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229Y1 - 벽걸이용 보드의 걸림구조체 - Google Patents

벽걸이용 보드의 걸림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229Y1
KR200254229Y1 KR2019990006026U KR19990006026U KR200254229Y1 KR 200254229 Y1 KR200254229 Y1 KR 200254229Y1 KR 2019990006026 U KR2019990006026 U KR 2019990006026U KR 19990006026 U KR19990006026 U KR 19990006026U KR 200254229 Y1 KR200254229 Y1 KR 2002542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oard
locking
locking member
ed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60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3359U (ko
Inventor
문상진
Original Assignee
문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상진 filed Critical 문상진
Priority to KR20199900060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229Y1/ko
Publication of KR199900333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3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2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229Y1/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면상의 2개 이상의 돌출부(10)에 걸림식으로 부착시키는 방식의 벽걸이용 보드의 걸림구조체(1)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구조체는 1개의 직선상 테두리부(3')에 걸림부재(6)가 내측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변위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테두리부(3')의 배면부 내측면 상단 및 하단 외곽부에 길이방향으로 요홈(7)이 제공되어, 상기 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용 돌출부(10)가 상기 테두리부(3) 배면 내측의 상기 걸림부재(6)에 도달하여 상기 관통공(5)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벽걸이용 보드의 걸림구조체(1)를 벽면상에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테두리부(3')의 배면측 중간부분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개방되어 있으며, 직선상 테두리부(3')의 양 단부에 제공된 조인트 결합부(4)는 상기 걸림부재(6)가 상기 테두리부(3')의 길이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좌우방향 변위의 범위를 한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라, 2개 이상의 걸림용 돌출부(10)들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6)의 위치를 조정하여 쉽게 고정할 수 있고, 벽에 보드를 고정시킨 후에 전면에서 상기 걸림용 돌출부(10)들 또는 상기 걸림부재(6)가 보이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벽걸이용 보드의 걸림구조체{Hanging structure of wall-hanging board}
본 고안은 벽걸이용 보드의 걸림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벽면에 형성된 2개 이상의 예컨대 못과 같은 돌출부에 걸어서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는 보드의 걸림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칠판, 화이트보드, 액자, 판넬(pannel) 등과 같이 실내 또는 실외의 벽면상에 부착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는 보드는 통상적으로 벽면상에 돌출된 예컨대 못 등과 같은 돌출부에 걸어서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소형의 액자 등의 경우에는 1개의 고정부에 걸어서 벽면에 부착시킬 수 있게 되어 있으나, 대형의 액자나 판넬인 경우와, 예컨대 칠판이나 화이트 보드 등과 같이 사람의 손길이 빈번히 접촉되는 경우에는 벽면상에 견고한 부착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대개 2개 이상의 고정용 돌출부에 걸어서 부착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예컨대 벽에 예컨대 못을 박아서 고정용 돌출부를 형성시키고 여기에 보드에 설치된 고정수단(예컨대 관통공)을 걸어서 부착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드에 설치된 고정수단들(예컨대 걸림용 관통공)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돌출부들간의 거리 또는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여야만 상기 보드의 고정수단(예컨대 관통공)이 상기 돌출부에 걸리게 되어 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작업에는 세심한 주의가 요하게 되어 매우 불편하고 번잡하였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는 적당한 길이의 예컨대 노끈, 철사 등의 양 단부를 상기 보드 양 측면의 테두리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노끈의 중간 부분이 벽면의 돌출부에 걸리도록 하여 벽에 부착시키는 방법이 사용된 바 있으나, 이는 상기 보드의 크기나 중량 등에 한계가 있었고 안정된 고정이 불가능하여, 특히 사용자의 접촉이 빈번한 칠판이나 화이트 보드 등의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
