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744Y1 - 자동차용에어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에어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744Y1
KR200252744Y1 KR2019980011617U KR19980011617U KR200252744Y1 KR 200252744 Y1 KR200252744 Y1 KR 200252744Y1 KR 2019980011617 U KR2019980011617 U KR 2019980011617U KR 19980011617 U KR19980011617 U KR 19980011617U KR 200252744 Y1 KR200252744 Y1 KR 2002527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evaporator
air conditioner
ai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6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1814U (ko
Inventor
강영묵
Original Assignee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한규
Priority to KR20199800116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744Y1/ko
Publication of KR200000018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8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7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744Y1/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에어콘에 대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응축기의 앞쪽에 냉방된 공기의 일부를 공급하므로써 응축기의 응축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한 특징적인 수단은 냉매 압축기와, 차량의 전방측에 배치된 응축기와, 후방의 휀을 포함하는 증발기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에어콘에 있어서, 상기한 증발기의 뒤쪽으로부터 상기한 응축기의 앞쪽까지 덕트를 연결하여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의 일부를 응축기의 전면에 공급하므로써, 응축기의 응축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에어콘
본 고안은 차량용 에어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를 통과하여 냉각된 공기의 일부를 응축기의 앞쪽에 공급하므로써 응축기의 응축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에어콘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냉매 압축기(1)와, 응축기 (2)와, 증발기(3)로 크게 구분되며, 냉매는 압축기(1)에서 압축된 후, 응축기(2)로 공급되고, 응축기에서 응축된 후, 증발기(3)로 보내져 증발될 때 주위의 공기를 냉각시킨 후, 다시 압축기(1)에서 압축되는 과정을 순환하게 된다.
이때, 응축기(2)의 응축효율이 에어콘의 냉방 능력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대부분 응축기(2)는 차량의 전면에 배치하여 차량의 주행 또는 휀의 가동으로 공기의 흐름을 양호하게 하고, 공기의 흐름에 따라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도록 배려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콘 구성에 있어서는 자동차의 저속 주행시 또는 정차시에 응축기(2)의 응축 효율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에어콘의 냉방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응축기의 앞쪽에 냉방된 공기의 일부를 공급하므로써 응축기의 응축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한 특징적인 수단은 냉매 압축기와, 차량의 전방측에 배치된 응축기와, 후방의 휀을 포함하는 증발기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에어콘에 있어서, 상기한 증발기의 뒤쪽으로부터 상기한 응축기의 앞쪽까지 덕트를 연결하여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의 일부를 응축기의 전면에 공급하므로써, 응축기의 응축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콘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에어콘을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축기 2 : 응축기
3 : 증발기 4 : 휀
5 : 덕트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냉매 압축기(1)와, 응축기(2)와, 증발기(3)로 크게 구분되고, 냉매가 압축기(1)에서 압축된 후, 응축기(2)로 공급되고,응축기에서 응축된 후, 증발기(3)로 보내져 증발시 열을 흡수하게 됨은 종래의 구성과 대동소이하고, 또한 본 고안에서도 냉매가 압축기(1)에서 압축된 후, 응축기(2)로 공급되고, 응축기에서 응축된 후, 증발기(3)로 보내져 증발될 때 주위의 공기를 냉각시킨 후, 다시 압축기(1)에서 압축되는 과정을 순환하는 것은 같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증발기(3)의 뒤쪽으로부터 응축기(2)의 앞쪽까지 덕트(5)를 연결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증발기(3)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냉기가 증발되는 과정에 주위의 온도를 냉각시켜 냉기를 발생시키게 됨으로 이 냉기를 휀(4)으로 송풍한다. 휀으로 송풍된 냉기는 차량의 내벽 이나 바닥속에 내장된 연결통로 즉, 덕트를 통해 원하는 위치로 냉기를 토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냉기를 승객들에게 원할하게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 덕트 이외에 응축기(2)를 보다 신속하게 응축시키기 위한 별도의 덕트를 추가적으로 더 설치한 것이다. 이때 응축기 냉각용 덕트(5)는 그 일측단을 증발기(3)에서 발생되는 냉기가 배출되는 토출구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응축기를 냉각시키기 위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측에 결합하는데 차량의 종류에 따라 그 길이과 직경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때의 덕트(5)는 차량의 구조에 따라 배치하기에 용이하도록 고무나 비닐 호스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덕트(5)를 연결하므로써 증발기(3)에 의해 생성된 냉기의 일부가 항상 응축기(2)의 앞쪽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응축기의 응축 효과가 향상된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에어콘의 냉방능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냉각된 공기의 일부를 응축기(2)의 앞쪽에 공급하기 때문에 공랭식으로 응축하던 종래에 비해 응축 효과가 크게 향상되어 에어콘의 냉방능력이 우수해지는 것이다.

Claims (2)

  1. 냉매 압축기(1)와, 차량의 전방측에 배치된 응축기(2)와, 후방의 휀(4)을 포함하는 증발기(3)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에어콘에 있어서,
    상기한 증발기(3)의 뒤쪽으로부터 상기한 응축기(2)의 앞쪽까지 덕트(5)를 연결하여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의 일부를 응축기의 전면에 공급하므로써, 응축기의 응축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덕트(5)는 합성수지재 호스로 연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콘.
KR2019980011617U 1998-06-30 1998-06-30 자동차용에어콘 KR2002527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617U KR200252744Y1 (ko) 1998-06-30 1998-06-30 자동차용에어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617U KR200252744Y1 (ko) 1998-06-30 1998-06-30 자동차용에어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814U KR20000001814U (ko) 2000-01-25
KR200252744Y1 true KR200252744Y1 (ko) 2002-04-22

Family

ID=69518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617U KR200252744Y1 (ko) 1998-06-30 1998-06-30 자동차용에어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7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814U (ko) 200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7038B2 (en) Cooling apparatus of a vehicle
JP6030226B2 (ja) 車両用空調装置
US20050029027A1 (en) Cooling system for vehicle
US20080127666A1 (en) Vehicle Heat Exchanger and Cooling System
US67860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a heat exchanger in a vehicular air conditioning system
JP2003512591A (ja) 冷蔵庫用冷却空気循環システム
KR200477303Y1 (ko) 차량용 무시동 에어컨
JP2009184377A (ja) 車両用屋上装着型空調装置
KR200252744Y1 (ko) 자동차용에어콘
US20050158197A1 (en) Dual-type air-type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US6716100B2 (en) Air conditioning unit for vehicle
JP3622425B2 (ja) バス車両用空調装置
JP3716897B2 (ja) 冷蔵庫
JP3716896B2 (ja) 冷蔵庫
JP2009085060A (ja) ランキンサイクルシステム
US20020038698A1 (en) Heat exchanger
JPH1068562A (ja) 冷凍装置用レシーバ及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0139991Y1 (ko) 오리피스 튜브
KR20050082494A (ko) 차량용 인버터의 냉각장치
KR20000004307U (ko) 자동차 에어콘용 휀 모터 냉각장치
KR100324945B1 (ko) 자동차용 쿨 박스
JPS597128Y2 (ja) 自動車用補助冷却装置
JPH1035267A (ja) 車両用屋上装着型冷房装置
JP2021142765A (ja) 空調装置
KR19990039875U (ko) 루프형 에어컨의 응축기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