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496Y1 - 전자감응센서의 와이어 융접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감응센서의 와이어 융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496Y1
KR200253496Y1 KR2020010024667U KR20010024667U KR200253496Y1 KR 200253496 Y1 KR200253496 Y1 KR 200253496Y1 KR 2020010024667 U KR2020010024667 U KR 2020010024667U KR 20010024667 U KR20010024667 U KR 20010024667U KR 200253496 Y1 KR200253496 Y1 KR 2002534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ensitive sensor
cylinder
cutting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남
Original Assignee
김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2020010024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4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4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496Y1/ko

Links

Landscapes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감응센서의 와이어 융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와이어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여 양질의 전자감응센서테입을 다량으로 자동제조하여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는 전자감응센서 와이어 융접장치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와이어(w)를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와이어(w)에 균일한 장력을 유지하는 장력조정수단과, 와이어(w)를 일정한 길이만큼 진입시키는 진입수단(30)과, 와이어(w)를 적정회수만큼 권치하여 성형하며 +전원이 접속된 성형원판(41)(42)이 구비된 성형수단(40)과, 권치된 와이어(w)에 -전원을 인가하여 와이어(w)의 외피를 열융접하는 융접수단(50)과, 융접된 와이어(w)의 일단을 절단하는 절단수단(60)을 구비한 통상의 전자감응센서 와이어 융접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융접수단(50)은 상기한 절단수단(60)과 성형수단(40) 사이에 개재되며 와이어(w)의 외피를 피복시키는 Λ형상의 노치(51)를 가지며 실린더(52)의 로드(53)에 장착되어 상하운동을 하는 피복편(54)이 마련된 피복부재(55)와, -전원이 접속되며 실린더(56)의 로드(57)에 부착되어 전후진 운동을 하는 접촉편(58)이 마련된 전원인가부재(59)로 이루지는 전자감응센서의 와이어 융접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감응센서의 와이어 융접장치{wire fusion welding apparatus of electronic sensor}
본 고안은 전자감응센서의 와이어 융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의 도난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도난방지 태그에 장착되어 별도의 발신장치를 통과하는 동안 발생신호에 변화를 일으켜 일정 주파수를 송신측에서 송신케 함으로써 도난경보기 등을 작동시키게 하는 전자감응센서의 테입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와이어를 접착하는 방법을 개선한 전자감응센서의 와이어 융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전자감응센서는 도난 방지 경보기뿐만 아니라 기타 출입을 제한하거나 규제할 지역의 입출입, 또는 정보 기관의 보안설비로서 무인 통제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자 감응 센서(100)는 도5에서 표현 된 바와 같이 피복된 와이어(120)가 균일하게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감긴 테입(110)은 접착되어 있으며 테입의 와이어 양단에는 캐패시터(130)가 접속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전자 감응 센서(100)는 도면에서와 같이 도난방지용 태그(140)의 내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며, 태그(140)는 각종 상품에 부착되어 상품의 도난을 방지하는 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전자감응센서테입은 종래에는 제작시 수동적인 방법에 의해 일일이 감아 와이어를 권취한 다음 접착제를 사용하여 와이어를 접착시켜 제작을 하였다.
