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264Y1 - 밀봉의 개봉이 용이한 종이컵 - Google Patents

밀봉의 개봉이 용이한 종이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264Y1
KR200258264Y1 KR2020010007653U KR20010007653U KR200258264Y1 KR 200258264 Y1 KR200258264 Y1 KR 200258264Y1 KR 2020010007653 U KR2020010007653 U KR 2020010007653U KR 20010007653 U KR20010007653 U KR 20010007653U KR 200258264 Y1 KR200258264 Y1 KR 2002582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up
film
tube
ba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6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장욱
Original Assignee
류장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장욱 filed Critical 류장욱
Priority to KR20200100076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2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2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264Y1/ko

Links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이컵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합성수지류 필름을 접착시켜 밀봉과 개봉이 용이하도록 한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이컵(1)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합성수지류 필름으로 제작한 봉투(5) 또는 튜브(5')를 접착시켜 봉투 또는 튜브에 부착된 필름끈(6)을 이용하여 쉽게 묶을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이 누설되거나 외기와 접촉하지 않도록 즉 밀봉이 용이하면서 또한 개봉도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밀봉의 개봉이 용이한 종이컵{Paper Cup which can be easily Sealed and Opened}
본 고안은 밀봉과 개봉이 용이한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이컵(1)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합성수지류 봉투 또는 튜브를 접착시켜 종이컵 위쪽에서 필름끈으로 묶고 풀기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즉, 밀봉과 개봉이 용이하도록 하여 물이나 커피 등에 쉽게 침습되지 않도록 하고 인체에 유해성이 적으면서 가열 접착성이 좋은 합성수지류 필름으로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피복 또는 코팅 처리한 것이다.
그리고, 종이컵은 가볍고 일정시간동안에는 컵 형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 후 버리더라도 경제적 부담이 적을 뿐만 아니라 그림과 문자 등의 인쇄가 용이하고 또한 찌그러뜨려 부피를 작게 할 수가 있어 커피나 차등의 자동 판매기용으로 주로 쓰이면서 그 외에도 다양한 용도로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유용함에도 불구하고 종이컵은 위쪽이 개방되어 있어 액체 형태의 내용물을 담는 경우에는 위치 이동이 곤란하며 휴대가 불가능하고, 액체 형태의 물질이나 물체가 아니더라도 냄새가 강하거나 또는 가급적 외기와의 접촉을 피해야 하는 내용물을 담고 또 보관하는 용도로는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비록 별도로 뚜껑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에도 완전한 밀봉이 어려워 완전한 밀봉을 위해서는 뚜껑과 종이컵 입구 부분을 접착시키던지 또는 뚜껑을 덮은 상태에서 다시 외부를 합성 수지 필름으로 감싸야만 했다.즉, 내용물을 담고 포장하는 공장에서 별도의 포장 설비를 이용하여야 만 할 뿐만 아니라 또 개봉 후에는 재밀봉이 곤란한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이컵과 비닐 봉투의 특성을 이용하여 종래의 종이컵이 가진 문제점 또는 불편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이컵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인체 유해성이 적으면서 열접착성이 좋은 합성수지류 필름을 사용하여 제작한 종이컵보다 상하의 길이가 긴 봉투(5) 또는 밑면이 없는 튜브(5')를 접착시켜 종이컵 위쪽의 합성수지류 필름을 묶고 풀 수 있도록 하여 이로 인한 밀봉과 개봉이 용이한 종이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종이컵 속으로 열접착성 합성 수지 필름으로 제작한 봉투를 삽입하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
도 2(A)는 컵 위로 드러나는 필름 부분을 바깥쪽으로 뒤집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
도 2(B)는 필름을 뒤집어씌운 상태에서 주름을 접어 갈무리한 것을 도시한 투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종이컵을 열접착성 합성 수지 필름으로 제작한 밑면이 없는 튜브 속으로 넣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
도 4(A)는 종이컵 외측면에 튜브를 결합시킨 것을 도시한 투시 사시도
도 4(B)는 종이컵을 끼워 가열하는 형틀을 도시한 투시 사시도
도 5는 필름끈을 이용하여 필름 위 부분을 묶은 것을 도시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종이컵 2.측면 접착선 3.종이컵의 밑면
4.금속봉 5. 봉투 5'.튜브
6.필름끈 7. 주름 8.전선
9. 종이컵외부코팅부 10.경사부 11. 가열형틀
본 고안에 따르면, 종이컵(1)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인체에 유해성이 적으면서 열접착성이 양호한 합성수지류 필름을 사용하여 밑면을 가진 봉투(5) 또는 밑면이 없는 튜브(5')형태로 제작한 것을 접착시켜 필름의 상단부분을 쉽게 묶고 풀 수 있도록 하여 밀봉과 개봉이 용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내측면에 열접착성이 양호하면서 인체 유해성이 적은 합성수지류로 코팅 처리되어 있는 종래의 종이컵(1)내로 열접착성이 양호하면서 또한 인체유해성이 적은 합성수지류 필름으로 제작한 밑면을 가진 봉투(5)를 끼워 넣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2(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렇게 하여 끼워 넣어진 봉투(5)와 종이컵 내측면에 코팅 처리된 부분 즉, 종이컵의 내측면 밑면과 옆면을 서로 밀착시켜 가열하면 접착되게 된다.
