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148Y1 - 식물의 정화작용을 수행하는 정화장치구조 - Google Patents
식물의 정화작용을 수행하는 정화장치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54148Y1 KR200254148Y1 KR2020010025977U KR20010025977U KR200254148Y1 KR 200254148 Y1 KR200254148 Y1 KR 200254148Y1 KR 2020010025977 U KR2020010025977 U KR 2020010025977U KR 20010025977 U KR20010025977 U KR 20010025977U KR 200254148 Y1 KR200254148 Y1 KR 20025414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humidifier
- housing
- plant
- ozon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물의 정화작용을 수행하는 정화장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사무실이나 가정 및 공장 등에 인체에 이롭도록 공기정화와, 음이온의 발생과, 습도의 조절을 수행하는 화분에 수용된 관상용 식물의 기능을 구현함과 더불어 살균 및 방충 등의 효과를 더하도록 화분과 관상수 형상의 하우징에 가습기와, 집진기와, 제어기와, 음이온발생기와, 오존발생기와, 초음파발진기를 수용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각 구성품의 작용이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분의 공급과, 공기의 정화와, 음이온 및 오존의 함유와, 향기를 포함한 것을 보다 용이하게 이루도록 하고, 보다 자유로운 설치장소의 선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물의 작용으로 이루어지는 공기정화와, 음이온발생, 오존발생 및 수분공급 등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인조 관상수를 이용한 식물의 정화작용을 수행하는 정화장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은 비교적 인체에 해로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탄소동화작용을 통해 인체에 이로운 산소를 발생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 그 대표적인 작용으로, 상기 인체의 생존에 밀접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근래에 사람은 상기 식물의 공기청정작용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집이나 직장 등의 장소에 화분에서 재배되는 식물을 기르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집이나 직장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것은 어느 정도 전문적인 지식을 요구할 뿐 아니라, 주위 환경이나, 관리의 미비로 인해 상기 식물이 죽거나, 병이 드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른 식물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식물의 공기정화작용을 구현하도록 공기정화기가 개발되었으나, 이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단순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식물의 습도조절이나, 음이온의 생성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어 상기 습도조절 및 음이온발생을 위한 별도의 기구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식물의 공기정화작용과, 습도조절작용 및 음이온과 오존발생작용을 구현할 수 있는 식물의 정화작용을 수행하는 정화장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는 기능과, 살균기능을 더 구현할 수 있는 식물의 정화작용을 수행하는 정화장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화분에 재배되는 식물의 외형과 흡사한 외형을 이루도록 하여 심미감을 증대시키도록 된 식물의 정화작용을 수행하는 정화장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화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부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부의 분리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부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장치의 분리 결합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정화장치 2 - 인조식물
10 - 하우징 11 - 몸체
12 - 덮개 13 - 토출관
20 - 가습수단 21 - 가습기
22 - 가습제어기 23 - 가습날개
24 - 물통 25 - 수위감시창
26 - 격막 27 - 가습관
30 - 공기정화수단 31 - 집진기
32 - 흡기구 33 - 모터
34 - 배기날개 35 - 송풍기
36 - 배기관 40 - 제어수단
41 - 제어기 42 - 조작부
50 - 오존발생수단 51 - 오존발생기
52 - 오존관 60 - 음이온방출수단
61 - 음이온발생기 62 - 음이온방출선
70 - 초음파발진수단 71 - 초음파발진기
80 - 향방출수단 81 - 향방출기
91 - 보조정화판 92 - 고정판
93 - 수조 94 - 생화지지판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분형상의 하우징에 가습기와, 집진기와, 오존발생기 및 이온발생기를 설치하고, 이 하우징에서 정화 및 습도조절이 완료된 공기가 상기 화분에 적합한 인조식물의 줄기 및 잎사귀를 통해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향 발생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산화금속화합물로 구성된 원적외선 세라믹 등의 방사물질을 물통 및 화분에 설치하여 살균작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음이온발생기에서 발생한 음이온이 하우징의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산되도록 상기 음이온발생기의 출력선이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 부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오존과 수분의 화합으로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정화 및 습도조절이 이루어진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구 이외에 상기 오존이 방출되는 배기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우징(10)과 인조식물(2)이 결합되어 화분에 수용된 관상수의 형상을 이룬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2 및 도 3은 하우징(10)의 내부 구성품을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은 화분(花盆)형상의 하우징(10)과, 상기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습수단(20)과, 공기정화수단(30)과, 제어수단(40)과, 오존발생수단(50)과, 음이온방출수단(60)과, 초음파발진수단(70) 및 상기 하우징(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인조식물(2)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화분형상의 몸체(11)와, 덮개(12) 및 토출관(13)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1)는 그 윗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상의 보편적인 화분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덮개(12)는 상기 화분의 상단을 덮을 수 있도록 원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화분 및 덮개(12)는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이루면서 그 상단이 개방된 형상의 화분과,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화분 상단을 덮어 막을 수 있도록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룬 덮개(12)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토출관(13)은 상기 덮개(12)의 중앙부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직상방으로 관통되는 원통형의 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12)의 중앙부로 관통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와 연결된다.
