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779Y1 - Cd 보관용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앨범 - Google Patents

Cd 보관용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앨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779Y1
KR200256779Y1 KR2020010026036U KR20010026036U KR200256779Y1 KR 200256779 Y1 KR200256779 Y1 KR 200256779Y1 KR 2020010026036 U KR2020010026036 U KR 2020010026036U KR 20010026036 U KR20010026036 U KR 20010026036U KR 200256779 Y1 KR200256779 Y1 KR 2002567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lbum
cover
nonwoven fabric
c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0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민
Original Assignee
이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민 filed Critical 이형민
Priority to KR20200100260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7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7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779Y1/ko

Links

Landscapes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CD를 안정적으로 탑재할 수 있는 케이스를 제공하고, 아울러 상기 케이스를 집합시켜 앨범을 제작토록 함으로서 많은 양의 CD를 휴대하기 간편하게 하고 또한 각각의 케이스는 CD 케이스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보관용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앨범에 관한 것으로,
CD 보관용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의 형태를 유지하고 CD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 상부면에 부착되어 CD의 기록면을 보호하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에 테두리가 압착되어 CD를 덮는 덮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CD 보관용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앨범{CD Case and Album Uning CD Case}
본 고안은 CD 보관용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앨범에 관한 것으로, 특히 CD를 안정적으로 탑재할 수 있는 케이스를 제공하고, 아울러 상기 케이스를 집합시켜 앨범을 제작토록 함으로서 많은 양의 CD를 휴대하기 간편하게 하고 또한 각각의 케이스는 CD 케이스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보관용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앨범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CD를 보관시 별도의 플라스틱이나 철재 등으로 형성된 별도의 보관함에 보관하였으나, 이러한 보관은 적은 공간에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그 대신 CD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각 CD를 꺼내어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비닐케이스를 제작하기도 하였으나, 첫째 강도가 약하여 CD의 변형 및 파손의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또한 케이스로부터 CD가 쉽게 이탈되어 휴대시에 상당한 주의를 요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CD를 보관하는 보관수단를 비닐 케이스로 제작하되, 보강판을 더 구비하고 아울러 CD의 기록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을 별도로 구비하여 CD를 안정적으로 탑재할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스를 앨범형태로 제작하여 보다 많은 CD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CD 보관용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의 형태를 유지하고 CD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 상부면에 부착되어 CD의 기록면을 보호하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에 테두리가 압착되어 CD를 덮는 덮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CD 케이스 구성도.
도 2a, 2b는 본고안의 CD 케이스에 CD가 삽입되는 것을 타내낸 동작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CD 케이스를 중첩하여 제작되는 앨범.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보강판 20: 부직포
30: 덮게 40, 50: 칸막이
60: 테두리부 100: CD 케이스
200: CD 300: 앨범
이하, 상술한 내용을 본 고안의 CD보관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앨범 형태의 CD 보관케이스에 따른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CD 보관용 케이스 구성도이며, 도 2a, 2b는 CD를 케이스에 탑재하는 고정을 그린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CD케이스를 앨범으로 제작한 도면으로서,
먼저, 본 고안의 CD보관용 케이스(100)는 CD(200)를 탑재한 상태에서 케이스의 형태를 유지하고, CD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토록 하는 보강판(10)과,
상기 보강판 양면을 덮어 CD(20)의 기록면을 보호하는 CD 보호용 부직포(20)와,
