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318Y1 -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318Y1
KR200255318Y1 KR2020010027631U KR20010027631U KR200255318Y1 KR 200255318 Y1 KR200255318 Y1 KR 200255318Y1 KR 2020010027631 U KR2020010027631 U KR 2020010027631U KR 20010027631 U KR20010027631 U KR 20010027631U KR 200255318 Y1 KR200255318 Y1 KR 2002553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rackets
frame
bar
gu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김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석 filed Critical 김종석
Priority to KR2020010027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3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3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318Y1/ko

Links

Landscapes

  • Drives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베이어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구성관계를 개선하면서 안정된 상태로 컨베이어프레임을 지지하면서 사용자들의 편익향상과 컨베이어의 내구성과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적인 컨베이어(30)의 승,강수단(4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40)은; 베이스프레임(37)의 상방 선측에 구비되는 1브라켓(41)과 컨베이어프레임(35)의 하방에 돌출되는 컨베이어브라켓(42)상간에 아웃바(43)와 인너바(44)로 구성되어 연결되는 1가이드(45)와; 상기 컨베이어브라켓(42)과 1브라켓(41)의 후방에 구비되는 2브라켓(46)의 양측에는 아웃바(47)와 인너바(48)로 구성되어 연결되는 2가이드(49); 상기 2가이드(49)의 중앙에 케이스(51)내부에 스크류바(52)를 결합하여 상기 스크류바(52)의 회전으로 케이스(51)와 1,2가이드(45,49)가 승,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크류(50); 상기 베이스프레임(37)의 후방과 컨베이어프레임(35)의 후측에 구비되는 브라켓(60,61)상간에 구비되는 3가이드(62)와 2스크류(63)를 포함하고; 상기 2브라켓(46)과 컨베이어프레임(35) 후방에 구비되는 브라켓(61)상간에는 고정바(65)를 더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베이어{Conveyor}
본 고안은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의 높낮이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면서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한 컨베이어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는 각종의 제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창고에 적재하거나 이를 출하할 때 특히 중량이 많이 나가는 물건의 상,하역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컨베이어는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프레임에 로울러나 밸트를 연결하여 구동시킴으로서 컨베이어의 길이만큼 중량물을 인력없이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컨베이어는 생산라인이나 생산된 물품을 분류하는 물류라인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중량별 종류별 및 형상별로 이를 구분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실내에 설치되는 켄베이어 시스템과, 실외에서 자유롭게 상,하역 위치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통상적인 컨베이어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컨베이어는 작업위치에 따라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상,하역위치에 따라 높,낮이 또한 조절이 자유롭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컨베이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하고 있으며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컨베이어(1)는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바퀴(2)를 가지는 베이스프레임(3)을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3)의 양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한 브라켓(4)을 고정한다.
상기 브라켓(4)에는 긴길이의 프레임(5)의 양단부에 구동 및 피동로울러(6,7)와 이들 상간에 밸트(8)를 연결하여 모터(9)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컨베이어(1)의 하방에 고정되는 브라켓(10)과 접철링크(11,12)로 연결한다.
상기 접철링크(11,12)는 손잡이(13)를 가지는 스크류(14)에 의하여 승,강하도록 하고, 상기 접철링크(11,12) 상간에는 승,강시 안정성을 위한 유지바(15)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컨베이어는 컨베이어의 승,강을 접철링크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승,강조절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링크 자체가 판상부재로 이루어진 관계로 강도가 취약한 단점을 가진다.
특히,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컨베이어의 앞쪽에 상당한 부하가 걸림에도 불구하고 링크에만 의존하여 지탱됨으로서 충분한 강성유지와 내구성을 유지할 수 없게되며, 링크의 특성상 유지바를 연결한 상태라 하여도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심한 유동이 발생하여 컨베이어가 넘어지게 되는 경우도 다발한다.
상기와 같이 중량물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컨베이어가 넘어지거나 링크가 손상 또는 파손될 경우에는 주위물품의 손괴는 물론 작업자의 안전까지 위협하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항상 가지고 있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컨베이어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구성관계를 개선하면서 안정된 상태로 컨베이어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중량물의 이동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들의 편익향상과 컨베이어의 내구성과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컨베이어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컨베이어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3은 도 2에 적용된 컨베이어의를 발췌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2에 적용된 컨베이어의 A부위를 발췌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 컨베이어
35; 컨베이어프레임
40; 승강수단
45; 1가이드
49; 2가이드
50; 스크류
62; 3가이드
63; 2스크류
