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416Y1 - 차량 공조기용 송풍기 모터의 브라켓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공조기용 송풍기 모터의 브라켓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416Y1
KR200254416Y1 KR2019990006336U KR19990006336U KR200254416Y1 KR 200254416 Y1 KR200254416 Y1 KR 200254416Y1 KR 2019990006336 U KR2019990006336 U KR 2019990006336U KR 19990006336 U KR19990006336 U KR 19990006336U KR 200254416 Y1 KR200254416 Y1 KR 2002544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motor
blower
air conditioner
duc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63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9657U (ko
Inventor
최장구
Original Assignee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한규
Priority to KR20199900063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416Y1/ko
Publication of KR200000196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6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4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416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공조기용 송풍기 모터의 브라켓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고안의 주된 목적은 송풍기를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의 내주연 모양을 벨마우스 모양으로 형성하여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수단은 증발기가 내설되는 닥트 케이스의 일측에 송풍기를 설치한 차량용 공조기에 있어서, 상기한 송풍기의 모터를 닥트 케이스 상에 설치하기 위해 브라켓을 사용하되, 상기 브라켓은 모터가 끼워지는 중앙의 통공과, 통공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부를 형성한 후, 내주연부를 날개가 있는 쪽을 향하도록 완만한 곡면으로 절곡시켜 공기의 흐름에 저항을 주지 않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공조기용 송풍기 모터의 브라켓 구조 {Bracket ASS'Y of fan motor for vehicle airconditioner}
본 고안은 차량 공조기용 송풍기 모터의 브라켓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모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의 구조를 개량하여 공기 유입이 원활해 지도록 개선한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공조기는 차량의 실내로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이며, 도 1은 이러한 차량용 공조기의 증발기 및 송풍기 부분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증발기(1)는 실내로 안내되는 닥트 케이스(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외부의 공기가 이 증발기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를 강제순환 시키기 위한 송풍기(3)가 그 일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송풍기(3)는 날개(32)와 모터(31)로 이루어 지고, 모터(31)는 브라켓(33)을 이용하여 닥트 케이스(2)에 취부시키게 된다.
이때, 사용하는 종래의 모터 브라켓(33)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판의 중앙부분에 통공(33a)을 형성한 단순한 모양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31)의 지지 역할만을 가질 뿐 공기의 흐름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방해가 되며, 특히 공기의 흐름이 완만하지 못하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고안의 주된 목적은 송풍기를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의 내주연 모양을 벨마우스 모양으로 형성하여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수단은 증발기가 내설되는 닥트 케이스의 일측에 송풍기를 설치한 차량용 공조기에 있어서, 상기한 송풍기의 모터를 닥트 케이스 상에 설치하기위해 브라켓을 사용하되, 상기 브라켓은 모터가 끼워지는 중앙의 통공과, 통공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부를 형성한 후, 내주연부를 날개가 있는 쪽을 향하도록 완만한 곡면으로 절곡시켜 공기의 흐름에 저항을 주지 않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차량 공조기용 팬모터의 설치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팬모터용 브라켓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팬모터용 브라켓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증발기 2 : 닥트 케이스
3 : 송풍기 31 : 모터
32 : 날개 33 : 브라켓
33b : 곡면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서 보듯이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33)은 역시 차량용 공조기에 있어서, 증발기(1)가 내설되는 닥트 케이스(2)의 일측에 송풍기(3)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하되, 중앙의 통공(33a)과, 통공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부(33c)를 형성한 후, 통공이 형성된 내주연부를 날개(32)가 있는 쪽을 향하도록 완만한 곡면(Bell Mouth모양)(33b)으로 절곡시켜 완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브라켓(33)은 상기한 통공(33a)의 중앙에 돌기(33c)를 이용하여 모터(31)를 고정하고, 모터(31)의 축에 날개(32)를 조립하여 송풍기(3)를 완성한 후, 상기 브라켓(33)을 이용하여 닥트 케이스(2)에 설치한다.
따라서 모터(31)가 구동되면 날개(32)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게 되며, 이때, 본 고안은 그 중앙의 통공(33a) 둘레가 곡면(33b)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브라켓(33)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저항이 현저히 줄어들어 쉽게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차량 공조기의 증발기(1)부분의 닥트 케이스(2)에 브라켓(33)을 이용하여 송풍기(3)를 설치하되, 이 브라켓(33)의 모양을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통공(33a)의 주변을 곡면(33b)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공기의 모터의 부하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원활한 공기의 흐름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증발기(1)가 내부에 설치된 닥트 케이스(2)와, 외주측에 브라켓(33)을 개재하여 상기 닥트 케이스(2)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31)와, 상기 닥트 케이스(2)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31)의 전방에 날개(32)가 구비된 차량 공조기용 송풍기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33)의 중심축 내부면은 상기 날개(32) 측으로 원활히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날개(32) 측을 향해 절곡형성된 곡면(33b)과, 상기 모터(31)의 외주면과 부분적으로 밀착되어 그 사이에 통공(33a)이 형성되도록 다수개의 지지돌기부(33c)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기용 송풍기 모터의 브라켓 구조.
KR2019990006336U 1999-04-17 1999-04-17 차량 공조기용 송풍기 모터의 브라켓 구조 KR2002544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336U KR200254416Y1 (ko) 1999-04-17 1999-04-17 차량 공조기용 송풍기 모터의 브라켓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336U KR200254416Y1 (ko) 1999-04-17 1999-04-17 차량 공조기용 송풍기 모터의 브라켓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657U KR20000019657U (ko) 2000-11-25
KR200254416Y1 true KR200254416Y1 (ko) 2001-11-29

Family

ID=54761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336U KR200254416Y1 (ko) 1999-04-17 1999-04-17 차량 공조기용 송풍기 모터의 브라켓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4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657U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88623B1 (en) Blade wheel for centrifugal blower and centerifugal blower with the same
JP3116379B2 (ja) 空気調和機
US20040191061A1 (en) Axial flow fan assembly
US5883451A (en) Device for supporting an electric motor driving a turbine
KR20050032470A (ko) 팬 및 이를 구비한 송풍기 유닛
US20080134713A1 (en) Turbo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US3619088A (en) Single inlet centrifugal fan
CN110118187B (zh) 风机和具有该风机的油烟机
KR200254416Y1 (ko) 차량 공조기용 송풍기 모터의 브라켓 구조
WO2024051358A1 (zh) 电机减震结构、电机及用电设备
KR100716207B1 (ko) 다익송풍기
JPH0396700A (ja) 送風装置
JPH0591923U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用ファンモータのフランジ
GB2352509A (en) Air duct component
JP5934515B2 (ja) 排水ポンプ
KR100265648B1 (ko) 익형 임펠러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한 익형 임펠러
KR200273142Y1 (ko) 송풍기
JP2009250112A (ja) 遠心送風機の羽根車
KR200276467Y1 (ko) 송풍기
CN210509721U (zh) 限位支撑装置、风机和空调器
KR100566011B1 (ko) 터보팬
KR20140007579A (ko)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인테이크 시스템
CN111322273B (zh) 一种离心风机蜗壳
KR101942075B1 (ko) 의류건조기
KR200345721Y1 (ko) 축류팬용 쉬라우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