근래에 사용되는 보다 개선된 방법으로는, 상기 보드의 상단 테두리부에 2개 이상의 걸림용 고정수단을 슬라이딩식으로 결합시켜서, 상기 걸림용 고정수단을 횡방향으로 변위시킴에 따라 벽면의 상기 돌출부 위치에 관통공이 맞도록 조절할수 있는 방법이 있다. 즉, 보드의 고정수단에 맞추어 벽면의 돌출부를 설치하는 대신, 벽면의 돌출부 위치에 상기 보드의 고정수단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방법에 따르면, 상기 보드의 4각 테두리부 중에서 위쪽 1개의 가로방향테두리 부재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식 변위가 가능한 부재를 2개 이상제공하고, 상기 부재에 1개의 관통공을 형성시켜서 벽의 돌출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구조체에 사용되는 슬라이딩 방식은, 우선 위쪽 1개의 가로방향 테두리 부재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의 개열부에 '┴'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고정수단의 수직 부분이 끼워지고 양쪽 수평 부분이 상기 테두리 부재의 상부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고정수단의 수직부가 상기 개열부를 따라 수평이동할 수 있고 상기 수평부가 보드 전체를 지탱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 부분에는 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가 관통됨으로써 보드 구조체 전체를 걸어서 유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체를 사용하여 보드를 벽에 부착하였을 경우, 전면에서 보면, 상기 변위가 가능한 고정용 수단이 보드의 상부 테두리 위쪽으로 튀어나와 보이게 되어, 설치작업 후의 의관이 미관상 바람직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올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드를 벽면에 부착고정시키는 종래의 슬라이딩식 구조체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보드의 외곽선상에 돌출부를 제거하여 외관을 개선시킨 벽걸이용 보드의 걸림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자는 상기 슬라이딩식 변위가 가능한 종래의 보드 구조체의 구성을 변경시켜 벽으로부터의 돌출부와 여기에 걸리게 되는 고정수단을 상기 보드의 배면부로 은닉시킴으로써 종래기술에서의 미관상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용 지지구조체가 설치된 보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벽걸이용 걸림구조체의 배면부 방향에서 도시한 일부파단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벅걸이용 보드의 걸림구조체가 설치된 보드 본체를 벽면에 고정부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용 보드의 걸림구조체는, 사각형상의 보드 본체(2); 상기 보드 본체(2)의 직선상 4개 변을 둘러싸고 체결식으로 결합되어 가장자리를 이루는 4개의 직선상 테두리부(3); 상기 보드 본체(2)의 4개의 직각 모서리부에서 만나는 2개의 상기 직선상 테두리부(3)를 동일한 규격으로 이어지도록 직각으로 연결시키는 4개의 조인트결합부(4); 및 4개의 상기 테두리부(3)들중 1개의 테두리부(3')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식으로 결합되어 있고, 벽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용 돌출부(1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5)이 구비된 걸림부재(6)로 구성되는, 벽면상의 2개 이상의 돌출부(10)에 걸림식으로 부착시키는 종래의 방식의 벽걸이용 보드의 걸림구조체(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6)는 상기 1개의 직선상 상부 테두리부(3)의 배면(벽면쪽)내측부에 결합되고, 상부 테두리부(3)의 배면(벽면쪽) 내측부는 상기 걸림부재(6)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변위가 가능하도록 상단 및 하단 외곽부에 길이방향으로 요홈(7)이 제공되고, 상기 상부 테두리부(3)의 배면부(벽면쪽)는 길이방향으로 중간 부분이 길게 개열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재(6)에는 상기 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용 돌출부(10)가 상기 개열부를 지나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공(5)이 형성되어 상기 벽걸이용 보드의 걸림구조체(1)를 벽면상에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5)을 구비한 걸림부재(6)는 상기 1개의 직선상 테두리부(3)의 배면측에 좌우 방향으로 변위가 가능하도록 슬라이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 결합부(4)는 상기 걸림부재(6)가 슬라이딩식으로 결합된 직선상 테두리부(3')의 양 단부에서 상기 걸림부재(6)가 상기 테두리부(3')의 길이부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좌우방향 변위의 범위를 한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벽걸이용 보드의 걸림구조체(1)는 상기 2개 이상의 걸림용 돌출부(10)들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6)의 위치를 변위시켜서 걸림식으로 고정할 수 있고, 벽에 상기 보드를 고정시킨 후에 전면에서 상기 걸림용 돌출부(10)들 또는 상기 걸림부재(6)가 보이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의 벽걸이용 보드의 걸림구조체가 제공됨으로써, 2개 이상의 걸림용 돌출부가 형성된 벽면상에 벽걸이용 보드를 용이하게 고정시키게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외관상 보드 자체 이외에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물이 배제될 수 있게 됨으로써 미관상의 장점을 가지게 된다.

