해 나선형합성수지부재(12a)를 세척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상기 나선형합성수지부재(12a)를 세척하기 위하여 세척수공급라인(42)과 세척수배출라인(44) 및 에어공급라인(37)이 구비된다.
상기 세척수공급라인(42)은 탱크(10) 내부에 세척할 물을 유입시키는 것으로 제 1보조펌프(24)와 제 3솔레노이드밸브(28)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수공급라인(42)은 상기 유체공급라인(38) 및 유체배출라인(40)이 작동하지 않을 때 작동하는 것임은 물론이다.
상기 세척수공급라인(42)을 이루는 파이프(64)는 그 단부가 탱크(10)의 내부로 인입하되 상기 다공판(56)의 하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세척수공급라인(42)을 통해 탱크(10)내부로 유입된 물은 다공판(56)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통해 탱크(10)의 상부로 이동하여 나선형합성수지부재(12a)를 세척한다.
상기 나선형합성수지부재(12a)는 상기 세척수의 흐름으로 말미암아 다공판(56)의 상부에서 뒤섞이며 서로에 대해 부딪히거나 마찰되고 또는 물과의 직접적인 마찰에 의해 그 표면에 쌓여있는 이물질이 떨어져 나간다.
상기 세척수공급라인(42)과 함께 설치되는 에어공급라인(37)은 상기 다공판(56)의 하부로부터 기포를 발생한다. 상기 기포는 탱크(10)내에서 상부로 이동하며 나선형합성수지부재(12a)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시킨다.
기포가 나선형합성수지부재(12a)의 표면 근처에 도달하여 터지면 그 때 까지의 기포가 있던 자리에 순간적으로 빈공간이 생기고 그에 따른 압력차에 따라 이물질이 부착표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은 공지의 원리이다.
상기 에어공급라인(37)에는 블로워(34) 및 제 5솔레노이드밸브(36)가 구비된다. 상기 블로워(34)는 에어를 생성하여 탱크(10)내로 공급하는 것이고, 제 5솔레노이드밸브(36)는 공기가 흐르는 파이프(64)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밸브이다. 상기 제 5솔레노이드밸브(36)도 콘트롤러(도 5의 58)에 의해 제어되며 탱크(10)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세척수공급라인(42) 및 에어공급라인(37)에 의해 탱크(10) 내부에 세척수 및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나선형합성수지부재(12a)의 표면에 쌓여있던 이물질은 쌓여있던 자리로부터 분리되어 물속에 부유한다.
상기 탱크(10)의 내부에서 세척을 마친 세척수는 세척수배출라인(44)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세척수배출라인(44)을 구성하는 파이프(64)의 단부는 탱크(10)내의 오니배양담체(12)의 상부에 위치하여 세척수를 위로 뽑아낸다. 이와같이 세척수가 탱크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므로 그 안에 부유하는 이물질도 전체적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며 세척수배출라인(44)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세척수배출라인(44)에는 제 4솔레노이드밸브(30) 및 제 2보조펌프(26)가 구비된다. 상기 제 2보조펌프(26)는 탱크(10)내의 세척수를 뽑아내는 펌프이고, 제 4솔레노이드밸브(30)는 콘트롤러(도 5의 68)에 의해 제어되는 밸브로서 세척수배출라인(44)의 파이프(64)를 개폐시킨다.
한편, 상기 정화부(54)에 자화수장치를 연결하면 그 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파이프라인내의 녹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화수장치는 자기 유체 역학의 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는 장치로서, 물을 자석의 자기력이 미치는 자기장 사이로 통과시켜 물을 보다 물분자에 가까운 레벨로 활성화 및 미립자화 함으로써 물분자가 수도파이프 중의 녹을 없애고 배관 자체의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한다.
상기 자화수장치는 본 실시예에서 자화부(52)를 이루고 상기 유체배출라인(40)에 연결되어 유체배출라인(40)을 통해 배출되는 정화된 물을 자화(magnetization) 시킨다. 공지의 사실과 같이 자화수는 금속배관이나 탱크내의 내벽면에 생긴 빨간 녹을 없애주기도 하므로, 상기와 같이 정화 및 자화처리되어나오는 물을 곧바로 수요처에 공급하여 자화수의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자화부(52)는, 전자석(46)과 상기 전자석(46)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50)과, 상기 전자석(46)의 자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콘트롤러(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자석(46)은 N극과 S극을 갖는 공지의 전자석으로 물이 상기 N과 S극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클러스터 상태로 몰려다니는 물분자를 보다 미세화 시킨다. 상기 전자석(46)은 외부의 전원(50)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자기장을 유도하며, 상기 콘트롤러(48)는 전원(50)으로부터 전자석(46)으로 공급되는 전기를 제어하여 전자석의 자기력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전자석의 자기력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이유는, 유체배출라인(40)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에 대응하는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즉, 유체배출라인(40)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유속이 빠를 경우에는 상기 전자석(46)의 자기력을 증가시키고, 반대로 유속이 상대적으로 느릴 경우에는 전자석(46)의 자기력을 낮추어 최소의 전력으로 최적의 자기력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자화부(52)를 통과하며 자화된 물은 제 2메인펌프(16)에 의해 외부의 필요처로 유동한다.