CD(20)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일정한 홈이 파인 덮게(30) 및 상기 보강판과 부직포 및 덮게의 테두리를 열압착한 테두리부(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판은 일정한 강도를 갖는 패널 형태로서 케이스(100)의 형태를 유지하는 중심역할을 하며, 아울러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강판(10)의 일면에 설치되는 CD 보호용 부직포(20)는 CD(200)의 기록면과 접촉되는 부위로서 특히 CD(200)의 기록면이 안전하게 안착되도록 하여 CD(200)의 기록면이 긁히거나 이물질이 닿아 발생하는 불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20)의 상단에는 덮게(30)가 장착되는바, 상기 덮게(30)에는 CD(200)를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V자형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덮게(30)의 가장자리는 부직포(20) 및 보강판(10)과 함께 열압착에 의해서 고정되어 한장의 케이스(100)가 완료된다.
상기의 케이스(100)는 일개의 보강판(10)의 양 사이드에 CD 보호용 부직포(20)를 부착하고, 또한 각각의 부직포(20)의 바깥면에 덮게(30)를 배치한 다음 열압착함으로서 일개의 보강판(10)을 이용하여 2개의 CD(200)를 탑재할 수 있는 구성을 갖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보강판(10)이 구비되기 때문에 케이스 전체가 얇으면서도 적절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판(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CD 보호용 부직포(20)가 설치되고, 상기 부직포(20)에 CD(100)의 기록면이 접촉되도록 하므로, CD의 기록면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어 물리적인 변형으로부터 CD(200)를 지켜줄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물질이 있는 상태에서 본 고안의 케이스에 보관시 CD의 기록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은 부직포에 부착되므로 CD클리너의 기능도 아울러 수행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부직포의 상부에는 CD 덮게(30)가 형성되어 CD(100)의 기록면이 부직포(20)에 밀착되고, 그 반대면은 덮게(3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덮게(30)는 CD(200)의 중앙홀(210)을 손으로 잡고 뺄 수 있도록 V자 형태로 제작하였다. 상기와 같이 V자 형태로 제작하게 되면 CD(200)의 많은 면적을덮을 수 있으므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상기와 같은 구조의 케이스를 크게 제작하고, 십자형의 칸막이(40, 50)를 형성하여 한장의 케이스에 4개의 CD를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한 도면이다.
상기 칸막이(40, 50)는 고주파 용접방법으로 용접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칸막이를 완전한 십자형으로 제작하지 않고 수평면 칸막이(50)는 중심부분에 그리고 수직면 칸막이(40)는 CD길이의 중간길이 정도로 설계하였다.
상기와 같이 CD의 중간길이로 수직면 칸막이(40)를 제작하는 이유는 최초 삽입시에 강한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하고, 일정 길이 삽입후에는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본 고안에서와 같이 CD(200)의 중간길이로 수직면 칸막이(40)를 제작하게 되면, 수직면 칸막이(40)가 제작된 부분까지만 강한 압력이 걸리게 되므로 칸막이가(40) 없는 부분은 유동이 보다 수월해져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아울러 중심점(210)이 칸막이(40)의 아래로 내려가므로 CD(200)가 케이스로 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a, 2b는 본 고안의 CD케이스를 이용하여 CD를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 2a에서는 CD가 케이스를 끼워지는 초기상태를 도시하였는바, 테두리부와 칸막이로 인하여 덮게의 압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일정이상의 힘을 들여야만 통과할 수 있도록 하였고, 칸막이가 없는 지점에서는 CD의 움직임이 보다 용이해 지도록 하였다. 도 2b에서는 완전히 끼워진 상태로 CD의 중심점이 칸막이의 아래로 위치하게 되어 한번 끼워지면 외부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도 3은 본 고안의 CD케이스를 이용하여 앨범형태로 제작한 도면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CD케이스(100)를 다수개 중첩시킨후 연장된 일면(110)을 연결핀(310)으로 묶어 일개의 앨범형태(300)를 갖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앨범(300)으로 제작하게 되면 많은 수의 CD를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앨범에 탑재되는 CD케이스의 연결구조는 연결핀 외에 고주파 방식으로 케이스(100)의 일면(110)을 붙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CD(200)를 한개만 담을 수 있도록 제작되는 CD케이스(100)를 앨범형태(300)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국,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안전한 상태로 CD를 보관할 수 있고, 또한 이동중에도 쉽게 빠져 나오지 않아 잊어버릴 염려가 없게 되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본원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의 원리를 벗어남이 없이 여러가지로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원리에서 벗어남이 없이 실시가능한 모든 실시예와 실시예의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CD를 보관하는 보관수단를 비닐 케이스로 제작하되, 보강판을 더 구비하고 아울러 CD의 기록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을 별도로 구비하여 CD를 안정적으로 탑재할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스를 앨범형태로 제작하여 보다 많은 CD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2)

