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126Y1 - 자동차도어를 개폐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부가구비된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자동차도어를 개폐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부가구비된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126Y1
KR200258126Y1 KR2020010027735U KR20010027735U KR200258126Y1 KR 200258126 Y1 KR200258126 Y1 KR 200258126Y1 KR 2020010027735 U KR2020010027735 U KR 2020010027735U KR 20010027735 U KR20010027735 U KR 20010027735U KR 200258126 Y1 KR200258126 Y1 KR 2002581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tter
unique
mobile terminal
cp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기영
Original Assignee
전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기영 filed Critical 전기영
Priority to KR2020010027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1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1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12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단말기본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자동차도어 개폐를 위한 고유ID 등록 개시신호 및 주기적으로 ID를 포함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부가 구비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이동단말기에 구비된 송신부는, 고유ID 등록에 따른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부와; 스위치부에 연결되어 스위치부로부터 인가되는 키신호를 수신하여 고유ID등록 개시신호를 송출하고, 자체 메모리에 송신부의 고유ID를 저장하고 고유ID를 포함한 데이터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CPU와; CPU에 연결되어 있으며 CPU로부터 인가되는 ID등록 개시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의 신호에 해당하는 무선주파수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자동차도어를 수동으로 개폐시키지 않고도 송신부가 구비된 이동단말기 사용자가 자동차의 주차위치로부터 일정범위 이내로 진입하면 자동으로 자동차 도어를 언록(Unlock)상태로 유지하고, 송신부가 장착된 이동단말기의 소지자가 일정범위를 이탈하면 자동으로 자동차 도어를 록(Lock) 상태로 유지시켜 자동으로 자동차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도어를 개폐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부가 구비된 이동단말기{Mobile Station Having Transmiting Part Loking/Unlocking Automobile Door Automatically}
본 고안은 자동차도어를 개폐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가 구비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신부가 구비된 이동단말기를 소지한 소지자가 자동차의 주차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진입하면 도어스위치를 자동으로 구동시켜 자동차도어를 언록시키고, 일정 거리를 벗어나면 자동으로 자동차도어를 록시키는 송신부가 구비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잡은 자동차는 운전자의 편의와 안전을 위하여 많은 발전을 거듭해 왔다. 특히 최근에는 전파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일정 부품을 동작시킬 수 있는 원격조정장치가 개발되어 운전자의 편의와 안전을 향상시킨다. 원격조정장치는 운전자가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전파를 송수신하여 엔진의 시동이나 에어컨 또는 히터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경보음이나 헤드라이트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차가 동작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자동차에 도난방지를 위하여 각종 센서를 설치하여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비상등 또는 경보음을 이용하여 도난방지경보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원격조정장치는 운전자가 원격리모콘 송신기로부터 작동신호를 보내면 송신된 무선 신호가 메인박스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어 증폭 및 여과되어 각 구동장치로 출력되고, 자동차의 각 기능을 동작시켜 운전자가 직접 작동시키는 것을 대신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원격조정장치에 있어서는, 운전자가 차량과 일정 거리이내에서 직접 원격리모콘 송신기를 작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지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원격조정장치에 있어서는 원격리모콘에 내장되어 있는 ID를 인식하기 위해서 원격리모콘과 메인박스를 일체로 제작하여 판매하는 1:1 매칭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원격리모콘과 메인박스의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의 소비가 증가되어 원격리모콘의 배터리를 자주 교체해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도어를 자동으로 언록(Unlock) 및 록(Lock)시키는 신호를 메인박스로 송신하는 송신부가 구비된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운전자가 