이와 같은 전자 감응 센서(100)는 도5에서 표현 된 바와 같이 피복된 와이어(120)가 균일하게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감긴 테입(110)은 접착되어 있으며 테입의 와이어 양단에는 캐패시터(130)가 접속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전자 감응 센서(100)는 도면에서와 같이 도난방지용 태그(140)의 내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며, 태그(140)는 각종 상품에 부착되어 상품의 도난을 방지하는 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전자감응센서테입은 종래에는 제작시 수동적인 방법에 의해 일일이 감아 와이어를 권취한 다음 접착제를 사용하여 와이어를 접착시켜 제작을 하였지만 최근의 많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동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 제조장치는 와이어가 감긴 보빈에서 와이어를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에서 공급된 와이어가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맞물림에 의해 균일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장력조정수단과, 상기 장력조정수단에서 유입되는 와이어를 진입롤로 잡아 일정한 길이만큼 진입시키도록 실린더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따라 병진운동하는 진입부재를 갖는 진입수단과, 진입된 와이어를 적정회수만큼 권취하여 성형하는 성형원판이 구비된 성형수단과, 상기 성형원판에 권취된 와이어에 전류를 인가하여 와이어의 외피를 열융접하는 융접수단과, 융접된 와이어의 일단을 절단하는 커터를 구비한 절단수단과, 와이어의 외피를 피복시키는 Λ형상의노치를 가지며 상하운동을 하는 피복편이 마련된 피복수단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자감응센서의 와이어 융접장치는 성형수단에 위해 권취된 와이어의 종단에 +전원을 인가하고, 와이어의 일부위에 -전원을 인가하여 인가된 전류가 도선에 흐를 때 발생하는 저항열에 의해 외피들이 서로 융접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융접수단은 와이어의 종단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은 무리가 없으나 실린더를 이용하여 -전원이 접지된 접지편을 와이어쪽으로 근접진행하여 강제로 외피의 일부위를 파손시켜 파손된 외피의 도선에 -전원을 인가하므로 종종 접지편이 와이어 쪽으로 근접되지 않아 외피가 파손되지 않고 이로 인해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접지편이 과도하게 와이어쪽으로 근접진행되면 와이어의 외피가 파손되지 않고 도선만을 파손시켜 와이어의 도선이 단선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제품의 불량 원인이 되며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성형수단에서 권취된 와이어에 와이어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여 양질의 전자감응센서테입을 다량으로 자동 제조하여 전자감응센서테입 제조의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는 전자감응센서의 와이어 융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적용된 제조장치를 보인 사시예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의 피복부재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동 주요작동부를 보인 작동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해 제작된 전자감응센서테입을 이용한 전자감응센서를 보인 분리사시예시도
*도면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진입수단 40 : 성형수단
50 : 융접수단 60 : 절단수단
70 : 정렬수단 100 : 전자감응센서
51 : 노치 52 : 실린더
53 : 로드 54 : 피복편
55 : 피복부재 56 : 실린더
57 : 로드 58 : 접촉편
59 : 전원인가부재 C : 콘트롤박스
P : 전원부 w : 와이어 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자감응센서의 와이어 융접장치는와이어를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와이어에 균일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장력조정수단과, 상기 장력조정수단에서 유입되는 와이어를 협지하여 일정한 길이만큼 진입시키는 진입수단과, 진입된 와이어를 적정회수만큼 권취하여 성형하며 +전원이 인가된 성형수단과, 상기 권취된 와이어에 전류를 인가하여 열융접하는 융접수단과, 융접된 와이어의 일단을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포함하는 전자감응센서의 와이어 융접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융접수단은 상기한 절단수단과 성형수단 사이에 개재되며 와이어의 외피를 피복시키는 Λ형상의 노치를 가지며 실린더의 로드에 장착되어 상하운동을 하는 피복편이 마련된 피복부재와, -전원이 접속되며 실린더의 로드에 부착되어 전후진 운동을 하는 접촉편이 마련된 전원인가부재를 구비한 것을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전자감응센서의 와이어 융접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내지 도 4는 본 실시예가 적용된 제조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예의 전자감응센서의 와이어 융접장치의 융접수단은 와이어(w)가 감긴 보빈이 마련되어 와이어(w)를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에서 공급된 와이어(w)에 균일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장력조정수단과, 상기 장력조정수단에서 유입되는 와이어(w)를 잡아 일정한 길이만큼 진입시키도록 실린더(31)에 의해 가이드레일(32)을 따라 병진운동하는 진입체(33)를 갖는 진입수단(30)과, 진입된 와이어(w)를 적정회수만큼 권취하여 성형하며 +전원이 접속된 성형원판(41)(42)이구비된 성형수단(40)과, 상기 성형원판(41)(42)에 권취된 와이어(w)에 전류를 인가하여 와이어(w)의 외피를 열융접하는 융접수단(50)과, 융접된 와이어(w)의 일단을 절단하는 커터(61)가 실린더(62)의 로드(63)에 부설된 절단수단(60)을 구비하는 전자감응센서의 와이어 융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융접수단(50)은 상기 절단수단(60)과 성형수단(40) 사이에 개재되며 와이어(w)의 외피를 피복시키는 Λ형상의 노치(51)를 가지며 실린더(52)의 로드(53)에 장착되어 상하운동을 하는 피복편(54)이 마련된 피복부재(55)와, -전원이 접속되며 실린더(56)의 로드(57)에 부착되어 전후진 운동을 하는 접촉편(58)이 마련된 전원인가부재(59)로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 부호 C는 콘트롤박스이고 P는 전원부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전자감응센서의 와이어 융접장치를 이용하여 전자감응센서테입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급수단에 와이어(w)가 감긴 롤을 거치시키고 와이어(w)의 일단을 풀어 장력조정수단에 개재시키고 와이어(w)의 장력을 조절한다.