도면부호 22는 벤트관이다. 상기 벤트관(22)은 탱크(10) 내부에 생성되는 가스를 배출하는 관이다. 또한 상기 탱크(10)의 하부에는 드레인관(3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드레인관(32)은 탱크(10)의 바닥면에 가라앉아 있는 침전물을 빼내기 위하여 마련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탱크(10)내부에 투입되어 있는 오니배양담체(12)로서 상기 나선형합성수지부재(12a) 대신에 다른 담체가 적용되어 있다. 다른 담체로는 패류(貝類)나 합성수지조각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패류로는 굴껍데기나 조개껍데기 또는 홍합껍데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공지의 사실과 같이 패류는 그 표면에 미생물이 서식하기 좋으므로 이와같이 패류를 담체로 사용하여도 본 고안의 수처리시스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오니배양담체로서 석탄이나 활성탄 등을 적용할 수 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며 그에 따른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스템에서는 자화부(52)가 유체공급라인(38)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2실시예의 수처리시스템은 상기 제 1실시예와 반대로 물의 자화가 먼저 이루어지고 그 후에 정화가 수행된다. 즉, 외부로부터 받아들인 오수를 먼저 자화시키고 그 자화수를 탱크(10)를 통과시켜 정화시키는 시스템인 것이다.
아울러 상기 탱크(10)내부에 구비되는 오니배양담체(12)는 제 1실시예의 나선형합성수지부재(12a) 또는 패류나 합성수지조각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자화부(52)는 탱크(10)의 내외에 걸쳐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자화부(52)의 전자석(46)은 탱크(10)내의 하부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자석(46)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50) 및 콘트롤러(48)는 탱크(10)의 외측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전자석(46)은 다공판(56)의 하부에 위치하여 탱크(10)내에 머물러 있는 물을 자화시키며 또한 시스템의 작동시에는 유체배출라인(40)으로 유출되는 물을 자화시킨다. 상기 전원(50) 및 콘트롤러(48)는 탱크(10)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2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에서 각 밸브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제 1,2솔레노이드밸브(18,20) 및 제 3,4,5솔레노이드밸브(28,30,36)는 콘트롤러(68)에 연결되어 그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제 1,2솔레노이드밸브(18,20)는 물을 정화하는 동안 개방되며, 제 3,4,5솔레노이드밸브(28,30,36)는 오니배양담체(12)를 세척하는 동안 개방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 1,2메인펌프(14,16)와 제 1,2보조펌프(24,26) 및 블로워(34)도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마찬가지로 상기 콘트롤러(68)에 의해 제어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스템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콘트롤러(도 5의 68)로 하여금 제 1솔레노이드밸브(18)를 개방시키고 또한 제 1메인펌프(14)를 작동시켜 탱크(10)의 내부에 정화할 오수를 만수위까지 채워 머물게 한다. 오수는 탱크(10)내에 머물면서 상기 오니배양담체(12)와 접하며 정화됨은 상기와 같다.
상기와 같이 물이 점차 정화되면 콘트롤러(68)를 작동시켜 제 2솔레노이드밸브(20)를 열고 정화된 물을 탱크(10)로부터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 오니배양담체(12)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유체공급라인(38) 및 유체배출라인(40)을 정지시키고 세척수공급라인(42)과 에어공급라인(37) 및 세척수배출라인(44)을 작동시켜 탱크(10)내부에 세척수 및 에어를 공급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세척수공급라인(42) 및 에어공급라인(37)의 파이프(64)는 다공판(56)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탱크내부로 공급된 물과 공기는 다공판(56)을 통과하여 상부로 이동하고 오니배양담체(12)를 세척한다.
오니배양담체(12)를 세척한 후의 세척수는 세척수배출라인(44)을 통해 탱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탱크(10)로부터 제 2솔레노이드밸브(20)를 통과하여 자화부(52)로 유동하는 물은 자화부(52)의 전자석(46)을 통과하면서 자화되고 제 2메인펌프(16)에 의해 빠져나간다. 상기한 바와같이 물이 자화부(52)를 통과하는 동안 자화부(52)내의 콘트롤러(48)는 전자석(46)이 그때의 물의 유속 및 유량에 대응하는 최적의 자기력을 갖도록 전자석(46)에 인가되는 전기를 제어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스템의 작동은 상기 제 1실시예의 수처리시스템과 거의 동일하게 이루어지지만, 물의 자화가 먼저 수행되고 정화가 나중에 수행되는 점이 다르다.
즉, 상기 메인펌프(14) 및 콘트롤러(68)를 작동시키면 파이프(64)를 통해 외부의 오수가 유체공급라인(38)을 통과하며 자화부(도 3의 52)를 거치면서 자화수로 변화한다. 이 때의 물은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자화만 이루어진 상태로서 탱크(10)의 내부로 유동하여 탱크(10)의 내부에서 정화된 후 유체배출라인(40)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간다.
이외의 다른 부분의 작동은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수처리시스템은, 탱크내에 투입되어 있는 오니배양담체를 손쉽게 세척할 수 있어 오니배양담체가 항상 최상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한다.

