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824Y1 - 오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824Y1
KR200172824Y1 KR2019990020052U KR19990020052U KR200172824Y1 KR 200172824 Y1 KR200172824 Y1 KR 200172824Y1 KR 2019990020052 U KR2019990020052 U KR 2019990020052U KR 19990020052 U KR19990020052 U KR 19990020052U KR 200172824 Y1 KR200172824 Y1 KR 200172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treatment
sewage
treatment tank
tank
microorganis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0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제일화이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제일화이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제일화이바
Priority to KR2019990020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8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8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Multistep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8Immobilising gels, polymer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촉산화여과장치를 개량하여 생활오수 처리시 1차 정화처리한 생활오수를 재처리하여 활성오수를 기준치 이하로 정화처리할 수 있는 오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오수처리장치는 오수처리조 내에 불규칙하게 충진되는 다수개의 미생물여재와, 상기 미생물여재에 부착된 미생물에 산소를 제공하기 위하여 외수처리조에 설치되며 원수공급관에 연결된 폭기용공기주입관과, 상기 폭기용공기주입관과는 별개로 오수처리조 내에 설치되어 역세척용 공기를 주입하는 역세척공기주입관을 포함한다. 상기 미생물여재는 폴리에틸렌을 이용하여 경량으로 취급이 용이하고 내구성, 내약품성이 우수하며 오수처리조 내에서 불규칙한 형태로 충진하되단위용적당 최대의 접촉면적이 되도록 하여 미생물의 부착을 빠르게 하면서 여과를 위하여 적용한 공간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여재의 막힘없이 장시간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며, 난류를 일으켜서 미생물의 접촉 및 활성효율을 증대하고, 처리효율이 좋도록 하여 경제적이면서 간단한 구조로 정화된최종 처리수를 얻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오수처리장치{Polluted Water Processing System}
본 고안은 오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촉산화여과장치를 개량하여 생활오수처리시 1차 정화처리한 생활오수를 재처리하여 현탁부유물(Suspender Solid)을 포함한 활성오니를 10㎜/ℓ이하로 낮출 수 있는 오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오수 처리는 현탁액 중의 미생물을 이용한 활성오니법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이 방법은 유입되는 오수의 수질 및 수량변화에 민감하여 처리수의 수질이 불안정하기 쉽고 활성오니의 재순환 비율조절, 오니의 침전성 유지, 공기폭기량 조절 등 변수가 많아 운전이 어렵고 규모가 비교적 커서 에너지 소모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활성오니법에 대해 적용되는 처리 장치의 부피가 작고, 또한 2차 침전조가 필요없이 오수 처리를 이루기 위한 생물여과법이 있다. 이 생물여과법은 여재를 이용하는 오수 처리방법으로써, 여재가 충진된 처리장치 내에서 오수를 통과시켜 일부 부유물질은 여과층에 의해 포착되어 제거되도록 하고, 잔여 부유물질과 용존유기물은 여과제 표면에 형성된 미생물막 속의 호기성 미생물이나 혐기성미생물의 대사작용에 의하여 분해되어 제거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여과층에 의해서 포획된 부유물질과 유기물 분해에 의해 과잉 성장된 미생물 슬러지가 여과층을 막아서 오수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고,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역체척에 의하여 재 운전을 이루게 한다. 따라서 여과층에 미생물이 번식되어 여재 표면의 미생물막이 두꺼워져서 미생물막의 내부 미생물은 성장이 억제되며, 나중에는 분해되어 미생물막이 여재에서 탈리되고 다시 새로운 미생물막이 형성되어 그 양이 증가하면 여과층을 통과한 처리수의 수질이 나빠지거나 여과층 내에 압력손실이 생겨 처리수의 양이 감소하여 운전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역세척에 의한 부유고형물인 여과층에 포획된 슬러지를 분리하는 번거러움과 시설에 따른 설치비가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오수처리조 내에 경량이면서 내구성과 내약품성이 우수하며 미생물의 부착이 용이하고 역세척이 간단한 미생물여재를 다량 불규칙하게 충진하여 생물성 현탁부유물의 포착을 빠르게하고, 여재가 막힘 없이 장시간 사용을 이루게 하면서 오수 내의 미생물과의 접촉효율을 증대하고 용이한 취급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오수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여재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유량조정조 20; 활성오니접촉폭기조
30; 침전조 40; 오수처리조
42; 모우터 44; 오수유입관
44a; 수직관 46; 폭기용공기주입관
48; 역세척공기주입관 60; 미생물여재
62; 본체 64,64a; 리브
66; 여과공
상기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오수를 생물학적 분해 및 여과 처리하기 위한 오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오수처리조 내에 불규칙하게 충진되는 다수의 부유성 미생물여재와, 상기 미생물여재에 부착된 미생물에 산소를 제공하기 위하여 오수처리조에 설치된 원수공급관에 연결된 폭기용공기주입관과, 상기 폭기용공기주입관과는 별개로 오수처리조에 설치되어 역세척용공기를 주입할 역세척공기주입관을 포함하는 오수처리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미생물여재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원주방향으로 내,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리브중 소정영역에 배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는 다른 것에 비하여 원주의 중심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으며, 본체를 관통하여 구비된 다수개의 여과공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오수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미생물여재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의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오수처리장치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조정조(10)와 활성오니접촉폭지조(20)와, 침전조(30) 및 오수처리조(40)를 각각 연결하여 오수처리장치가 구비된다.