Claims (1)

  1. 사각형상의 보드 본체(2); 상기 보드 본체(2)의 직선상 4개 변을 둘러싸고 체결식으로 결합되어 가장자리를 이루는 4개의 직선상 테두리부(3); 상기 보드 본체(2)의 4개의 직각 모서리부에서 만나는 2개의 상기 직선상 테두리부(3)를 동일한 규격으로 이어지도록 직각으로 연결시키는 4개의 조인트결합부(4); 및 4개의 상기 테두리부(3)들중 1개의 테두리부(3')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식으로 결합되어 있고, 벽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용 돌출부(1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5)이 구비된 걸림부재(6)로 구성되는, 벽면상의 2개 이상의 돌출부(10)에 걸림식으로 부착시키는 방식의 벽걸이용 보드의 걸림구조체(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6)가 배면 내측에 결합되는 상기 1개의 직선상 테두리부(3)는, 상기 걸림부재(6)가 내측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변위가 가능하도록 배면부 내측면의 상단 및 하단 외곽부에 길이방향으로 요홈(7)이 제공되고, 상기 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용 돌출부(10)가 상기 테두리부(3) 배면내측의 상기 걸림부재(6)에 도달하여 상기 관통공(5)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벽걸이용 보드의 걸림구조체(1)를 벽면상에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테두리부(6)의 배면측 중간부분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5)을 구비한 걸림부재(6)는 상기 1개의 직선상 테두리부(3)의 배면측에 좌우 방향으로 변위가 가능하도록 슬라이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 결합부(4)는 상기 걸림부재(6)가 슬라이딩식으로 결합된 직선상테두리부(3')의 양 단부에서 상기 걸림부재(6)가 상기 테두리부(3')의 길이부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좌우방향 변위의 범위를 한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벽걸이용 보드를 상기 2개 이상의 걸림용 돌출부(10)들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6)의 위치를 변위시켜서 걸림식으로 고정할 수 있고, 벽에 상기보드를 고정시킨 후에 전면에서 상기 걸림용 돌출부(10)들 또는 상기 걸림부재(6)가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보드의 걸림구조체(1).
KR2019990006026U 1999-04-08 1999-04-08 벽걸이용 보드의 걸림구조체 KR2002542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026U KR200254229Y1 (ko) 1999-04-08 1999-04-08 벽걸이용 보드의 걸림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026U KR200254229Y1 (ko) 1999-04-08 1999-04-08 벽걸이용 보드의 걸림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359U KR19990033359U (ko) 1999-08-05
KR200254229Y1 true KR200254229Y1 (ko) 2001-11-26

Family

ID=54756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026U KR200254229Y1 (ko) 1999-04-08 1999-04-08 벽걸이용 보드의 걸림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2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359U (ko) 199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4229Y1 (ko) 벽걸이용 보드의 걸림구조체
JP5085884B2 (ja) ふかし枠、及び、建具
JP2003534644A (ja) 電気的な組込部材および/または電子的な組込部材を受容するためのケーシング
JP3121560B2 (ja) 外壁の化粧構造
JP2003166302A (ja) 家具とパーティションの連結構造及びそのためのパーティション
JP4215209B2 (ja) デッキ床
KR200215675Y1 (ko) 결착기능 및 외관이 개선된 벽걸이식 필판용 보드
JP3110195B2 (ja) 並設用板体
CN207974325U (zh) 扣板边龙骨组件
JP6661557B2 (ja) 窓額縁および建具
JP4598290B2 (ja) パネル付き机
KR200314076Y1 (ko) 보조 스크린 판을 구비한 칸막이
KR200267530Y1 (ko) 커튼레일
JP2002276237A (ja) 移動パネル付き間仕切装置
JP2727893B2 (ja) 机上パネル
JPH05289624A (ja) 掲示板
KR20230027888A (ko) 천장 모서리 마감재
JPH026218Y2 (ko)
KR200226962Y1 (ko) 패널 고정구
JPH0322410Y2 (ko)
JP3345159B2 (ja) 額縁又は膳板の固定方法
KR950009925Y1 (ko) 건축용 철문틀
JP2022050808A (ja) 笠木のエンドキャップ及び笠木のエンドキャップの取り付け方法
KR940004882Y1 (ko) 수평, 수직 조절구가 부착된 문틀
JPH07189557A (ja) 化粧額縁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