상기 가습수단(20)은 가습기(21)와, 가습제어기(41)(22)와, 가습날개(23)와, 물통(24)과, 수위감시창(25)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습기(21)는 외부전원의 인가에 따라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이 초음파에 의해 진동되는 진동판의 진동에 의해 캐비테이션(cavitation) 등의 진공현상을 이용하여 안개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가습기(21)는 상기 몸체(11)의 내측 하단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습기(21)는 그 중앙부에 물을 안개로 변환하여 분출하는 분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가습제어기(41)(22)는 후술하는 제어기(41)의 제어신호 혹은 상기 가습기(21)에 포함된 습도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가습기(21)로의 전원인가를 제어하도록 상기 가습기(21)의 일측부에 도선을 매개로 연결됨과 더불어 부착된다.
상기 가습날개(23)는 상기 가습기(21)의 물이 분출되는 분출구의 중앙 상부에 후술하는 모터(33)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33)의 회전력에 따라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분출구를 통해 분출되는 안개를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로 이동시키도록 다수의 날개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습날개(23)는 상기 가습기(21)의 분출구 중앙에서 상기 모터(33)의 중앙부에 이르도록 연장된 봉형상의 축과, 이 축의 외주에서 상기 축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날개로 구성된다.
상기 물통(24)은 상기 가습기(21)에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가습기(21)의 일측부에 내부가 중공됨과 더불어, 상기 원통형의 몸체(11) 하단에 설치되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된 가습기(21)의 일측단에 체결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링의 일부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물통(24)은 상기 가습기(21)의 일측 외부에 체결되도록 되며, 상기 몸체(11)의 외측면에서 상기 물통(24)으로 연결된 물 공급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통(24)은 상기 가습기(21) 전체의 외형의 일부를 이루도록 상기 가습기(21)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함몰부가 형성되고, 이 함몰부에 상기 링의 일부형상으로 형성된 물통(24)이 삽입·장착된다.
또, 상기 물통(24)은 외부에서 내부의 투시가 가능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위감시창(25)은 상기 가습기(21)의 일측에 체결된 물통(24)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상기 몸체(11)의 일부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위감시창(25)을 통해 상기 물통(24)의 내부에 충진된 물의 수위를 감시할 수 있도록 된다.
또, 상기 수위감시창(25)은 상기 몸체(11)의 일부에 절개된 직사각형 형상의 창에 아크릴 등의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판을 체결하여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가습수단(20)에서 발생된 안개가 상기 가습날개(23)의 회전으로 상기 몸체(11)의 내부에서 상승되면서 타 부품들에 상기 안개의 물기가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습날개(23)의 외부를 감싸도록 원형관 형상을 이룬 격막(26)이 상기 분출구의 상단에서 후술하는 배기날개(34)의 하단에 이르도록 형성된다.
상기 공기정화수단(30)은 집진기(31)와, 흡기구(32)와, 모터(33) 및 배기날개(34)로 구성된다.
상기 집진기(31)는 원형의 관형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외부의 전원인가에따라 금속판에 정전기를 발생하여 이 정전기가 발생된 금속판에 부착된 먼지 등의 공기 중의 이물질을 상기 전원의 유통으로 생성되는 방전전류로써 태워 제거하도록 상기 외부전원의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서 통전된 전류를 유통시키는 금속판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금속판은 그 다수부가 개구되어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금속판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판 형상 핀이 형성되어 상기 공기와 금속판의 접촉면을 넓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진기(31)는 한 쌍의 핀을 형성한 금속판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항균필터와, 활성탄필터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균필터는 상기 집진기(31)의 내부형상과 동일한 원형의 관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미생물 등의 이물질을 걸러 흡착시키도록 미세한 다수개의 구멍을 갖는 부직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탄필터는 상기 집진기(31)의 내부형상과 동일한 원형의 관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목재 ·갈탄 ·이탄(泥炭) 등을 활성화제인 염화아연이나 인산과 같은 약품으로 처리하여, 건조시키거나 목탄을 수증기로 활성화시켜 가루상태나 입자상태로 제조되며, 이 가루상태나 입자상태의 활성탄을 부직포나 상기 항균필터에 흡착하여 구성한다.
상기 모터(33)는 몸체(11)의 중앙부에 몸체(11) 바닥에 대해 수직을 이루고 체결된 상기 가습날개(23)의 상단에 상기 가습날개(23)의 축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외부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장의 반력에 의해 중심축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구성된다.
상기 배기날개(34)는 원형판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원형판의 중심에 대해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슬릿이 형성되고, 이 슬릿의 일측단에서 상기 원형판에 대해 소정각도를 갖는 날개판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모터(33)의 상단에 상기 모터(33)축과 연결되어 상기 모터(33)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40)은 제어기(41)와, 조작부(42)로 구성된다.
또, 상기 제어기(41)는 상기 몸체(11)의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과 연결되어 전류를 유통시키는 전원입력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기(41)는 상기 외부전원의 각 부품으로의 통전을 제어하도록 다수개의 스위치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습제어기(22)의 신호 및 후술하는 조작부(42)의 신호에 의해 상기 외부전원의 인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제어기(41)는 상기 배기날개(34)의 일측부에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이루고 형성된 제어박스에 내장되어 상기 몸체(11)의 내부 일측면에 체결된다.