유량조정조(10)는 주입되는 오수의 유량(流量)를 조정하여 유입되는 오수중 소정의 량 만이 공급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활성오니접촉폭기조(20)는 소정의 폭기장치를 통하여 폭기상태에서 활성오니(폐오수)의 난류를 이룰 수 있으며, 침전조(3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침전조(30)는 소정의 수용영역이 마련되어 활성오니접촉조(20)로부터 유입된 처리오수를 소정시간 침전을 이루게 하고, 상징수만을 오수처리조(40)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오수처리조(40)는 역세척시 활성오니가 모우터(42)의 동력을 기초로 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오수처리조(40)의 하부로부터 유량조정조(10)까지 배관되어 있다.
오수처리조(40)는 침전조(30)로부터 상징수를 공급하는 상징수공급관(44)이 측면으로부터 계단상으로 굴곡되어 중앙에 수직상태로 배치된 수직관(44a)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관(44a)에는 상징수공급관(44)과는 별도로 오수처리조(40) 상부로부터 하부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폭기용공기주입관(46)이 상징수공급관(44)의 연결부 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징수공급관(44)과는 별도로 역세척공기주입관(48)이 오수처리조(40) 내에 설치되어 있고, 공급된 상징수에는 미생물여재
(60)가 불규칙하게 다수개 충진되어 있다.
미생물여재(60)는 폴리에틸렌을 주원료로 성형제작되는데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본체(62)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62)의 원주방향으로는 내,외측을 향하여 다수개의 리브(64)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 리브(64)들중 소정영역에 배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64a)는 다른 리브(64)에 비하여 원주의 중심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리브(64a)는 충진되는 미생물여재(60)의 하부가 상부쪽으로부터 삽입 될 수 없을 정도로 돌출되어 있어 있으며, 본체(62)에는 관통된 다수개의 여과공(66)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유량조정조(10)로 유입되는 오수가 활성오니접촉폭기조(20)를 거쳐 1차 미생물처리되어 침전조(30)에서 침전된 후 오수처리조(40)로 유입된다. 이때 오수공급관(44)을 통하여 유입되는 1차처리된 오수는 수직관(44a)을 통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대류를 이루게 되고, 오수처리조(40)내에 유입된 오수 내에 불규칙하게 다수개 바람직하기로는 1㎥ 당 5000개 이상 충진된 미생물여재(60)에 의하여 난류를 일으키면서 순환된다.
미생물여재(60)의 내부와 외부에 마련되어 있는 리브(64)(64a) 및 상광하협의 형상때문에 미생물여재(60)들이 겹치거나 포개지는 염려가 없어 미생물여재(60)의 충진량이 극대화되어 단위용적당 최대 접촉면적을 가질 수 있는 상태로 오수내에 부유하게 되므로 따라서 미생물여재(60)에 미생물의 접촉면적이 극대화되어 효율이 좋은 처리를 실현하고, 또한 폭기용공기주입관(46)을 통하여 유입되는 산소에 의하여 일부 가용성 BOD(Biologial Oxygen Demand)까지 처리하여 활성오니를 최대한 여과하게 된다. 또한 역세척공기주입관(48)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미생물여재(60)에 축적된 오니가 분해되어 세정수분사가 필요없게 되어서 역세척수저수조의 설치를 배제하여 경제적 부담을 줄이며, 간단한 구조로 양호한 여과상태를 이룰 수 있게 한다.
실제로는 미생물과의 접촉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길이4m 정도의 원통형 오수처리조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이때는 처리용량이 50톤/일 이상이 되고, 1차 처리한 오수의 함유오니 20㎜/ℓ가 10㎜/ℓ 이하로 대폭 정화된다.
