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365Y1 - 제거형 앵커 - Google Patents
제거형 앵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53365Y1 KR200253365Y1 KR2020010024136U KR20010024136U KR200253365Y1 KR 200253365 Y1 KR200253365 Y1 KR 200253365Y1 KR 2020010024136 U KR2020010024136 U KR 2020010024136U KR 20010024136 U KR20010024136 U KR 20010024136U KR 200253365 Y1 KR200253365 Y1 KR 20025336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dge
- elastic spring
- case
- strand
- split head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거형 앵커에 관한 것으로, 분할헤드가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된 웨지를 이용하여 강연선을 고정한 후, 케이스에 설치된 탄성스프링이 외부로 취출되면서 분할헤드로부터 상기 웨지가 이완되면서, 상기 강연선이 상기 웨지로부터 제거되는 제거형 앵커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감기되, 적어도 한 번 이상 감기는 방향이 바뀌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으로, 강연선과의 마찰 및 꼬임 없이 제거 가능한 탄성스프링으로 인하여, 앵커설치 후 강연선의 제거작업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건축 구축물 등의 지하에 설치하는 앵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앵커의 설치 후, 강연선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스프링이 내장된 제거형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는 터파기공사나 기초공사에서 기초가 깊거나 안식각 이상의 급경사로 흙파기를 할 때, 토압에 저항하도록 지중에 매설되는 것으로, 특히 제거형 앵커는 기초공사 완료 후 지중에서 제거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최근에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2001 년 5 월 8 일자로 출원한 특허 출원 제 2001-24969 호의 '제거형 앵커'는, 웨지(5)의 외주에 설치하는 분할헤드(4)와, 분할 헤드(4)의 외주에 설치되는 케이스(2)와, 케이스(2)와 분할헤드(4) 사이의 상부에 설치되는 태엽스프링(6)과, 태엽스프링(6)의 상부에 설치하는 플레이트(8)와, 플레이트(8)의 하부와 웨지(5)의 상면 사이에 설치하는 스토퍼(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웨지(5)를 이용하여 강연선(11)을 고정한 후, 태엽스프링(6)의 일단이 플레이트(8)의 통공(9)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 되면서, 분할헤드(4)로부터 웨지(5)가 이완되면서 강연선(11)이 웨지(5)로부터 제거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본 출원인에 의한 제거형 앵커에 관한 발명을 더욱 편리하게 개선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제거형 앵커의 요부 구성도,
도 2 는 도 1 의 탄성스프링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 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스프링을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4 는 강연선과 탄성스프링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평면도.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웨지의 외주면과 맞물리게 설치되도록 내측테이퍼가 형성된 분할헤드와, 상기 분할헤드의 외주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상기 분할헤드 사이의 상부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의 상부에 설치되고 통공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와 상기 웨지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상기 웨지를 이용하여 강연선을 고정한 후, 상기 탄성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통공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 되면서 상기 분할헤드로부터 상기 웨지가 이완되면서, 상기 강연선이 상기 웨지로부터 제거되는 제거형 앵커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감기되, 적어도 한 번 이상 감기는 방향이 바뀌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특징 및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제거형 앵커의 요부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거형 앵커는 웨지(5)의 외주면과 맞물리게 설치되도록 내측테이퍼가 형성된 분할헤드(4)와, 분할헤드(4)의 외주에 설치되는 케이스(2)와, 케이스(2)와 분할헤드(4) 사이의 상부에 설치되는 2개의 탄성스프링(16, 16')과, 2개의 탄성스프링(16, 16')의 상부에 설치되고 통공(18a)이 형성된 플레이트(18)와, 플레이트(18)의 하부와 웨지(5)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는 스토퍼(7)를 포함한다.