이그니션홀더에 키를 삽입한 상태에서 IG(Ignition)Ⅰ 또는 IG Ⅱ가 감지되거나 도어가 열린 상태이면 이동단말기에 구비된 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차단하여 운행 중에 자동차의 도어가 언록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를 자주 교체하는 번거로움 없이 자동차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송신부와 메인박스가 연결되어 있는 자동차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송신부와 메인박스 사이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단말기에 구비된 송신부의 내부구성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송신부에 연결되는 메인박스의 내부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이동단말기 10 : 송신부
11 : 스위치부 13 : CPU
15 : 무선송신부 20 : 메인박스
21 : 무선수신부 23 : CPU
25 : 메모리부 27 : 컨트롤버퍼
30 : 도어록모터 40 : 이그니션(Ignition)감지부
50 : 경보발생부 60 : 레귤레이터
70 : 도어열림감지부 80 : ID전환신호감지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동단말기본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자동차도어 개폐를 위한 고유ID 등록 개시신호 및 주기적으로 ID를 포함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부가 구비된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신부의 고유ID 등록에 따른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인가되는 키신호를 수신하여 고유ID등록 개시신호를 송출하고, 자체 메모리에 상기 송신부의 고유ID를 저장하고 고유ID를 포함한 데이터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CPU와; 상기 CPU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CPU로부터 인가되는 ID등록 개시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의 신호에 해당하는 무선주파수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부에는 상기 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송신부의 고유ID를 저장 및 등록시키고, 상기 등록된 고유ID와 동일한 신호가 수신되면 도어스위치를 언록 상태로 구동시키고, 상기 등록된 고유ID가 수신되지 않으면 도어스위치를 록 상태로 구동시키고, 이그니션홀더에 삽입된 키 위치가 ON 및 ACC 상태에 있으면 상기 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차단시키는 메인박스가 상기 송신부와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무선신호를 송출하여 자동차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송신부가 구비된 이동단말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단말기와 메인박스가 연결되어 있는 자동차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단말기와 메인박스 사이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이동단말기(1)는 이동단말기본체(3)에 장착되어 이동단말기본체(3)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이동단말기(1)에는 고유ID 등록을 위한 개시신호 및 주기적으로 고유ID를 포함한 무선신호를 송출하여 자동차도어(33)를 개폐하는 송신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송신부(1)는 스위치부(11), CPU(13), 무선송신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송신부(1)에는 송신부(1)와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메인박스(20)가 연결되어 있다. 메인박스(20)에는 도어록모터(30), 이그니션(Ignition)감지부(40), 경보발생부(50) 및 도어열림감지부(70), ID전환신호감지부(80)가 연결되어 있다.
이동단말기(1)에 구비되어 있는 송신부(10)는 주기적(예컨대, 2초)으로 고유ID를 포함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송신부(10)의 고유ID에 의한 도어개폐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송신부(10)의 고유ID를 메인박스(20)에 등록시키는 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송신부(10)의 고유ID 등록은 자동차의 주차위치로부터 일정범위(예컨대, 4m) 이내에서 송신부(10)가 구비된 이동단말기(1)를 소지한 소지자가 스위치부(11)를 이용하여 등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단말기본체(3)에 마련되어있는 다양한 입력버튼을 스위치부(11)로 이용하여 송신부(10)의 고유ID를 등록시킬 수 있다. 예컨대, 이동단말기본체(3)에 마련되어 있는 입력버튼 중 '*'이 표시되어 있는 입력버튼을 소정 길게(예컨대, 3초) 누른 후, '#'가 표시되어 있는 입력버튼을 두 번 반복하여 누르는 방법을 이용하여 고유ID를 입력시킬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송신부(10)의 고유ID를 등록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전술한 것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등록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박스(20)에 연결된 ID전환신호감지부(80)로 설정된 고유ID전환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송신부(10)가 가지는 고유ID를 등록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유ID전환신호는 운전자가 이그니션홀더의 'ON'상태와 'OFF'상태 사이를 왕복하는 동작을 수회(예컨대, 3회) 반복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이그니션홀더의 온상태와 오프상태 