그리고, 미생물여재(60)의 본체(62) 표면에는 다수개의 여과공(66)을 형성하고 있어 적정한 공간을 유지하여 장기간 여재의 막힘을 방지하여 안전한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고,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상부 내측에 형성된 리브(64a) 때문에 하부측이 상부측으로 삽입될 수 없어 미생물여재(60)가 서로 겹치거나 포개질 염려가 없게 되며, 따라서 충진시 유휴공간이 줄어지게 되어 단위용적당 미생물의 접촉 면적이 극대화되게 된다. 만일 역세척시에는 상기 오수처리조(40)의 하단으로부터 유량조정조(10)에 모우터(42)를 포함하여 배관된 경로를 따라 모우터(42)를 기초로 오수처리조(40)의 오수를 강제흡입하면 오수가 배관경로를 따라 유량조정조(10)로 보내어져 역세척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과정 등을 통하여 오수처리조(40)내의 오수는 충분한 여과행정을 실행한 후 처리수 배출구를 통하여 10㎜/ℓ이하의 정화된 처리수를 배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폴리에틸렌을 이용하여 경량으로 취급이 용이하고 내구성, 내약품성이 우수한 미생물여재를 오수처리조내에서 불규칙한 형태로 충진하여 현탁부유물을 포함한 활성오니의 포착을 빠르게 할 때 불필요한 공간을 없애고 충진갯수를 늘려 단위 용적당 접촉면적을 늘려서 처리효율을 높이며, 여재의 막힘없이 장시간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며, 난류를 일으켜서 오수와의 접촉효율을 증대하고, 처리효율이 좋도록 하여 경제적이면서 간단한 구조로 정화된 최종 처리수를 얻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오수를 생물학적 분해 및 여과 처리하기 위한 오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오수처리조 내에 불규칙하게 충진되는 다수의 부유성 미생물여재와;
    상기 미생물여재에 부착된 미생물에 산소를 제공하기 위하여 오수처리조에 설치되며 원수공급관에 연결된 폭기용공기주입관과;
    상기 폭기용공기주입관과는 별개로 오수처리조에 설치되어 역세척용공기를 주입하는 역세척공기주입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여재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상광하협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원주방향으로 내,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리브중 소정영역에 배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는 다른 것에 비하여 원주의 중심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다수개의 여과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장치.
KR2019990020052U 1999-09-17 1999-09-17 오수처리장치 KR200172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052U KR200172824Y1 (ko) 1999-09-17 1999-09-17 오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052U KR200172824Y1 (ko) 1999-09-17 1999-09-17 오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824Y1 true KR200172824Y1 (ko) 2000-03-15

Family

ID=19589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052U KR200172824Y1 (ko) 1999-09-17 1999-09-17 오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8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298B1 (ko) 2011-11-28 2013-11-27 이종명 산소용해 폭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298B1 (ko) 2011-11-28 2013-11-27 이종명 산소용해 폭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9790B2 (ja) 膜分離活性汚泥処理装置及び膜分離活性汚泥処理方法
JP2000325976A (ja) 生物・酸化濾過装置
KR100698522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축산분뇨 정화시스템
KR100323597B1 (ko) 막처리방법 및 막처리장치
JPH10109095A (ja) 浄水処理装置
JP3491122B2 (ja) 浄水処理装置
KR200172824Y1 (ko) 오수처리장치
JP3491125B2 (ja) 浄水処理装置
JP2005144290A (ja) Mlssの制御方法
JP3773360B2 (ja) 膜分離合併浄化槽
JP4373871B2 (ja) 活性汚泥処理装置
JP3607088B2 (ja) 廃水中の窒素及び懸濁物質の連続同時除去方法並びに除去システム
JP4019209B2 (ja) 水の浄化システム
JP3972406B2 (ja) 厨芥処理装置
CN201272715Y (zh) 一体化膜生物污水处理装置
KR100453705B1 (ko) 침전 여과조를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및 방법
JP4335193B2 (ja) 有機性廃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JPH07214047A (ja) 浄水処理装置
JP4124957B2 (ja) ろ過体の洗浄方法及び装置
KR100458908B1 (ko) 화장실용 오폐수 처리시스템
KR100239805B1 (ko) 부상식 여과재를 이용한 연속운전 폐하수 생물여과 처리장치
KR100458909B1 (ko) 화장실용 오폐수 처리 시스템
JP2755507B2 (ja) 汚水処理装置
KR100947545B1 (ko) 순환식 분뇨오폐수 처리시스템
JP4450271B2 (ja) 生物膜ろ過洗浄排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