여기서, 탄성스프링(16, 16')은 케이스(2)의 내주면을 따라 감기되, 적어도 한 번 이상 감기는 방향이 바뀌게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16, 16')은 2개로 분할되어 케이스(2)의 내측에서 상호 대향하게 역대칭으로 형성되고, 지그재그 형태로 중첩되게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개의 탄성스프링(16, 16')은 최외곽의 형상이 반원형이고, 상기 반원형상의 곡선을 따라 내측으로 중첩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2개의 탄성스프링(16, 16')의 최외곽 형상은 반원뿐만 아니라, 각형 및 여러 형상으로 형성가능하나, 차후 스프링의 제거를 고려할 때 자체 마찰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2개의 탄성스프링(16, 16')은 케이스(2)의 내측에 상호 대향하게 역대칭으로 설치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탄성스프링(16, 16')은 외곽형상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강연선(11)을 감싸지 않고 케이스(2)에 설치 가능하여서, 강연선(11)과 마찰되지 않고 용이하게 제거 가능하게 된다.
또한, 2개의 탄성스프링(16, 16')은 강연선(11)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며 역대칭으로 케이스(2)와 분할헤드(4) 사이에 설치된다.
역대칭으로 설치되는 2개의 탄성스프링(16, 16')은 제거 시에 각각의 탄성스프링(16, 16')이 균등한 제거력을 받을 수 있으며, 또한, 2개의 탄성스프링(16, 16')의 일단이 절곡된 각각의 절곡부(16a, 16a')로 하여금 통공(18a)을 통한 취출을 용이하게 해 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탄성스프링(16, 16')은 탄력성을 갖는 판재에 의하여 태엽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탄성스프링(16, 16')은 강연선(11)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원형의 종단면으로 형성 가능하다.
또한, 필요한 강도에 따라 탄성스프링(16, 16')의 두께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3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스프링을 도시하였는데, 탄성스프링(26)은 케이스(2)의 내측에서 일정길이는 일방향으로 감기고, 잔여길이는 역방향으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상기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스프링(16, 16')과는 달리 분할되지 않는 특징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탄성스프링(26)은 제거될 때, 일방향으로 감긴 일정길이부와 역방향으로 감긴 잔여길이부가 케이스(2)의 상측에 설치되는 플레이트(18)로 취출될 때, 일방향으로 감긴 일정길이부가 플레이트(18)로부터 꼬이면서 빠져나오나, 역방향으로 감겨진 잔여길이부가 빠져나오면서, 앞서 빠져나간 일정길이부의 꼬임을 역방향으로 풀어헤치게 된다.
따라서, 탄성스프링(26)은 케이스(2)로부터 꼬임 없이 외부로 제거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웨지(5)에 고정되어 있는 강연선(11)도 제거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탄성스프링이 구비된 제거형 앵커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는 단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웨지가 두개만 있는 것으로 예시하여 참고로 설명한다.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완료된 후, 강연선(11)을 뽑아 내고자 할 경우, 2개의 탄성스프링(16, 16')의 절곡부(16a, 16a')를 통공(18a)으로 잡아 당겨 탄성스프링(16, 16')을 먼저 뽑아 낸다.
이 경우, 탄성스프링(16, 16')의 절곡부(16a, 16a')를 잡아당기면, 탄성스프링(16, 16')의 감아 말려진 내경부분부터 풀어지면서 뽑아지므로 용이하게 취출이 가능해 진다.
또한, 2개의 탄성스프링(16, 16')의 상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18)에는 통공(18a)이 2개 구비되어, 2개의 탄성스프링(16, 16')을 동시에 뽑아내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2개의 탄성스프링(16, 16')을 순차적으로 뽑아낼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항상 강연선(11)에 의하여 상부로 긴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던 웨지(5) 및 그의 외경을 감싸고 있던 분할헤드(4)가 함께 상부로 당겨지게 된다.