사이를 왕복하는 동적으로 고유ID전환신호로 설정하였지만, 도시 생략된 도어스위치의 록동작와 언록동작 사이를 복수회 반복하는 동작 등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실시예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동단말기(1)의 일영영에 사용이 용이하고 크기가 비교적 작은 텍트(tact)스위치를 설치하여 스위치부(11)로 사용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에 구비된 송신부(10)의 고유ID 등록방법은 전술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 여러 가지 다른 방법에 의해 ID를 등록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송신부(10)와 무선 송수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메인박스(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수신부(21), CPU(23), 메모리부(25), 및 컨트롤버퍼(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박스(2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메인박스(20)는 송신부(1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특정 송신부(10)의 고유ID를 저장하고, 저장된 고유ID와 동일한 신호가 수신되면 도어스위치(31)를 언록상태로 구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메인박스(20)는 일정시간 이내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ID와 동일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도어스위치(31)를 록상태로 구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이그니션홀더의 IG Ⅰ 또는 IG Ⅱ이 감지되거나 도어가 열린 상태이면 저장된 고유ID와 동일한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송신부(1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차단시킨다. 도 1에는 메인박스(20)가 자동차로부터 분리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별도로 분리하여 도시한 것으로 메인박스(20)는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메인박스(20)에 연결되는 도어록모터(30)는 도어스위치(31)에 연결되어 메인박스(20)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도어스위치(31)를 구동시켜 도어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며, 도어열림감지부(70)는 자동차도어(33)의 열림여부를 감지한다. 이그니션감지부(40)는 도시 생략된 이그니션홀더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그니션홀더에 삽입된 키 위치를 판명하여 키가 이그니션홀더의 온위치 또는 ACC위치에 위치하면 IG감지신호를 메인박스(20)로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경보발생부(50)는 메인박스(20)에 연결되어 메인박스(20)로 인가되는 방향등 구동신호 및 경보발생신호에 따라 방향등을 구동시키고 자동차 혼 또는 자체의 사이렌을 이용하여 경보음을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도어열림감지부(70)는 자동차도어(33)의 열림여부를 감지하여 자동차도어(33)가 열린 것으로 판단되면, 저장된 고유ID와 동일한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특정 송신부(1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ID전환신호감지부(80)는 설정된 고유ID전환신호가 인가되면 송신부(10)의 고유ID를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단말기에 구비된 송신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송신부(10)는 스위치부(11), CPU(13), 및 무선송신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송신부(10)를 구성하는 스위치부(11)는, 송신부(10)가 구비된 이동단말기(1)를 소지한 소지자가 해당 송신부(10)의 고유ID를 메인박스(20)에 등록시키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메인박스(20)는 스위치부(11)로부터 키신호에 해당하는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전송되는 고유ID를 등록시킬 준비를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스위치부(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본체(3)에 마련되어 있는 입력버튼을 이용한다.
CPU(13)는 스위치부(11)에 연결되어 있으며, 스위치부(11)로부터 인가되는 키신호를 수신하여 고유ID등록 개시신호를 송출하고 자체 메모리에 송신부(10)의 ID를 저장하고 주기적(예컨대, 2초 간격)으로 고유ID를 포함한 데이터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CPU(13)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고유ID를 포함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며, 또한 스위치부(11)가 동작한 이후부터는 계속적으로 ID를 포함한 데이터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무선송신부(15)는 발진기(OSC; 151), 위상고정루프(PLL;152), 루프필터(153), 전압제어발진기(VCO;154) 및 전력증폭기(PA;15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CPU(13)에 연결되어 있다. CPU(13)에 연결되어 있는 무선송신부(15)는 CPU(13)로부터 인가되는 고유ID등록 개시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의 신호에 해당하는 무선주파수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무선주파수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하여, 이동단말기(1)에는 별도의 송신용 안테나를 설치할 수 있다.