상기 조작부(42)는 상기 제어박스의 일단이 접하는 상기 몸체(11)의 내부 일측면을 개구하여 외부로 관통시키고, 이 관통된 부위에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버튼이나 다이얼 등을 설치하고, 이 버튼과 다이얼을 상기 제어기(41)의 각 스위치와 연결하여 상기 외부전원의 인가를 제어하도록 한다.
또, 상기 조작부(42)는 적외선으로 전송되는 전기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와, 리모트컨트롤을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가 리모트컨트롤을 조작하여 생성한 전기신호를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하여 상기 수신부와 연결된 각 스위치를 작동시켜상기 외부전원의 인가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가습제어기(22)를 수용하여 상기 가습기(21)에 인가되는 전원의 인가를 상기 제어기(41)에서 이루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오존발생수단(50)은 상기 제어수단(40)의 제어박스 내에 체결되거나, 상기 제어박스의 일측에 별도로 형성된 박스에 체결되며, 상기 제어박스의 일측면과 몸체(11)의 내면이 접하는 부위에 개구를 형성하여 외부공기를 흡입하고, 이 흡입된 공기를 오존 처리하여 오존이 함유된 공기를 후술하는 오존관(52)을 통해 배출한다.
여기서, 상기 오존(O3)은 산소에 분해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공기의 정화에 사용되며 살균작용을 이루나, 수분에 의해 그 분출효율이 저하되고, 타 기체와의 분해가 용이하여 별개의 통로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분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오존발생수단(50)은 상기 제어박스 내에 설치되는 오존발생기(51)와, 이 오존발생기에서 생성된 오존을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분출되도록 유도하는 오존관(52)으로 구성된다.
상기 오존관(52)은 상기 제어박스에 설치된 오존발생기(51)에 그 일단이 체결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덮개(12) 하단에 접하여 상기 토출관(13)으로 연결되며, 이 토출관(13)으로 연결된 오존관(52)이 상기 토출관(13)의 내벽을 따라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로 연결된다.
또, 상기 오존관(52)은 후술하는 인조식물(2)의 줄기를 따라 상기 인조식물(2)의 줄기 끝단 혹은 인조 잎의 끝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지의 끝단 혹은 잎의 틈새를 통해 대기로 방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음이온방출수단(60)은, 음이온발생기(61)와 음이온방출선(62)으로 구성된다.
상기 음이온발생기(61)는 상기 제어박스의 내부 혹은 상기 제어박스의 일측단에 별도로 구비된 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전원의 인가에 따라 음이온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음이온은 음(-)의 전하를 방출하여, 이 음의 전하가 인체의 혈액 중 나트륨과 칼슘의 이온 함량을 증가시켜 산성화되어 있는 체질을 약알칼리성으로 바꾸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기 음이온은 소정길이(약 1m) 이상의 관으로 통과할 경우 소멸되므로, 상기 음이온방출선(62)을 하우징(10)의 외부 방출위치까지 연장하여 설치한다.
상기 음이온방출선(62)은 상기 음이온방출기에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덮개(12)의 하단면을 따라 상기 토출관(13)으로 이어지고, 이 토출관(13)에서 토출관(13)의 내벽면을 따라 상기 하우징(10)에 수직을 이루면서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이 후술하는 인조식물(2)의 가지 및 잎에 이르도록 되어 상기 가지 및 잎의 개구부를 통해 대기로 방출된다.
상기 초음파발진수단은 초음파발진기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박스 및 제어박스의 일측에 별개로 구비된 박스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기(41)와 연결되어제어기(41)의 제어를 받도록 설치된다.
또, 상기 초음파발진기는 발생되는 초음파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상기 제어박스와 몸체(11)의 내벽이 접한 부분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초음파발진기에서 발진된 초음파가 상기 개구를 통해 몸체(11)의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는 가청주파수 대역에서 주파수가 높고 파장이 짧기 때문에 상당히 강한 진동이 생기므로, 상기 가청주파수의 음파와 진동으로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도록 된다.
상기 인조식물(2)은 줄기와 가지와 잎으로 구성되며, 상기 줄기는 토출관(1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식물의 외형과 동일한 외형을 이룬 줄기의 내부를 중공시켜 형성하며, 실제 식물의 줄기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가지는 상기 줄기의 다수지점에서 줄기의 외측으로 뻗어 형성되며, 그 선단 또는 상기 줄기와 가지가 맞접하는 부위에 개구를 형성하여 상기 가습기(21)에 의해 습도가 조절된 공기 및 집진기(31)에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오존관(52) 및 이온방출선의 선단이 체결되어 방출되는 오존 및 이온이 방출되도록 개구될 수 있도록 그 내부가 중공된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잎은 보편적인 식물의 잎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지의 중공부와 연통되어 상기 정화된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잎은 그 내부에 섬유질이 충진되어 상기 정화된 공기 및 습도가 조정된 공기가 상기 섬유질을 통해 보다 자연스럽게 외부로 토출되도록 구성하며,후술하는 향방출수단(80)의 향기를 일시 저장한 후에 지속적으로 향기를 배출하도록 한다.
