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093Y1 - 분,배전반 모선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분,배전반 모선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093Y1
KR200256093Y1 KR2020010026646U KR20010026646U KR200256093Y1 KR 200256093 Y1 KR200256093 Y1 KR 200256093Y1 KR 2020010026646 U KR2020010026646 U KR 2020010026646U KR 20010026646 U KR20010026646 U KR 20010026646U KR 200256093 Y1 KR200256093 Y1 KR 2002560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terminal
circuit breaker
bus ba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6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스텍
Priority to KR20200100266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0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0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093Y1/ko

Links

Landscapes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배전반 내의 베이스패널에 서키트 브레이커(circuit breaker)와 각 분기 터미널을 구성하되, 상기 서키트 브레이커에서 인출되는 모선을 상하로 중첩구성시켜 분,배전반의 폭감소로 분,배전반의 크기 축소와 각 터미널로 분선되는 분배선을 간결하고 간편이 정렬 및 접속 체결할 수 있도록 한 분,배전반 모선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분,배전반은 외부로부터 인입된 메인선이 서키트 브레이커로 인입되고 상기 서키트 브레이커로부터 접속된 모선에 각 터미널로 접속되는 분배선이 적절하게 위치되어 결선되며 이때에 모선, 분배선, 터미널이 좌우로 안치되는 넓이로 구성되는 회로 때문에 분,배전반의 폭 증대와 함께 케이스가 대형화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은 분,배전반 내의 베이스패널에 서키트 브레이커(circuit breaker)와 각 분기 터미널을 구성하되, 상기 서키트 브레이커의 전속단자에 체결되는 판형 모선을 상하로 중첩구성시켜 분, 배전반의 폭감소로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함과,
각 터미널로 분선되는 분배선을 상기 모선에 끼워마춤하는 클립으로 간단하고 간결히 체결함으로서 조립작업이 용이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분,배전반 모선연결구조{Line connection construction of distributing board}
본 고안은 분,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배전반 내의 베이스패널에 서키트 브레이커(circuit breaker)와 각 분기 터미널을 구성하되, 상기 서키트 브레이커에서 인출되는 모선을 상하로 중첩구성시켜 분,배전반의 폭감소로 분,배전반의 크기 축소와 각 터미널로 분선되는 분배선을 간결하고 간편하게 정렬 및 접속 체결할 수 있도록 한 분,배전반 모선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분,배전반은 건물의 각층과 각각의 방 또는 공장 등에서는 모터와 각각의 장치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메인 전원의 모선에서 분산된 각 분배선으로 공급하게 되고 이러한 공급에서 과부하 발생 시에 전류를 차단시켜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서키트 브레이커와 차단기로 이루어지는 터미널로 전선이 적절하게 연결하여 주는 배선을 갖추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분,배전반은 외부로부터 인입된 메인선이 서키트 브레이커로 인입되고 상기 서키트 브레이커로부터 접속된 모선에 각 터미널로 접속되는 분배선이 적절하게 위치되어 결선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분,배전반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키트 브레이커 (20)의 좌우로 넓게 구성된 접속단자(21)에 각각의 모선(22)을 수평으로 넓게 체결시키고 상기 모선(22)에서 각각의 터미널(30)로 연결되는 분배선(31)을 연결하여 왔다.
이에 따라 분,배전반은 상기 모선, 분배선, 터미널이 좌우로 안치되는 넓이로 구성되는 회로 때문에 분,배전반의 폭 증대와 함께 케이스가 대형화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분,배전반의 대형화는 건축물의 벽체에 분,배전반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크게 형성됨으로서 건물의 손상과 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되는 폐단과 분,배전반을 제작하는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전선으로 연결되는 구성에서는 연결작업이 난이하고 접선부에서의 접속불량에 의한 스파크로 인한 화재의 요인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81720호에서는 판면에 터미널을 임의 위치로 장착 배열시킬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등분 천공된 체결공을 보유하는 하판과, 하판의 일측변에서 직교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터미널에 접속되는 배선이 통과되는 제1통로를 갖춘 연결판과, 상기 하판에 단을 이루도록 상기 연결판에서 직교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판면에서 서키트 브레이커의 규격과 대응하는 위치로 등분 천공된 다수의 체결공 및 상기 배선이 통과되는 제2통로를 갖춘 상판으로 이루어지는 이중구조로 구성된 바 있다.
