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154Y1 - 하단부가 개구되어진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하단부가 개구되어진 배수트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57154Y1 KR200257154Y1 KR2020010021666U KR20010021666U KR200257154Y1 KR 200257154 Y1 KR200257154 Y1 KR 200257154Y1 KR 2020010021666 U KR2020010021666 U KR 2020010021666U KR 20010021666 U KR20010021666 U KR 20010021666U KR 200257154 Y1 KR200257154 Y1 KR 20025715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p
- drain
- auxiliary
- opening
- drain pip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막힌 배수관의 뚫는 작업이 가능토록 하단부가 개구토록 되면서 트랩부에 안착되어지는 보조트랩을 캡 형태로 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토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통상의 배수트랩은 상부로는 배수구에의 설치를 위한 프레임이 고정되고 하부로는 배수구에 매립되어지는 트랩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트랩부의 내부로 탈착식으로 조립되어지는 보조트랩이 결합토록 되어 유입되어진 폐수가 트랩부의 측면에 형성되어진 개구부를 통하여 배출토록 되어 있고 트랩부의 하단부는 막혀진 구조로 되어 찌꺼기의 포획이 가능토록 되어 있으나 배수관이 막힐 경우에는 뚫는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트랩부와 보조트랩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원가의 상승 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본 고안의 배수트랩은 트랩부의 하단부를 상부로 절곡시켜 외주부로는 찌꺼기의 수납부가 형성토록 되면서 중심부에 개구부가 형성토록 하고, 보조트랩은 테두리부에 다수개의 요입부가 형성되어 측면으로 개구토록 되어지는 캡 형태로 하여 트랩부에 결합되어지는 구조로 형성토록 함으로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배수트랩
Description
본 고안은 배수구가 형성되어진 바닥면에 설치하여 배수구를 통하여 버려지는 폐수의 찌꺼기를 일단 걸러지도록 함으로서 배수구와 연결되어진 배수관이 막히게 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러한 배수트랩은 막힌 배수관의 뚫는 작업이 가능토록 하단부가 개구토록 되면서 트랩부에 안착되어지는 보조트랩을 캡 형태로 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토록 한 것이 특징이다.
통상의 배수트랩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가 위치된 바닥면에 고정토록 되어 배수트랩을 배수구에 장착시키기 위한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하부로 돌출되어 배수구에 내삽됨으로서 매립되어지는 트랩부(200)와, 트랩부(200)의 내부로 탈착식으로 안착되어지는 보조트랩(300)으로 이루어져, 보조트랩(300)의 중심부에 상광하협의 구조로 형성되어진 개구부(301)를 통하여 유입되어지는 폐수를 트랩부(200)의 측면에 다수개 형성되어진 개구부(201)를 통하여 배출토록 되어 있고, 트랩부(200)의 하단부는 막혀진 구조로 되어 찌꺼기의 포획이 가능토록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배수트랩의 상부로는 폐수에 포함된 큰 찌꺼기들을 걸러지도록 하기 위한 스크린(400)이 결합되어지는 것이고, 폐수에 포함된 작은 찌꺼기들은 배수트랩의 트랩부(200) 하부에 포획됨으로서 배수관의 막힘을 최대한 방지토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배수트랩에 있어서도 부유되어 배출되어지는 찌꺼기에 의한 배수관을 막힘을 완전히 배체할 수 없는 것으로, 트랩부(200)의 하단부가 막혀진 상태에서는 막혀진 배수관을 뚫기 위한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고, 보조트랩(300) 자체의 구조와 보조트랩(300)을 트랩부(20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트랩부(200)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원가가 상승되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배수트랩은 프레임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지는 트랩부와, 트랩부의 내부로 탈착식으로 조립되어지는 보조트랩으로 구성되어지는 배수트랩에 있어서,상기 트랩부의 하단부는 상부로 절곡시켜 외주부로는 찌꺼기의 수납부가 형성토록 되면서 중심부로는 개구부가 형성토록 되어 막혀진 배수관의 뚫는 작업이 가능토록 하고, 상기 보조트랩은 테두리부에 요입부가 형성되어 측면으로 개구토록 되어진 캡 형태로 되어 트랩부의 절곡된 부분으로 삽입되어 결합되어지는 구조로 형성토록 하여 저 단가의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토록 하고자 함이다.
도 1은 본 고안 배수트랩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배수트랩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 배수트랩의 결합 구조를 타나낸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트랩부 11: 찌꺼기 수납부
20: 보조트랩 21: 요입부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토록 한다.