또, 상기 줄기는 상기 덮개(12)의 상단에 접하도록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덮개(12)의 상면에는 그 내부에 미세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숯 등의 보조정화판(91)을 설치하여 정화장치(1)의 정화능력을 보조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정화판(91)은 상기 덮개(12)의 상면 형상과 동일한 원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중앙부에 상기 토출관(13)이 관통하여 상부로 뻗도록 원형의 개구가 형성된다.
또, 상기 보조정화판(91)의 상면에 잔디 또는 흙 등의 천연 관상물을 설치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외관을 향상시키도록 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외표면 전체 또는 일부에 산화규소, 산화게르마늄 등의 산화금속화합물 분말을 도포하여 상기 산화금속화합물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오존관(52)과 물통(24) 및 공기정화수단(30)에 산화금속화합물 분말을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부(42) 조작에 의해 상기 제어기(41) 및 제어기(41)와 연결된 각 구성품에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기 가습제어기(41)(22)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외부 가습정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습도정도와 비교하여 가습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가습기(21)에 전원을 인가시키고, 상기 전원이 인가된 가습기(21)는 상기 가습기(21)의 일측에 부착된 물통(24)의 물을유통시켜 분출구의 위치에서 고주파에 의해 작동되는 진동판의 진동에 따라 안개를 발생시키고, 상기 분출구에서 발생된 안개는 상기 분출구의 중앙부에서 상기 배기날개(34)에 이르도록 배열된 가습날개(23)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몸체(11)의 상부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분출구에서 상부로 이동되는 안개는 상기 분출구의 선단과 상기 배기날개(34)의 하단에 이르도록 원통형상으로 설치된 격막(26)에 의해 상기 격막(26)의 외측 집진기(31)로 이동 및 분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상기 분출구에서 분출되어 가습날개(23)의 회전에 의해 상부로 이동된 안개는 상기 배기날개(34)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배기날개(34)의 상부에 개구된 토출관(13)으로 배출된다.
상기 토출관(13)으로 이동된 안개는 상기 토출관(13)의 선단과 연결된 줄기 및 가지를 통해 상기 정화장치(1)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 상기 가습기(21)에서의 안개분출과 동시에 상기 제어기(41)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집진기(31)에 전원이 인가됨과 더불어, 상기 배기날개(34)가 작동되어 상기 배기날개(34)의 몸체(11) 내부공기의 송풍작용에 의해 상기 몸체(11) 내의 대기압이 상기 몸체(11)의 외부보다 상대적으로 낮게되면서 상기 흡기구(32)의 외측에 위치한 공기가 상기 몸체(11)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흡기구(3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집진기(31)의 정전기 금속판과 부직포 및 항균필터를 거쳐 각종 이물질이 걸러지거나 제거된 정화된 공기가 상기 배기날개(34)의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 배기날개(34)의 방향으로 이동된 공기가 상기 배기날개(34)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몸체(11)의 상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안개와 함께 상기 토출관(13)과 줄기 등을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또, 상기 제어기(41)의 제어에 의해 오존발생기(51)에 외부전원이 인가되고, 이 인가된 외부전원이 통전된 오존발생기(51)에서 오존이 발생되고, 이 발생된 오존이 상기 오존발생기(51)의 일단에 결합된 오존관(52)을 통해 상기 토출관(13)의 선단에 체결된 줄기 및 가지의 중공부로 이동되며, 이 줄기 및 가지로 이동된 오존은 상기 줄기 및 가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제어기(41)의 제어에 의해 이온발생수단에서 생성된 이온이 상기 이온방출선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이온방출선의 끝단이 체결된 줄기 및 가지의 끝단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이온이 방출된다.
상기 초음파발진기(71)는 상기 제어기(41)의 외부전원 인가제어에 의해 상기 초음파발진기(71)에서 초음파가 발진되고, 이 발생된 초음파가 상기 초음파발진기(71)와 몸체(11)가 접하는 부위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의 하우징(10)보다 작게 형성된 하우징(10)에 상기 가습수단(20)과, 공기정화수단(30)과, 제어수단(40)과, 음이온방출수단(60) 및 향방출수단(80)을 구성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은 몸체(11)와 덮개(12)로 이뤄지며, 상기 몸체(11)는 화분(花盆) 형상을 이루도록 그 상단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관형상을 이루면서 그 상단보다 하단의 면적이 좁게 형성된다.
또, 상기 덮개(12)는 상기 몸체(11)의 상단면을 덮어 막을 수 있도록 원형판 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상기 가습수단(20)은 가습기(21)와, 물통(24)과, 가습관(27)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습기(21)는 외부전원의 인가에 따라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이 초음파에 의해 진동되는 진동판의 진동에 의해 캐비테이션(cavitation) 등의 진공현상을 이용하여 안개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가습기(21)는 상기 몸체(11)의 내부 하단에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루고 안착된다.