상기한 고안에서는 배선이 일목요연하게 정돈되어 오결선에 의한 전기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반면에 결선작업에 상당한 숙련이 요구되는 단점과 결선이 매우 복잡하고 이중구조로 내부 차단변의 개폐를 실시하기에 매우 어려운 단점 및 제조원가의 상승 등의 폐단이 야기되고 있으면서 특히 분,배전반의 크기를 축소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폐단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분,배전반 내의 베이스패널에 서키트 브레이커(circuit breaker)와 각 분기 터미널을 구성하되, 상기 서키트 브레이커의 전속단자에 체결되는 판형 모선을 상하로 중첩구성시켜 분, 배전반의 폭감소로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함과,
각 터미널로 분선되는 분배선을 상기 모선에 끼워마춤하는 클립으로 간단하고 간결히 체결함으로서 조립작업이 용이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중요부분 모선결선상태의 사시도.
도 2의 (a)는 도 1의 측면도.
(b)는 도 (a)의 또다른 실시예시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의 모선 체결상태를 보인 결합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의 분배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분,배전반의 결선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종래의 분,배전반 결선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패널 20; 서키트 브레이커 21; 접속단자
22; 모선 22-1; 직선모선 22-2; 절곡모선
23; 접속판 24; 체결공 30; 터미널
31; 분배선 32; 클립 33; 안내봉
34; 스프링 40; 간격유지구 41; 접촉방지관
42; 지지부 43; 요입부 44; 체결보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하기에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중요부분 모선결선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의 (a)는 도 1의 측면도이며 (b)는 도 (a)의 또다른 실시예시 설명도 및 도 3은 본 고안의 모선 체결상태를 보인 결합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도시된 분,배전반 내의 베이스패널(10)에 서키트 브레이커(20)와 각 분기 터미널(30)을 구성시켜 상기 서키트 브레이커(20)의 접속단자(21)에 체결접속되는 모선(22)을 분기 터미널(30)로 분선되는 분배선 (31)으로 접속하여서 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서키드브레이커(20)는 좌우로 배열된 약 2 이상의 접속단자(21)로 구성됨으로 이 접속단자(21)에 체결되는 모선(22)은 직선모선(22-1)과 다수의 절곡모선 (22-2)으로 구성하되, 상기 절곡모선(22-2)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외향되고 상향절곡된 접속판(23)을 형성한다.
상기 접속판(23)은 좌우측의 접속단자(21) 위치와 직선모선(22-1)의 위치에 따라 외향 및 상향절곡의 크기를 조절하며 각각의 접속판(23)이 각 접속단자(21)와 결합위치로 절곡구성되어 체결되고 상하적층된 각 모선들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상하적층함과,
상기 모선(22)의 간격유지구(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방지관(41)을 형성한 양측으로 하향 돌출된 지지부(42)를 형성하여 상기 접촉방지관(41)이 모선(22)의 체결공(24)에 끼워지고 지지부(42)는 또다른 저면의 간격유지구(40) 상면 양측 요입부(43)에 결합되어 중첩됨과 함께 상단 간격유지구(40)는 캡형을 이루며 하단은 컵형을 이루어 상기 적층된 각각의 모선(22)들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켜 고정하여 체결볼트(44)로 베이스패널(10)에 고정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체결구성은 모선의 길이에 따라 2 이상을 구성하여 모선의 안정성을 유지한다.
도 4은 본 고안의 분배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분,배전반의 결선상태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에서 형성된 모선(22)에서 터미널(30)로 결선되는 분배선(31)은 체결부와 함께 일측에 'ㄷ'자형의 클립(32)을 형성하고 클립편의 탄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클립편을 관통한 안내봉(33) 양측으로 스프링(34)을 구성시켜 탄성을 증대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 의한 본 고안은 도 5에서와 같이 모선(22)과 터미널(30)의 간격을 최소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분,배전반의 폭을 크게 감속하게 되며 결선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또한 규격화된 제작으로 제작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중요부분 모선결선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의 (a)는 도 1의 측면도이며 (b)는 도 (a)의 또다른 실시예시 설명도 및 도 3은 본 고안의 모선 체결상태를 보인 결합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전반 내의 베이스패널(10)에 서키트 브레이커(20)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서키트 브레이커(20)의 접속단자(21)에 모선(22)을 체결한다.
