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616Y1 - 조립식 호안 블록 - Google Patents

조립식 호안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616Y1
KR200254616Y1 KR2020010023547U KR20010023547U KR200254616Y1 KR 200254616 Y1 KR200254616 Y1 KR 200254616Y1 KR 2020010023547 U KR2020010023547 U KR 2020010023547U KR 20010023547 U KR20010023547 U KR 20010023547U KR 200254616 Y1 KR200254616 Y1 KR 2002546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block
support
prefabricated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5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쾌로
Original Assignee
윤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쾌로 filed Critical 윤쾌로
Priority to KR20200100235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6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6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616Y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 제방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제방의 법면에 조립식으로 구축되는 조립식 호안 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공이 간편한 것은 물론 급경사진 법면에도 시공이 가능하고, 식물의 정착 및 생육이 가능한데다 어류에게는 서식 공간을 제공하여 자연 생태계도 보호할 수 있는 조립식 호안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호안 블록은, 상부를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각각 서로 대응되는 구조의 결합홈과 결합돌기를 구비하여, 하천 바닥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이어 끼워 맞추어져 구축되는 지지대; 호안의 법면에 접하면서 상기 지지대의 결합홈에 서로 거리를 두고 세워지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기둥; 및 상기 기둥들 사이에 끼워져 법면을 덮어 보호하는 평판형 블록으로서, 그 표면에 흙이 채워지는 골을 형성하는 다수의 융기부와 식물이 법면에 직접 뿌리를 내릴 수 있게 하는 다수의 식생공이 형성된 복수 개의 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조립식 호안 블록은 시공이 아주 간편하고, 블록간 결속력이 강하여 70 도 정도의 급경사 법면에도 시공이 가능하며, 식물이 법면에 뿌리를 내릴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동물에게는 서식처를 제공하여 하천 생태계도 보전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호안 블록{FABRICATED BANK PRODECTOR BLOCK}
본 고안은 하천 제방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제방의 법면(法面)에 조립식으로 구축되는 조립식 호안(護岸) 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공이 간편한 것은 물론 급경사진 법면에도 시공이 가능하고, 식물의 정착 및 생육이 가능한데다 어류에게는 서식 공간을 제공하여 자연 생태계도 보호할 수 있는 조립식 호안 블록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하천의 양측에 축조된 제방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방 법면에 시공되는 사방공사에는 사방모서리에 끼워맞춤 돌기와 홈이 각각 형성되어 제방 법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사방으로 연속적으로 끼워 맞추어 결합할 수 있는 콘크리트제의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블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조립식 호안 블록은 일률적인 규격을 가진 작은 블록들을 정확한 위치에 배열하면서 연속적으로 끼워 맞추어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번거롭고 공사에 소요되는 기간도 길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법면의 경사각도가 변화되거나 곡률이 변하는 경우에는 인접하는 블록들의 테두리를 맞추기가 더욱 어려워져 시공이 더욱 불편하였다. 또한, 블록간의 결속력이 취약하기 때문에 블록들이 이탈되기 쉽고 또 충격에 의해 쉽게 흐트러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자연 환경적인 면에서 볼 때는 법면의 토양을 완전히 차단하기 때문에 제방의 식물 생태계를 파괴함은 물론 수초의 생장까지 억제하여 어류 또는 양서류 등 수생 동물의 생태 환경까지도 파괴하여 자연 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주어 왔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조립식 호안 블록이 개발되었다.
