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538Y1 - 강박스 거더 교량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 구조 - Google Patents

강박스 거더 교량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538Y1
KR200253538Y1 KR2020010022303U KR20010022303U KR200253538Y1 KR 200253538 Y1 KR200253538 Y1 KR 200253538Y1 KR 2020010022303 U KR2020010022303 U KR 2020010022303U KR 20010022303 U KR20010022303 U KR 20010022303U KR 200253538 Y1 KR200253538 Y1 KR 2002535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box
bridge
bearing
box girder
faste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도묵
Original Assignee
(주)경동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동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경동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010022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5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5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538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박스 거더 교량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마다 발생되는 교량의 낙교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슬립형 베어링을 강박스 거더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설치하므로 유사시 낙교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교량의 신축량에 영향을 주지않으며, 특히 교량의 받침으로 사용되는 강박스가 비틀리는 일이 없고 노후된 교량에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고안된 강박스 거터 교량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강박스 거더 교량에 있어서, 상기의 강박스 거더 1과 강박스 거더 2에는 그 틈새에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의 강박스 거더 1의 상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강박스 거더 2의 상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에는 그 틈새에 교량 이음새가 설치되고, 상기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는 체결 플레이트 1과 체결 플레이트 2가 체결볼트에 의해 강박스 거더 1,2에 결합되고 상기의 체결 플레이트 1과 용접된 횡거형 브라켓의 앵커볼트홀과 체결 플레이트 2와 용접된 베어링 브라켓의 베어링 홀에는 베어링 볼트가 체결되어 체결 플레이트 1과 체결 플레이트 2를 결합시키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박스 거더 교량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강박스 거더 교량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 구조{BEARING ANCHOR STRUCTURE TO PREVENT A FALLING BRIDGE OF A STEEL BOX GIRDER BRIDGE}
본 고안은, 강박스 거더 교량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마다 발생되는 교량의 낙교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슬립형 베어링을 강박스 거더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설치하므로 유사시 낙교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교량의 신축량에 영향을 주지않으며, 특히 교량의 받침으로 사용되는 강박스가 비틀리는 일이 없고 노후된 교량에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고안된 강박스 거터 교량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박스 거더는 교각의 직상부 일측에 슈로 지지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의 강박스 거더에는 그 직상부에 콘크리트 슬래브가 설치된다.
특히, 상기의 강박스 거더를 이용하여 건설된 교량중 2000년 9월 부산시 남구 대연동에서는 강박스 거더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되었고, 또한 상기의 강박스 거더를 이용한 충북 제천시의 교량도 2001년 6월 15일자로 낙교 사고가 발생되어 교량 상판이 하부로 추락하는 사고도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강박스 거더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교량(20)은 교각(22)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연결이 되도록 강박스 거더(24)가 안착되는데, 이때 상기의 교각(22)과 강박스 거더(24)에는 그 사이에 슈(26)가 설치되고 상기의 강박스 거더(24)에는 직상부에 콘크리트 슬래브(28)가 설치된다.
상술한 종래의 일반적인 강박스 거더에는 낙교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장치가설치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고, 특히 낙교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거나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대형의 참사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교량의 낙교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슬립형 베어링을 강박스 거더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설치하므로 유사시 낙교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교량의 신축량에 영향을 주지않으며, 특히 교량의 받침으로 사용되는 강박스가 비틀리는 일이 없고 노후된 교량에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고안된 강박스 거터 교량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강박스 거더 교량에 있어서, 상기의 강박스 거더 1과 강박스 거더 2에는 그 틈새에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의 강박스 거더 1의 상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강박스 거더 2의 상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에는 그 틈새에 교량 이음새가 설치되고, 상기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는 체결 플레이트 1과 체결 플레이트 2가 체결볼트에 의해 강박스 거더 1,2에 결합되고 상기의 체결 플레이트 1과 용접된 횡거형 브라켓의 앵커볼트홀과 체결 플레이트 2와 용접된 베어링 브라켓의 베어링 홀에는 베어링 볼트가 체결되어 체결 플레이트 1과 체결 플레이트 2를 결합시키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박스 거더 교량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강박스 거더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강박스 거더에 길이방향으로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50 : 강박스 거더1 52 : 강박스 거더2
54 :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 56 : 콘크리트 슬래브1
58 : 콘크리트 슬래브2 60 : 교량 이음새
62 : 체결 플레이트1 64 : 체결 플레이트2
66 : 체결볼트 68 : 횡거형 브라켓
70 : 베어링 브라켓 72 : 베어링 볼트
74 : 체결볼트홀 76 : 격자형 연결부
78 : 앵커볼트홀 80 : 다른 격자형 연결부
82 : 베어링 홀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강박스 거더에 길이방향으로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강박스 거더 1(50)과 강박스 거더 2(52)에는 그 틈새에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54)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의 강박스 거더 1(50)의 상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슬래브(56)와 강박스 거더 2(52)의 상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슬래브(58)에는 그 틈새에 교량 이음새(60)가 설치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의 사시도로서, 상기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54)는 체결 플레이트 1(62)과 체결 플레이트 2(64)가 체결볼트(66)에 의해 강박스 거더 1,2에 결합되고 상기의 체결 플레이트 1(62)의 횡거형 브라켓(68)과 체결 플레이트 2(64)의 베어링 브라켓(70)에는 베어링 볼트(72)가 체결되어 체결 플레이트 1(62)과 체결 플레이트 2(64)를 고정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의 분해사시로서, 상기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54)는, 2개의 체결 플레이트(62)(64), 횡거형 브라켓(68), 베어링 브라켓(70) 및 베어링 볼트(72)로 구성된다.
상기의 체결 플레이트 1,2(62)(64)에는 다수개의 체결볼트홀(74)이 형성되고, 상기의 체결볼트홀(74)에는 체결볼트(66)가 결합되어 그 체결 플레이트 1,2(62)(64)를 강박스 거더 1,2에 결합하게 된다.
상기의 체결 플레이트 1(62)에는 중앙에 횡거형 브라켓(68)이 용접되고 상기의 횡거형 브라켓(68)에는 수평하게 돌출되는 다수개의 격자형 연결부(76)가 형성되며, 상기의 격자형 연결부(76)에는 원형의 앵커볼트홀(7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의 체결 플레이트 2(64)에는 중앙에 베어링 브라켓(70)이 용접되고 상기의 베어링 브라켓(70)에는 수평하게 돌출되는 다수개의 다른 격자형 연결부(80)가 형성되며, 상기의 다른 격자형 연결부(80)에는 긴 슬릿홀의 베어링 홀(82)이 형성된다.
상기의 횡거형 브라켓(68)의 앵커볼트홀(78)과 상기의 베어링 브라켓(70)의 베어링 홀(82)에는 다단으로 형성되는 베어링 볼트(72)가 결합되어 일체 구조가 형성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강박스 거더 교량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 구조는, 해마다 발생되는 교량의 낙교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슬립형 베어링을 강박스 거더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설치하므로 유사시 낙교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교량의 신축량에 영향을 주는 일이 전혀 없으며, 특히 교량의 받침으로 사용되는 강박스가 비틀리는 일이 없고 노후된 교량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교량의 낙교를 최대한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강박스 거더 교량에 있어서, 상기의 강박스 거더 1(50)과 강박스 거더 2(52)에는 그 틈새에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54)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의 강박스 거더 1(50)의 상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슬래브(56)와 강박스 거더 2(52)의 상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슬래브(58)에는 그 틈새에 교량 이음새(60)가 설치되고, 상기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54)는 체결 플레이트 1(62)과 체결 플레이트 2(64)가 체결볼트(66)에 의해 강박스 거더 1,2(50)(52)에 결합되고 상기의 체결 플레이트 1(62)과 용접된 횡거형 브라켓(68)의 앵커볼트홀(78)과 체결 플레이트 2(64)와 용접된 베어링 브라켓(70)의 베어링 홀(82)에는 베어링 볼트(72)가 체결되어 체결 플레이트 1(62)과 체결 플레이트 2(64)를 결합시키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박스 거더 교량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 구조.
KR2020010022303U 2001-07-24 2001-07-24 강박스 거더 교량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 구조 KR2002535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303U KR200253538Y1 (ko) 2001-07-24 2001-07-24 강박스 거더 교량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303U KR200253538Y1 (ko) 2001-07-24 2001-07-24 강박스 거더 교량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538Y1 true KR200253538Y1 (ko) 2001-12-01