도 1 과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프레임(100)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지는 트랩부(200)와, 트랩부(200)의 내부로 탈착식으로 조립되어지는 보조트랩(300)으로 구성되어지는 통상의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트랩부(10)는 하단부가 상부로 절곡되어 외주부로는 찌꺼기의 수납부(11)가 형성토록 되면서 중심부로는 개구부(12)가 형성토록 되어 막혀진 배수관의 뚫는 작업이 가능토록 되고, 상기 보조트랩(20)은 테두리부에 다수개의 요입부(21)가 형성되어진 측면으로 개구되어지는 캡 형태로 되어 상기 트랩부(10)의 수납부(11) 내부로 보조트랩(20)의 테두리부가 결합되어지는 구조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의 배수트랩은 배수구를 통하여 폐수가 배출되어지면 폐수의 배출압력에 의하여 보조트랩(20)이 상부로 떠 오르면서 보조트랩(20)와 트랩부(10)의 수납부(11) 사이에 형성되어지는 틈을 통하여 폐수가인출되어 트랩부(1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진 개구부(21)를 통하여 배수관으로 유출되어지는 것이고, 트랩부(10)의 수납부(11)로는 폐수에 포함되어진 찌꺼기가 포획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배수트랩은 평소에는 찌꺼기의 포획이 가능토록 되는 배수트랩으로 수행되어지고 배수관이 막힐 경우에는 트랩부(1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진 개구부(21)를 통하여 배수관의 뚫는 작업이 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배수트랩은 트랩부의 하부가 개구토록 됨으로서 배수관이 막힐 경우에도 길죽한 도구 등을 사용하여 배구관을 쑤셔서 뚫는 작업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고, 트랩부와 보조트랩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있음으로 제작 단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1)
- 프레임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지는 트랩부와, 트랩부의 내부로 탈착식으로 조립되어지는 보조트랩으로 구성되어지는 통상의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트랩부는 하단부가 상부로 절곡되어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에는테두리부에 다수개의 요입부가 형성된 캡이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부가 개구되어진 배수트랩.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1666U KR200257154Y1 (ko) | 2001-07-18 | 2001-07-18 | 하단부가 개구되어진 배수트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1666U KR200257154Y1 (ko) | 2001-07-18 | 2001-07-18 | 하단부가 개구되어진 배수트랩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57154Y1 true KR200257154Y1 (ko) | 2001-12-24 |
Family
ID=73067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21666U KR200257154Y1 (ko) | 2001-07-18 | 2001-07-18 | 하단부가 개구되어진 배수트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57154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2213B1 (ko) * | 2005-12-21 | 2007-08-02 | 신수재 | 세척조의 배수장치 |
-
2001
- 2001-07-18 KR KR2020010021666U patent/KR20025715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2213B1 (ko) * | 2005-12-21 | 2007-08-02 | 신수재 | 세척조의 배수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267361A (en) | Drain trap | |
KR200257154Y1 (ko) | 하단부가 개구되어진 배수트랩 | |
JP5504686B2 (ja) | 排水目皿 | |
JP5572999B2 (ja) | 排水目皿 | |
KR200257153Y1 (ko) | 트랩부의 분리가 가능토록된 배수트랩 | |
JP2009108511A (ja) | 雨水取り出し装置 | |
KR200262197Y1 (ko) | 하수구트랩 | |
JP5319900B2 (ja) | ヘアキャッチャー | |
CN108755465B (zh) | 下水道结构 | |
JP5573000B2 (ja) | 排水目皿 | |
JP4348305B2 (ja) | 排水トラップ構造 | |
KR200284862Y1 (ko) | 배수용 그릴 | |
KR200276106Y1 (ko) | 개량형 빗물받이 덮개 | |
JP4748130B2 (ja) | 雨水取り出し装置 | |
KR200200818Y1 (ko) | 바닥 배수용 배수구 | |
CN212271138U (zh) | 一种地下室排水结构 | |
KR200284863Y1 (ko) | 하수구 빗물받이용 덮개 | |
KR200301755Y1 (ko) | 배수트랩 | |
KR200369491Y1 (ko) | 세면대용 배수트랩 | |
JP2005097918A (ja) | 通気蓋用キャップ装置 | |
JP2006316493A (ja) | 樋装置 | |
KR100742213B1 (ko) | 세척조의 배수장치 | |
JP2009007780A (ja) | ヘアキャッチャー | |
JPS6014867Y2 (ja) | 排水器 | |
KR200173528Y1 (ko) | 배수조 조립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