예컨대,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217683호의 '식생블록을 가지는 호안 블록'은 식생공간을 구성하는 시트부와; 이 시트 상에서 자연석 형상으로 돌출된 자연석형 돌출부와; 측면에 고정된 다수의 연결고리로 구성된 육면체형 블록으로서, 식물이 상기 시트부에 형성된 식생공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법면의 토양에 뿌리를 내릴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국내 실용공개 제1998-0057488호에는 수직방향의 관통홈과 개방홈이 인접하여 형성되고, 바닥의 앞쪽과 상면의 뒤쪽에 서로 대응하는 구조의 끼워 맞춤돌기와 끼워 맞춤 홈이 각각 형성되어 법면에 계단식으로 시공되고, 물에 잠기는 관통홈으로는 어류 서식처를 제공하고 물 위로 노출되는 관통홈과 개방홈에는 흙이 채워져 식물이 식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축용 블록'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조립식 호안 블록들 역시 일률적인 규격을 가진 작은 크기의 블록들을 정확한 위치에 배열하면서 연속적으로 끼워 맞추어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블록 간 결속력과 법면에 대한 결합력이 취약하여 설치 가능한 경사각도가 약 42 도 이내로 제한 받기 때문에 경사 각도가 큰 법면에는 시공이 불가능하고 또 시공 후 블록이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법면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쉽게 흐트러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종래 조립식 호안 블록들의 가장 큰 문제점은 강우량이 많아 하천의 유량이 많아지거나 유속이 빨라지는 경우 쉽게 유실된다는 점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호안 블록들이 가진 문제점들이 일소된 것으로서, 시공이 아주 간편하고, 블록간 결속력이 강하여 견고하게 법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식물이 법면에 뿌리를 내릴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동물에게는 서식처를 제공하여 자연 생태도 보존할 수 있으며, 특히, 70 도 정도의 급경사 법면에도 시공이 가능한 조립식 호안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호안 블록이 시공된 하천 제방의 절개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호안 블록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지지대 10 : 결합홈
11,11′: 결합구조 12 : 매립편
13 : 어소대 13a : 어소공
2 : 연결간 3 : 기둥
4,4′: 블록 40 : 식생공
41 : 융기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호안 블록은, 상부를 따라 법면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경사진 결합홈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각각 서로 대응되는 구조의 결합구조를 구비하여, 하천 바닥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이어 끼워 맞추어져 구축되는 지지대;
호안의 법면에 접하면서 상기 지지대의 결합홈에 서로 거리를 두고 끼워져 세워지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기둥; 및
상기 기둥들 사이에 순차적으로 끼워져 법면을 덮어 보호하는 평판형 블록으로서, 그 표면에 그들 사이 사이에 흙이 채워지는 골을 형성하는 다수의 융기부와 식물이 법면의 토양에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다수의 식생공이 형성된 복수 개의 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어류의 서식을 위한 어소공이 형성된 어소대가 그 표면을 따라 더 성형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호안 블록은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하천 바닥을 가로질러 구축되어 그 양단이 하천 양측의 받침대에 각각 결속됨으로써 상기 하천 바닥의 양측에 구축된 양쪽의 받침대가 서로 지지되게 하는 연결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기둥과 상기 블록은 계단형 결속구조로서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호안 블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호안 블록이 시공된 하천 제방의 절개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호안 블록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호안 블록은, 제방의 법면이 접하는 하천의 바닥 가장자리를 따라 구축되는 지지대(1)와, 상기 지지대(1)를 하천의 다른 가장자리에 구축된 지지대(1)에 연결하여 두 지지대(1)가 상호 지지되게 하는 연결간(2)과, 상기 지지대(1) 상에 거리를 두고 세워지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기둥(3), 그리고, 상기 기둥(3)들 사이에 순차적으로 끼워져 법면을 덮어 보호하는 평판형 블록(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방의 법면과 접하는 하천 바닥의 가장자리를 따라 매립되는 긴 콘크리트 구조물로, 그 상부를 따라 법면쪽으로 기운 결합홈(10)이 형성되고, 양 끝단에는 복수 개의 지지대(1)가 하천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이어 구축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 결합구조(11)(11′)가 성형된다. 이에, 하천 바닥 가장자리를 따라 연이어 설치되어 그 위의 결합홈(10)에 끼워져 결합되는 기둥(3)과 블록(4)을 하천 바닥에 대하여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대(1)에 있어서 법면과 접하는 뒷면에는 수평 연장되어 법면의 토양속에 매립 고정되는 매립편(12)이 돌출 성형되며, 하천과 접하는 앞면 상부측에는 양서류나 어류 등 수생동물이 서식할 수 있도록 음지를 제공하는 터널형태의 어소공(13a)이 내부에 형성된 어소대(13)가 소정의 길이로 성형된다. 아울러 어소대(13)의 표면에는 하천의 유속을 완화시켜 수서 동물이나 이끼류 등이 서식할 수 있게 하는 물결형상의 돌기(13b)들이 성형된다. 이 지지대(1)는 굽어 있는 법면에 대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즉 곡선형으로 연이어 결합되도록 예컨대 양쪽 단부를 경사지게 성형하는 등 그 형상이 일부 변경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간(2)은 사각봉 형상으로 제작된 콘크리트재의 봉으로서, 하천 바닥의 양측에 설치된 두 개의 지지대(1)를 서로 연결하여 두 지지대(1)가 상호 지지되게 한다.