상기 접착방법은 먼저 도 1의 종이컵을 종이컵이 꼭 맞게 끼이게 되는 즉, 밑면을 받쳐주면서 옆면을 둥글게 감싸주는 형태의 홈을 가진 형틀 속에 넣고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준비된 봉투(5)속에 종이컵의 내부형태와 크기에 맞게 제작되고 또한 내부에 전열선이 내장되어 전기를 통해 발열 및 온도 조절이 되는 금속봉(4)을 끼운 상태에서 종이컵 속으로 넣어 필름봉투와 종이컵 내측면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금속봉(4)에 전기를 통하게 하는 것이 무난하다.
그리고, 필름봉투의 종이컵 위로 드러나는 부분에는 몇 개의 주름(7)을 형성시켜 주는 것이 좋다. 그것은 봉투와 종이컵 내측면이 서로 접착된 상태에서 도 2(A)에서 도시하는 바와 바깥쪽으로 뒤집기에도 용이하고 또 도 2(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뒤집은 상태에서 주름을 접고 외관을 갈무리하여 종이컵 끼리 서로 겹쳐 포개기에도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 필름봉투의 제작할 때에 2개의 좁고 긴 필름끈(6)을 부착시켜 봉투의 상부를 묶을 수 있는 끈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면 별도로 고무밴드나 끈을 제공하지 않아도 되어 더욱 편리하다.
끈으로 사용할 필름끈(6)의 재질은 봉투와 마찬가지로 열접착성이 양호한 것을 사용하여 가열접착에 의해 부착시킨 것이 무난하다.
그리고 필름봉투와 끈의 재질과 두께를 적절히 선정하여 쉽게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아 수 차례 반복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과는 반대로 종이컵(1)을 밑면이 없는 즉, 밑이 뚫려 있는 합성수지류 튜브(5')속으로 넣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종이컵과 합성수지류 필름과의 접착 및 결합을 위한 또 다른 방법을 나타낸다. 즉, 이 방법은 종이컵 내측면에 필름을 접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종이컵 외측면에 필름을 접착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림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이컵의 외측면 상부에 원주를 따라 적정 폭으로 열접착성이 양호하며 인체 유해성이 적은 합성수지류로 코팅 처리한 종이컵외부코팅부(9)를 형성시켜야 하며 가능하면 종이컵 내측면의 코팅처리와 함께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무난하다.
그리고, 튜브(5')는 역시 봉투(5)와 마찬가지로 열접착성이 양호하며 인체 유해성이 적은 합성수지류를 사용하여 제작하되 그림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이컵 외측면에 코팅 처리한 종이컵외부코팅부(9)가 걸려 고정될 수 있는 경사도로 밑쪽으로 내려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경사부(10)를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필름튜브의 내측면 경사부(10)에 종이컵의 위 부분 즉, 코팅 처리된 부분이 걸려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종이컵을 도 4(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홈을 가진 가열형틀(11)속에 밀어 넣어 필름튜브와 결합된 종이컵 상부가 끼워져 고정되게 하되 형틀 속에는 전열체를 내장시켜 전기를 통해 발열 및 온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종이컵 상부의 코팅 처리된 종이컵외부코팅부(9)과 필름튜브의 경사부가 서로 열접착되게 하는 것이 무난하다. 그리고, 종이컵 상부의 코팅처리 시 종이컵 외측면에 드러나는 접합선(2)에 의한 층을 고려하여 종이컵 내측면의 코팅 두께보다는 조금 더 두텁게 코팅 처리하는 것이 좋다.
또한 종이컵 상부의 코팅 처리된 종이컵외부코팅부(9)와 튜브(5')의 아래쪽 경사부(10)가 밀착된 상태에서 가열접착을 시키는 것이 좋으므로 종이컵 안쪽에도 도 1(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태의 금속봉(4)을 밀어 넣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금속봉 대신 세라믹이나 목재로 된 봉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튜브(5') 역시 봉투(5)와 마찬가지로 주름(7)과 끈으로 사용할 필름끈(6)을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필름튜브와 접착된 종이컵은 도 2(A)(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이컵 위쪽의 필름부분을 바깥쪽으로 뒤집어서 갈무리 할 수 있다.