Family

ID=73105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303U KR200253538Y1 (ko) 2001-07-24 2001-07-24 강박스 거더 교량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5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926B1 (ko) * 2023-12-06 2024-02-29 주식회사 태정엔지니어링 분절형 강박스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의 상부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926B1 (ko) * 2023-12-06 2024-02-29 주식회사 태정엔지니어링 분절형 강박스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의 상부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0422B2 (ja) 既設支承装置の支承交換工法および支承装置
US5881514A (en) Rod tie system for enhancing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walls and roof framing systems of tilt-up buildings and the like
KR200253538Y1 (ko) 강박스 거더 교량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 구조
KR100492335B1 (ko) 교량하부구조물 내진보강방법 및 그 장치
KR100381724B1 (ko) 교각 점검대
KR100492336B1 (ko) 교량하부구조물 내진보강방법 및 그 장치
KR102490192B1 (ko) 변위수용형 강가로보를 갖는 교량 상부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시공 방법
JP2909066B1 (ja) 既設橋梁用支承装置の補修工法
KR200388963Y1 (ko) 교량 점검용 자켓
KR100903442B1 (ko) 안전 난간의 지지 구조물
JP4388881B2 (ja) 橋脚の上縁拡幅構造
JP2004092331A (ja) 主桁と橋脚の接合構造
KR200247446Y1 (ko) 교량 낙하 방지장치
KR100466961B1 (ko) 회전 수평조절용 솔 플레이트
KR200375145Y1 (ko) 내진형 교량점검로용 난간
KR200252609Y1 (ko) 이탈방지틀이 보강된 교량 상판의 고무탄성받침 지지구조
KR100588447B1 (ko) 교량의 교각과 거더의 일체화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235891Y1 (ko) 강재 플레이트 거더 교량 상판 낙교방지 장치
KR200234678Y1 (ko) 연속교 형식 교량의 상부구조의 낙교 방지장치
KR200285281Y1 (ko)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KR20090066561A (ko) Psc 빔의 전도 방지장치
KR200358297Y1 (ko) 교량의 낙교방지시설
JP7360771B2 (ja) 支柱構造
KR20240079930A (ko) 신축이음장치
KR100517802B1 (ko) 철도교량의 교량상판 이음부 낙교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