상기 기둥(3)은 양측면을 따라 계단형 결속구조가 성형된 콘크리트재 구조물로서, 그 하단이 법면의 경사각과 동일하게 경사각으로 형성된 상기 지지대(1)의결합홈(10)에 끼워져 결합되어 법면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대(1) 상에 세워져 고정된다. 이들 기둥(3)은 양측면에 계단형의 결속구조를 구비하여 그들 사이에 끼워지는 블록(4)들을 법면에 밀착되도록 고정한다.
상기 블록(4)은 그 양측에 상기 기둥(3)의 양측면 결속구조에 대응하는 결속구조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대(1) 위에 세워진 두 개의 기둥(3)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법면을 덮는 콘크리트재의 직사각형 평판으로서, 그 표면에는 흙이 채워지는 골을 형성하는 자연석의 형상을 가진 다수의 융기부(41)가 성형된다. 그리고, 중앙에는 법면의 토양을 외부에 노출하여 식물이 법면의 토양에 뿌리를 내릴 수 있게 하는 식생공(40)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하부 모서리에 그 상하면에 접하는 다른 블록(4)의 상,하면 모서리의 반원형 식생홈(40′)과 접하여 원형의 식생공을 형성하는 반원형 식생홈(40′)이 형성된다. 이 블록(4)의 경우 굽어 있거나 높이가 변하는 제방의 법면에 대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도 1의 부호 4′와 같이 삼각형이나 사다리꼴 등의 여러 가지 형상으로 설계 변경되기도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호안 블록은 지지대(1)를 하천 바닥이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연이어 구축한 다음 연결간(2)으로 하천 양쪽의 지지대(1)를 연결하고, 이어, 상기 지지대(1) 상에 기둥(3)들을 소정의 간격으로 세워 고정한 후 마지막으로 블록(4)들을 상기 기둥(3)들 사이 사이에 끼워 결합하는 단순한 조립단계를 통하여 하천의 양쪽 제방의 법면에 시공할 수 있는 바, 하천 양쪽의 지지대(1)가 연결간(2)을 매개로 상호 지지하여 지지대(1)의 지지력이 매우 강하고 각 블록(4)들이 상기 지지대(1) 위에 세워진기둥(3)들에 의해 결합되어 블록(4)간 결속력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법면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호안 블록이 경우 약 70 도 정도의 급경사 법면에도 시공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블록 표면에 흙이 채워져 법면 표면의 녹화를 가능하게 하고 하천바닥에 어소대(13)로서 수초나 수서동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하천 생태계도 보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호안 블록은 시공이 간편하므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호안 블록을 이용하여 제방의 사방공사를 시행하는 경우 공사에 투입되는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연결간에 의해 양쪽 법면의 시공된 블록들이 서로 지지하고 기둥의 작용으로 블록간 결속력이 매우 강하여 블록이 강한 결속력으로 법면에 대하여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므로 제방 유실의 우려가 거의 없으며 급경사의 법면에 대해서도 사방공사를 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는 하천 제방의 폭을 줄일 수 있게 하여 토지의 효율적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식생공을 통하여 법면의 토양에 공기를 공급함과 아울러 법면 토양에 식물이 직접 뿌리를 내릴 수 있게 하고 또 블록 표면에 채워진 흙으로부터 풀이 자랄 수 있게도 하므로 사방공사 이후 법면의 녹화가 가능하고, 지지대의 어소대로써 수초나 수서 동물들의 서식 환경을 제공하여, 하천의 생태계도 보전할 수 있다.