도 5는 종이컵 내에 내용물을 담고 필름의 위 부분의 필름끈(6)을 끈으로 사용하여 묶은 상태를 나타낸다. 봉투(5)나 튜브(5') 공히 이렇게 하여 밀봉할 수가 있고 또 매듭을 풀어 개봉할 수가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으며 필름의 재질과 두께를 잘 선정하고 종이컵에 좀더 내구성을 부여함으로써 수차례 반복사용도 가능해진다.
이렇게 종이컵과 합성수지류 필름과의 접착에 의해 밀봉과 개봉이 용이하게 되는 종이컵은 종래의 컵 형태의 종이컵뿐만이 아니라 열접착성 합성수지가 코팅 처리된 필름 지를 사용하여 제작 가능한 사각 도시락 형태 또는 다양한 그릇형태의 용기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종이컵 내측면에 필름봉투를 접착시키는 방법은 경우에 따라서는 굳이 열접착에 의하지 않고 종이컵 내측면 또는 필름봉투의 외측면에 접착제를 발라 접착시킬 수도 있으며 따라서 종이 류로 된 용기뿐이 아니라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합성수지류 용기의 내측면에 위생성이 양호한 필름봉투를 가열접착 또는 접착제를 사용한 접착을 하여 봉투의 위 부분을 묶고 풀어 밀봉과 개봉을 용이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이컵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인체 유해성이 적거나 위생성이 좋은 합성수지류 봉투(5) 또는 튜브(5')를 접착시켜 종이컵 위에서 필름을 묶고 또 풀기가 용이하게 함으로써 종이컵 자체의 밀봉과 개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액체형태의 각종 물질이나 냄새가 강한 물질, 예를 들어 젓갈류, 장류 , 김치류 등이나 또는 팝콘 등과 같이 외기와의 접촉을 되도록 피해야 하는 식품류 및 각종 물질 또는 물체를 포장기계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히 밀봉 포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컵에 의해 일정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 비닐봉투 속에 그냥 담아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편리하며 또 사용 중 남은 잔량을 다음 사용을 위해 밀봉 보관하는 것도 용이 하는 등의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종이컵의 가진 유용한 특성 즉, 간단한 제조와 저렴한 제조원가, 표면에 글자와 그림의 인쇄가 용이 하는 등의 특성을 그대로 살리 수 있어 여러모로 다양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밀봉과 개봉이 용이한 종이컵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종이컵(1)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인체에 유해성이 적고 위생성이 양호한 합성수지류로 제작한 봉투(5) 또는 튜브(5')를 가열압착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종이컵(1)의 표면 또는 내측면에 접착시키되, 종이컵(1)의 상측으로 봉투(5) 또는 튜브(5')가 상단부분이 남겨지도록 접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과 개봉이 용이한 종이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봉투(5) 또는 튜브(5')의 상단부분에 길고 좁은 형상의 필름끈(6)을 일체로 부착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과 개봉이 용이한 종이컵.
KR2020010007653U 2001-03-15 2001-03-15 밀봉의 개봉이 용이한 종이컵 KR2002582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653U KR200258264Y1 (ko) 2001-03-15 2001-03-15 밀봉의 개봉이 용이한 종이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653U KR200258264Y1 (ko) 2001-03-15 2001-03-15 밀봉의 개봉이 용이한 종이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264Y1 true KR200258264Y1 (ko) 2001-12-28

Family

ID=73063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653U KR200258264Y1 (ko) 2001-03-15 2001-03-15 밀봉의 개봉이 용이한 종이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2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3204B2 (en) Pourable food container with drink spout
JP4149523B2 (ja) 柔軟性バッグ
KR100994113B1 (ko) 완전히 접합된 음료관 또는 분출관을 구비한 액체 밀봉 봉지.
EP0675053B1 (en) Process for making container of plastified sheet material and container obtained with this process
US20030172950A1 (en) Pouch container cosmetic package
MY124758A (en) A substantially paper container
NZ249909A (en) Bag formed from folded pleated sheet: pleats releasably adhered
TW436451B (en) A rigid mouthed bag and the method of forming the same
RU2467937C2 (ru) Упаковочная емкость, прежде всего емкость баночного типа
EP0300094A3 (en) Packaging container
KR200258264Y1 (ko) 밀봉의 개봉이 용이한 종이컵
JP4271848B2 (ja) 多層袋
JP2862443B2 (ja) 積層型容器及びその製法
JPH0741010A (ja) スタンドパウチ
JPS6217394Y2 (ko)
JPS6219578Y2 (ko)
JP2008081132A (ja) 紙製液体容器の天板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123969Y2 (ko)
JP3021015U (ja) シュリンク加工用包装材
JPS6244912Y2 (ko)
JP3076195U (ja) 折 箱
JPH07501304A (ja) 再封止可能な袋と入れ物
JP3572024B2 (ja) ストロー付き飲料容器
JPH11348981A (ja) 飲料用容器
JPH1149255A (ja) カートリッジ式押し出し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