무선송신부(15)를 구성하는 발진기(151)는 안정한 기준주파수(예컨대, 400MHz)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며, 위상고정루프(PLL:152)는 발진기(151)에서 생성된 기준주파수를 이용해 정해진 주파수를 만들어내고 만약 주파수가 높거나 낮으면 주파수를 빼거나 더하여 주파수 변화가 없도록 한다. 또한 무선송신부(15)를 구성하는 루프필터(153)는 위상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위상고정루프(152)에서 합성된 주파수를 필터링하며, 전압제어발진기(VCO;154)에서는 정밀한 가변주파수를 생성하고, 전력증폭기(PA:155)는 전압제어발진기(154)에서 생성된 주파수를 증폭하여 일정한 진폭의 신호로 출력하여 송신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무선송신부(15)에서는 전압제어발진기(154)의 출력단을 위상고정루프(152)로 피드백시켜 오차없는 주파수가 생성되도록 구현한다. 여기서 전력증폭기(155)를 구성할 때에는, 파형의 변조를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인 증폭기를 이용하여 오프셋전압 및 이득계수를 조절하여야 한다. 만약, 같은 오프셋의 크기로 진폭이 다른 신호의 온/오프를 결정하면 듀티비율이 바뀌게 되어 파형이 변조될 수 있으므로 오프셋전압 및 이득계수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송신부(10)는 이동단말기본체(3)에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송신부(10)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로부터 이동단말기본체(5)로 전원이 공급될 때 전원을 충전하였다가 배터리(5)가 방전되었을 때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송신부(10)를 동작시키는 별도의 보조전원부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메인박스의 내부 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박스(20)는 무선수신부(21), CPU(23), 메모리부(25), 컨트롤버퍼(27)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메인박스(20)에는 레귤레이터(60)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레귤레이터(60)에 의해 메인박스(2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는다. 무선수신부(21)는 RF증폭기(211), RF필터(212), 발진기(213), 필터(214), 믹서(215), SAW필터(216), 증폭기(AMP;217) 및 IF IC(218)를 포함한다.
무선수신부(21)는 송신부(10)를 통해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용 안테나를 통해 송신 원래의 신호로 복조 및 디지털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무선수신부(21)를 구성하는 RF증폭기(211)는 수신용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무선신호의 수신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증폭하는 것이며, RF필터(212)는 RF증폭기(211)에 의해 증폭된 신호중에서 일정한 대역의 주파수만을 통과시키고 그 이외의 주파수는 제거시키도록 필터링한다.
또한, 무선수신부(21)를 구성하는 믹서(215)는 RF필터(212)에서 필터링된 주파수와 필터(214)에서 필터링된 주파수를 혼합하여 일정한 중간주파수로 변환하며, 표면탄성파 필터(SAW필터;216)는 믹서(215)에서 생성된 중간주파수에서 특정 대역의 주파수만을 통과시켜 혼선과 잡음을 없애준다. 증폭기(217)는 SAW필터(216)에서 필터링된 중간주파수를 증폭하며, 중간주파수 IC(IF IC; 218)는 증폭기(217)에 의해 증폭된 중간주파수를 원래의 송신주파수로 복조하여 처리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무선수신부(21)를 구성하는 RF증폭기(211)는 능동소자를 포함한 회로의 일부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성능은 떨어지더라도 동작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발진기(213)는 발진출력이 충분하고 안정하여야 하며 고주파 함유율이 적고 주파수 조정이 간단하게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주파수를 증폭하는 증폭기(217)는 구현하고자 하는 기기에 따라 설계자가 중간 주파수를 높게 증폭하거나 낮게 증폭할 수 있다. 중간주파수를 높게 증폭하는 경우에는 인입현상에 의해 영향이 개선되고 전송대역주파수 특성이 개선된다는 이점이 있고, 중간주파수를 낮게 증폭하는 경우에는 감도 및 안정도가 좋아지고 단일 조정이 용이하며 근접 주파수에 대한 선택도가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중간주파수를 낮게 증폭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다.