65; 고정바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컨베이어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3은 도 2에 적용된 컨베이어의를 발췌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2에 적용된 컨베이어의 A부위를 발췌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컨베이어(30)는 양단부에 모터(31)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 및 피동로울러(32,33)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 및 피동로울러(32,33)상간에는 컨베이어밸트(34)가 연결되어 안치된 중량물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컨베이어프레임(35)이 구비된다.
상기 컨베이어프레임(35)의 하방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36)를 가지는 베이스프레임(37)을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37)의 상방과 컨베이어프레임(35)의 하방에 돌출되는 브라켓에는 컨베이어(3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승,강수단(40)이 연결되는 구성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승,강수단(40)을 개선하여 높,낮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수 있도록 하면서 안정된 상태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여 컨베이어(30)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승,강수단(4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37)의 상방 선측에 구비되는 1브라켓(41)과 컨베이어프레임(35)의 하방에 돌출되는 컨베이어브라켓(42)상간에는 아웃바(43)와 인너바(44)로 구성되어 인너바(44)가 아웃바(43)에 대하여 출입이 자유로운 1가이드(45)를 양측에 연결한다.
상기 컨베이어브라켓(42)과 1브라켓(41)의 후방에 구비되는 2브라켓(46)의 양측에는 아웃바(47)와 인너바(48)로 구성되는 2가이드(49)를 양측에 연결하고, 상기 2가이드(49)의 중앙에는 스크류(50)를 구비한다.
상기 스크류(50)는 원통형상의 케이스(51)내부에 스크류바(52)를 결합하여 상기 스크류바(52)의 회전으로 케이스(51)와 1,2가이드(45,49)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크류바(52)의 하단부에는 웜휠(55)을 구비하여 스크류바(52)의 측방에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37)에 지지되고 조절을 위한 손잡이(56)를 가지는 통상적인 기어박스(57)내의 웜기어(58)와 연접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37)의 후방과 컨베이어프레임(35)의 후측에 구비되는 브라켓(60,61)상간에도 2가이드(49)와 스크류(50)와 동일한 구성의 3가이드(62)와 2스크류(63)를 구비한다.
상기 2브라켓(46)과 컨베이어프레임(35) 후방에 구비되는 브라켓(61)상간에는 컨베이어프레임(35)과 베이스프레임(37) 및 가이드와 스크류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고정바(65)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중량물의 상,하역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하역 위치로 컨베이어(30)를 밀어서 이동시키면 베이스프레임(37)의 저면에 구비되는 바퀴(36)에 의하여 쉽게 이동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한 후에는 상,하역 위치의 높이에 맞게 컨베이어(30)의 전측과 후측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하역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이는, 컨베이어프레임(35)의 전,후측과 베이스프레임(37)의 전,후측에 연결된 스크류(50)과 2스크류(63)를 조작함으로서 컨베이어프레임(35)이 베이스프레임(37)에 대하여 승,강하게 된다.
즉, 기어박스(57)의 손잡이(56)를 잡고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류바(52)의 하단에 고정된 웜휠(55)이 회전하여 스크류바(52)를 회전시키고, 상기 스크류바(52)와 결합된 케이스(51)가 스크류바(52)에 대하여 신장 또는 수축함으로서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1,2가이드(45,49) 또한 스크류(50)의 신장과 수축에 맞게 승강하여 논,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2브라켓(46)과 컨베이어프레임(35) 후방에 구비되는 브라켓(61)상간에 연결된 고정바(65)에 의하여 높,낮이 조절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이나 유동성이 제지됨으로서 보다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컨베이어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구성관계를 개선하면서 안정된 상태로 컨베이어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중량물의 이동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들의 편익향상과 컨베이어의 내구성과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양단부에 모터(31)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 및 피동로울러(32,33);
    상기 구동 및 피동로울러(32,33)상간에 컨베이어밸트(34)를 연결하여 구비되는 컨베이어프레임(35);
    상기 컨베이어프레임(35)의 하방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36)를 가지고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37);
    상기 베이스프레임(37)의 상방과 컨베이어프레임(35)의 하방에 돌출되는 브라켓에는 컨베이어(3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승,강수단(40)이 구비되는 컨베이어(30)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4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37)의 상방 선측에 구비되는 1브라켓(41)과 컨베이어프레임(35)의 하방에 돌출되는 컨베이어브라켓(42)상간에 아웃바(43)와 인너바(44)로 구성되어 연결되는 1가이드(45)와;
    상기 컨베이어브라켓(42)과 1브라켓(41)의 후방에 구비되는 2브라켓(46)의 양측에는 아웃바(47)와 인너바(48)로 구성되어 연결되는 2가이드(49);
    상기 2가이드(49)의 중앙에 케이스(51)내부에 스크류바(52)를 결합하여 상기 스크류바(52)의 회전으로 케이스(51)와 1,2가이드(45,49)가 승,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크류(50);
    상기 베이스프레임(37)의 후방과 컨베이어프레임(35)의 후측에 구비되는 브라켓(60,61)상간에 구비되는 3가이드(62)와 2스크류(63)를 포함하고;
    상기 2브라켓(46)과 컨베이어프레임(35) 후방에 구비되는 브라켓(61)상간에는 고정바(65)를 더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바(52)의 하단부에는 웜휠(55)을 구비하고;
    상기 웜휠(55)은 스크류바(52)의 측방에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37)에 지지되고 조절을 위한 손잡이(56)를 가지는 통상적인 기어박스(57)내의 웜기어(58)와 연접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KR2020010027631U 2001-09-10 2001-09-10 컨베이어 KR2002553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631U KR200255318Y1 (ko) 2001-09-10 2001-09-10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631U KR200255318Y1 (ko) 2001-09-10 2001-09-10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318Y1 true KR200255318Y1 (ko) 2001-12-01