이때 상기 접속단자(21)들은 서키트 브레이커(20)의 좌우로 통상 4개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분,배전반은 크기 및 사용에 따라 접속단자가 4 이상이 있으나 본 고안은 접속단자 4를 일실시예로 설명한다.
이에 따라 외측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외향되고 상향절곡된 접속판 (23)이 접속단자(21)에 결합되는 모선부터 체결시키고 또한 직선모선(22-1) 및 절곡모선(22-2)을 적절히 분배하여 체결하되,
상기 모선(22)이 형성되는 위치의 베이스패널(10)에 컵형을 이루는 간격유지구(40)와 함께 상기 하부측 모선(22)을 상기 간격유지구(40)에 적층하고 다음의 모선과 함께 또다시 간견유지구(40)를 상기 간격유지구(40) 위로 적층하면서 모선 (22)의 체결공(24)에 간격유지구(40)의 접촉방지관(41)이 끼워지게 하여 순차적으로 적층함과 상단에는 캡형의 간격유지구(40)를 적층시켜 상기 접촉방지관(41)에 체결볼트(44)로 베이스패널(10)에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 의하여 서키트 브레이커(20)에 모선(22)이 구성되면 상기 모선(22)과 일정한 위치로 터미널(30)를 배열고정한다.
상기 모선(22)과 터미널(30)은 각각의 분배선(31)으로 접속시키고 이때에 체결부와 함께 일측에 'ㄷ'자형의 클립(32)을 형성한 분배선(31)의 클립(32)을 상기 모선(22)에 끼워마춤함과 함께 체결부는 터미널(30)의 접속부에 나사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클립(32)은 클립편의 탄성과 함께 탄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클립편을 관통한 안내봉(33) 양측으로 스프링(34)이 구성됨으로 클립(32)과 모선(22)은 견고한 압착력으로 접속력이 증대되어 스파크 및 접속불량을 야기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 의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모선들이 상하로 적층구성됨으로서 좌우폭을 크게 축소시켜 배전반의 크기를 매우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터미널과의 거리를 줄여 보다 소형화된 배전반을 구성할 수 있는 특징을 발휘하는 고안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분,배전반 내의 베이스패널에 서키트 브레이커 (circuit breaker)와 각 분기 터미널을 구성하되, 상기 서키트 브레이커의 전속단자에 체결되는 판형 모선을 상하로 중첩구성시켜 분, 배전반의 폭감소로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 건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각 터미널로 분선되는 분배선을 상기 모선에 끼워마춤하는 클립으로 간단하고 간결히 체결함으로서 조립작업이 용이한 특징으로 작업이 용이하고 안전성의 향상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분,배전반에 서키트 브레이커(20)와 각 분기 터미널(30)을 구성시켜 접속단자에 결선된 모선과 터미널을 접속하여서 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서키드브레이커(20)의 접속단자(21)에 직선모선(22-1)과 절곡모선(22-2)으로 체결시켜 모선이 상하 적층됨과,
    상기 모선(22)은 간격유지구(40)로 간격유지와 함께 체결볼트(44)로 베이스패널(10)에 고정함과,
    상기 모선 좌우로 체결되는 터미널(30)에 분배선(31)으로 분배 접속되어 분,배전반의 크기폭을 감소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 모선연결구조.
  2.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키드브레이커(20)에 체결되는 모선(22)은 직선모선(22-1)과 함께 절곡모선(22-2)으로 구성하되, 상기 절곡모선(22-2)은 좌,우측으로 외향되고 상향절곡된 접속판(23)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 모선연결구조.