상기 물통(24)은 상기 가습기(21)의 일측 상단면에 안착되도록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내부에 물이 충진되고, 이 충진된 물이 상기 가습기(21)와의 접합부를 통해 상기 가습기(21)의 분출부로 유통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가습관(27)은 상기 가습기(21)의 분출부에서 상기 몸체(11)의 중앙부를 통해 상부로 연결되고, 상기 몸체(11)의 중앙부를 통해 상부로 연결된 가습관(27)은 상기 덮개(12)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후술하는 인공식물의 가지 내로 연결된다.
또, 상기 가습기(21) 및 물통(24)의 상단에 상기 몸체(11)의 내부를 수평으로 구획하도록 원형의 고정판(92)이 설치된다.
상기 공기정화수단(30)은 집진기(31)와, 흡기구(32)와, 송풍기(35)로 구성된다.
상기 집진기(31)는 상기 전류의 통전에 따라 금속판에 정전기를 형성하도록 된 금속판과, 미세한 이물질을 거르는 부직포와, 항균필터가 각각 직사각형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맞접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고정판(92)의 일측단에 접해 고정된다.
또, 상기 집진기(31)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부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의 내벽 일측에 접해 고정되며, 상기 몸체(11)의 일측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개구되어 흡기구(32)가 형성된다.
상기 송풍기(35)는 상기 집진기(31)의 내부 중앙에 상기 흡기구(3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몸체(11)의 중앙부로 송풍시키도록 모터(3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개의 날개로 구성된다.
또, 상기 집진기(31)에서 정화된 공기는 상기 송풍기(35)에 의해 상기 몸체(11)의 방향으로 송풍되며, 이 송풍된 공기를 상기 인조식물(2)의 방향으로 유통시키도록 상기 집진기(31)의 끝단에서 상기 몸체(11)의 중앙부로 관이 연결되고, 상기 이 중앙부로 연결된 관의 끝단에서 상기 몸체(11)의 중앙 상부로 절곡되면서 상기 덮개(12)의 중앙부 개구를 통해 연결되어 그 선단이 상기 인조식물(2)의 내부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수단(40)은 제어기(41)와, 조작부(42)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기(41)는 외부전원과 연결되고, 상기 가습기(21)와 집진기(31) 및 후술하는 음이온발생기(61)에 도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또, 상기 제어기(41)는 상기 외부전원의 단속을 제어하여 상기 각 부품으로의 전원인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작부(42)는 상기 가습기(21)와 집진기(31) 및 음이온발생기(61), 각각에 대한 전원의 인가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각 구성품에 대한 동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몸체(11)의 외부로 돌출된 버튼 또는 다이얼 등이 구비된다.
상기 음이온방출수단(60)은 음이온발생기(61)로 구성된다.
상기 음이온발생기(61)는 상기 집진기(31)의 일측단에 설치되며, 상기 집진기(31)의 송풍기(35)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 중에 상기 제어기(41)의 전원인가에 따라 음이온을 발생시켜 상기 집진기(31)의 끝단에서 연결된 배기관(36)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또, 상기 제어기(41)의 상단에 초음파발진기(71)로 이루어진 초음파발진수단(70)을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초음파발진기(71)는 상기 제어기(41)의 전원인가에 따라, 초음파를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상기 제어기(41)의 상부 몸체(11)의 일측벽에 밀착되고, 상기 밀착된 몸체(11)의 벽면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초음파의 방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조식물(2)은 실제 식물의 외형과 동일한 줄기와 가지와 잎 및 꽃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줄기와 가지와 잎과 꽃은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줄기는 상기 덮개(12)의 외부로 돌출된 가습관(27)과 배기관(36)을 함께 감싸도록 내부가 중공된 원형관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 상기 몸체(11)의 내부에 향방출수단(80)을 장착하여 상기 정화된 공기의배출과 동시에 향기를 방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향방출수단(80)은 향방출기(81)로 구성되며, 상기 향방출기(81)는 상기 고정판(92)의 중앙부 상단에 향수를 수용한 직사각형의 용기로 구성된다.
또, 상기 향방출기(81)는 방출된 향이 상기 인조식물(2)의 줄기를 통해 상기 줄기 및 가지 또는 잎과 꽃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외부로 분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인조식물(2)의 줄기가 접하는 상기 덮개(12)의 개구부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부(42) 조작에 의해 제어기(41)에 외부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제어기(41)에 외부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제어기(41)와 연결된 가습기(21)와 집진기(31) 및 이온발생기 등에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전원이 인가된 가습기(21)는 상기 가습기(21)의 상부에 장착된 물통(24)으로부터 물을 진동판이 부착된 분출부로 유통받고, 상기 전원의 인가로 인해 초음파로 진동되는 진동판이 상기 물을 안개로 변환시킨다.