한편, 메인박스(20)를 구성하는 CPU(23)는 무선수신부(21)를 구성하는 중간주파수 IC(218)에 연결되어 있으며, 디지털 변환된 주파수 데이터를 판독하여 등록된 고유ID인가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 도어록모터(30)의 동작을 제어하고 경보 출력여부를 지시하는 각종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CPU(23)는 스위치부(11)로부터의 고유ID 등록동작에 의해 인가되는 고유ID를 등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부(25)는 CPU(23)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CPU(23)로부터 인가되는 특정 송신부(10)의 고유ID를 저장하고, CPU(23)의 고유ID 추출명령에 따라 해당하는 고유ID를 CPU(23)로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컨트롤버퍼(27) 또한 CPU(23)와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신호로부터 CPU(23)를보호하고, CPU(23)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증폭하여 외부기기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컨트롤버퍼(27)에서 저장되는 데이터블록에는 도어스위치(31)를 록 상태로 구동시키기 위한 도어록 신호, 도어스위치(31)를 언록상태로 구동시키기 위한 도어언록 신호, 자동차도어(33)의 열림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열림감지신호, 이그니션홀더의 상태를 감지하여 IG Ⅰ상태 또는 IG Ⅱ상태를 판별하는 IG 감지신호, 방향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방향등 구동신호, 자동차 혼 또는 자체의 사이렌을 이용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경보발생신호 및 고유ID전환을 위한 고유ID전환신호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이동단말기(1)에 구비된 송신부(10)를 이용한 자동차도어개폐에 대한 동작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송신부(10)가 구비된 이동단말기(1)의 소지자는 자신의 이동단말기(1)에 구비된 송신부(10)의 고유ID를 메인박스(20)에 등록시켜야 한다. 본실시예에서는 송신부(10)가 구비된 이동단말기(1) 소지자가 이동단말기(1)에 마련되어 있는 입력버튼(7)을 스위치부(11)로 이용하여 고유ID등록 개시신호를 송출하는 것으로 고유ID를 등록시킨다. 이동단말기(1) 소지자가 입력버튼(7)을 동작(예컨대, '*'표시버튼을 3초 동안 길게 누른 후, '#'표시버튼을 짧게 두 번 누르는 동작 등)시킴으로서 발생되는 고유ID등록 개시신호는 무선송신부(15)에 의해 변조 및 증폭되어 송신용 안테나를 통해 메인박스(20)로 송신된다. 무선수신부(21)는 송신부(10)로부터 송신되는 고유ID등록 개시신호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수신하여 원래의 신호로 복조 및 디지털 변환하여 CPU(23)로 인가한다.
그 후 CPU(23)는 컨트롤버퍼로(27)부터 소정 횟수의 도어록 감지신호가 인가되는가를 판별하여 소정 횟수의 도어록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송신되는 고유ID가 등록될 고유ID임으로 판단하여 등록시킬 준비를 한다. 송신부(10)는 전원이 공급됨과 동시에 주기적으로 자신의 고유ID에 해당하는 무선주파수를 외부로 송신하고, 무선수신부(21)는 송신부(10)에서 송신하는 해당 무선주파수를 수신하여 CPU(23)로 인가한다. 다만, 일정범위 이내에 위치한 송신부(10)에서 송신되는 무선주파수는 모두 CPU(23)로 인가되지만, 전술한 고유ID등록 개시신호와 소정 횟수의 도어록 감지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무선주파수를 무시한다. 반면에 고유ID등록 개시신호와 소정 횟수의 도어록 감지신호가 검출된 이후에 인가되는 고유ID 데이터는 올바른 고유ID 등록과정을 거친 정규의 고유ID이기 때문에 해당 고유ID를 메모리부(25)에 저장한다. 따라서, 메인박스(20)는 등록된 고유ID에 의해서만 동작되도록 세팅된 것이고, 부가적으로 새로운 ID를 등록시키기 위해서는 전술한 고유ID등록 과정을 다시 수행하면 새로운 송신부 고유ID를 새로이 등록시킬 수 있다.
특정 송신부(10)가 구비된 이동단말기(1)의 소지자가 일정 범위 이내에 진입하면, 메인박스(20)는 송신부(10)에서 송신되는 고유ID를 수신한 후, 해당 고유ID가 등록된 ID인가를 우선 판별한다. 송신된 고유ID가 등록된 ID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신호를 무시하고, 등록된 고유ID인 경우에는 컨트롤버퍼(27)로 도어 언록 신호를 송출하여 도어록모터(30)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도어 언록신호가 인가되면 도어록모터(30)는 도어스위치(31)를 구동시켜 자동차도어(33)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동작한다. 이와 동시에 메인박스(20)는 컨트롤버퍼(27)로 방향등 구동신호 및 경보발생신호를 송출하여 자동차도어(33)가 열림 상태에 있음을 외부로 통보한다. 즉, 좌/우 방향등을 구동(예컨대, 두 번 깜빡임)시킴과 동시에 경보음을 발생(예컨대, 두 번의 경보음)시킴으로서, 송신부(10)가 구비된 이동단말기(1)를 소지한 소지자는 자동차도어(33) 열림 상태에 있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반대로, 특정 송신부(10)의 소지자가 일정범위(예컨대, 4m이내)를 이탈하면(송신부(1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주파수가 검출되지 않으면), 메인박스(20)는 송신부(10)를 구비한 이동단말기(1) 소지자가 차량에서 벗어난 것으로 간주하여 컨트롤버퍼(27)로 도어록 신호를 송출하여 자동차도어(33)가 잠김 상태에 있음을 외부로 통보한다. 