그리고, 장력이 조절된 와이어(w)를 정렬수단(70)의 상하정렬부재(72)와 좌우정렬부재(74)의 롤러(71)(73)들 사이에 개재한 후 진입수단(30)의 진입체(33)에 마련된 롤(34) 사이에 개재되도록 한 다음 진입관(36)의 관내를 통과하도록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w)의 설치가 마쳐지면 진입수단(30)의 실린더(31)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진입체(33)가 와이어(w)를 잡은체로 성형수단(40) 방향으로 잡아밀어주게 되어 와이어(w)는 성형수단(40)의 제1,2성형원판(41)(42) 사이에 개재된다.
이와 같이 성형수단(40)에 와이어(w)가 진입을 하면 제2성형원판(42)이 실린더(46)의 구동으로 제1성형원판(41) 쪽으로 근접하여 와이어(w)를 제1성형원판(41)과 함께 잡아주게 된다.
그리고 진입수단(30)의 진입체(33)는 실린더(31)에 의해 원위치상태로 된다.
이때 제1성형원판(41)의 중앙에 형성된 돌턱(45)에 의해 와이어(w) 일단의 외피가 압착되어 피복이 되어 제2성형원판(42)에 접속된 +전원을 인가 받게 된다.
이와 같이 제1,2성형원판(41)(42)에 와이어(w)가 물리며 제1성형원판(41)과 축(44)결합된 모터(43)가 구동을 하고 모터(43)의 구동에 의해 제1성형원판(41)이 회전을 하며 이에 따라 제2성형원판(42)도 회전을 하고 제1,2성형원판(41)(42) 사이에 개재되어 물려져 있는 와이어(w)가 권취된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w)가 일정한 크기로 권치가 되면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부재(55)의 실린더(52)가 구동을 하여 피복편(54)이 하강을 하게 되며 외이어(w)는 제1,2성형원판(41)(42)에 맞물리어 권취되면서 피복편(54)의 노치(51)의 상단에 끼게되고 와이어(w)는 이동을 하고 있어 노치(51)에 걸치는 와이어(w)의 외피는 피복이 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w)의 일정한 부분이 일정길이만큼 피복되면 모터(43)는 구동을 멈추게 되고 제1,2성형원판(41)(42)은 회전을 멈추게 되어 와이어(w)가 더 이상 이동되지 않으면 전원인가부재(59)의 실린더(56)가 구동되어 접촉편(58)이 와이어(w)의 피복된 부위로 근접하여 접선되고 접촉편(58)에 -전류가 인가된다.
상기와 같이 접촉편(81)에 -전류가 인가되면 와이어(w)를 통하여 +전원이 인가된 제2성형원판(42)으로 전류가 통하게 되는데 이때 와이어(w)는 도선이 열을 발하게 되어 외피에 열을 주게 되고 열을 받은 외피는 융접되게 된다.