Family

ID=7306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631U KR200255318Y1 (ko) 2001-09-10 2001-09-10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3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4779032U (zh) 一种换向输送装置
CN111689163A (zh) 一种菌筐输送生产线
CN110758993A (zh) 一种可调高度的传输带
KR200255318Y1 (ko) 컨베이어
CN210943374U (zh) 一种垂直式上包机
CN212711310U (zh) 一种菌筐输送生产线
KR102301077B1 (ko) 중량물 주행장치
JP2864261B2 (ja) 多段式物品収納装置
KR200302110Y1 (ko) 컨베이어를 장착한 이동대차
CN110697305A (zh) 一种垂直式上包机
CN211168793U (zh) 一种衣架形吊具专用输送机
CN220466620U (zh) 一种物料传输用可调角度输送带
EP1090789A2 (en) Guide for movable coverings and movable covering comprising said guide
JP2006264966A (ja) リフト装置
CN220262809U (zh) 搬运装置
JP2000211523A (ja) 無人搬送車のリフタ―機構
CN211056239U (zh) 一种建筑升降机用自动卸货装置
CN210823993U (zh) 一种链轮式上包机
CN218144023U (zh) 一种多功能可移动、升降传输设备
CN217144437U (zh) 一种棒料翻转机构
CN210213976U (zh) 一种基于稳定输送的pt操作平台
CN216862610U (zh) 一种用于建筑工程的上料设备
CN220563513U (zh) 一种适用于自动化货物搬运的链条输送机构
CN211197563U (zh) 一种可调高度的传输带
CN117023227B (zh) 一种钢带表面酸洗设备的送料装置以及送料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