즉, 좌/우 방향등을 구동(예컨대, 한번 깜박임)시킴과 동시에 경보음을 발생(예컨대, 한번의 경보음)시킴으로써, 송신부(10)가 구비된 이동단말기(1)의 소지자는 자동차도어(33)가 잠김 상태에 있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송신부(10)를 구비한 이동단말기(1)를 소지한 상태에서 운전석에 앉은 경우에,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도어스위치(31)가 잠김 상태가 된다 하더라도 메인박스(20)는 송신부(10)로부터 등록된 고유ID가 계속 수신되므로 도어언록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따라서, 송신부(10)가 구비된 이동단말기(1)의 소지자가 차량 내에 있는 경우에는 계속해서 도어언록 상태가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인박스(20)는 컨트롤버퍼(27)로부터 IG감지신호가 인가되면, 그 이후에 송신부(10)로부터 고유ID가 수신되더라도 해당 무선신호를 무시함으로서, 운전 중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도어스위치(31)가 잠김 상태가 된 경우에 도어스위치(31)를 열림상태로 구동시키지 않도록 한다. 또한, 운전자가 자동차도어(33)를 열어 놓은 상태에서 일정범위를 이탈한 경우에 등록된 고유ID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자동차도어(33)를 록상태로 구동시키지 않고 현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IG 감지 신호는 이그니션홀더에 연결된 이그니션감지부(40)에 의해 검출되며, 운전자가 키를 이그니션홀더에 삽입한 상태에서 키를 온 또는 ACC상태로 회전할 때 IG감지신호가 검출된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송신부가 구비된 이동단말기에 의하면, 자동차도어를 수동으로 개폐하지 않고도 송신부가 구비된 이동단말기의 소지자가 일정 범위 이내로 진입하면 자동으로 자동차도어를 언록상태로 유지하고, 이동단말기의 소지자가 일정 범위를 이탈하면 자동으로 자동차도어를 록 상태로 유지하여 자동으로 자동차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송신부가 구비된 이동단말기에 의하면, 송신부가 구비된 이동단말기의 소지자가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는 이그니션홀더의 키 위치를 판별하여 키가 IG 상태에 위치하였다고 감지되면, 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ID를 무시하여 운전 중에 도어스위치가 자동으로 언록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이동단말기에 따르면, 이동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송신부를 동작시키므로 별도의 배터리를 설치하거나 배터리를 교체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Claims (8)

  1. 이동단말기본체에 장착되어 이동단말기본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주기적으로 고유ID를 포함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부가 구비된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신부 고유ID 등록에 따른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인가되는 키신호를 수신하여 ID등록 개시신호를 송출하고, 자체 메모리에 상기 송신부의 고유ID를 저장하고 고유ID를 포함한 데이터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CPU와;
    상기 CPU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CPU로부터 인가되는 ID등록 개시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의 신호에 해당하는 무선주파수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에는 상기 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송신부의 고유ID를 저장 및 등록시키고, 상기 등록된 고유ID와 동일한 신호가 수신되면 도어스위치를 언록(Unlock) 상태로 구동시키고, 상기 등록된 고유ID가 수신되지 않으면 도어스위치를 록(Lock) 상태로 구동시키고, 이그니션홀더에 삽입된 키 위치가 ON 및 ACC 상태에 있으면 상기 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차단시키는메인박스가 상기 송신부와 무선으로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박스에는,
    상기 메인박스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도어스위치를 작동시켜 자동차도어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도어록모터와; 자동차도어가 열림상태인지를 감지하는 도어열림감지부와; 상기 이그니션홀더에 삽입된 키위치가 ON 및 ACC 상태에 있는 지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이그니션신호를 상기 메인박스로 인가하는 이그니션감지부와; 상기 메인박스에 인가되는 방향등 구동신호 및 경보발생신호에 따라 방향등을 구동시키고 자동차 혼(Horn) 또는 자체 사이렌을 이용하여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발생부와; 상기 고유 ID의 변경을 위한 고유ID전환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된 상기 고유ID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ID전환신호감지부가 상기 메인박스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메인박스로 무선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도어록모터, 상기 이그니션감지부 및 상기 경보발생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박스는,
    상기 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용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원래의 신호로 복조 및 디지털 변환하는 무선수신부와;
    상기 무선수신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디지털변환된 주파수 데이터를 판독하여 등록된 고유ID인가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 상기 도어록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경보 출력 여부를 지시하는 각종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CPU와;