이와 같이 외피가 서로 융접되면 절단수단(60)의 실린더(62)가 커터(61)를 외이어(w) 쪽으로 근접시키고 와이어(w)를 절단하게 되어 전자감응센서테입(110)은 제작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w)가 절단이 되면 제2성형원판(42)을 고정한 실린더(46)의 로드(47)가 후퇴하고 제작이 완료된 전자감응센서테입(110)은 자유 낙하하여 도시되지 않은 수거통에 수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자감응센서테입(110)이 수거되면 진입수단(30)의 실린더(31)를 구동하여 진입체(33)가 와이어(w)를 잡은 상태에서 제1,2성형원판(41)(42)으로 진입을 시키고 상기와 같이 순차적인 작동에 의해 또 다른 전자감응센서테입(110)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은 순차적인 구동의 반복으로 전자감응센서테입을 반복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자감응센서의 와이어 융접장치는 성형수단에서 ㄴ취도 와이어에 와이어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여 양질의 전자감응센서테입을 다량으로 자동제조하여 전자감응센서테입 제조의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와이어를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와이어에 균일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장력조정수단과, 상기 장력조정수단에서 유입되는 와이어를 협지하여 일정한 길이만큼 진입시키는 진입수단과, 진입된 와이어를 적정회수만큼 권취하여 성형하며 +전원이 인가된 성형수단과, 상기 권취된 와이어에 전류를 인가하여 열융접하는 융접수단과, 융접된 와이어의 일단을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포함하는 전자감응센서의 와이어 융접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융접수단은 상기한 절단수단과 성형수단 사이에 개재되며 와이어의 외피를 피복시키는 Λ형상의 노치를 가지며 실린더의 로드에 장착되어 상하운동을 하는 피복편이 마련된 피복부재와, -전원이 접속되며 실린더의 로드에 부착되어 전후진 운동을 하는 접촉편이 마련된 전원인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감응센서의 와이어 융접장치.
KR2020010024667U 2001-08-14 2001-08-14 전자감응센서의 와이어 융접장치 KR2002534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667U KR200253496Y1 (ko) 2001-08-14 2001-08-14 전자감응센서의 와이어 융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667U KR200253496Y1 (ko) 2001-08-14 2001-08-14 전자감응센서의 와이어 융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496Y1 true KR200253496Y1 (ko) 2001-11-22

Family

ID=7310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667U KR200253496Y1 (ko) 2001-08-14 2001-08-14 전자감응센서의 와이어 융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4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1208A (en) Method of making a ribbon cable
US6026563A (en) Method of making flat cable
US4302494A (en) Pile weatherstripping
CN111199815B (zh) 用于定位线缆的末端的方法和装置
JP7437138B2 (ja) シールドケーブルを加工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US22047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electric conductor cord
CA2225834C (en) System for continuously manufacturing security tags
KR200253496Y1 (ko) 전자감응센서의 와이어 융접장치
US20090211809A1 (en) Cap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ap
CN112334401B (zh) 带材卷绕装置
KR100387377B1 (ko) 전자감응센서테입 제조장치
US3474370A (en) Strip conductor coil construc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or the like
US20020149479A1 (en) Method and device for electronically protecting items against theft
JP3606751B2 (ja) コイル製造装置およびコイル端子用部材
KR200253497Y1 (ko) 전자감응센서테입의 와이어 진입장치
EP044472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atheter with braided sheath
JP2007109494A (ja) シールド電線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US56647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laminated coil
KR100379894B1 (ko) 광케이블 피복 압출용 외장 형성 장치
JPH07172681A (ja) テープ貼合わせ装置
JP4339173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KR100217432B1 (ko) 적층감기코일형성방법 및 그 장치
JP2949505B2 (ja) スピーカ用ボイスコイル
JPH08243671A (ja) 巻線装置
EP4125101A1 (fr) Système d'enroulement pour gaine pré-filé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