  1. CD 보관용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의 형태를 유지하고 CD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 상부면에 위치하며 보강판의 테두리부에 압착되어 CD 삽입시 기록면을 보호하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테두리부에 테두리가 압착되어 CD를 덮는 덮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보관용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CD가 안착되는 공간을 다수개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고주파 용접된 칸막이를 십자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보관용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중 수직축 칸막이는 상부로 부터 CD의 중심점 상부 위치까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보관용 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의 양면에 각각 부직포를 부착하고, 상기 각각의 부직포의 바깥면에 덮게를 부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CD 보관용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게에는 CD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중심부로 부터 상부면으로 V자형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보관용 케이스.
  6. 청구항 1의 CD 케이스를 다수개 중첩하여 앨범형태로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케이스용 앨범.
  7. 청구항 2의 CD 케이스를 다수개 중첩하여 앨범형태로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케이스용 앨범.
  8. 청구항 3의 CD 케이스를 다수개 중첩하여 앨범형태로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케이스용 앨범.
  9. 청구항 4의 CD 케이스를 다수개 중첩하여 앨범형태로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케이스용 앨범.
  10. 청구항 5의 CD 케이스를 다수개 중첩하여 앨범형태로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케이스용 앨범.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CD 케이스는 연결핀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케이스용 앨범.
  12. 제 6 항 내지 제 10 항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CD 케이스는 고주파 용접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케이스용 앨범.
KR2020010026036U 2001-08-28 2001-08-28 Cd 보관용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앨범 KR2002567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036U KR200256779Y1 (ko) 2001-08-28 2001-08-28 Cd 보관용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앨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036U KR200256779Y1 (ko) 2001-08-28 2001-08-28 Cd 보관용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앨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779Y1 true KR200256779Y1 (ko) 2001-12-24

Family

ID=73068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036U KR200256779Y1 (ko) 2001-08-28 2001-08-28 Cd 보관용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앨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7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928A (ko) * 2001-12-24 2002-03-29 김동현 씨디 앨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928A (ko) * 2001-12-24 2002-03-29 김동현 씨디 앨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6779Y1 (ko) Cd 보관용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앨범
JP5662204B2 (ja) 梱包材
US5125509A (en) Container for precision parts
JP4814889B2 (ja) インテリア・カバー要素の作成方法、および中心欠陥のないインテリア・カバー要素
JP2006232320A (ja) 光学デバイス用梱包ケース
JP2990164B1 (ja) 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ヘッド用トレイ
JP3904108B2 (ja) 梱包材
KR102602732B1 (ko) 개량형 조립식 케익상자 구조
JP2004001804A (ja) 包装緩衝装置及び物品の梱包構造
JP3783188B2 (ja) 梱包用台座
KR100388639B1 (ko) 기판의 인너 포장박스의 제조방법
JP4002342B2 (ja) 蛍光ランプの包装装置
EP0810605B1 (en) Disk cartridge case
JPH10258889A (ja) テープカセット収納ケース
RU111525U1 (ru) Футляр для оптических дисковых носителей информации
KR200231308Y1 (ko) 앨범형태의 씨디 보관 케이스
JP6673075B2 (ja) 搬送容器の保護トレイ
KR200230808Y1 (ko) 기판의 인너 포장박스
JP3732822B2 (ja) ディスク収納体
FR2550516A1 (fr) Systeme de calage pour emballage recevant un produit fragile, tel que pare-brise
KR20070105221A (ko) 운반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3193714U (ja) 収納トレイ
KR200225734Y1 (ko) 액정 판넬 포장 구조
KR20220036241A (ko)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벨트 웨더스트립의 락킹장치
KR200244585Y1 (ko) 컴팩트 디스크 미디어 보관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