Claims (9)

  1. 외부로부터 오수를 받아들여 정화하는 것으로,
    외부에 대해 밀폐되며 내부공간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다공판(56)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어 있는 탱크(10)와,
    상기 탱크(10)내의 상부공간에 투입되는 오니배양담체(12)와,
    상기 탱크(10)의 상부공간으로 정화할 오수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라인(38)과,
    상기 탱크(10)의 하부공간 내부로 그 단부가 인입되어 오니배양담체(12)에 의해 정화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체배출라인(40)과,
    상기 오니배양담체(12)를 세척하도록 상기 탱크(10)의 하부공간 내부로 그 단부가 인입되어 외부로부터 탱크(10)내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라인(42)과,
    상기 탱크(10)의 상부공간에 연결되며 상기 세척수공급라인(42)을 통해 공급된 세척수를 외부로 뽑아내는 세척수배출라인(44)과,
    상기 탱크(10)의 하부공간 내부로 그 단부가 인입되며 세척수공급라인(42)을 통하여 세척수가 공급되는 동안 탱크(10)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라인(37)을 포함하하는 정화부(5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시스템은 상기 정화부(54)와 연결되어 그 내부로 물을 통과시키며 통과하는 물을 자화시키는 자화부(5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부(52)는 상기 정화부(54)의 유체배출라인(40)에 연결되어 유체배출라인(40)을 통해 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정화된 물을 통과시키며 자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부(52)는 상기 유체공급라인(38)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받아들인 오수를 먼저 자화시킨 후 상기 탱크(10)로 보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부(52)는, 오수 또는 정화수와 직접 접하여 물에 자기력을 가하여 자화시키는 다수의 전자석(46)과, 상기 전자석(46)의 자기력을 조절하는 콘트롤러(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10)의 하부공간에는 유체배출라인(40)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자기력을 가하여 자화시키는 다수의 전자석(46)이 구비되고, 탱크(10)의 외부에는 상기 전자석(46)과 연결되어 전자석(46)의 자기력을 조절하는 콘트롤러(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라인(38)에는 제 1솔레노이드밸브(18)가 설치되며, 유체배출라인(40)에는 제 2솔레노이드밸브(20)가 설치되고, 세척수공급라인(42)에는 제 3솔레노이드밸브(28)가 설치되며, 세척수배출라인(44)에는 제 4솔레노이드밸브(30)가 설치되고, 에어공급라인(37)에는 제 5솔레노이드밸브(36)가 설치되며,
    상기 제 1,2,3,4,5솔레노이드밸브와 연결되어 각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키되 제 1,2솔레노이드밸브(18,20)를 개방하는 동안 제 3,4,5솔레노이드밸브(28,30, 36)를 잠그고, 제 3,4,5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는 동안 제 1,2솔레노이드밸브를 잠그는 콘트롤러(6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니배양담체(12)는 띠형태의 합성수지띠를 나선형으로 성형한 후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접어 형성한 나선형합성수지부재(12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니배양담체(12)는 굴껍데기 또는 조개껍대기 또는 홍합껍데기 또는 합성수지조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
KR2020010030122U 2001-08-03 2001-09-29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 KR20025913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23639 2001-08-03
KR2020010023639 2001-08-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131Y1 true KR200259131Y1 (ko) 2001-12-29

Family

ID=73109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122U KR200259131Y1 (ko) 2001-08-03 2001-09-29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13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T4316B (lt) Nutekamųjų vandenų valymo būdas ir įrenginys
WO2016115008A2 (en) Eductor-based membrane bioreactor
US5308479A (en) Sewage disposal apparatus employing circulating filter media
CN111670167A (zh) 曝气过滤装置及其污废水处理系统
JP3663178B2 (ja) メンブラン型散気管を用いた間欠散気による汚水処理法
JP2006247469A (ja) 汚水処理装置
JP2007136378A (ja) 浄化槽
KR200259131Y1 (ko) 오니배양담체를 갖는 수처리시스템
US201702535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household waste water treatment
JP4932231B2 (ja) ポンプ装置、及びこのポンプ装置を備えた汚水浄化槽
JP4819841B2 (ja) 膜分離装置
JP4675529B2 (ja) 排水処理装置および排水処理方法
JP4055077B2 (ja) 膜分離式活性汚泥処理装置の運転方法
JP6657524B2 (ja) 水処理装置
KR0119265Y1 (ko) 유효미생물군을 이용한 합병 처리 분뇨 정화조
JP2002102882A (ja) 汚水浄化方法及び汚水浄化装置
FI121506B (fi) Menetelmä biologiseen puhdistamiseen
CN215517065U (zh) 一种水产养殖用废水处理装置
CN203545771U (zh) 一种一体化井下废水处理设备
JPH10314712A (ja) 厨芥処理装置
KR102362832B1 (ko) 고농도 폐수 슬러지의 막힘 없는 산기통
KR200172824Y1 (ko) 오수처리장치
CN209210574U (zh) 一种一体式环保污水处理系统
JP2003181483A (ja) 浄化槽の処理方法及びその浄化槽
KR100293837B1 (ko) 고속오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