또, 상기 안개는 상기 가습기(21)의 일측단에서 상기 인조식물(2)의 줄기로 연결된 가습관(27)을 따라 상기 인조식물(2)의 줄기부로 이동되고, 상기 인조식물(2)의 줄기로 이동된 안개는 상기 줄기 및 가지의 개구를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또한, 상기 제어기(41)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집진기(31)로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전원이 인가된 집진기(31)는 상기 흡기구(32)를 통해 유통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름과 동시에 제거하여 상기 송풍기(35)의 송풍력에 의해 상기 집진기(31)의 끝단에 연결된 배기관(36)을 통해 상기 인조식물(2)의 줄기로 상기 정화된 공기를 배기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기(41)의 전원인가에 따라 상기 집진기(31)의 일측단에 설치된 음이온발생기(61)에서 음이온이 발생되고, 이 발생된 음이온은 상기 집진기(31)에서 유통되는 공기의 흐름을 따라 상기 배기관(36)을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바구니 혹은 꽃꽂이용기의 내부 하단에 설치하도록 된 정화장치(1)로 구성된다.
상기 정화장치(1)는 하우징(10)과, 토출관(13)과, 수조(93)와, 집진기(31)와, 모터(33)와, 배기날개(34)와, 제어기(41)와, 오존발생기(51)와, 오존관(52)과, 음이온발생기(61)와, 음이온방출선(62)과, 향방출기(81)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꽃바구니 또는 꽃꽂이용기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일측면과 이 일측면에 연접하는 다른 일측면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토출관(13)은 상기 하우징(10)의 상단 중앙부가 개구되고, 이 개구부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로 수직을 이루고 뻗어 형성된 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조(93)는 상기 토출관(13)이 접하는 하우징(10)의 상단에 그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토출관(13)이 그 중앙부로 관통되도록 링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 상기 수조(93)는 그 상단면이 개방되어 형성되어 외부온도의 변화 및 공기의 유통에 의해 수용된 물이 증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집진기(31)는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면 개구부에 장착되도록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전원이 인가되어 정전기가 발생되는 금속판에 공기중의 이물질을 부착시켜 정화하는 금속판과 미세한 이물질을 거르는 부직포 및 항균필터가 상호 접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모터(33)는 상기 토출관(13)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의 인가에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기날개(34)는 상기 모터(33)의 하단으로 돌출된 모터(33)축에 체결되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를 상기 토출관(13)의 방향으로 송풍시키도록 소정각도 경사를 이룬 날개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제어기(41)는 상기 외부전원에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되는 각 부품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전원의 인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10)의 다른 일측면에 개방된 개구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 상기 제어기(41)는 상기 제어기(41)로 인가되는 전원 및 각 구성품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단속하도록 그 외부에 버튼 및 다이얼로 구성된 조작부(42)를 형성하고, 이 조작부(42)는 상기 개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존발생기(51)는 상기 제어기(41)와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하우징(10)의 다른 일측면에 개방된 개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41)의 전원인가에 따라 오존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존관(52)은 상기 오존발생기(51)에서 상기 토출관(13)의 끝단에 이르도록 상기 토출관(13)의 내벽을 따라 연결되며 상기 오존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원형의 관으로 형성된다.
상기 음이온발생기(61)는 상기 제어기(41)의 전원제어에 의해 음이온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10)의 다른 일측 개구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음이온방출선(62)은 상기 음이온발생기(61)에서 상기 토출관(13)의 선단에 이르도록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면과 상기 토출관(13)의 내벽면을 따라 설치된다.
상기 향방출기(81)는 상기 하우징(10)의 다른 일측면에 개구된 개구의 내부에 설치되며 직사각형 박스의 내부에 향수를 수용하고, 이 향수에서 발생되는 향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의 개구를 형성하도록 된다.
또, 상기 향방출기(81)는 상기 하우징(10)의 중앙부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집진기(31)에서 정화된 공기가 하우징(10)의 내부로 유통되면서 상기 향방출기(81)에서 방출되는 향기를 포함하여 상기 토출구로 이동되도록 한다.
또, 상기 수조(93)의 상단면 또는 상기 수조(93)가 제거된 하우징(10)의 상단면에 꽃의 줄기를 꽂아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바늘이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생화지지판(94)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어기(41)와 오존발생기(51) 및 음이온발생기(61)가 설치된 하우징(10)의 다른 일측면 개구는 상기 개구의 형상과 동일한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룬 판으로 덮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부(42) 조작에 따라 상기 제어기(41)에 연결된 외부전원이 상기 각 구성품으로 인가되고, 모터(33)로의 전원인가에 따라 상기 모터(33)가 회전되고, 이 모터(33)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모터(33)축에 체결된 배기날개(34)가 회전되며, 이 배기날개(34)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배기날개(34)의 하단에 위치된 공기가 상기 배기날개(34)의 상부 토출관(13)으로 이동되고, 상기 배기날개(34)의 하단 공기가 토출관(13)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기가 