    상기 CPU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CPU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송신부의 ID를 저장하고, 상기 CPU의 ID추출명령에 따라 해당 고유ID를 상기 CPU로 인가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CPU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신호로부터 상기 CPU를 보호하고, 상기 CPU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외부기기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컨트롤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버퍼에 저장되는 데이터블록은,
    상기 도어스위치를 언록상태로 구동시키기 위한 도어록 신호, 상기 도어 스위치를 언록상태로 구동시키기 위한 도어언록 신호, 소정 횟수의 상기 도어 스위치 구동을 감지하는 도어록 감지신호, 상기 이그니션홀더의 상태를 판별하여 IG Ⅰ상태 또는 IG Ⅱ 상태를 감지하는 IG 감지신호, 방향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방향등 구동신호, 자동차 혼 또는 자체의 사이렌을 이용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경보발생신호 및 상기 고유ID전환을 위해 설정된 고유ID전환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PU는
    상기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고유ID 등록 개시신호가 상기 무선수신부를 통해 인가되고 상기 컨트롤버퍼를 통해 소정 횟수의 도어 록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위치부에서 송신되는 상기 고유ID에 따른 키신호를 등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PU는
    상기 ID전환신호감지부로 고유ID변경을 위한 고유ID전환신호가 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송신부의 고유ID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이동단말기본체로 전원이 공급될 때 충전하고, 상기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 상기 충전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부를 동작시키는 보조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KR2020010027735U 2001-09-10 2001-09-10 자동차도어를 개폐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부가구비된 이동단말기 KR2002581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735U KR200258126Y1 (ko) 2001-09-10 2001-09-10 자동차도어를 개폐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부가구비된 이동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735U KR200258126Y1 (ko) 2001-09-10 2001-09-10 자동차도어를 개폐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부가구비된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126Y1 true KR200258126Y1 (ko) 2001-12-24

Family

ID=73082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735U KR200258126Y1 (ko) 2001-09-10 2001-09-10 자동차도어를 개폐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부가구비된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1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37844B1 (en)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device for mobile body
US912656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vehicle
US5767588A (en) Wireless vehicle control system
US20060164210A1 (en) On-board wireless receiver having two antennas
JP2005299305A (ja) 携帯機、車載機および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JPH0586562B2 (ko)
JP3309777B2 (ja) 移動体用機器遠隔制御装置
JP3275777B2 (ja) 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KR200245976Y1 (ko) 카드식 rf송신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 자동 개폐장치
KR200282671Y1 (ko) 자동차 도어 자동 개폐장치
KR200258126Y1 (ko) 자동차도어를 개폐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부가구비된 이동단말기
KR200258125Y1 (ko) 자동차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송신부가 구비된 이동단말기용 배터리
JP2002021386A (ja) 電波式キーシステム
JPH07113364A (ja) トラック荷台扉用リモートロック装置
KR200257700Y1 (ko) 이동단말기에 장착되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
JP3631969B2 (ja) 遠隔操作式エンジン始動装置
JP3812291B2 (ja) 移動体用機器遠隔制御装置及び移動体用携帯機
KR100436422B1 (ko) 차량 및 차고 도어 자동 개폐 시스템 및 방법
JP4325490B2 (ja) ヘテロダイン受信機
JP2006213289A (ja) 車載受信機
JP3133292U (ja) 無線キーシステム
JP3248451B2 (ja) 車載機器遠隔制御装置
JP3159142B2 (ja) 車載機器遠隔制御装置
JP2006214240A (ja) 車載受信機
JP3287277B2 (ja) 車両用施錠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