Claims (4)

  1. 상부를 따라 법면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경사진 결합홈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각각 서로 대응되는 구조의 결합구조를 구비하여, 하천 바닥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이어 끼워 맞추어져 구축되는 지지대;
    호안의 법면에 접하면서 상기 지지대의 결합홈에 서로 거리를 두고 끼워져 세워지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기둥; 및
    상기 기둥들 사이에 순차적으로 끼워져 법면을 덮어 보호하는 평판형 블록으로서, 그 표면에 그들 사이 사이에 흙이 채워지는 골을 형성하는 다수의 융기부와 식물이 법면의 토양에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다수의 식생공이 형성된 복수 개의 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호안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어류의 서식을 위한 어소공이 형성된 어소대가 그 표면을 따라 더 성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조립식 호안 블록.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천 바닥을 가로질러 구축되어 그 양단이 하천 양측의 받침대에 각각 결속됨으로써 상기 하천 바닥의 양측에 구축된 양쪽의 받침대가 서로 지지되게 하는 연결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호안 블록.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과 상기 블록은 계단형 결속구조로서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호안 블록.
KR2020010023547U 2001-08-02 2001-08-02 조립식 호안 블록 KR2002546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547U KR200254616Y1 (ko) 2001-08-02 2001-08-02 조립식 호안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547U KR200254616Y1 (ko) 2001-08-02 2001-08-02 조립식 호안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616Y1 true KR200254616Y1 (ko) 2001-12-01

Family

ID=73106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547U KR200254616Y1 (ko) 2001-08-02 2001-08-02 조립식 호안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6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366B1 (ko) * 2010-07-30 2011-03-07 (주)부광엔지니어링 도로용 옹벽 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366B1 (ko) * 2010-07-30 2011-03-07 (주)부광엔지니어링 도로용 옹벽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9106A (ko) 조립식 호안블록
KR100358655B1 (ko) 식생섬
KR200254616Y1 (ko) 조립식 호안 블록
KR101132200B1 (ko) 식생과 수서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호안옹벽블록
KR100891738B1 (ko)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KR100192709B1 (ko) 하천의 조경조성방법 및 조경조성을 위한 구조물
JP2557981Y2 (ja) 護岸用ブロック
KR101191099B1 (ko) 식생 호안블럭
CN108951548B (zh) 可调节、插板式生态护岸体及采用该护岸体的护岸结构
CN111893948A (zh) 一种基于河湖地形重塑的生态湿地护岸结构及其施工方法
JP2000129650A (ja) 護岸用敷石セグメント
KR200247931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KR200297571Y1 (ko) 식생 옹벽 구조체
KR200418963Y1 (ko) 습지생물용 식생대 구조물
KR200247956Y1 (ko) 지지홀을 가지는 호안블록의 구조
KR200356145Y1 (ko) 호안블럭
KR100406812B1 (ko) 격자형 망태블럭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KR200247930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KR200408158Y1 (ko)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 블록
KR100604674B1 (ko)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 블록
KR100424941B1 (ko) 호안블록의 시공방법
KR200327407Y1 (ko) 식물자생용 호안블럭
KR200312007Y1 (ko) 제방 축조 기능을 갖는 호안블럭
JPH0739943Y2 (ja) 水制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