배출되면서 상기 하우징(10) 내의 대기압이 외부의 대기압보다 상대적으로 저하되면서 상기 하우징(10)의 공기가 상기 집진기(31)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집진기(31)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집진기(31)에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정전기를 발생하는 금속판을 통과하면서 상기 공기에 수용된 이물질이 상기 금속판에 흡착되어 제거되고, 상기 금속판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상기 금속판의 이면에 부착된 부직포를 통과하면서 상기 부직포의 각 틈새보다 크기가 큰 이물질이 걸러지고, 상기 부직포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가 이동되면서 상기 부직포의 이면에 부착된 항균필터에서 미생물 등이 제거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유통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이동된 공기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 향방출기(81)에서 방출되는 향기를 수용하면서 상기 배기날개(34)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배기날개(34)의 방향으로 이동된 공기는 상기 배기날개(34)의 송풍력에 의해 상기 배기날개(34)의 상부 토출관(13)으로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화분에 수용된 관상용 식물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정화장치를 관상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됨에 따라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공기정화기능은 물론, 습도조절과, 음이온 및 오존의 방출과, 살균 및 방충효과를 모두 구현할 수 있도록 되어 그 활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는, 관리 및 유지가 용이함은 물론, 지하공간이나, 공장 및 흡연실 등의 식물이 성장할 수 없는 환경을 갖춘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되어 그 활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 화분형상으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면을 덮어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된 덮개와, 상기 덮개의 중앙부에서 상기 몸체에 수직을 이루고 상방으로 뻗어 형성된 토출관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단에 안착됨과 더불어 물통의 물을 안개로 분사시켜 공기정화수단에서 정화된 공기와 함께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습기로 구성된 가습수단;상기 가습수단의 상단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흡기구를 통해 흡기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전원의 인가에 따라 정전기를 발생하는 금속판과 미세한 이물질을 거르는 부직포와 미생물을 제거하는 항균필터로 이루어진 집진기와, 상기 집진기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상기 토출관으로 이동시켜 배출시키도록 상기 토출관의 하단에 설치된 배기날개와, 이 배기날개를 회전시키도록 배기날개와 모터축을 매개로 체결된 모터로 구성된 공기정화수단;상기 가습수단 및 공기정화수단에 인가되는 외부전원을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공기정화수단과 상기 덮개의 사이에 설치된 제어기와,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상기 몸체의 외부로 표출됨과 더불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어기에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조작부로 이루어진 제어수단;상기 제어수단의 측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제어수단의 전원제어에 따라오존을 발생시켜 외부로 방출시키는 오존발생기로 이루어진 오존발생수단;상기 제어수단의 측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제어수단의 전원제어에 따라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기로 이루어진 음이온방출수단;상기 제어수단의 측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제어수단의 전원제어에 따라 초음파를 발진시키는 초음파발진기로 이루어진 초음파발진수단;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통되는 공기에 향기를 포함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공기유통로에 설치된 향방출기로 이루어진 향방출수단; 및상기 토출관을 감싸도록 끼워지면서 식물의 외형과 동일한 외형을 이룬 관형상을 이루면서 다수의 개구가 형성된 줄기와, 상기 줄기와 연통되면서 상기 줄기의 생성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줄기의 다수지점에서 뻗어 형성되면서 다수의 개구가 형성된 가지와, 상기 가지와 연통되면서 가지의 다수지점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면서 다수의 개구가 형성된 잎과 꽃으로 구성된 인조식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정화작용을 수행하는 정화장치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가습기는 상기 제어기의 전원제어에 의해 제어됨과 더불어, 상기 가습기의 일측에 설치된 가습제어기에서 감지한 하우징의 외부 습도에 의해 전원의 인가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정화작용을 수행하는 정화장치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가습기의 안개 분출구 상부에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안개를 상기 배기날개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모터에서 가습기의 분출구에 이루도록 다수의 날개를 구비한 봉형상의 가습날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정화작용을 수행하는 정화장치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가습수단은 상기 가습기의 분출구에서 분출되는 안개가 상기 배기날개로 이동되면서 타 부품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배기날개의 하단에서 상기 가습기의 상단 분출구에 이르도록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격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정화작용을 수행하는 정화장치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오존발생수단은 생성된 오존과 상기 정화된 공기 및 안개가 상호 접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오존발생기에서 상기 토출관을 따라 상기 인조식물의 줄기 또는 가지에 형성된 개구에 이루도록 연결된 오존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정화작용을 수행하는 