  3.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22)의 간격유지구(40)는 접촉방지관(41)을 형성한 양측으로 하향 돌출된 지지부(42)를 형성하고 상면 양측에 요입부(43)를 구성시켜 모선이 끼워지는 상하결합됨을 특징으로 한 분,배전반 모선연결구조.
  4.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22)과 터미널(30)의 결선 분배선(31)은 체결부와 함께 일측에 'ㄷ'자형의 클립(32)을 형성하되, 클립편을 관통한 안내봉(33)양측으로 스프링(34)을 구성시켜 탄성을 증대하도록 한 분,배전반 모선연결구조.
KR2020010026646U 2001-08-31 2001-08-31 분,배전반 모선연결구조 KR2002560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646U KR200256093Y1 (ko) 2001-08-31 2001-08-31 분,배전반 모선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646U KR200256093Y1 (ko) 2001-08-31 2001-08-31 분,배전반 모선연결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417A Division KR100368583B1 (en) 2001-08-31 2001-08-31 Bus connection structure of cabinet and distribution pa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093Y1 true KR200256093Y1 (ko) 2001-12-13

Family

ID=73054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646U KR200256093Y1 (ko) 2001-08-31 2001-08-31 분,배전반 모선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09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497B1 (ko) 2004-04-21 2006-09-29 (주)현대정밀 접속단자와 이를 이용한 배전반
KR100763167B1 (ko) * 2006-08-25 2007-10-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스위치기어의 모선연결장치
KR100946364B1 (ko) 2009-08-11 2010-03-09 유한회사 태강전기 배전반용 접속장치
KR100967635B1 (ko) 2009-04-10 2010-07-07 (주)파워풀 분,배전반의 모선 및 자선버스바용 접속장치
CN108336649A (zh) * 2018-03-15 2018-07-27 锦州北方航海仪器有限公司 一种船舶配电板的新型母排架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497B1 (ko) 2004-04-21 2006-09-29 (주)현대정밀 접속단자와 이를 이용한 배전반
KR100763167B1 (ko) * 2006-08-25 2007-10-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스위치기어의 모선연결장치
KR100967635B1 (ko) 2009-04-10 2010-07-07 (주)파워풀 분,배전반의 모선 및 자선버스바용 접속장치
KR100946364B1 (ko) 2009-08-11 2010-03-09 유한회사 태강전기 배전반용 접속장치
CN108336649A (zh) * 2018-03-15 2018-07-27 锦州北方航海仪器有限公司 一种船舶配电板的新型母排架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44947A (zh) 具有并联馈电线分布的配电板
KR200256093Y1 (ko) 분,배전반 모선연결구조
KR100543964B1 (ko)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접속방법 및 측면 결합 구조를갖는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
KR100981271B1 (ko) 분전반용 차단기 받침대
KR101406934B1 (ko) 적층 구조식 모듈형 전원 연결을 위한 배전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연결장치
KR200331163Y1 (ko) 배전반
JP5289169B2 (ja) 単相3線式分電盤
JP4544586B2 (ja) 分電盤の幹線バー接続構造
KR20220168016A (ko) 집합 단자대
KR200450185Y1 (ko) 분전반용 부스바 홀더
KR100518790B1 (ko) 조립식 배전반
KR101448160B1 (ko) 적층 구조식 모듈형 전원 연결장치
KR200442071Y1 (ko) 버스바용 절연 지지대
KR101270117B1 (ko) 전기제어를 위한 공동주택용 전기 컨트롤러
JP2003051235A (ja) ブレーカの端子装置
KR200411090Y1 (ko) 전기 배선용 버스덕트
KR200311920Y1 (ko) 조립식 배전반
JP3284157B2 (ja) 分電盤
KR102595685B1 (ko) 모듈형 멀티 부스바 분기 장치
KR102580337B1 (ko) 부스바 분기 장치의 부스바 접속용 어댑터, 이를 갖는 부스바 분기 장치, 및 부스바 분기 장치를 포함하는 분배전반
JP3562792B2 (ja) 分電盤
KR200229460Y1 (ko) 부스바 절연 지지구
JPS6330169Y2 (ko)
KR100320613B1 (ko) 조립식 배전반
CN210326386U (zh) 一种汇流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