즉, 강연선(11)의 긴장력에 의하여 웨지(5)가 항상 상부로 당겨지는 상태이고, 그로 인하여 분할헤드(4)가 항상 외경으로 밀리려는 힘을 받기 때문에, 분할헤드(4)가 상부로 올라가면서 바깥으로 미는 힘의 작용에 의하여 분할헤드(4)가 벌어져 케이스(2) 내경의 홈(3)으로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결국 웨지(5)도 벌어지게 되므로 강연선(11)을 쉽게 뽑아 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제거형 앵커는 강연선과의 마찰 및 꼬임 없이 제거 가능한 탄성스프링으로 인하여, 앵커설치 후 강연선의 제거작업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탄성스프링은 지중에 매설되지 않고 뽑아 내어 재활용할 수 있어 재료 손실 없이 원가 절감에 더욱 기여 할 수 있고 각종 지중 매설물에 의한 지하 오염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웨지(5)의 외주면과 맞물리게 설치되도록 내측테이퍼가 형성된 분할헤드(4)와, 상기 분할헤드(4)의 외주에 설치되는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와 상기 분할헤드(4) 사이의 상부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의 상부에 설치되고 통공(9)이 형성된 플레이트(8)와, 상기 플레이트(8)의 하부와 상기 웨지(5)의상면 사이에 설치되는 스토퍼(7)를 포함하여, 상기 웨지(5)를 이용하여 강연선(11)을 고정한 후, 상기 탄성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통공(9)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 되면서 상기 분할헤드(4)로부터 상기 웨지(5)가 이완되면서, 상기 강연선(11)이 상기 웨지(5)로부터 제거되는 제거형 앵커에 있어서,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케이스(2)의 내주면을 따라 감기되, 적어도 한 번 이상 감기는 방향이 바뀌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앵커.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탄성스프링은 2개로 분할되어 상기 케이스(2)의 내측에서 상호 대향하게 역대칭으로 형성되고, 지그재그 형태로 중첩되게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앵커.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케이스(2)의 내측에서 일정길이는 일방향으로 감기고, 잔여길이는 역방향으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앵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4136U KR200253365Y1 (ko) | 2001-08-09 | 2001-08-09 | 제거형 앵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4136U KR200253365Y1 (ko) | 2001-08-09 | 2001-08-09 | 제거형 앵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53365Y1 true KR200253365Y1 (ko) | 2001-11-22 |
Family
ID=7306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24136U KR200253365Y1 (ko) | 2001-08-09 | 2001-08-09 | 제거형 앵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53365Y1 (ko) |
-
2001
- 2001-08-09 KR KR2020010024136U patent/KR20025336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987026C (en) | Wedge for post tensioning tendon | |
KR101877971B1 (ko) | 전방위 연성작용을 가지는 내진용 기초파일의 설치구조 및 그 기초파일의 시공방법 | |
KR100586176B1 (ko) | 복수의 정착날개를 갖는 앵커 | |
KR200253365Y1 (ko) | 제거형 앵커 | |
KR20130057577A (ko) | 제거식 앵커형 네일 | |
KR20090114090A (ko) | 쐐기형 강선 클램프 | |
KR200354027Y1 (ko) | 어스앵커 브라켓 지지구조 | |
KR101534036B1 (ko) | 복합형 앵커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0400693Y1 (ko) | 그라운드 앵커용 내하체 | |
JP3942951B2 (ja) | 既設柱の補強方法および補強構造 | |
KR101263202B1 (ko) | 프리캐스트 조립식 구조물용 원터치 결속장치 및 이를 적용한 프리캐스트 조립식 구조물 | |
KR200443047Y1 (ko) | 그라운드 앵커용 앵커체 | |
KR101683455B1 (ko) | 인장재 제거 가능한 지반 고정 부재 | |
KR200428250Y1 (ko) | 인장재 제거용 앵커체 | |
KR20080006448U (ko) | 강연선 클램핑용 웨지 | |
KR20100128211A (ko) |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구조 | |
KR100413550B1 (ko) | 제거형 앵커정착장치 | |
JP3942950B2 (ja) |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 |
KR200340956Y1 (ko) |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 |
KR200296411Y1 (ko) | 제거형 네일 | |
KR200463811Y1 (ko) | 강연선 고정구 | |
JP4596941B2 (ja) | 柱補強用ブロック | |
KR200446189Y1 (ko) | 제거식 유형 팩 앵커 | |
KR102220033B1 (ko) | 확장제어형 보강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JPH0712423Y2 (ja) | アンカ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1025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