정화장치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음이온방출수단은 발생된 음이온이 바로 하우징 및 인조식물의 외부로 방출되도록 상기 음이온발생기에서 상기 토출관의 내벽면을 따라 상기 인조식물의줄기 및 가지의 선단에 형성된 개구로 뻗어 연결된 음이온방출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정화작용을 수행하는 정화장치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과 가습수단 및 공기정화수단에 산화금속화합물로 이루어진 원적외선 세라믹 방사물질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정화작용을 수행하는 정화장치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토출관의 내부에 상기 가습기에서 가습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가습기에 연결된 가습관과, 이물질이 제거됨과 더불어 음이온이 함유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집진기 및 음이온발생기에 연결된 배기관이 동시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정화작용을 수행하는 정화장치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덮개의 상단에 유통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함과 더불어 살균작용을 하는 활성탄과, 그 상단이 개방되면서 내부에 수용된 물을 증발시키도록 된 수조와, 생화가지를 꽂아놓을 수 있는 생화지지판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정화작용을 수행하는 정화장치구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01/001477 WO2003001119A1 (en) | 2001-06-22 | 2001-08-31 | A binding structure of a purifier accomplishing a plant purification |
AU2001282658A AU2001282658A1 (en) | 2001-06-22 | 2001-08-31 | A binding structure of a purifier accomplishing a plant purific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8742 | 2001-06-22 | ||
KR20010018742 | 2001-06-2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54148Y1 true KR200254148Y1 (ko) | 2001-11-23 |
Family
ID=73068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25977U KR200254148Y1 (ko) | 2001-06-22 | 2001-08-27 | 식물의 정화작용을 수행하는 정화장치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54148Y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3790A (ko) * | 2001-12-18 | 2002-03-29 | 경보영 | 분경및 장식암용 운무발생기와 운무전광의연출방법.(盆景및 裝飾岩用 雲霧發生機와 雲霧電光의演出方法) |
KR20030020743A (ko) * | 2001-09-04 | 2003-03-10 | 유재인 | 음이온 장치가 내장된 화분 |
KR20190016381A (ko) | 2017-08-08 | 2019-02-18 | 임영민 | 공기 정화장치 |
KR102235898B1 (ko) | 2021-03-13 | 2021-04-05 | 남영숙 | 분홍.붉은색계열 절화 수국에 제공되는 물의 pH를 조절하는 전기분해 방법 |
KR102235882B1 (ko) | 2020-12-31 | 2021-04-05 | 남영숙 | 절화 수국에 제공되는 물의 pH를 조절하는 전기분해 방법 |
KR102241536B1 (ko) | 2021-03-09 | 2021-04-16 | 남영숙 | 분리막을 구비한 화병의 살균장치 |
KR102241574B1 (ko) | 2020-12-31 | 2021-04-19 | 남영숙 | 꽃꽂이에 제공되는 물의 전기분해를 위한 전극구조 장치를 구비한 화병 |
KR102241577B1 (ko) | 2021-03-09 | 2021-04-19 | 남영숙 | 전해질로서 염화나트륨을 이용한 화병의 물 전기분해 장치 |
-
2001
- 2001-08-27 KR KR2020010025977U patent/KR20025414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20743A (ko) * | 2001-09-04 | 2003-03-10 | 유재인 | 음이온 장치가 내장된 화분 |
KR20020023790A (ko) * | 2001-12-18 | 2002-03-29 | 경보영 | 분경및 장식암용 운무발생기와 운무전광의연출방법.(盆景및 裝飾岩用 雲霧發生機와 雲霧電光의演出方法) |
KR20190016381A (ko) | 2017-08-08 | 2019-02-18 | 임영민 | 공기 정화장치 |
KR102235882B1 (ko) | 2020-12-31 | 2021-04-05 | 남영숙 | 절화 수국에 제공되는 물의 pH를 조절하는 전기분해 방법 |
KR102241574B1 (ko) | 2020-12-31 | 2021-04-19 | 남영숙 | 꽃꽂이에 제공되는 물의 전기분해를 위한 전극구조 장치를 구비한 화병 |
KR102241536B1 (ko) | 2021-03-09 | 2021-04-16 | 남영숙 | 분리막을 구비한 화병의 살균장치 |
KR102241577B1 (ko) | 2021-03-09 | 2021-04-19 | 남영숙 | 전해질로서 염화나트륨을 이용한 화병의 물 전기분해 장치 |
KR102235898B1 (ko) | 2021-03-13 | 2021-04-05 | 남영숙 | 분홍.붉은색계열 절화 수국에 제공되는 물의 pH를 조절하는 전기분해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1786B1 (ko) | 방향제 분산 장치 | |
KR200254148Y1 (ko) | 식물의 정화작용을 수행하는 정화장치구조 | |
JP5868474B1 (ja) | 噴霧装置および噴霧システム | |
JP3201852U (ja) | 植物酸素バー装置 | |
KR101855344B1 (ko) | 실내공기정화 기능을 겸한 식물 무관수 재배 시스템 | |
KR101994202B1 (ko) |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 | |
KR100937105B1 (ko) | 화분 일체형 공기청정기 | |
WO2003001119A1 (en) | A binding structure of a purifier accomplishing a plant purification | |
KR101478428B1 (ko) | 초음파 가습기 | |
JP3204378U (ja) | 超音波噴霧システム | |
CN111494685A (zh) | 超氧雾化消毒机 | |
JPH03296410A (ja) | 空気浄化装置 | |
KR100544028B1 (ko) | 공기정화 및 방향용 조화화분 | |
KR200154926Y1 (ko) | 장식기능이 개선된 공기정화기 | |
KR200262629Y1 (ko) | 입체화된 식물형상을 지닌 액자에 정화작용을 수행하는정화장치구조 | |
CN106235816A (zh) | 一种无菌雾化花瓶 | |
KR101277757B1 (ko) | 청정산소가습기 | |
JPH06142170A (ja) | 水酸基イオンガスを用いた室内空気清浄器 | |
KR20190051577A (ko) | 공기청정기 | |
JPH08224433A (ja) | 脱臭装置 | |
JP2012075487A (ja) | 除菌装置及びこの除菌装置を備えた調湿装置 | |
JPS63294862A (ja) | フイトンチツド発生装置 | |
CN212854154U (zh) | 超氧雾化消毒机 | |
JPH0745168Y2 (ja) | 観葉、脱臭植物鉢 | |
KR20070073554A (ko) | 수중식물재배 공기청정가습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